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23:41:34

제주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939499>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귀포시 [[제주특별자치도청|
도청
]] 제주시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93949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0%><rowbgcolor=#eee> 행정동 ||<-4> 법정동 ||
<colbgcolor=#939499> 건입동 건입동
노형동 노형동 해안동
도두동 도두일동 도두이동
봉개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봉개동 용강동 회천동 }}}
삼도1동 삼도일동
삼도2동 삼도이동
삼양동 도련일동 도련이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삼양일동 삼양이동 삼양삼동 }}}
아라동 아라일동 아라이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영평동 오등동 월평동 }}}
연동 연동
오라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오라일동 오라이동 오라삼동 }}}
내도동 도평동
용담일동
용담이동 용담삼동
이도일동
도남동
시청
이도이동
이호일동 이호이동
일도일동
일도이동
화북일동 화북이동
}}}}}}}}}}}} ||
제주특별자치도행정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제주시
濟州市 | Jeju City
}}}
<colbgcolor=#939499><colcolor=#fff> 시청 소재지 광양9길 10 (이도이동)
광역자치단체 제주특별자치도
하위 행정구역 4 3 19
면적 978.67㎢
인구 488,348명[1]
인구밀도 500.23명/㎢[2]
시장 김완근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18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
교육의원
<colbgcolor=#939499> 동부 강동우
중부 고의숙
서부 김창식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문대림 (초선)

파일:zsdkl3gasdg.svg
김한규 (재선)
지역번호 064(7)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인구4. 도시구조5. 교통6. 상권7. 금융8. 관광9. 기후10. 생활문화
10.1. 교육10.2. 주거환경10.3. 의료기관10.4. 스포츠
11. 정치12. 하위 행정구역13. 자매/우호교류도시
13.1. 자매결연도시13.2. 우호교류도시
14. 기타15. 참고 문서1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opad>파일:제주시내.jpg
노형 오거리에서 바라본 제주시내의 전경
제주특별자치도 북부에 위치한 행정시다. 제주특별자치도청이 있고 제주도의 최대 도시다.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라 행정시다. 따라서 주소만 시일 뿐, 시장전국동시지방선거에 의한 민선직이 아니라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의 임명에 의한 관선직이다. 특별자치도로 승격하기 전에는 별도의 기초의회가 존재했지만, 현재는 특별자치도의회에서 안건을 해결한다. 또한 특정시 밑에 설치된 일반구와 마찬가지로 CI도 별도의 CI가 아닌 제주특별자치도의 휘장을 그대로 사용한다.

인구는 외국인 포함 50만명을 넘은 상태로[3], 제주도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몰려있는 도내 핵심도시이다. 과거에는 북제주군과 제주시가 각각 존재했지만,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으로 북제주군과 제주시가 행정시 제주시로 통합되었다. 인구는 항상 서귀포시보다 제주시가 더 많고 따라서 인프라도 제주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기에, 남북간 균형 발전을 이루는 것은 제주도 내 사회의 중요 화두 중 하나이다.

한라산의 북쪽에 있어 흔히 '산북(山北)'이라 불린다. 주로 서귀포지역 사람들이 그렇게 인식하며 막상 제주시 지역 출신은 산북, 산남이란 인식 자체가 아예 없거나 희박하다.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제주도는 제주시 위주의 인식이기도 하다.

특별자치도 설치 이전에는 광역자치단체명과 기초자치단체명이 똑같은 유일한 지역이었다.[4]

1997년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구이린시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특이하게 법정동에 숫자가 들어간 대표적인 동네로도 유명하다. 일도일동, 일도이동이 법정동이다. 심지어 오라동은 행정동은 하난데 법정동이 오라일동 오라이동 오라삼동으로 나뉘어 있다.[5]

2. 역사

파일:제주시 휘장(?~1999).png 파일:제주시 CI(2000-2006)_국문.svg
19??년부터 1999년까지 사용한 제주시 휘장[6] 2000년부터 2006년 행정시 전환 이전까지 사용한 제주시 상징
파일:북제주군기(?~1995).png 파일:북제주군 심벌(1998-2006).svg
1995년까지 사용한 북제주군기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한 북제주군 휘장
파일:북제주군 휘장(1996~2006).svg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한 북제주군기
파일:제주시 CI.svg
행정시 전환 이후의 제주시 휘장

조선 시대 이전에는 탐라국의 중심지였으며 도성인 성주청이 있었다. 그러다 조선 초기 탐라국이 해체되고 흡수되면서 전라도 제주목이 되었다.

