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12:46:35

해주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주'라는 활동명을 사용했던 가수에 대한 내용은 이예은(트로트 가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시대 황해도를 통치하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해주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도소재지
해주시
강령군 과일군 룡연군 배천군 벽성군
봉천군 삼천군 송화군 신원군 신천군
안악군 연안군 옹진군 은률군 은천군
장연군 재령군 청단군 태탄군
}}}}}}}}}
파일:북한 국기.svg 황해남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해주시
海州市
Haeju City
}}} ||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colbgcolor=#ED1C27,#222222><colcolor=white> 상위 황해남도
하위 26동 5리



대의원
[ 펼치기 · 접기 ]
파일:wpk.jpg 서승철 (제304호 해청선거구)
파일:wpk.jpg 김동선 (제305호 읍파선거구)
파일:wpk.jpg 김영철 (제306호 옥계선거구)
파일:wpk.jpg 강지영 (제307호 서애선거구)
파일:wpk.jpg 박명철 (제308호 석천선거구)
파일:wpk.jpg 우창식 (제309호 학현선거구)
시당 파일:wpk.jpg 김명남[1]
(해주시당 책임비서)
인민위 파일:wpk.jpg 리승천[2]
(해주시 인민위원회 위원장)
면적 206.93㎢
시간대 UTC+9
인구 273,300명 (2008년)
인구밀도 1,321명/km² (2008년)

해주 시내 (2013년)[3]

1. 개요2. 역사
2.1. 삼국시대2.2. 남북국시대2.3. 고려2.4. 조선2.5. 근대2.6. 광복 이후
3. 자연지리
3.1. 기후3.2. 지형
4. 경제
4.1. 공업4.2. 농산업
5. 남북통일 이후6. 교통
6.1. 철도6.2. 도로6.3. 해운6.4. 항공
7. 생활문화
7.1. 문화7.2. 음식7.3. 교육7.4. 의료
8. 문화재9.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10. 북한 기준 행정구역11. 주요 시설12. 출신 인물13. 사건사고14. 기타1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북한 황해남도의 도시[4]이자 도소재지[5]로 황해도의 '해'가 바로 해주이다. 면적은 206.93㎢이다.

도 남부 중앙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946m의 수양산(首陽山)[6]을 등지고, 남쪽으로는 남산을 안고 있으며, 시가지 북쪽에서 남쪽방향으로 광석천(廣石川)이 흐른다. 남쪽으로 황해에 맞닿아 용당반도가 돌출해 있어 부동항해주항을 이루며, 옹진반도와 바다를 사이에 두고 수백 미터 떨어져 있다.

출신 인물을 살펴보자면 애국자의 땅이라고 할 수 있다. 안중근 그리고 김구 또한 해주부 백운방[7]에서 태어났으며, 여기서 황해도 동학군으로 활약했다. 둘의 나이차는 겨우 3살. 김구가 수배를 피해 안중근의 집에 묵은 적도 있다고 한다. 전국노래자랑송해는 재령평야로 유명한 재령군 출신이지만 해주에서 음악 공부를 했다.

1945년부터 1950년까지는 38선 바로 북쪽에 위치한 도시여서, 옹진반도 등 지역에 대한 대남(對南)공작의 기지 역할을 하기도 했다. 용당포가 속한 해주항 일부는(정도역 부근) 38선 남쪽으로 들어갔다. 이런 이유 때문에 38선 분계 당시 미 군정과 소련 군정이 예외 조항을 둬서 해주시는 북한이 모두 관할하기로 합의하였다. 하지만 남쪽으로 내려가기 유리한 위치라 용당반도의 남단인 용당포에서 바다를 건너 남한의 옹진반도로 탈출하는 사람이 많았다.[8] 당장 바다는 38선 이남이어서 일단 배에 오르기만 하면 북측 군인들이 감시만 하고 사격하지는 못했다. 물론 반대로 남한에서 북한으로 몰래 넘어가는 월북 루트이기도 하였다. 이런 이유로 인해 6.25 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해주는 항구의 기능을 상실했다.

파일:attachment/Haeju-YDH-00001.jpg
해주시 용당포(龍塘浦).

서울에서 직선으로 약 120km[9], 철도로는 약 160km[10] 거리에 있다.

2. 역사

2.1. 삼국시대

고대 지형적으로 해안에 위치하고 기후가 온화하여 생활 자재의 취득이 용이하고, 많은 동굴이 있어 수렵, 채집, 농경 생활이 편리해 신석기 문화가 일찍 나타났다. 용당포의 패총과 남산의 원시 집터에서 신석기 시대의 도구들과 빗살무늬 토기, 질그릇이 발굴되었다. 청동기 시대의 민무늬 토기 역시 출토되었다.

