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9 00:36:51

남별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통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보길도 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조선의 별궁
남별궁
南別宮
<colbgcolor=#bf1400><colcolor=#ffd700> 위치 한성부 남서 호현방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06[1])
설립시기 1583년
해체시기 1897년
파일:남별궁 조선호텔.jpg
<colbgcolor=#bf1400> 현재 남별궁 터. 신세계조선호텔 자리이다.
파일:남별궁 위치와 규모.jpg
파일:남별궁 구성과 공관.jpg
남별궁의 위치, 규모를 나타낸 도면 <colbgcolor=#bf1400> 남별궁의 구성공관 도면
1. 개요2.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의 별궁. 원래는 태종의 둘째딸 경정공주가 결혼한 뒤 살던 저택[2]으로 '소공주댁(小公主宅)'으로 불렸다. 현재 소공동 이름은 이 '소공주댁'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공주 사후 자손들의 재산 분쟁으로 인해 경정공주의 집을 국가에서 환수했다.

1583년(선조 16년)에 선조는 이 집을 크게 수리한 뒤 셋째 아들 의안군에게 주었다. 그러나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왜군서울을 점령하자 적장 우키타 히데이에가 1593년 4월까지 주둔하던 곳으로 쓰였다.[3] 서울을 되찾은 후 명나라군이 남쪽으로 내려왔을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이곳에 머물렀다. 1593년(선조 26년) 10월에 선조가 피란갔다 돌아온 이후 자주 이곳에 나가 명나라 장수와 관원들을 접견하고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 때부터 남쪽에 있는 별궁(왕이 때때로 머무는 장소), 즉 남별궁으로 불렸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들이 남별궁을 중국 사신을 만나는 장소로 사용했고, 남별궁은 국가외교의 중요한 시설로 관리받았다. 정조 때에는 빈객 접대와 연회 일을 맡아보는 관서인 예빈시(禮賓寺)를 남별궁 안으로 옮겨 설치했다.

또, 청나라 사신 덕패(德沛)가 현판을 쓴 명설루(明雪樓)가 있었고, 이 현판에는 칙사들이 지은 도 많이 새겨져 있었다. 뒤뜰에는 작은 정자를 만들어 풍류를 즐기게 했고 영험이 있다고 전하는 거북을 세워 사신단의 무사함을 빌었다. 또한 동네 어귀에는 아름드리 통나무의 두 기둥을 세운 큰 홍살문을 설치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wankudan.jpg
<colbgcolor=#bf1400> 남별궁 부지에 자리잡았던 원구단
1897년(광무 원년)에 고종대한제국을 수립하기로 하면서 기존의 사대를 상징하는 남별궁 자리에, 자주적으로 하늘제사를 지내는 원구단(圜丘壇)을 세웠다. 중국과의 기존 관계를 청산한다는 의미였다. 원구단 완공 후 고종은 이 곳에서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후 1913년에 일제가 원구단을 헐고 그 자리에 조선호텔을 건축했다. 8.15 광복 이후에도 남아 웨스틴 조선 서울로 바뀌어서 오늘에 이른다.

2. 여담


[1] 구 지번주소로는 중구 소공동 87-1.[2] 경정공주의 남편은 개국공신 조준조석 형이 아니다의 아들 평양부원군 조대림이다.[3] 처음에는 종묘에 있었다가 안좋은 일들이 연달아 생겨 이 곳으로 진을 옮겨 조선군이 서울을 탈환할 때까지 머물렀다.[4] 현재 헌법재판소 부근 자리.[5] 현재 을지로 KEB외환은행 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