1896년 23부제 실시와 함께 제주목, 정의군, 대정군은 제주부(府)로 묶였으나, 곧 제주부를 해체하고 전라남도로 귀속시켰다. 1906년 제주목을 제주군으로 개칭하였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대정군정의군을 병합하여 제주도 전체가 제주군으로 통합되었다. 1915년 제주군을 제주도(島)[7]로 개칭하였다. 1931년 제주면이 제주읍으로 승격하였다.

1946년 제주도 전역이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어 광역행정구역으로서의 제주도(道)로 독립함과 동시에 남제주군, 북제주군의 2개 군이 설치되었으며, 그 중 북제주군 제주읍이 1955년 제주시로 승격되었다. 1956년 한림면이 한림읍으로 승격되고 남부지방은 한경면으로 분리되었다. 1968년 제주국제공항이 개설되었다. 1980년 애월면이 애월읍으로, 구좌면이 구좌읍으로 승격되었다. 1985년 조천면이 조천읍으로 승격되었다.

2006년 7월 1일, 북제주군을 통합하였지만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의 지휘를 받는 제주시로 격이 낮아졌다. 그러나 2024년 현재 동제주시/서제주시 분할 및 자치 부활이 추진 중이다. 행정구역 개편/제주 참조.

3. 인구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5,210명[1966제주시]
1970년 221,423명[1970제주시]
1975년 251,582명[1975제주시]
1980년 289,835명[1980제주시]
1985년 316,825명[1985제주시]
1990년 341,354명[1990제주시]
1995년 353,575명[1995제주시]
2000년 378,762명[2000제주시]
2005년 400,701명[2005제주시]
2006년 7월 1일
제주도 → 제주특별자치도 전환
제주시 + 북제주군제주시 통합
2010년 417,539명
2015년 459,876명
2020년 492,466명
2022년 8월 494,059명(정점)
2024년 12월 488,34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노형동 55,272명
이도2동 48,471명
연동 42,528명
아라동 39,908명
애월읍 37,701명
일도2동 31,507명
삼양동 26,285명
조천읍 25,703명
화북동 23,306명
외도동 22,589명
한림읍 20,836명
오라동 16,040명
구좌읍 15,316명
용담2동 13,811명
삼도1동 12,901명
한경면 9,582명
건입동 8,740명
삼도2동 7,844명
이도1동 7,678명
용담1동 6,586명
봉개동 5,229명
이호동 4,406명
도두동 3,262명
일도1동 2,208명
우도면 1,611명
추자면 1,568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 ||