고조선 이후 대방군(帶方郡) 해명현(海冥縣)에 속하였다. 한때 마한의 영역에 속했으며 삼국 시대에 들어와 근초고왕대에 백제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다.

소수림왕고구려가 이 지역을 차지한 후 내미홀군(內未忽郡, '나밋골'의 음차)으로 편성되었다. '내미(나미)'는 (연못, 호수, 물)의 고구려어로, '못 지' 자를 따 지성(池城), 장지(長池) 또는 폭지(瀑池)라고도 불렸다.

2.2. 남북국시대

고구려가 멸망하여 신라에 복속된 후 748년(경덕왕 7)에 폭지군(瀑池郡)으로 개칭하였다. 762년(경덕왕 21)에는 광개토대왕 또는 장수왕 당시 축조하였던 지성산성(池城山城)을 다시 수축하고 태수(太守)가 부임하였다.

2.3. 고려

고려 태조가 936년(태조 19) 후삼국을 통일한 뒤 이곳에 이르러 지성산성에 있던 읍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남쪽으로 큰 바다에 임한 까닭에 해주(海州)라 명하였다. 그러나 기록에 지명이 해주로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은 마진 때인 905년부터다.

983년(성종 2)에 해주목(海州牧)으로 승격되어 목사가 부임하였고, 995년(성종 14) 전국의 12(州)에 절도사(節度使)를 두면서 해주에도 절도사가 파견되었다. 이때 해주절도사의 소관을 우신책군(右神策軍)으로 하면서 양주(楊州)의 좌신책군과 함께 개경을 지키는 수도 방위의 요충지로 등장하였다. 1012년(현종 3) 절도사를 폐지하고, 1018년 전국에 4도호부를 설치하면서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로 개편되었으며, 1122년(예종 17) 대도호부로 승격되는 등 군사적 성격은 그 뒤로도 계속 이어졌다.

1247년(고종 34)에는 다시 해주목으로 고치고 목사가 부임하였다. 서해도(西海道)에는 다른 도보다 일찍이 11세기 전반 정종 때부터 안찰사(按察使)를 파견하였는데, 그 영(營)을 해주에 두었다. 1389년(창왕 1) 이후로는 관찰사영(觀察使營)의 소재지가 되어 서해도의 행정 중심지로 기능하였다.

2.4. 조선

조선 초기에도 대체로 황해도의 행정중심지로서의 위치를 유지하였으나, 1449년(세종 31) 병영을 황주(黃州)에 두기로 한 계획이 지역이 협소하다는 이유로 바뀌어 해주에 병영을 두고 대신 관찰사영은 황주로 옮겨졌다. 관찰사영이 다시 해주로 확정되는 때는 1601년(선조 34)으로, 이후 관찰사영과 목사의 관아가 읍성 안에 함께 존속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선조가 의주파천에서 돌아오는 길에 머무르다 해주행궁에서 머물렀는데, 이때 여기서 손자 인조정정옹주가 태어났다.

1616년(광해군 8) 변란을 고발하려던 사람을 해주목사가 형벌을 빙자하여 죽인 사건이 일어나 벽성현으로 강등되었다. 그동안 도명 또한 황연도(黃延道)로 바뀌어 사용되었다. 1623년(인조 1) 다시 목으로 복구되었다. 조선 말엽에 점차 도시의 면모를 갖춘 해주시는 서울, 평양, 전주, 개성과 함께 조선의 5대 고을 중의 하나가 되었다.

조선 고종 32년(1895년) 을미개혁의 하나인 23부제 실시로 해주부가 되어 16군을 관하에 두었다. 해주는 해주군이 되어 관하에 29개 방을 두었다.
1895년 해주군 산하 29방
동변방(東邊坊), 고촌방(古村坊), 천결방(泉決坊), 태공리방(太公里坊), 평창방(平倉坊), 소문창방(蘇文倉坊), 추이방(秋伊坊), 내성방(來城坊), 일신방(日新坊), 동강방(東江坊), 송림방(松林坊), 해남방(海南坊), 서변방(西邊坊), 석동방(席洞坊), 가좌방(茄佐坊), 월곡방(月谷坊), 아달방(阿達坊), 대진방(代陣坊), 어거방(馭車坊), 고장방(古壯坊), 삼곡방(三谷坊), 백운방(白雲坊), 청산방(靑山坊), 검단방(檢丹坊), 미륵방(彌勒坊), 율지방(栗枝坊), 고산방(高山坊), 소라방(所羅坊), 군곡방(軍谷坊)

이후 평창방을 분리하여 용문방(龍門坊)과 청운방(靑雲坊)을, 태공리방을 분리하여 동대방(東大坊)과 서대방(西大坊)을, 동변방을 분리하여 주내방(州內坊)과 영동방(瀛東坊)을 각각 신설하였다. 고촌방을 금산방(錦山坊)으로, 아달방을 녹달방(祿達坊)으로, 서대방을 운곡방(雲谷坊)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개편을 거쳐 32개 방을 관할하게 되었다.

