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7:50:14

가르칠 교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キョウ
일본어 훈독
おし-える, おそ-わる
표준 중국어
jiāo, jià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

[clearfix]

1. 개요

敎는 '가르칠 교'라는 한자로, '가르치다', '교육', '본받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가르치다
중국어 표준어 jiāo <colbgcolor=#fff,#1f2023>jiào
광동어 gaau1 gaau3
객가어 kâu kau
민북어 ga̿u[文] / háu [白] ga̿u
민동어 gáu[文] / gá[白] gáu
민남어 kàu[文] / kà[白] kàu[文] / kà, kah[白]
오어 kau (T2) jiau (T2)
일본어 음독 キョウ
훈독 おし-える, おそ-わる
베트남어 giao giáo

유니코드에선 U+654E에 배정되어있다.

파일:敎자원.png
(사귈 효), (아들 자), (칠 복) 자를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이다. 기본적으로 회의자이나, 爻 자를 성부(聲符)로 보는 시각도 있으며, 정장상팡(鄭張尙芳)과 벡스터-사가르(Baxter-Sagart)의 상고음 재구에는 이런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아이를 회초리로 치는 모습에서 '가르치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갑골문에서부터 현재까지 자형의 변화는 그렇게 크지 않으나, 갑골문에서는 (배울 학) 자와 비슷하게, 爻 자의 X 부분이 하나만 있는 모양과 두 개 있는 모양이 있고, 子 자가 있는 모양과 없는 모양으로 구별된다.

敎의 이체자로는 教가 있는데, 한국을 제외한 모든 한자문화권에서는 이 자형을 사용한다.[9] 신자체간체자는 물론이고, 번체자구자체에서도 敎가 아닌 教가 표준이다. 한국에서는 서예 등에서 간간이 教가 사용된다. 教는 유니코드에는 U+6559에 배정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DOK(十木人大)로 입력한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1음절 동사로 '~에게 가르치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는 위 표에서 전자로 발음하고, 그 외에 2음절 이상의 합성어에서는 후자로 발음된다. 전자는 대개 평성이고, 후자는 대개 거성이다.

한문에서는 문법적 기능으로 使와 유사하게 '시키다'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두에서는 '이산'이나 '이시'로 읽었다. 뜻은 '(윗사람이) 말하다/행동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3.7. 중국어

4. 유의자

5. 상대자



[文] 문독[白] 백독[文] [白] [文] [白] [文] [白] [9] 자원 상으로는 敎가 원의에 가깝다. 教의 좌측 는 아들()이 노인()을 업은 모양으로 자원 상으로는 전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