총 증감 인구수 +286,777명/총 증감율 +139.75%/연평균 증감율 +1.57%
===# 읍면동별 인구 #===
한림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2,754명
1970년 23,015명
1975년 24,107명
1980년 27,119명
1985년 25,487명
1990년 24,660명
1995년 19,359명
2000년 18,257명
2005년 16,579명
2006년 7월 1일 제주시·북제주군 → 제주시 통합으로 제주시 한림읍 조정
2010년 19,470명
2015년 19,827명
2020년 21,249명
2023년 4월 20,99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애월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5,315명
1970년 23,874명
1975년 24,969명
1980년 25,910명
1980년 12월 1일 북제주군 애월면 → 애월읍 승격
1985년 24,386명
1990년 22,220명
1995년 21,164명
2000년 23,431명
2005년 23,314명
2006년 7월 1일 제주시·북제주군 → 제주시 통합으로 제주시 애월읍 조정
2010년 27,942명
2015년 30,944명
2020년 36,913명
2023년 4월 37,57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구좌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7,770명
1970년 26,032명
1975년 26,764명
1980년 26,615명
1980년 12월 1일 북제주군 구좌면 → 구좌읍 승격
1985년 23,860명
1986년 4월 1일 구좌읍 연평출장소 → 북제주군 우도면 승격 분리
1990년 20,300명
1995년 16,073명
2000년 14,419명
2005년 12,348명
2006년 7월 1일 제주시·북제주군 → 제주시 통합으로 제주시 구좌읍 조정
2010년 14,841명
2015년 14,746명
2020년 15,546명
2023년 4월 15,3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8만 명
조천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148명
1970년 17,624명
1975년 18,821명
1980년 20,152명
1985년 10월 1일 북제주군 조천면 → 조천읍 승격
1985년 19,952명
1990년 19,808명
1995년 18,780명
2000년 18,674명
2005년 18,052명
2006년 7월 1일 제주시·북제주군 → 제주시 통합으로 제주시 조천읍 조정
2010년 21,061명
2015년 21,065명
2020년 25,339명
2023년 4월 25,7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6만 명
한경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527명
1970년 15,296명
1975년 15,544명
1980년 16,300명
1985년 15,018명
1990년 13,842명
1995년 8,969명
2000년 8,248명
2005년 6,682명
2006년 7월 1일 제주시·북제주군 → 제주시 통합으로 제주시 한경면 조정
2010년 8,232명
2015년 8,516명
2020년 9,029명
2023년 4월 9,51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8만 명
추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6,318명
1970년 6,501명
1975년 6,466명
1980년 6,301명
1985년 5,436명
1990년 4,901명
1995년 2,986명
2000년 3,000명
2005년 2,419명
2006년 7월 1일 제주시·북제주군 → 제주시 통합으로 제주시 추자면 조정
2010년 2,535명
2015년 2,022명
2020년 1,677명
2023년 4월 1,59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우도면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4월 1일 구좌읍 연평출장소 → 북제주군 우도면 승격 분리
1990년 3,108명
1995년 1,461명
2000년 1,339명
2005년 1,241명
2006년 7월 1일 제주시·북제주군 → 제주시 통합으로 제주시 우도면 조정
2010년 1,575명
2015년 1,710명
2020년 1,677명
2023년 4월 1,65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천 명
일도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367명
1970년 17,901명
1975년 23,620명
1979년 5월 23일 일도동 → 일도1동, 일도2동 분동
1980년 11,808명
1985년 11,197명
1990년 10,290명
1995년 5,745명
2000년 4,552명
2005년 3,840명
2010년 3,854명
2015년 3,417명
2020년 2,584명
2023년 4월 2,2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4만 명
일도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5월 23일 일도동 → 일도1동, 일도2동 분동
1980년 17,583명
1985년 20,676명
1990년 25,575명
1995년 36,299명
2000년 40,734명
2005년 38,582명
2010년 38,397명
2015년 36,481명
2020년 33,062명
2023년 4월 31,8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이도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204명
1970년 14,586명
1975년 22,173명
1979년 5월 23일 이도동 → 이도1동, 이도2동 분동
1980년 12,417명
1985년 12,460명
1990년 12,227명
1995년 8,834명
2000년 7,643명
2005년 7,483명
2010년 7,747명
2015년 7,987명
2020년 7,683명
2023년 4월 7,64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만 명
이도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5월 23일 이도동 → 이도1동, 이도2동 분동
1980년 15,427명
1985년 21,847명
1990년 27,035명
1995년 35,818명
2000년 41,265명
2005년 41,568명
2010년 42,475명
2015년 51,565명
2020년 49,834명
2023년 4월 49,04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삼도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198명
1970년 16,440명
1975년 20,676명
1980년 25,712명
1983년 10월 1일 삼도동 → 삼도1동, 삼도2동 분동
1985년 15,648명
1990년 17,243명
1995년 15,520명
2000년 15,118명
2005년 14,145명
2010년 14,244명
2015년 14,684명
2020년 13,586명
2023년 4월 13,0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6만 명