2.5. 근대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평안남도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파일:제2기 경성부 휘장_White.png 파일:인천부 휘장.svg파일:인천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개성부 휘장.png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파일:신의주부 마크(1929~?).png파일:신의주부 화이트.svg 파일:평양부 마크(1922~?).png파일:평양부 로고_White.png 파일:진남포부 휘장.svg파일:진남포부 휘장 화이트.svg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평양부
함경북도 함경남도
파일:청진부 휘장.svg파일:청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나진부 휘장.svg파일:나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성진읍(1938~?)의 마크.png 파일:원산부 휘장.svg파일:원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함흥부 휘장.svg파일:함흥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흥남읍(일제강점기)의 마크.png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황해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파일:해주부 마크(1939~?).png 파일:대전부 휘장 2기.svg파일:대전부 휘장 2기 화이트.svg 파일:군산부 마크(1928~?).png 파일:전주읍 마크(1930~?).png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 파일:광주부 휘장.svg파일:광주부 휘장 화이트.svg
해주부 대전부 군산부 전주부 목포부 광주부
경상남도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 파일:부산부 휘장.svg파일:부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마산부 휘장.svg파일:마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진주부 마크(1940~?).png
대구부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
1896년1914년
고장면(古壯面), 삼곡면(三谷面)장곡면(壯谷面)
대진면(代陣面), 어거면(馭車面)대거면(代車面)
동대면(東大面), 운곡면(雲谷面), 평산군 용산면(龍山面) 사리 일부동운면(東雲面)
소라면(所羅面), 대덕면(大德面)나덕면(羅德面)
월곡면(月谷面), 녹달면(祿達面)월록면(月祿面)
청운면(靑雲面), 용문면(龍門面)청룡면(靑龍面)
율지면(栗枝面), 미륵면(彌勒面)미율면(彌栗面)
청산면(靑山面), 백운면(白雲面)운산면(雲山面)
화양면(花陽面), 추이면(秋伊面)추화면(秋花面)
주내면(州內面) 일부해주면(海州面)
영동면(泳東面), 내성면(來城面), 금산면(錦山面), 천결면(泉決面), 일신면(日新面), 가좌면(茄佐面), 동강면(東江面), 석동면(席洞面), 고산면(高山面), 검단면(檢丹面), 서변면(西邊面), 송림면(松林面), 해남면(海南面)존치

2.6. 광복 이후

[ 광복 직후 행정구역 보기 ]
* 중동(中洞)
  • 상동(上洞)
  • 북본동(北本洞)
  • 남본동(南本洞)
  • 북욱동(北旭洞)
  • 남욱동(南旭洞)
  • 동영동(東榮洞)
  • 서영동(西榮洞)
  • 북행동(北幸洞)
  • 남행동(南幸洞)
  • 광석동(廣石洞)
  • 청풍동(淸風洞)
  • 연하동(烟霞洞)
  • 왕신동(王神洞)
  • 석계동(石溪洞)
  • 동애동(東艾洞)
  • 용당동(龍塘洞)
  • 선산동(仙山洞)
  • 파청동(把淸洞)
  • 동양동(東陽洞)
  • 율동동(栗洞洞)
해주 역시 일본식 지명이 있었던 곳으로, 일본 지명을 어느 정도 안다면 여기서도 혼 혹은 모토, 아사히, 사카에, 사이와이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3. 자연지리

3.1. 기후

남쪽이 황해와 맞닿아 있어 접속되어 있어, 남중국해를 스치며 흐르는 난류의 영향으로 대체로 온화한 편이다. 즉 해양과 대륙 두 기류의 영향을 받는 해양성 내륙 기온이라고 할 수 있다.

북쪽에 높이 솟은 수양산줄기(수양산맥)가 겨울철의 북서 계절풍을 막는다. 연평균 기온은 10.5℃, 1월 평균기온은 -4.8℃로 냉대기후이며 남한의 파주시, 태백시와 비슷하다. 8월 평균기온은 24.7℃로,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춥다.

연평균 강수량은 1,147.5㎜이다. 연강수량 가운데 여름철 강수량이 63.1%로 집중되어 있다. 봄철 강수량은 15.8%, 가을철 강수량은 16.3%, 겨울철 강수량은 4.8%이다.

