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22:37:12

강선루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宮苑
누원樓苑 임해전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성동동 전랑지† · 용강동 원지 유적† ·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안학궁 후원†
경복궁 경회루 · 향원정 · 창덕궁 서총대
원림苑林 만월대 금원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경복궁 북원 · 창덕궁 비원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경희궁 후원† · 인경궁 후원†
화계花階 경복궁 아미산 · 창덕궁 낙선재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왕실누정王室樓亭 망원정 · 용양봉저정 · 낙천정 · 탕춘대
관원官苑
누원
樓苑
장대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客舍
동헌東軒
군영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강선루
육승정
칠보정†
관덕정
감영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옥호정† ·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무계동 별서† · 윤웅렬 별서
운림산방
서석지
귀래정 · 독락당
다산초당
함안 무진정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보길도 윤선도 원림)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임대정
부춘정
백운동원림
초연정
용호정
요월정
심원정
초간정
용계정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압구정† · 천일정†
서벽정
농월정 · 거연정
요수정 · 용암정
월연대
선몽대
청암정
침수정
위양지 완재정
향원鄕苑 영보정
무기연당
선교장
오죽헌
방해정
쌍산재
진주 용호정원
사원寺苑
정림사 연지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미륵사 쌍지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실상사 지당
송광사 계담
수선사 정원
불국사 구품연지†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청평사 고려선원
낙산사 의상대
대흥사 무염지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통도사 구룡지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봉선사 화계
봉정사 영산암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기타
금장대
태화루
현대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진해루
월화원
외도 보타니아
별빛정원
황산불빛정원
39-17 마중
발리정원
섬이정원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생각하는 정원
남이섬
원생정원
F1963 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자강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지역별 팔경
관서 · 관동
}}}}}}}}} ||



파일:a0105007_54d4c32b60638.jpg
강선루

1. 개요

1. 개요

평안남도 성천군 성천읍[1]에 위치했던 정면 7칸, 서측면 5칸, 동측면 4칸의 중층 누각. 중국 사신을 맞기 위해 설치한 성천부의 객관 동명관(東明館)의 부속건물이다.

동명관은 1343년(충혜왕 4년) 건립하여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나 광해군 때 재건하여 1768년(영조 44년)에 개축하였는데, 강선루 외에도 통선관(通仙觀)과 유선관(留仙觀), 봉래각(蓬萊閣), 학선관(鶴仙館)·집선관(集仙館), 영롱각(玲瓏閣), 반선관(伴仙觀), 소요헌(逍遙軒) 등 총 337칸의 여러 건물들이 있었다. 상선루 아래로는 대동강의 지류인 비류강이 굽이치며 흐르며 강 건너편에는 흘골산(紇骨山)의 일부인 성천12봉[2]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어 그 경치가 무척 빼어나 관서팔경 중 하나에 속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말 일제의 비류강 직강화 공사로 인해[3] 성천12봉이 절개되고 동명관 앞으로 비류강이 흐르지 않게 되면서 경치가 크게 훼손되었으며, 결정적으로 1952년 6.25 전쟁 와중 강선루를 비롯한 동명관 전체가 소실되었다. 전후 북한에서도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동명관 자리는 터와 주춧돌만이 남았으며 동명관의 정문이었던 방선문만이 유일하게 온전하게 남아있다.

조선시대 그림과 구한말 흑백사진에 담긴 《강선루》 모습


[1] 이북5도 행정구역 상으로는 평안남도 성천군 성천면 상부리[2] 벽옥봉(碧玉峰), 금로봉(金爐峰), 천두봉(天頭峰), 몽선봉(夢仙峰), 고당봉(高唐峰), 양대봉(陽臺峰), 신녀봉(神女峰), 조운봉(朝雲峰), 모우봉(暮雨峰), 생학봉(笙鶴峰), 자지봉(紫芝峰), 화주봉(火柱峰)[3] 실제로 위성 지도를 보면 성천읍 시가지 앞으로 강이 크게 굽이쳤던 흔적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