삼도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삼도동 → 삼도1동, 삼도2동 분동
1985년 16,811명
1990년 16,250명
1995년 11,147명
2000년 10,273명
2005년 8,906명
2010년 9,793명
2015년 9,123명
2020년 8,005명
2023년 4월 7,80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만 명
용담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930명
1970년 14,745명
1975년 20,361명
1980년 26,867명
1985년 10월 1일 용담동 → 용담1동, 용담2동 분동
1985년 13,032명
1990년 13,556명
1995년 10,634명
2000년 9,800명
2005년 8,979명
2010년 8,866명
2015년 8,363명
2020년 7,050명
2023년 4월 6,74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만 명
용담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5년 10월 1일 용담동 → 용담1동, 용담2동 분동
1985년 18,746명
1990년 20,703명
1995년 20,210명
2000년 19,108명
2005년 17,259명
2010년 17,370명
2015년 16,594명
2020년 14,798명
2023년 4월 13,99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1만 명
건입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253명
1970년 10,706명
1975년 12,730명
1980년 13,664명
1985년 14,653명
1990년 13,911명
1995년 13,362명
2000년 12,226명
2005년 11,204명
2010년 11,002명
2015년 10,112명
2020년 9,091명
2023년 4월 8,8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화북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3,781명
1970년 3,813명
1975년 4,476명
1980년 5,324명
1985년 5,932명
1990년 7,805명
1995년 11,931명
2000년 20,650명
2005년 20,252명
2010년 19,899명
2015년 26,050명
2020년 24,456명
2023년 4월 23,5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6만 명
삼양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183명
1970년 5,379명
1975년 5,760명
1980년 6,219명
1985년 6,786명
1990년 7,353명
1995년 8,843명
2000년 8,360명
2005년 9,958명
2010년 11,149명
2015년 17,235명
2020년 25,837명
2023년 4월 26,3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만 명
봉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332명
1970년 2,412명
1975년 2,786명
1980년 2,853명
1985년 2,935명
1990년 3,068명
1995년 2,753명
2000년 2,752명
2005년 3,127명
2010년 3,053명
2015년 3,160명
2020년 5,285명
2023년 4월 5,2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천 명
아라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3,000명
1970년 3,342명
1975년 4,676명
1980년 5,674명
1985년 6,511명
1990년 8,143명
1995년 11,684명
2000년 11,804명
2005년 12,829명
2010년 13,692명
2015년 24,123명
2020년 37,070명
2023년 4월 39,4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오라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3,460명
1970년 4,039명
1975년 5,635명
1979년 5월 23일 오라동오라동, 연동 분동
1980년 4,095명
1985년 5,554명
1990년 6,309명
1995년 5,465명
2000년 5,190명
2005년 6,014명
2010년 6,391명
2015년 10,003명
2020년 15,746명
2023년 4월 16,0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만 명
연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5월 23일 오라동→ 오라동, 연동 분동
1980년 6,467명
1985년 14,412명
1990년 25,715명
1995년 30,797명
2000년 32,063명
2005년 38,075명
2010년 41,332명
2015년 43,148명
2020년 41,910명
2023년 4월 42,3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노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3,206명
1970년 3,472명
1975년 4,250명
1980년 3,669명
1985년 5,751명
1990년 7,843명
1995년 14,670명
2000년 22,946명
2005년 41,655명
2010년 50,638명
2015년 53,491명
2020년 55,087명
2024년 7월 54,8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6만 명
외도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876명
1970년 2,840명
1975년 3,121명
1980년 4,382명
1985년 4,724명
1990년 4,644명
1995년 5,768명
2000년 8,003명
2005년 13,256명
2010년 15,157명
2015년 18,699명
2020년 22,055명
2023년 4월 22,5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이호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58명
1970년 2,021명
1975년 2,063명
1980년 2,241명
1985년 2,381명
1990년 2,616명
1995년 3,755명
2000년 3,998명
2005년 4,072명
2010년 4,082명
2015년 3,973명
2020년 4,572명
2023년 4월 4,4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천 명
도두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717명
1970년 2,797명
1975년 2,734명
1980년 3,317명
1985년 2,855명
1990년 2,357명
1995년 2,012명
2000년 2,050명
2005년 2,295명
2010년 2,772명
2015년 2,838명
2020년 3,262명
2023년 4월 3,3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천 명