대체로 한서의 차가 심한 편이며, 겨울철은 길고 봄과 가을은 짧으며 밤과 낮의 기온차가 크다.

3.2. 지형

해주시는 바다 가까이에 솟은 수양산줄기(수양산맥)의 남쪽, 광석천이 퇴적한 소규모의 선상지 사면과 단구, 범람원에 자리잡고 있다. 북부에서 남부로 가면서 급격히 낮아지는 지형을 이루고 있다. 한국의 전형적 취락 입지 조건인 배산임해(背山臨海)를 이룬다.

북부에는 수양산줄기(수양산맥)의 주봉인 수양산(首陽山, 946m)과 장대산(將臺山, 686m), 응봉산(鷹峰山, 645m), 금봉(錦峯, 519m), 창검산(蒼劍山, 540m), 상산(518m) 등 해발 500m 이상의 산들이 솟아 있다. 수양산은 주거봉(周拒峰, 899m)·설류봉(雪留峰, 945m)·우이산(牛耳山, 907m) 등 여러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남부에는 평야의 중앙에 남산(南山, 122m), 선녀산(善女山, 169m) 등 해발 50~100m 안팎의 구릉이 바다를 막아서 있다. 남산에서 용당반도(龍塘半島)가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는 남쪽의 해주만(海州灣) 중앙에 길게 뻗어 있다.

동부에는 수양산의 설류봉에서 시작하여 해주만에 유입되는 읍천(邑川)이 경계를 이루어 읍천 연안에 장방벌(장방평야)이 전개되어 있다. 서부에는 신광천(神光川)이 경계를 이루며 신광천 연안에 신광벌(신광평야)이 펼쳐져 있다.

기본 수계는 읍천, 광석천(廣石川), 허청천 등이 있다. 만수산(萬壽山)에서 발원한 광석천(廣石川)이 해주시 중앙을 남류한다. 광석천은 물이 맑고 깨끗하여 하천 주변이 유원지로 조성되어 있다. 광석천 유역에 발달한 해안평야가 동서 방향의 해안을 따라 좁고 길게 펼쳐져 있다. 서쪽 경계선을 신광천(神光川)이, 동쪽 경계선을 읍천이 흐르고 있다.

신광저수지(神光貯水池)를 비롯하여 5개의 저수지가 있다. 농업 용수와 주민들의 생활 용수 그리고 공업 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해주는 전체 면적에서 해발 200m 미만의 평야 및 구릉 지역이 90% 이상을 차지한다. 산림은 해주시 전체 면적의 42%를 차지하고 있는데, 대부분이 식물보호구로 지정된 수양산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해주 일대에는 온대남부식물과 온대북부식물이 함께 분포하여 식물 종 구성이 다양하다. 해주 일대 식물상에서 특이한 것은 서어나무, 초피나무를 비롯한 아열대수종이 섞여 있는 것이다. 해주설송나무, 해주벽오동나무, 서담느티나무는 북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 기반암은 시생누대에 형성된 화강암·편마암 등이며, 토양은 산림갈색토양이 주를 이루고 있다. 북쪽의 수양산 일대는 화강암층이고 시내는 여러 하천이 운반해 온 모래와 자갈로 된 마사층(磨砂層)으로 비가 와도 물이 그대로 잦아들었다.

4. 경제

중국인이 촬영한 2019년 10월의 해주

예로부터 지리적인 요인으로 상공업이 발달하여 국내의 주요 도시들과는 물론 바다 건너 다른 나라들과도 경제, 문화적인 연계가 발전하였다. 일제는 1932년에 해주항(海州港) 공사를 마무리하고 황해도 지역의 많은 농산물과 지하자원 등을 약탈해갔다.

광복 후 1973년 해주항이 군항에서 국제무역항으로 변모하면서 북한 9대 공업 지구 중 하나가 되었다. 중공업경공업 기지가 마련되어 농업이 발달한 항구 문화 도시로 발전한 것이다. 해주시의 공업은 건재, 화학, 기계, 금속, 식료품, 일용품, 방직 및 편직, 피복, 유리 및 도자기 등 부문들로 이루어졌다.

고난의 행군 시기 국영 기업소들이 제 구실을 못하고 배급이 중단돼도 심각한 기아 사태는 면할 수 있었다. 노동자들의 생활이 어렵긴 했지만 사방이 농경지에 바다이기 때문에 암시장에 식료품은 그럭저럭 공급되었기 때문이다.[11] 평야 지대라는 특성상 주변 지역에서 사람과 물자가 해주로 들어오는 것도 수월했던 점이 시장 형성을 촉진시켰고, 그에 수반해 자생적인 운송업이나 서비스업도 나타났다.

