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一/壹) (100) | 십(十/拾) (101) | 백(百/伯/陌) (102) | 천(千/仟/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毛)/호(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絲) (10-4) | |
만(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忽) (10-5) | 미(微) (10-6) | 섬(纖) (10-7) | 사(沙) (10-8) | |
억(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塵) (10-9) | 애(埃) (10-10) | 묘(渺) (10-11) | 막(漠) (10-12) | |
조(兆) (1012) | 경(京) (1016) | 해(垓) (1020) | 자(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壤/穰) (1028) | 구(溝) (1032) | 간(澗) (1036) | 정(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載) (1044) | 극(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〇(영) | 一(일) | 二(이) | 三(삼) | 四(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오) | 六(육) | 七(칠) | 八(팔) | 九(구) | |
伍 | 陸 | 漆 | 捌 | 玖 | |
十(십) | 廿(이십) | 卅(삼십) | 卌(사십) | 百(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이백) | 千(천) | 萬(만) | 億(억) | 兆(조) | |
- | 仟 | - | - | - | |
京(경) | 垓(해) | 秭(자) | 穰(양) | 溝(구) | |
- | - | - | - | - | |
澗(간) | 正(정) | 載(재) | 極(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念 생각 념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心,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ネン | ||||||
일본어 훈독 | おも-う | ||||||
- | |||||||
표준 중국어 | ni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念은 '생각 념'이라는 한자로, '생각', '기억하다' 등의 뜻한다.넋, 생각이라는 뜻의 티베트어 ཉམ(nyam)이 기원이 같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생각, 스물 |
음 | 념, 입 | |
중국어 | 표준어 | niàn |
광동어 | nim6 | |
객가어 | ngiam | |
민동어 | niêng | |
민남어 | liām | |
오어 | nyie(T3), nyi(T3) | |
일본어 | 음독 | ネン |
훈독 | おも-う | |
베트남어 | niệm |
유니코드에는 U+5FF5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ㄋㄧㄢ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INP(人戈弓心)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今(이제 금)과 음을 나타내는 心(마음 심)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강희자전에는 378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다.
이체자로는 唸(U+5538)과 廿이 있다. 여담이지만 廿은 본래 '스물 입'이라는 한자로, 말 그대로 20을 뜻하는 한자이다. 따라서 念이 廿의 갖은자로 쓰이기도 한다.
3. 용례
3.1. 단어
- 개념(槪念)
- 과념(過念)
- 관념(觀念)
- 괘념(掛念)
- 기념(記念, 紀念)
- 단념(斷念)
- 묵념(默念)
- 사념(思念)
- 신념(信念)
- 염두(念頭)
- 염동력(念動力)
- 염려(念慮)
- 염력(念力)
- 염불(念佛)
- 공염불(空念佛)
- 염원(念願)
- 염주(念珠)
- 욕념(慾念)
- 이념(理念)
- 잔념(残念)
- 잡념(雜念)
- 전념(專念)
- 집념(執念)
- 체념(諦念)
- 통념(通念)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넨아미 지온(念阿弥 慈恩)
- 류니엔(刘念)
- 리셴녠(李先念)
- 목염자(穆念慈)
- 미노 넨키(蓑 念鬼)
- 쉬니엔츠(許念慈)
- 우녠팅(吳念庭)
- 치넨 리나(知念 里奈):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 치넨 미키토(知念 実希人)
3.4. 지명
3.5. 창작물
- 권념요록(勸念要錄)
- 下ネタという概念が存在しない退屈な世界(야한 이야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지루한 세계)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衾(이불 금)
- 𢻶[⿱今攴](빠를 변, 속할 편)
- 酓(산뽕나무 염, 마실 음)
- 侌(그늘 음)[1]
- 𣲎[⿱今水]/𩚜[⿱今食](마실 음)
- 貪(탐낼 탐)
- 含(머금을 함)
- 𠇀[⿱今又]
- 𠉞[⿱今尼]
- 𪝶[⿱今⿰⿱米又⿱又匕]
- 𥁌[⿱今皿]
- 𮊀[⿱今罒]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趝(빨리가는모양 겸)
- 𥍵[⿰矛念](자랑할 긍)[2]
- 䂼(돌이름 녈)
- 𥮘[⿱𥫗念](대밧줄 념)
- 鯰(메기 념)
- 𦁤(밧줄 념)
- 𤽿[⿰白念](배만드는나무 념)
- 捻/焾(비틀 념)
- 踗(사뿐사뿐걸을 념)
- 艌(수리할 념)
- 䧔(언덕위에서만날 념)
- 𩐭[⿰音念](그칠 녑)
- 敜(막을 녑)
- 𩋏[⿰革念](발 녑)
- 錜(비녀 녑)
- 惗(사랑할 녑/념)
- 𪌿[⿰麥念](익힌음식 녑)
- 諗(고할 심)
- 淰(흐릴 심)
- 𨡎[⿰酉念]/𨡣[⿱念酉](술맛쓸 염)
- 菍(나무이름 임, 풀이름 녈)
- 棯(대추맛들 임)
- 腍(맛좋을 임)
- 稔/䄒(익을 임/념)
- 䭃(익힌음식 임, 떡 녑)
- 𣣈[⿰念欠](신음할 전/점)
- 唸(신음할 점)
- 埝(제방 점, 더할 녑)
- 騐(시험 험)[3]
- 𡹓[⿰山念](기)
- 㑫(념)
- 𱍟[⿰与念]
- 𪞤[⿰冫念]
- 𭃮[⿰刀念]
- 𢈸[⿰女念]
- 𫱁[⿸广念]
- 𪪆[⿰平念]
- 𪫶[⿰念⿱⺈丨]
- 𪯺[⿰方念]
- 𪺥[⿰片念]
- 𤚋[⿰牛念]
- 𫾿[⿰念攴]
- 𭝌[⿰夫念]
- 𱠑[⿰手念]
- 𱢌[⿰日念]
- 𮞤[⿺辶念]
- 𭝯[⿰念本]
- 𢞘[⿱百念]
- 𪳋[⿰朽念]
- 𰘬[⿰果念]
- 𱟔[⿰重念]
- 𤦬
- 𬑛[⿰目念]
- 𧛋[⿰衤念]
- 𥺴[⿰米念]
- 𫫞[⿰舌念]
- 𬠖[⿰虫念]
- 𱻻[⿰耳念]
- 𩭮[⿱髟念]
- 𪑡[⿰黑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