4. 도시구조

도심과 부도심 : 메인 시가지가 둘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는데 도심과 부도심으로 나눌 만한 큰 차이점은 없다. 지가 자체는 제원>노형오거리>동문로터리>시청 순이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그냥 제원과 노형오거리의 신도심과 동문로터리, 시청의 구도심의 두 중심지가 있다고 보면 된다. 제주국제공항을 기준으로 봤을 때 동쪽에는 일도동과 이도동을 아우르는 구제주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주시청이 있다. 구시가지는 삼화지구, 화북공업단지 등을 통해 동쪽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한편 공항의 남쪽에는 노형동과 연동을 아우르는 신제주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곳에 제주특별자치도청이 있다. 신제주 시가지는 박정희 정권 당시 제주도의 관광도시 육성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시가지라 구시가지보다 훨씬 도시 구획이 잘 되어 있는 편이다.

중간 지역 : 구도심이 팽창함에 따라 이동해 온 화북 지역을 꼽을 수 있다. 제주시에서 가장 큰 준공업 지역인 화북공업단지가 자리잡고 있으며, 바로 옆에는 주거 단지가 있다. 또한 화북상업개발지역이 있어 상업 기능이 입지한다면 완벽한 중간 지역 형태를 띄게 된다.

주변(외곽) 지역 : 아라동, 외도동 등 도시 구역(읍면 지역 제외) 변두리에 주거 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탐라국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된 구시가지와는 달리 신시가지는 별개의 위치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된 곳이라 같은 제주시임에도 불구하고 분위기가 다소 이질적이며, 특히 외도동과 오라동 지역을 사이에 두고 시가지가 분리되어 있다. 두 지역의 경계에 있는 외도동, 오라동 지역은 상대적으로 층수가 낮은 아파트 단지와 주택 등이 건설되어 있는데 유사시 공항으로 가는 비행기의 착륙 항로가 될 수 있는 데다가 무분별한 시가지의 확장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물론 이 점 때문에 "건물을 높게 짓질 못하는 건 너무하지 않냐"는 볼멘소리가 가끔 나온다. 하지만 육지처럼 건물을 높게 지을시 한라산을 가릴 수 있어 오히려 도시 미관에 타격을 줄 것이다.

2001년 6월까지 제주시에 그린벨트가 설정되어 있었는데 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상권

할인마트이마트탑동노형에 2곳, 롯데마트가 노형 이마트 남쪽에 한 곳 있고 워낙 농협이 강세인 지역이다 보니 농협 하나로마트는 진짜 여기저기 있다. 단 백화점은 없다. 과거 연동지역에 신한백화점롯데참피온백화점이 있었으나 장사가 안 돼서 문을 닫았다. 대신,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면세점은 많다. 쇼핑몰씨티오브드림즈, 피어아울렛 등이 있으며 나인몰2022년 11월에 오픈했다.

커피 1등 기업 스타벅스 22곳, 패스트푸드점으로는 맥도날드 7곳[17], 롯데리아 8곳[18], 버거킹 6곳[19]KFC 3곳[20], 피자전문점으로는 피자헛 2곳, 미스터피자 2곳, 도미노피자 3곳이 있으며 패밀리 레스토랑으로는 VIPS 1곳,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1곳이 있다. 파파이스는 1곳[21]있었지만 삼화점은 파파이스가 한국에서의 사업을 철수하면서 자연스레 사라졌다. 송당리에 블루보틀 제주 카페가 생겼다.

제주시의 주요 번화가는 대개 중앙로, 시청 앞, 제원아파트 앞 사거리 이 세 곳을 꼽는다. 그중 중앙로는 구도심으로서 요즘은 많이 침체된 상태. 다만 지하상가의 면세구역화와 제주항의 크루즈선박유치로 코로나 이전에는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았다. 평일 낮에 중앙로 지하상가에 가면 진짜 중국인 관광객 밖에 없다. 젊은 사람들이 약속을 잡으면 열의 아홉은 시청 혹은 제원에서 만나서 논다. 대개 구제주 사람들은 시청을, 신제주 사람들은 제원을 선호한다.

7. 금융

제주시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국가기관
제주우체국 (22)
제1금융권 [괄호]
중앙은행
한국은행 (1)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수협은행 (2) 농협은행 (19)
시중은행
신한은행 (4) 우리은행 (2)
SC제일은행 (2) 하나은행 (3)
국민은행 (2) 한국씨티은행 (1)
지방은행
제주은행 (10)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제주시농협 (11) 제주감귤농협 (10) 제주축협 (7) 제주양돈농협 (5)
구좌농협 (4) 함덕농협 (3) 애월농협 (3) 하귀농협 (3)
한경농협 (3) 한림농협 (2) 고산농협 (1) 조천농협 (2)
김녕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제주시수협 (7) 한림수협 (2) 제주어류수협 (2) 추자수협 (2)
새마을금고
호남새마을금고 북제주새마을금고 참조은새마을금고 곽지새마을금고
납읍새마을금고 서제주새마을금고 우리새마을금고 한마음새마을금고
제주서부새마을금고 노형새마을금고 신제주새마을금고 제주개인택시새마을금고
하나새마을금고 아라새마을금고 한솔새마을금고 한빛새마을금고
중앙새마을금고 한라새마을금고 항운노조새마을금고 열린새마을금고
동문새마을금고 용담새마을금고 동제주새마을금고 우정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제주서부신용협동조합 애월신용협동조합 한경신용협동조합 금빛신용협동조합
제주Y신용협동조합 제민신용협동조합 사라신용협동조합 제주신용협동조합
한라신용협동조합 제상신용협동조합 삼다신용협동조합 동광신용협동조합
성안신용협동조합 제주치과의사신용협동조합 제주중앙신용협동조합 동제주신용협동조합
늘푸른신용협동조합 함덕신용협동조합 구좌신용협동조합
산림조합
제주시산림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삼호저축은행 (1) 스마트저축은행 (1) 으뜸저축은행 (1) 한국투자저축은행 (1)
JT친애저축은행 (1)

8. 관광

관광 특화 도시인 서귀포시에 묻히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제주도라는 섬 자체가 한국 전체에서 가장 대표적인 관광지인 만큼 제주시에도 수많은 관광명소들이 있다. 어지간한 타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와는 비교를 불허한다.

