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4 11:29:32

개성 성균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북한의 종합대학에 대한 내용은 고려성균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대성구역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력포구역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만경대구역 법운암
모란봉구역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강동군 단군릉
개성시
전체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전체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전체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전체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전체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전체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함경남도
전체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전체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전체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전체 성불사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1. 고려시대의 성균관2. 역사3. 고려박물관 4. 같이보기

1. 고려시대의 성균관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개성역사유적지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만월대와 개성 첨성대 | 개성 성벽 | 개성 남대문 | 고려 성균관 | 숭양서원 | 선죽교와 표충비

현릉(고려 태조), 칠릉군 및 명릉군 | 현릉(공민왕릉)
}}}}}}}}}

파일:external/www.두피디아.com/400_1199769201208611.jpg
개성 성균관
북한 개성시 방직동(이북5도위원회 기준으로 경기도 개성시 선죽동)에 위치한 유교 교육기관. 북한의 국보 제127호.

입구에 북한이 설치한 표지판에 따르면 992년에 창설된 '세계 최초의 교육기관'[1]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당연히 아니다. 당장 한국사에도 앞선 시기의 국학, 경당 등이 있었고 해외의 경우 인도의 나란타 대학이나 알렉산드리아 신학대학이 일찍이 존재하였으며, 심지어 동로마 제국콘스탄티노폴리스에도 대학이 있었다. 물론 개성 성균관도 오래된 교육기관이긴 하다.

이름이 비슷한 고려성균관은 근처에 있는 대학 이름이다.

38선 이남지역으로, 1945~1950년 사이에는 대한민국이 관할했었다. 개성 송악산 전투 중이던 1949년 5월 5일 개성성균관 근처 신관(新館)파출소까지 북한군이 들어와 경찰이 오후 한때 파출소에서 퇴각하기도 했다.#

2000년대 잠깐 개성 관광이 시행될 때 들르는 코스 중 하나였다.

2. 역사

고려시대 986년 태학 설립(성종)
992년
(성종 11년)
국자감으로 확장(성종)
1275년
(충렬왕 원년)
국학으로 격하(충렬왕)
1298년
(충렬왕 24년)
성균감으로 개칭(충선왕 [2])
1308년
(충렬왕 34년)
성균관으로 격상(충선왕 [3])
1356년
(공민왕 5년)
국자감으로 환원(공민왕)
1362년
(공민왕 11년)
성균관으로 환원(공민왕)
조선시대 1398년 한양으로 이전(태조)
조선시대 이래의 역사는 성균관/역사 문서를 참조.

3. 고려박물관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김일성광장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대동강구역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대성구역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만경대구역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모란봉구역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보통강구역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서성구역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기타 애국렬사릉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룡성구역)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락랑구역) (철거) · 주체사상탑 (동대원구역)
량강도
전체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자강도
전체 국제친선전람관
함경북도
전체 회령고향집
황해남도
전체 신천박물관
전국
전체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일반 박물관
평양시
중구역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대성구역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락랑구역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기타 지하철도건설박물관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대동강구역)
개성시
전체 개성고려박물관
강원도
전체 원산력사박물관
자강도
전체 강계력사박물관
량강도
전체 혜산력사박물관
평안남도
전체 평성력사박물관
평안북도
전체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함경남도
전체 함흥력사박물관
함경북도
전체 청진력사박물관
황해남도
전체 해주력사박물관
황해북도
전체 사리원력사박물관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external/cfs10.blog.daum.net/47a6757071877&filename=gop006.jpg

성균관의 18채 건물 중 대성전, 동무, 서무, 계성사 4개 건물은 현재 고려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고려시대 성균관을 1988년 박물관으로 바꿔 고려시대의 각종 문화재 약 1만여점을 소장, 1천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동무의 제1전시관은 고려왕조의 성립과 발전을 다루고 있다. 고려유물의 유적 분포도, 14세기 말엽의 개성 고지도, 불일사 5층석탑에서 출토된 비단과 종이, 유리병, 경릉에서 발견된 금속 공예품, 고려의 화폐들, 만월대에서 발견된 여러 유물이 전시돼 있다.

대성전의 제2전시관은 고려의 과학기술과 문화발전을 나타내는 유물을 다루고 있다. 금속활자와 대장경판목, 직지심경, 개풍군 양릉 벽에 그려진 천문도의 모사본, 고려청자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계성사의 제3전시관은 북한의 국보 적조사 철불 하나만 전시하고 있다.

서무의 제4전시관에는 고려시대의 공예품을 전시하고 있다.

앞뜰에는 수창궁, 만월대에서 가져온 용머리장식, 개성 일대 폐사찰의 석등과 석불,석탑을 전시하고 있다. 불일사 5층탑,현화사 7층탑,흥국사탑,개국사 석등,원통사부도 등이 그 예.한국문화재재단 칼럼

4. 같이보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추정컨대 교육기관이라 함은 '대학'을 지칭하려는 의도일 것이다. 참고로 오늘날 대학 체계를 갖춘 세계 최초의 근대식 대학교는 1088년 개교한 이탈리아의 볼로냐 대학교다. 국공립이 아닌 사립 중에선 1636년 개교한 하버드 대학교.[2] 고려사 1298.1~8월 초까지 충선왕이 집권하다 8월 중에 다시 충렬왕이 복위하여 1308.7월에 사망[3] 1308.7월에 사망소식 듣고 8월에 귀국하여 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