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 바다 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7획 | 총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海[1] | |||||||
일본어 음독 | カイ | ||||||
일본어 훈독 | うみ | ||||||
- | |||||||
표준 중국어 | hǎ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海는 '바다 해'라는 한자로, '바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 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바다 |
음 | 해 | |
중국어 | 표준어 | hǎi |
광동어 | hoi2 | |
객가어 | hói | |
민북어 | huǒi | |
민동어 | hāi | |
민남어 | hái | |
오어 | he (T2) | |
일본어 | 음독 | カイ |
훈독 | うみ, わた | |
베트남어 | hải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每(매양 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이다. 바다와 관련된 단어에 이 글자가 일반적으로 쓰이며, 인명·지명 등의 고유 명사에도 많이 쓰인다.
일본어 고유 명사에 쓰일 때는 かい, うみ뿐만 아니라 み 등으로 읽기도 한다. うな나 わた로도 읽는데 따로 사전에서 낱말로 실려 있지 않고 그저 다른 낱말에 붙어서만 나온다.
옛 문헌에서는 바다란 뜻이 아니라 아주 먼 곳이란 뜻으로도 쓰이는데 그래서 海가 나올 적에 이걸 곧이곧대로 바다로 해석하지 말고 먼 곳이라고 해석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춘추좌씨전에 실린 예문으로 여기 나온 北海와 南海는 북해와 남해로 해석할 게 아니라 원북(遠北)과 원남(遠南)으로 해석해야 한다. 해외라든가 반의어지만 잘 안 쓰이는 해내도 바다라기보다 먼 곳이란 뜻에 더 가깝다.
이 글씨는 상나라에서는 안 나왔고 서주에서 처음 나온 글씨인데 이것이 상나라와 주나라가 바다를 인지하지 못한 것의 증거인지는 알 수 없다.
3.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
(G: 중국, T: 대만, J: 일본어, K: 한국어, V: 베트남어)
보다시피 일본어에서는 삼수변 오른쪽 "매양 매" 부분이 每가 아니라 毎이다. 즉 일본어에서는 水부 6획, 총 9획이다.
4. 용례
4.1. 단어, 고사성어
- 근해(近海)
- 다도해(多島海)
- 대해(大海)
- 벽해(碧海)
- 산해진미(山海珍味)
- 심해(深海)
- 연안해(沿岸海)
- 염해(鹽海)
- 영해(領海)
- 원해(遠海)
- 인산인해(人山人海)
- 창해(滄海)
- 창해(蒼海)
- 항해(航海)
- 해감(海감)
- 해감내(海감내)
- 해경(海警)
- 해구(海溝)
- 해군(海軍)
- 해녀(海女)
- 해동(海東)
- 해령(海嶺)
- 해류(海流)
- 해리(海里)
- 해마(海馬)
- 해면(海綿/海面)
- 해무(海霧)
- 해물(海物)
- 해발(海拔)
- 해변(海邊)
- 해병대(海兵隊)
- 해산물(海産物)
- 해삼(海蔘)
- 해상(海上)
- 해수(海水)
- 해신(海神)
- 해안(海岸)
- 해양(海洋)
- 해역(海域)
- 해왕성(海王星)
- 해외(海外)
- 해원(海原)
- 해원(海員)
- 해일(海溢)
- 해저(海底)
- 해적(海賊)
- 해조(海藻)
- 해초(海草)
- 해풍(海風)
- 해협(海峽)
- 인산인해(人山人海)
4.2. 인명
- 가리엽특 해란(珂里叶特 海兰)
- 가쓰 가이슈(勝 海舟)
- 권해효(權海驍)
- 국해성(鞠海成)
- 나카무라 카이토(中村 海人)
- 닛타 에미(新田 恵海)
- 류자키 우미(龍咲海)
- 마츠쿠라 카이토(松倉 海斗)
- 마해영(馬海永)
- 박해민(朴海旻)
- 린하이펑(林海峰)
- 상하이 조(上海 趙)
- 서영해(徐嶺海)
- 송해(宋海)
- 스카이 브라운(ブラウン 澄海)
- 시나다 타쿠미(品田 拓海)
- 신해철(申海澈)
- 싱하이밍(邢海明)
- 오리하라 나츠미(織原 夏海)
- 우미세 쇼고(海瀬 将悟)
- 오해원(吳海嫄)
- 와다 미유(和田 海佑)
- 유해진(柳海眞)
- 이해찬(李海瓚)
- 이산해(李山海)
- 정해림(鄭海琳)
- 정해걸(丁海杰)
- 정해영(鄭海英)
- 정해인(丁海寅)
- 해릉양왕(海陵煬王)
- 현철해(玄哲海)
- 정해성(丁海珹)
4.3. 지명
- 이름이 '-해'로 끝나는 모든 바다
- 김해(金海)
- 남해군(南海)
- 진해구(鎭海區)
- 상하이(上海)
- 주하이(珠海)
- 린하이(临海)
- 우하이(乌海)
- 웨이하이(威海)
- 베이하이(北海)
- 중난하이(中南海)
- 홋카이도(北海道)
- 겐카이나다(玄海灘)
- 주카이 숲(樹海)
- 도카이(東海)
- 해운대(海雲臺)
- 해주(海州)
- 청해진(淸海鎭)
- 성해리(城海里)
4.3.1. 시설, 기관명
4.4. 고유명사
4.5. 캐릭터명, 작품명 등
4.5.1. 작품명
- 대항해시대(大航海時代)
- 동방해신궁(東方海神宮)
- 바다가 들린다(海がきこえる)
-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ふしぎの海のナディア)
-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
- 묘유동해도(卯酉東海道)
- 심해소녀(深海少女)
- 海のYeah!!