제주시가 관광 산업에서 묻히는 경향이 있어보이는 이유는 제주시내권역에는 관광지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이다. 아래 나와 있는 제주시내 권역 관광지 중 나름 예전부터 알려진 관광지라고는 용두암, 삼성혈, 관덕정, 신비의 도로, 제주박물관, 동문시장 정도이며, 이것들이 전부라 해도 무방할 정도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이호테우해수욕장은 제주시 중에서도 신제주쪽 사람들만 놀러가는 해수욕장에 가까웠고, 제주목 관아는 복원이 안 되어서 존재하지도 않았고, 한라수목원은 그쪽 동네 주민들 산책하러 가는 곳 정도였다. 삼양해수욕장 또한 제주시 사람들에게 '검은 모래 해변'이 있는 곳 정도였으며, 인지도와 선호도에서는 함덕해수욕장에 크게 밀렸다.

즉, '제주시만 빼고 볼 것이 넘치는 제주도'였는데, 북제주군과 제주시가 합쳐져 '제주시'가 되자 과거 '볼 것이 없는 제주시' 이미지 때문에 제주시가 관광에서 서귀포시에 묻히는 경향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언급하지 못한 수많은 관광지들이 있다.

9. 기후

제주시/기후 참조.

10. 생활문화

10.1. 교육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고산초등학교 곽금초등학교 광령초등학교 광양초등학교 구엄초등학교
구좌중앙초등학교 귀덕초등학교 금악초등학교 김녕초등학교 김녕초등학교동복분교장
남광초등학교 납읍초등학교 노형초등학교 대흘초등학교 더럭초등학교
도남초등학교 도련초등학교 도리초등학교 도평초등학교 동광초등학교
동화초등학교 물메초등학교 백록초등학교 봉개초등학교 북촌초등학교
삼성초등학교 삼양초등학교 삼화초등학교 선흘초등학교 세화초등학교
송당초등학교 수원초등학교 신광초등학교 신제주초등학교 신창초등학교
신촌초등학교 아라초등학교 애월초등학교 어도초등학교 영평초등학교
오라초등학교 외도초등학교 우도초등학교 월랑초등학교 이도초등학교
인화초등학교 일도초등학교 장전초등학교 재릉초등학교 저청초등학교
제주남초등학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부설초등학교
제주동초등학교 제주북초등학교 제주서초등학교
제주중앙초등학교 조천초등학교 조천초등학교교래분교장 종달초등학교 추자초등학교
추자초등학교신양분교장 평대초등학교 하귀일초등학교 하귀초등학교 하도초등학교
한동초등학교 한라초등학교 한림초등학교 한림초등학교비양분교장 한천초등학교
함덕초등학교 함덕초등학교선인분교장 해안초등학교 화북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고산중학교 귀일중학교 김녕중학교 노형중학교 세화중학교
신성여자중학교 신엄중학교 신창중학교 아라중학교 애월중학교
오름중학교 오현중학교 우도중학교 저청중학교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제주동여자중학교 제주동중학교 제주서중학교 제주여자중학교 제주제일중학교
제주중앙여자중학교 제주중앙중학교 제주중학교 조천중학교 추자중학교
탐라중학교 한라중학교 한림여자중학교 한림중학교 함덕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남녕고등학교 대기고등학교 세화고등학교 신성여자고등학교 애월고등학교
영주고등학교 오현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과학고등학교 제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제주여자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제주외국어고등학교 제주제일고등학교 제주중앙고등학교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함덕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제주특별자치도에 2개밖에 없는 4년제 대학교제주대학교(국립)와 제주국제대학교(사립)가 모두 제주시에 위치해 있다.[26] 제주교육대학교도 있었으나 제주대학교에 통합되어 지금은 제주대학교 산하의 단과대가 된 상태.[27] 제주한라대학교는 현재 국내 유일의 학사학위/전문학사학위 동시 운영 대학으로서 2/3/4년제 과정이 모두 존재하는 특이한 학교이다. 이외에도 2/3년제 대학인 제주관광대학교가 있다.