그러나 철도와 도로 교통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에서 국토 최남단인 해주까지 수입 공산품 물자를 운반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들었다. 쌀이라는 상품을 매개로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시장 경제적인 행동 양태가 나타난 것에 비해 그 양적·질적 발전의 속도가 다른 지역보다 늦었던 것은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북한 시장 경제의 기형적 특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4.1. 공업

공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기계공업이다. 각종 농기계, 전기 기계, 통신 기계, 건설 기계를 비롯한 여러 가지 기계 제품들을 생산하여 황해남도의 수요를 보장할 뿐 아니라 전국 각지에 공급하고 있다.

금속공업은 후에 새롭게 발족된 공업이다. 여러 가지 강재, 환강, 압연 소재들이 생산된다. 옹진의 금광을 기반으로 해주제련소가 설립되어 금 생산도 이뤄진다.

건재공업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해주시멘트공장에서는 질 좋은 시멘트를 생산하여 황해남도의 수요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도 보내주고 있다.

화학 공업기지가 있어 인 비료를 생산한다. 섬유공업과 식료품공업도 가동하고 있다.

4.2. 농산업

농지가 별로 없어 농산물 생산도 적지만 가까이에 북한 최대의 곡창 지대인 연백평야와 은율평야가 이웃해 있어 이곳으로부터 유입되는 농작물이 많아 시민들의 식생활이 풍족하였다. 이 때문에 무수한 권력기관들이 가을이 되면 쌀을 사기 위해 해주로 내려오고 외화벌이 기관들도 해주에 여럿 사업소를 두고 있었다.

토지가 기름지고 기후가 온화해서 도시 교외에는 채소와 사과, 배, 포도, 복숭아 등을 생산하는 근교 농업이 발달하였다. 그러나 대규모 과수단지가 아니어서 생산량은 많지 않은 편이다. 작천리의 청무와 석천리의 미나리는 그 질이 좋아 널리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해주양배는 새콤한 맛이 별미로 이 지역의 특산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해주시는 황해남도의 주요 수산기지이다. 광석포(廣石浦)·용당포(龍塘浦)·결성포(結城浦) 등의 어항을 중심으로 경기만에서 조기, 민어, 광어, 숭어, 전어, 갈치, 새우, 조개, 굴, 바지락 등의 수산물이 잡힌다. 특히 연평도 근해에서 잡히는 조기는 전국 생산량의 80%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장연군옹진군, 강령군 등지에서는 수산물들이 해주시장으로 올라온다.

광업으로 우이산과 용수산에서 해주박석이 채굴된다. 엷고 넓은 화강암인 해주박석은 전국을 통틀어 이곳에서만 생산되는 진귀한 광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경복궁, 창경궁, 덕수궁에 깔려있는 박석이 모두 이곳에서 생산된 것이다.

특산물로는 먹과 벼루가 품질이 좋아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대규모의 공장 시설을 갖추지는 않아 많은 양을 생산하지는 못했다.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으며, 농도와 순도가 잘 조화된 것이 특색으로 글씨를 쓰는 데 조금도 손상과 마모되지 않아 서예가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5. 남북통일 이후

개성공단이 성과를 거두자 해주 일대도 남한과 협력해서 같이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실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에 이른바 "서해평화협력지대"를 공동 선언문에 명시해서 개성에 이어 해주시, 강령군 일대까지 묶어서 개발하려는 계획이 세워졌지만 이듬해부터 북한의 도발로 남북 관계가 급속히 악화되며 완전히 물건너 갔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북한 당국에서 해주 일대를 개방해서 개발하려고 하고 있으며, 향후 대북 제재가 해제되면 해주시의 발전 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만약 미래에 통일이 된다면 황해(남)도의 도청소재지로서 황해(남)도의 행정적 중심지가 될 수 있겠지만, 그 이상의 발전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주변에 큰 도시가 없기 때문에 남포, 인천처럼 외항 역할을 할 수 없고, 한반도 주요 교통축들 가운데 하나인 경부-경의 교통축에서 빗겨나 있기 때문에 크게 발전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남포항이 부동항 지위를 상실하여 해주 이북의 서해안 항만들은 부동항이 아니기 때문에 부동항인 해주항이 주목받을 여지도 충분히 있다. 통일 뒤 경의고속철도를 서울, 개성, 해주를 거쳐 사리원, 평양, 신의주에 이르도록 건설하려는 계획이 있다. 또한 서해안고속도로를 해주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인천국제공항과 해상교량을 통해 바로 연결되는 서해남북평화도로 계획 역시 있기 때문에, 서산, 당진처럼 성장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12].

