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9:19:23

수창궁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의 궁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개경
만월대 / 개경 본궐 수창궁 북천동궁 수춘궁 연경궁 명복궁 양화궁 현덕궁 북궁
승천부 강도 서경 동경
승천궐 고려궁지 / 강도 본궐 서궁 장락궁 대화궁 용덕궁 구제궁 좌우궁궐 조유궁
남경 동주 그 외 사찰 내 재궁
남경 별궁 태봉국 철원성 만월대 내 별궁 고려의 궁원 남궁 의종 대 별궁 삼소궁궐 흥왕사 안화사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의 역대 법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태봉국 철원성 개경 본궐 강도 본궐 연경궁 수창궁
서경 장락궁법궁이 아니었지만 격식이 법궁과 일치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통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보길도 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수창궁
1. 개요2. 역사
2.1. 고려 왕조2.2. 조선 왕조2.3. 구한말 ~ 대한민국
3. 주요 건축

1. 개요

壽昌宮

고려 시대개경의 서소문 안에 있던 궁궐로 본래 별궁이었으나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는 법궁으로 승격되었다.

2. 역사

2.1. 고려 왕조

어느 시기에 세워졌는지는 미상이다.

1011년(현종 2년) 2월에 거란의 침입으로 피난 갔던 청주에서 개경으로 돌아와 당시 전소된 만월대를 복구하는 동안 기거했으나, 1016년(현종 7년)에 수창궁 안에 기괴한 일이 많이 일어나게 되자 결국 명복궁으로 이어했다.

그 뒤 1147년(의종 1)에는 군소배가 의종과 어울리자 어사대의 건의로 북문을 봉쇄해 군소배의 출입을 금하기도 하였다. 그뒤 내시 윤언문이 수창궁 북쪽에 매우 화려한 만수정을 설치하면서 북쪽으로 권역이 확장되었다.

무신정변 이후 1181년(명종 11) 수창궁에 돌이 날아들어와 계엄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1187년(명종 17) 정월에는 추밀원에서 불이 번져 수창궁의 행랑 기둥 20여 채가 불에 탔으며 같은 해 7월에는 치사공부상서 조원정의 가신 무리 70여 명이 수창궁에 들어와 추밀사 양익경과 내시원낭중 이규ㆍ이찬 등 많은 사람을 살해하였다.

1196년 4월에는 수창궁 중서성문이 무너졌으며 8월에는 1171년 10월 화재 이후 기거했던 수창궁을 떠나 연경궁으로 옮기었다.

1211년(희종 7) 12월, 수창궁에서 희종의 최충헌 암살 시도가 일어났다. 최충헌의 호위대는 다 죽이는데 성공했지만, 최충헌을 죽이는데 실패했다.

1213년(강종 2) 8월에 강종이 수창궁 화평전(和平殿)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1220년(고종 7) 4월에는 수창궁 침전에 호랑이가 들어오기도 하였다.

1232년, 무신정권 집권자 최이의 결정으로 강화도로 천도하게되었다. 강화도엔 수창궁의 이름을 그대로 따온 새로운 별궁을 지었다. 개경 수창궁은 폐쇄 되었다.

1234년 11월에 태조의 신어[1]를 개경 수창궁에 봉안했고 1250년과 1251년에는 몽골 사신을 강도(江都) 수창궁에서 향연하기도 하였다. 이후 몽골과의 여몽전쟁으로 본토가 황폐화되면서 개경 수창궁은 폐허가 되었다.

1270년, 본토로 출륙할 때 강도 수창궁은 허물어졌다.

1297년(충렬왕 23) 윤12월에는 당시 세자였던 충선왕이 부지밀직사사 최충소에게 명해 수창궁 터에 장차 원공주가 기거할 궁려를 짓기 위해 큰 공사를 시작했는데 가운데에 방단을 쌓고 둘레에는 높은 담을 둘렀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침입으로 연경궁(본궐)이 불타 이 곳으로 옮기었으며 1370년 8월 다시 수창궁 옛 터를 보고 궁궐 짓기를 명하였다. 그러다가 공민왕의 시해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381년(우왕 7) 3월 수창궁조성도감을 설치하여 최영, 이성림 등에게 공사를 계속 담당하게 해 다시 수창궁을 경영해 1384년 윤10월에 수창궁의 낙성을 보게 되었다.

1388년 창왕 때 왕의 이름 창(昌)을 피휘하여 수창궁을 수령궁(壽寧宮)으로 개칭하고 대비 이씨를 옮기었다.

그 뒤 공양왕이 여기서 즉위하였다. 창왕은 폐위된 후 이성계 일파에 의해 신돈의 핏줄로 모함당해 아예 그런 왕이 있었다는 것까지 부정되어 피휘도 취소됐고 궁 이름은 다시 수창궁으로 돌아왔다.

1392년 7월 17일, 감록국사 이성계가 수창궁 정전에서 군주가 되었다.

그 이전인 7월 12일, 공양왕이 왕대비의 교령에 의해 북천동궁에서 폐위되었다. 이후 이성계는 왕대비의 교령으로 감록국사에 봉해졌다. 이성계는 만세 함성을 들으며 수창궁 서쪽으로 말을 타고 들어와 어좌에 앉지 않고 선 채로 조하를 받았다. 왕씨가 아닌 이씨가 고려 법궁을 차지하는 순간이다.

2.2. 조선 왕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태조는 수창궁 영화전(永和殿)에서 즉위했다고 한다. 이후 태조가 수도를 개경에서 한양으로 옮기면서 일시적으로 비게 되었으나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즉위한 정종이 수도를 한양에서 다시 개경으로 환도하면서 다시 기거했고, 1400년 침실에서 화재가 나 대전으로까지 번졌고, 같은 해 11월에 즉위한 태종이 한양으로 다시 환도했다.

이후 관리를 소홀히 했는지 조선 성종 연간에는 이미 허물어져 개성부의 창고로 사용되었다.

2.3. 구한말 ~ 대한민국

수창궁 자리는 일제강점기 때 관청이 집중되어 있었고, 야마토마치(大和町)로 불렸다. 광복 이후 수창궁의 이름을 딴 개성시 수창동으로 개칭하였다. 현재는 개성 학생소년궁전이 있는 듯하다

3. 주요 건축


[1] 神御 : 임금의 화상. 어진.[2] 중문이었던 걸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