4.5.2. 캐릭터명
- 아사미 사키(浅海 サキ)
- 아소 미사키(麻生 海咲)
- 아마미 란타로(天海 蘭太郎)
- 아마미 하루카(天海 春香)
- 이치노세 카이(一ノ瀬 海)
- 우츠미 켄지(内海 賢二)
- 우츠미 시즈나(内海 静奈)
- 우나바라 미츠키(海原 光貴)
- 우미노 치카(羽海野 チカ)
- 우미보즈(海坊主)
- 우미보즈(은혼)(星海坊主)
- 우미하라 카와세(海腹 川背)
- 우미히코(海火子)
- 카이도 미나미(海藤 みなみ)
- 카이오 미치루(海王 みちる)
- 카이토 준이치(海東 純一)
- 가토 나루미(加藤 鳴海)
- 가이바라 타쿠마로(海原 琢磨呂)
- 우미하라 유우잔(海原 雄山)
- 가이후 토시키(海部 俊樹)
- 카시와기 나루미(柏木 鳴海)
- 가쓰 가이슈(勝 海舟)
- 간토 카이지(巌徒 海慈)
- 쿠로요루 우미도리(黒夜 海鳥)
- 쿠루미 에리카(来海えりか)
- 겐카이(幻海)
- 사쿠라바 하루미(桜庭 晴海)
- 산죠 카이리(三条 海里)
- 산고노미야 코코미(珊瑚宮 心海)
- 신카이 마코토(新海 誠)
- 스기노우라 하루미(杉乃浦 春海)
- 소마 쿠카이(相馬 空海)
- 소우미 요코(沢海 陽子)
- 소노다 우미(園田 海未)
- 다이카이오(大海王)
- 타카하타 오우미(高畠 青海)
- 츠키우미(月海)
- 쓰나미 조스케(綱海 条介)
- 나츠미 리카코(夏海 里伽子)
- 나나미 마미(七海 麻美)
- 나나미 치아키(七海 千秋)
- 나나미 카나타(七海 哉太)
- 나나미 하루카(七海 春歌)
- 나루미 아키코(鳴海 亜樹子)
- 나루미 에리카(鳴海 エリカ)
- 나루미 유키(鳴海 柚来)
- 나루미야(鳴海也)
- 니시죠 나나미(西條 七海)
- 핫카이산 타츠미(八海山 辰巳)
- 히카리 나츠미(光 夏海)
- 히구치 카이토(樋口 海斗)
- 히메카이도 하타테(姫海棠 はたて)
- 히라지마 나츠미(平嶋 夏海)
- 후지시마 나루미(藤島 鳴海)
- 후타미 아미·마미(双海 亜美・真美)
- 마니와 우미가메(真庭 海亀)
- 미카와 카이(三河 海)
- 미사키 우미카(御崎 海香)
- 미나카미 와타루(海神 航)
- 미나세 나나미(水瀬 七海)
- 미하루(베이비 프린세스)(海晴)
- 미야하라 나미(宮原 永海)
- 미오(드림 클럽)의 본명 모리시타 나루미(森下 成海)
- 야도미 진타(宿海 仁太)
- 요모다 하루미(四方田 春海)
- 리쿠오&카이오(陸王&海王)
- 류자키 우미(龍咲 海)
- 레츠 카이오(烈 海王)
- 아사리 나나미(浅利 七海)
- 호시노 아쿠아마린 (星野 愛久愛海])
4.6. 기타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黣(그을 매)
- 䊈(누룩 매)
- 脢(등심 매)
- 梅(매화 매)
- 鋂(사슬고리 매)
- 酶(술밑 매)
- 珻(옥이름 매)
- 挴(탐할 매)
- 㙁(티끌 매, 땅이름 목)
- 𧋟(꽃게 모)
- 侮(업신여길 모)
- 娒(여자스승 모)
- 𢂳(왕후이름 모)
- 䀲(눈병 목)
- 𧚀(옷솔기 목)
- 踇(걸을 무)
- 畮(이랑 무/묘)[3]
- 䱕(황화어 무)
- 䋦(엉크러질 번)
- 誨(가르칠 회)
- 晦(그믐 회)
- 悔(뉘우칠 회)
- 烸(말릴 회)
- 䩈(얼굴퉁퉁할 회)
- 𧶅(재물 회)
- 𤙩(개)
- 𠳨
- 𤞦
- 𤗆
- 𣼿
- 𩛸
- 𩊱
- 𪉥
- 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