主 임금/주인 주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丶,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 (ス) | ||||||
일본어 훈독 | ぬし, おも, あるじ | ||||||
- | |||||||
표준 중국어 | zhǔ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主는 '임금/주인 주'라는 한자로, '임금', '주인(主人)'을 뜻한다.2. 상세
등잔 접시 위에 불이 타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문자의 윗부분丶(주)는 등불이 타는 모양, 王(왕)은 촛대의 모양이며 임금이란 王(왕)과는 관계(關係)가 없다. 主(주)는 처음에 丶(주)로만 쓴 것을 더욱 자세하게 쓴 자형(字形)이다. 과거 한국에서는 맨 위의 丶를 세워서 쓴 적이 있었다. 원래의 뜻은 炷(심지 주)가 되었다.3. 용례
3.1. 단어
- 가구주(家口主)
- 객주(客主)
- 건물주(建物主)
- 고용주(雇用主)
- 구세주(救世主)
- 공주(公主)
- 광고주(廣告主)
- 군주(君主)
- 맹주(盟主)
- 번주(藩主)
- 숙주(宿主)
- 신주(神主)
- 업주(業主)
- 위주(爲主)
- 자주(自主)
- 조물주(造物主)
- 주객(主客)
- 주견(主見)
- 주관(主觀/主管)
- 주관적(主觀的)
- 주권(主權)
- 주도(主導)
- 주도권(主導權), 주도적(主導的)
- 주력(主力)
- 주류(主流)
- 주범(主犯)
- 주부(主婦)
- 주석(主席)
- 주식(主食)
- 주심(主審)
- 주어(主語)
- 주역(主役)
- 주요(主要)
- 주의(主意/主義)
- 주의(主義)
- 고립주의(孤立主義), 공산주의(共産主義), 관료주의(官僚主義), 국수주의(國粹主義), 권위주의(權威主義), 민주주의(民主主義), 민족주의(民族主義), 배금주의(拜金主義), 법치주의(法治主義), 보수주의(保守主義), 사회주의(社會主義), 수정주의(修正主義),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 이기주의(利己主義), 자본주의(資本主義), 제국주의(帝國主義), 지역주의(地域主義), 패권주의(覇權主義), 패배주의(敗北主義), 편의주의(便宜主義)
- 주인(主人)
- 주인공(主人公)
- 주일(主日)
- 주임(主任)
- 주장(主將/主張)
- 주제(主題)
- 주주(株主)
- 대주주(大株主)
- 주체(主體)
- 경제주체(經濟主體), 주체사상(主體思想), 주체적(主體的)
- 주최(主催)
- 주축(主軸)
- 창조주(創造主)
- 천주(天主)
- 호주(戶主)
- 호주제(戶主制)
건물주, 소유주, 차주 같이 어떤 물건을 소유한 사람을 ~주로 쓴다.
임금을 한 글자로 나타내면 王, 君(임금 군), 혹은 이 글자로 쓴다. 君과 합쳐 君主(군주)라고도 한다. 주상전하의 '주' 역시 이 글자. 사극에서 대비나 상왕이 현 임금을 가리켜 '주상'이라고 한다. 여왕의 경우에는 女主(여주)라고 하며 이는 훗날 수렴청정하며 실권을 행사하는 대왕대비나 왕대비에게도 女主라고 하였다.
동사로는 주관하다(主管), 책임지다(責任), 주장하다(主張), 예시하다(例示), 형용사로는 주되다(主)의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이데올로기의 거의 모든 종류들은 이름이 주의(主義)로 끝난다.
3.2. 인명
3.3. 지명
3.4. 창작물
3.5. 기타
- 남주(男主)
- 소주성(所主成)
- 여주(女主)
- 외지주(外至主)
- 종북주의(從北主義)
- 大島優子卒業コンサート in 味の素スタジアム~6月8日の降水確率56%(5月16日現在)、てるてる坊主は本当に効果があるのか?~: 오오시마 유코의 졸업 콘서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