6. 교통

6.1. 철도

해주시는 황해남도의 교통요지이다. 예로부터 서울평양, 중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의선 철도를 부설할 때 벽란도에 철교 가설이 곤란하다는 이유로 이 곳을 피해서 부설함에 따라 한때 쇠락의 위기에 서기도 했으며, 이 때 도청을 사리원으로 옮기자는 청원이 강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광복 전에 일제가 토해선(토성~해주), 사해선(사리원~해주), 옹진선(해주~옹진) 간 협궤를 부설하여 교통의 요지를 이루었다. 개풍-해주-옹진에 이르는 토해선과 사리원에서 해주에 이르는 황해선은 광복 후 다시 배치되었다.

현재 해주시 지역에는 황해남도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황해청년선, 황해남도 동부 지역과 연결되는 배천선, 황해남도 서부 지역과 연결되는 옹진선이 뻗어 있다. 옹진선의 지선인 정도선을 통하여 용당반도 및 정섬의 해주항과 연대수송을 보장하고 있다.

영역 내에 해주청년역, 학현역, 매화역, 장방역, 정도역, 왕신역, 서해주역, 문정역이 설치되어 있다.

6.2. 도로

도로망은 해주~사리원(이북 5도 기준 51번 국도, 54번 국도), 해주~개성 간 1급도로(이북 5도 기준 50번 국도)가 지정되었다. 황해남도 내의 여러 지역과 이어지는 2급도로망이 구축되어 있다. 연안·배천을 지나 개성으로 통하는 도로와 재령을 지나 사리원·신천·안악으로 통하는 도로가 있으며, 그 밖에도 장연·송화·옹진·금천·남천 등지로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장연, 리목, 룡연, 벽성, 재령, 신원까지의 정기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국도 중 50번 국도(옹진-개성)와 51번 국도(해주-평원), 52번 국도(장연-신계)가 해주시를 지난다.

6.3. 해운

해주시는 예로부터 황해의 주요 항구도시였다. 용당포의 해주항이 완성됨에 따라 서북지방의 유일한 부동항으로서 그 면모를 새로이 하였다. 해주항은 현대적인 대규모의 무역항으로 부상하여 북한의 여러 항구들과 뱃길로 연결되어 있다. 서울의 해상 관문인 인천과 가까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군사적 요충지로 되고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 오사카와의 사이에 1,500t급 화물선이 월 5회 운항되었다. 인천항과의 정기 항로가 있었고, 진포, 진남포와도 기선의 왕래가 많아 여객·물자수송이 활발했다. 해주항은 육지의 다른 곳과도 연결되고, 해상으로는 인천∼진남포 간 해상을 연결하여 상업 중심지이면서 교통상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6.4. 항공

항공교통으로 해주공항이 있다.

7. 생활문화

7.1. 문화

파일:1280px-Haeju_Stadium.jpg
해주체육경기장
문화시설로는 해주체육경기장, 해주체육관, 해주력사박물관, 해주도서관, 해주극장과 해주군중문화회관을 비롯하여 34개의 문화회관이 설치되어 있다.

강령탈춤의 변형인 해주탈춤이 군중놀이로 남아 있다.

4인 또는 8인이 추는 칼춤인 해주검무가 계승되고 있다. 반주 음악은 염불 장단 없이 늦은 타령으로 시작하고 전위테에 한 손을 대고 한 손으로 춤추는 것이 특징이다.

7.2. 음식

7.3. 교육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으로는 해주향교가 있었다. 용수산 남쪽, 고려시대 학자인 최충의 옛 집터에 위치한 해주향교는 창건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1499년(연산군 5)에 황해도관찰사 풍천심공(豊川沈公)이 중수하였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890년대에 김영택, 오돈근, 이승모 등이 대령학교와 제민학교를 세웠다. 감리교의 미국인 선교사 홀이 1904년에 의창학교, 1909년에 의정여학교를 세웠다. 1912년에는 전봉훈, 유훈영 등이 정내여학교를 세웠으며, 4년제 광덕학교도 세웠다.

중등 교육기관으로는 해주농업학교를 최초로 세웠으며, 3.1 운동 후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여 인문계 중학교로 1922년에 해주공립고등학교를 세웠다. 해주농업학교는 사리원으로 이전하였다. 그 뒤 1923년에 해주공립사범학교가 세워진 데 이어 해주공립공업실습학교, 해주직업학교 등이 문을 열었다. 여자중등교육기관으로는 1931년에 수양공립고등여학교가 설립되었다.

한편, 일본인 자녀들을 위하여 1907년에 해주공립심상고등학교가 세워졌으며, 이어 해주욱정고등여학교, 해주서중학교 등이 세워졌다.