고교평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다. 참고로 타 지역과는 달리 합격선이 높으며, 내신 상위 50%, 심지어 30%도 장담할 수 없다.(실제로 상위 30%가 고입선발고사에서 패망해서 탈락하는 현상이 극소수지만 있었다.) 이 때문에 학교간 수준 차이는 별로 없을 것 같지만 은근 차이가 난다. 우수한 중3학생을 데려가기 위한 스카웃 경쟁이 치열하며 특히 사립학교들이 이러한 경향이 매우 강하다. 남자고등학교•공학고등학교의 경우엔 과거에는 제주제일고(공립)와 오현고(사립)가 제주도의 양대 명문고로써 군림해 왔다. 현재 4~50대 중 제주도 사회에서 잘 나가는 사람들은 거의 다 이 두 학교 출신이라고 봐도 거진 무방하다. 허나 90년대부터 대기고가 신흥 명문으로서 급부상하여[28] 현재는 제주도 모든 고등학교 중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여자고등학교•공학고등학교에서는 중앙여자고등학교신성여자고등학교, 제주여자고등학교가 전통있는 강자들로 2018년 현재까지 군림해오고 있다. 다만 2018년 현재 일반계(인문계) 고등학교들 모두 평준화가 정착되면서 최상위권 학생들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의 성적은 큰 차이가 없어졌다.

특목고로는 제주과학고제주외국어고가 있다. 제주과학고는 말 그대로 한라산 중턱에 있는걸로도 유명하며 눈이 많이 오면 도로 통제가 돼서 학교 못 간다.

10.2. 주거환경

제주도의 중심지이자 도청 소재지이며, 인구 49만 규모의 중견 도시답게 있을 만한 건 다 있다.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제주시청 부근과 노형오거리에 CGV 두 곳, 제주여고 뒤편과 삼양초 맞은편에 메가박스 두 곳, 신제주초 옆에 롯데시네마 한 곳이 있다. 대신 마땅한 예술영화관이 없어서 이에 대해 말이 많은 편. 한림읍에 작은영화관이 생겨서 지역주민에겐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늘어나게 된다.

제주공항이 신제주와 구제주 사이에 끼어있다 보니 시내 어디든 비행기 이착륙 소리가 들린다.(틀린 얘기. 공항 근처 아닌 이상 시내에서는 비행기 소리를 들을수가 없다.) 비행기가 시내버스 수준[29]으로 자주 다녀 스트레스도 받을 만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러려니 하고 산다.

10.3. 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이 없다. 제주도에서 가장 큰 제주대학교병원이 시도는 해봤지만 실패했다. 제주도는 진료권역이 서울과 같이 묶여 있기 때문에 제주도에 있는 병원이 내로라하는 서울권 대형병원과 맞붙어서 상급종합병원 자리를 따낸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제주도에서도 이런 사정을 잘 알고 있어 제주도만을 위한 진료권역을 분리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결정권자인 보건복지부가 난색을 표하고 있어 쉽지 않다.#

10.4. 스포츠

구제주 쪽인 오라동제주종합운동장이 있으며 이 경기장에서 웬만한 도내 체육행사가 다 열리는데, 그 중 제주도 최고의 대회는 아마축구 최강전인 백호기다.

프로스포츠 구단은 없다. 프로축구팀인 제주 유나이티드는 엄밀히 따지면 서귀포시가 아니라 제주특별자치도의 구단이지만, 홈구장이 서귀포에 있는 제주월드컵경기장이며 경기도 이곳에만 한다. 제주종합운동장도 명목상 제주 유나이티드의 제2홈구장이며 홈경기를 일부 치르기도 했지만, 2022시즌부터는 전혀 배정해주지 않고 있다. 야구 역시 제주 야구장에서 우리 히어로즈가 임시 홈경기를 치른 적도 있고 올스타전이나 시범경기가 가끔 열리기도 하지만, 자주 있는 일은 아니다. 간혹 제주 유나이티드 이외의 프로구단이 생기길 희망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토와 멀리 떨어진 섬이라는 지리적 한계로 인한 교통비용 문제와 그걸 감수할 수 있을만큼 시장성이 큰 지역도 아니므로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제주시 최고의 스포츠 행사는 따로 있다. 바로 매년 봄 제주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백호기 축구대회이다. 제주도내 전 초·중·고 축구팀이 모여 자웅을 겨루는 이 대회는 비교적 좋은 평을 받는다. 이 대회의 백미는 다름아닌 응원전. 셔츠를 이용한 화려한 문자 응원이 장관이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경기 보러 오는 관중보다, 응원 보러 오는 관중이 더 많은 대회다. 전국 방송까지 타고 이젠 상당히 유명해진 대회이고, 주관사인 제주일보사가 부도가 난 뒤인 2013년에도 개최됐다.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자매/우호교류도시