해주시에는 10여 개의 대학과 20여 개의 전문학교, 28개의 중학교, 13개의 소학교, 56개의 유치원이 있다.

7.4. 의료

보건기관으로는 해주의학대학병원, 황해남도구강예방원을 비롯한 14개의 병원과 기타 예방치료기관들이 있다. 

이중 해주의학대학병원은 황해남도 중앙병원으로 주로 근로자들의 예방 치료 사업을 담당 수행하며 해주의학대학 학생들의 임상 실습지로 되어 있다. 황해남도 보건일꾼들의 임상재교육기지이자 조선의학과학원의 하나의 임상연구기지로 되어 있다. X선 분야에 연구 중심을 두고 전문화되어 있다.

해주의학대학병원은 1946년 1월 9일 황해도인민병원으로 발족되었다. 1951년에 해주제1병원으로 개편 및 확장되어 전시 치료 예방 사업을 담당수행하였다. 전후 1954년 3월에는 해주제1병원자리에 황해남도중앙병원이 복구 및 확장되었다.

1957년에는 병원에 간호원학교를 새로 창설하였고 1961년에는 삼천군 달천에, 1963년에는 옹진군 대기리에 각각 분원을 창설하였다. 1963년 1월 1일에 황해남도중앙병원이 해주의학대학병원으로 개편되었으며 1965년 5월에 병원의 소아과를 분리하여 황해남도소아과병원을 창설하였다.

1971년 3월에 새 병원 건설을 시작하여 1978년 4월 15일에 준공되었다. 현재 병원의 총 부지는 5만여 제곱미터, 총건축면적은 3만여 제곱미터로서 외래환자치료건물, 입원실, 방사성동위원소과, 병리해부과, 약국 및 기타 후방 보장 부서 건물들로 이루어졌다.

8. 문화재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조선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조선
경희궁 후원
조선
인경궁
조선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조선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성천
강선루
육승정
함흥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서울
옥호정 ·
서울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서울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서울
압구정 ·
서울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남원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경주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 F1963 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9.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545b96>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해주시 상징.png
해주시
파일:송림시 상징.png
송림시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545b96> ||
파일:벽성군 상징.png
벽성군
파일:연백군 상징.png
연백군
파일:금천군 상징.png
금천군
파일:평산군 상징.png
평산군
파일:신계군 상징.png
신계군
파일:장연군 상징.png
장연군
파일:송화군 상징.png
송화군
파일:은율군 상징.png
은율군
파일:안악군 상징.png
안악군
파일:신천군 상징.png
신천군
파일:재령군 상징.png
재령군
파일:황주군 상징.png
황주군
파일:봉산군 상징.png
봉산군
파일:서흥군 상징.png
서흥군
파일:수안군 상징.png
수안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50%> 파일:곡산군 상징.png
곡산군 ||<width=50%> 파일:옹진군 상징.png
옹진군 ||
명목상 도청소재지 : 해주시
}}}}}}}}} ||
황해도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해주시 상징.png
해주시
海州市
Heaju city
}}}
<colbgcolor=#000><colcolor=#ffffff> 시청 소재지 중동
상위 행정구역 황해도
하위 행정구역 12
면적 74.47㎢
인구 82,217명[14]
인구밀도 1,104.03/㎢
명예시장 이욱환
명예동장 12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해주시 소개

파일:해주시기.png
파일:해주시.jpg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행정동 법정동·리
광옥동 광석동(廣石洞)·옥계동(玉溪洞)
남양동 남천동(南川洞)·양사동(養士洞)
동양동 동양리(東陽里)
사연동 사미동(四美洞)·연하동(烟霞洞)
석계동 석계리(石溪里)
선읍동 선산리(仙山里)·읍청리(挹淸里)
용동동 동애리(東艾里)·용당리(龍塘里)
율왕동 왕신리(王神里)·율동리(栗洞里)
장구동 구제동(九濟洞)·장춘동(長春洞)
청풍동 청풍동(淸風洞)
태부동 부용동(芙蓉洞)·태봉동(泰峯洞)
해백동 백림동(白林洞)·해운동(海雲洞)

10. 북한 기준 행정구역

파일:해주시 시내.png
해주시 시내
파일:해주 관내도.png
교외를 포함한 지도
결성동(結城洞), 광석동(廣石洞), 광하동(廣河洞), 구제동(九濟洞), 남산동(南山洞), 대곡동(大谷洞), 룡당동(龍塘洞), 부용동(芙蓉洞), 사미동(四美洞), 산성동(山城洞), 새거리동, 서애동(西艾洞), 석미동(石美洞), 석천동(石川洞), 선산동(先山洞), 승마동(乘馬洞), 양사동(養士洞), 양지동(陽地洞), 연하동(煙霞洞), 영광동(榮光洞), 옥계동(玉溪洞), 읍파동(挹坡洞), 장춘동(長春洞), 학현동(鶴峴洞), 해운동(海雲洞), 해청동(海淸洞)
신광리(神光里), 연양리(煙陽里), 영양리(迎陽里), 작천리(鵲川里), 장방리(長芳里)