13.1. 자매결연도시

13.2. 우호교류도시

14. 기타

(1절)장엄한 한라영봉 북녘기슭에 / 탐라가 열린 날의 꿈에 안기어
고난을 이겨내고 빛을 찾으며 / 아득한 역사 속에 자라온 고장

(2절)전설과 옛 노래가 고인 옛 터에 / 새 문화 향기로운 꽃을 가꾸어
높은 산 넓은 들판 푸른 바다에 / 슬기와 땀을 부어 커 가는 고장

(3절)자연은 아름답고 자원도 많다 / 옛부터 풍속 좋아 인심 좋은 곳
북돋아 가꾸어서 행복을 심어 / 앞으로 억만년을 살아갈 고장

(후렴)제주시 제주시 아름다운 제주시 / 우리의 제주시를 더욱 빛내자

15. 참고 문서

1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수원시
도청

의정부시
북부
춘천시
도청

강릉시
제2청사
청주시
도청

제천시
북부

옥천군
남부
홍성군
도청

금산군
남부
전주시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파일: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이북 5도
무안군
도청

순천시
동부
안동시
도청

포항시
동부
창원시
도청

진주시
서부
제주시 -
}}}}}}}}} ||



[1]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2] 2024년 7월 기준.[3] 2021년 11월 기준 제주시 인구는 내국인 493,220명, 외국인 13,901명을 더해 총 507,121명이다.[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경우 부산이 들어가긴 하지만 부산구가 아니라 부산'진'구이므로 북제주군, 남제주군과 같이 광역단체명과 기초단체명이 같은 지역이라 볼 수 없다. 또한 부산 사람들은 진구로 줄여부른다.[5] 경기도 안산시에도 법정동으로 팔곡일동과 팔곡이동이 존재한다.[6] 파일:제주 시영아파트.png 현재에도 제주시내 시영아파트 외벽에 당시의 로고가 남아있다.[7] 여기서의 도(島)는 일제강점기 때 제주도와 울릉도에만 적용한 행정구역 단위 명칭이다. 부, 군과 동급의 행정 구역이며, 그 수장을 도사(島司)라고 하였다.[1966제주시] 제주시 87,369명 + 북제주군 117,841명[1970제주시] 제주시 106,266명 + 북제주군 115,157명[1975제주시] 제주시 134,921명 + 북제주군 116,661명[1980제주시] 제주시 167,474명 + 북제주군 122,361명[1985제주시] 제주시 202,707명 + 북제주군 114,118명[1990제주시] 제주시 232,553명 + 북제주군 108,801명[1995제주시] 제주시 255,257명 + 북제주군 93,328명[2000제주시] 제주시 278,535명 + 북제주군 100,227명[2005제주시] 제주시 303,499명 + 북제주군 97,202명[17] 인제사거리, 탑동, 시청, 제주도남점DT, 신광사거리, 노형오거리, 제주외도점. 자가용 중심의 지역답게 무려 4개가 드라이브스루(Drive-thru) 점포다.[18] 아라, 삼화주공, 외도, 롯데마트 맞은편, 공항에 2개(2층 탑승게이트, 3층), 제주항, 한림[19] 제주노형점, 제주함덕DT점, 제주민속오일장DT점, 제주화북점, 제주세화점, 제주애월DT점[20] 제주시 고산동산 사거리, 노형동 이마트 건너편, 삼화지구[21] 제주삼화점[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5] 모든 경마장이 다 그렇지만 경마가 있는 날이면 평소에는 한산한 경마장 앞 도로가 인산인해를 이룬다. 여기서 패가망신하는 사람들이 꽤 많고 이는 제주도 내에서는 꽤 심각한 사회문제이다.[26] 서귀포시에 탐라대학교가 있었으나 제주국제대의 전신인 제주산업정보대와 통합되었다. 구 탐라대 캠퍼스는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다.[27]제주대학교 본 캠퍼스(아라캠퍼스)로 이전할 예정이다.[28] 역대급 불수능이었던 97학년도 수능에서 전국수석을 배출하며 순식간에 유명세를 탔다.[29] 평균 3분, 막차시간대 8분 , 최소 1분 20초 간격으로 이착륙한다.[30] 대학병원[31] 권역응급의료센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