11. 주요 시설

12. 출신 인물

13. 사건사고

14. 기타

15. 둘러보기


[1] 2022년[2] 2022년[3] 2013년고려투어가 업로드한 해주시의 한 광장 영상.[4] 유일한 황해남도이다.[5] 실제 북한에서 쓰는 표현이다. 한국에서는 편의상 연구자들이 '도청 소재지'라고도 한다. 인민위원회는 선거로 수장을 뽑는 것 외에는 베트남 같은 나라와 달리 행정에 큰 권한이 없다. 당위원회보다 권한이 적은 곳이다.[6] 해주의 별호(別號, 고을의 별명)가 '수양'이었으며, 조선 세조의 왕자 시절 봉호로 유명한 '수양대군'의 '수양'도 여기서 딴 것이다.[7] 백운방은 1914년 청산방(靑山坊)과 합쳐져 운산면(雲山面)이 되었고, 1938년 해주군 해주읍이 부(府)로 승격됨에 따라 벽성군이 되었다. 광복 당시 행정구역으로는 벽성군 운산면인 셈인데, 운산면은 해주 시내에서 서북쪽으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8] 가령 연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인 김형석이 이 방법으로 월남한 인물 중 한 명이다.[9] 세종특별자치시와의 거리와 비슷하다.[10] 대전역과 비슷한 거리에 있다.[11]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의 식량난은 주로 식량 생산지인 농촌에서 피해가 덜하고 식량 공급지인 도시에서 피해가 심각했다. 이는 고난의 행군의 직접적인 원인이 식량 생산량의 부족보다는 각종 자원을 공급할 국가 체제의 전면적인 마비 및 붕괴라는 점을 보여준다. 반면 대약진 운동 당시의 대기근은 생산지인 농촌이 피해를 뒤집어썼다. 이쪽은 식량을 수탈할 행정 체계는 작동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12] 무엇보다 통일 직후, 북한 재건및 재개발에 필요한 물자들이 이곳을 통해 운반되어질 것이고 초기에는 북한 개발의 전초기지가 될 가능성이 크다.[1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재북한문화재에 대한 조사가 불가능했기 때문인지 泰峯閣으로 나와있으나, 현판으로 보나 의미로 보나 이쪽이 맞아보인다.[14] 1944년 인구총조사[15] 본명은 이종(李悰)[16] 송림사건처럼 유사한 사건이 과대포장된 것도 아니다.[17] 정치범수용소 수감자가 20만 명 남짓인데, 두 도시 주민들을 모조리 수용소에 집어넣었으면 최소 50만이 넘었을 것인데 그 30만 명이 어디로 증발했는지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18] 해주, 개성. 애초에 해주에서 시위가 일어났다는데 난데없이 개성 사람들을 '폭도들에게 선동당했다'는 이유만으로 모조리 산간벽지와 정치범수용소에 집어넣었다는 것부터가 일관성이 없는 소리다.[19] 그럼 오늘날 개성과 해주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인근 지역과 평양에 살고 있던 사람들 중 충성심이 강한 사람을 이주시킨 거란다.(...) 애초에 북한에서 평양을 '혁명의 수도'라고 부르며 얼마나 중요시하는지를 아는 사람이라면 충성심이 약한 사람도 아니고 강한 사람들을 다른 지역으로 이주시킨다는 것 자체가 황당하다고 느낄 수밖에 없다. 다만 같은 해에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이 일어나자 전쟁에 대한 위협에 대비한다는 핑계로 노약자와 충성심이 약한 것으로 판단된 성분 불량계층을 평양에서 오지로 이주시킨 것은 사실이다.[20] 천안문 6.4 항쟁8888 항쟁의 사망자 추정 최대치가 1만 명이다.[21] 이는 이런 반정부 시위를 북한 언론이 아예 보도조차 하지 않았다는 의미가 된다. 북한이 아무리 자신들에게 불리한 요소들을 감추려고 한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도시 둘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마치 없는 사건인 것처럼' 완벽하게 감춘다는 것은 불가능하다.[22] 차라리 정치범수용소에서 수감자들에게 녹인 쇳물을 부어 죽인다는 주장이 더 현실적으로 보이는 수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