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있던 효종의 잠저에 대한 내용은 어의궁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부 | ||||
경모궁 | 계동궁 | 남별궁 | 누동궁 | 도정궁 | |
명례궁 | 사동궁 | 선희궁 | 수진궁 | 순화궁 | |
안동별궁 | 어의궁 | 연희궁 | 영수궁 | 영희전 | |
용동궁 | 운현궁 | 이현궁 | 인경궁 | 인덕궁 | |
자수궁 | 죽동궁 | 창성궁 | 창의궁 | 칠궁 | |
태화궁 | |||||
경기도 | |||||
강화행궁 | 개성행궁 | 경덕궁 | 남한산성 행궁 | 낙생행궁 | |
낙천이궁 | 노량행궁 | 목청전 | 수원행궁 | 수창궁 | |
시흥행궁 | 안산행궁 | 안양행궁 | 양주행궁 | 용흥궁 | |
월미행궁 | 이천행궁 | 이태조 행궁 | 진위행궁 | 통진행궁 | |
파주행궁 | 풍덕행궁 | 풍양궁 | 포천이궁 | 화성행궁 | |
충청도 | |||||
노은리 행궁 | 목천행궁 | 보은행궁 | 신도안 대궐 | 온양행궁 | |
전의행궁 | 직산행궁 | 초정행궁 | 천안행궁 | ||
전라도 | |||||
격포행궁 | 경기전 | 무풍 명례궁 | 전주행궁 | 보길도 행궁 | |
경상도 | |||||
집경전 | |||||
평안도 | |||||
영변행궁 | 영숭전 | 영유행궁 | 의주행궁 | 평양행궁 | |
풍경궁 | |||||
황해도 | |||||
배천행궁 | 평산행궁 | 해주행궁 | |||
강원도 | |||||
고성행궁 | 분수령 행궁 | 상원사 행궁 | 춘천이궁 | ||
함경도 | |||||
영흥본궁 | 함흥본궁 | ||||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 |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
19호 | ← | 20호 | → | 21호 |
구 인천 일본58은행 인천지점 | 용흥궁 | 충렬사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호 | |
용흥궁 龍興宮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인천광역시 강화군 동문안길21번길 16-1 (강화읍, 용흥궁) |
분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지 |
수량 / 면적 | 3동 / 2,496㎡ |
지정연도 | 1995년 3월 2일 |
<colbgcolor=#bf1400> 용흥궁 전경 |
[clearfix]
1. 개요
조선의 별궁. 25대 임금 철종의 잠저 중 한 곳이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다.1.1. 역사
1.2. 강화도령의 배경
<colbgcolor=#bf1400> 용흥궁에 살았던 철종 이변(초명 이원범) |
2. 지존이 된 시골 청년, 그 이후
일약 인생 역전이 기다리고 있었다.1849년(헌종 15년) 헌종이 후사없이 23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급사했다. 당시 영조의 후손으로서 정통성을 가진 왕족은 이광의 아들들밖에 없었다. 당시 왕실의 최고 어른이었던 순원왕후 김씨는 이광의 아들인 이원범을 다음 국왕으로 지명했다.[3]이 시기에 직계 왕통(혈통)이 자주 단절된 이유는 효종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종은 효종의 외아들이었고, 숙종은 현종의 외아들이었다. 숙종은 아들이 몇 명 있었지만 영조 빼고는 대가 끊기고, 영조도 아들을 둘 뒀지만 장남 효장세자는 어린 시절 사망하고 후손을 남긴 아들은 사도세자 뿐이었다. 사도세자는 아들을 다섯을 두었지만 아들 둘의 대는 끊겼고[4] 넷째 은신군과 다섯째 은전군은 10몇 촌이 넘어가는 친척을 입양해 대를 이었다.[5] 은언군은 아들을 7명을 두었지만 후손을 남긴 아들은 전계대원군 밖에 없었다. 즉 헌종 사후 실제 효종의 피를 받은 왕족은 이원범 뿐이었던 것이다.[6] 그래서 비록 선왕 헌종보다 한 항렬 높았지만 궁여지책으로 그가 왕이 되었다. 뭐 무식하기까지 했으니 세도가 입장에선 꿩 먹고 알 먹는 격이었겠지만.[7]
<colbgcolor=#bf1400> 〈강화도행렬도(江華島行列圖)〉. 북한의 평양에 있는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
<colbgcolor=#bf1400> 흥선대원군이 쓴 용흥궁 현판 |
1995년 3월 1일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받았다.
3. 건축
<colbgcolor=#bf1400> 용흥궁 사랑채 | <colbgcolor=#bf1400> 용흥궁 안채 |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건물의 공포는,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창덕궁 연경당, 낙선재와 같이 살림집처럼 지어져 소박하고 순수한 느낌이 든다.
4. 용흥궁 공원
<colbgcolor=#bf1400> 용흥궁 공원[9] |
<colbgcolor=#bf1400> 용흥궁 근처에 있는 성공회 강화성당[10] |
[1]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 익선동 일대.[2] 회평군 이명(혹은 이원경), 영평군 이경응(초명은 이욱).[3] 이원범 위로는 작은형 이욱이 있었지만, 대체로 양자로 입적해 '나가는 집안'의 '남은 장자'는 그 집안의 대를 이어야 하므로 둘째가 양자로 들어가는 것이 관례였기 때문에 이원범으로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예로 역시 장남이 아니었던 선조와 고종이 있다.[4] 의소세손과 정조의 대(헌종이 후사 없이 죽으면서 완전히 끊김).[5] 은전군의 양자 풍계군은 은전군과 3촌이라는 아주 가까운 촌수였지만, 풍계군 역시 자식이 없었다. 그래서 풍계군의 양자로 들인 왕족이 10몇 촌이 넘어가는 먼 친척이었다. 그것도 철종 즉위 후 이루어진 입양이었다.[6] 은언군의 장손 익평군 이희와 이원범의 형 이욱이 있긴 했지만 각각 은언군 종가와 전계대원군의 대를 이어야 했다. 그래서 이들을 빼면 정말 이원범밖에 없었다.[7] 다만 철종 본인의 항목에선 철종이 일자무식이 아니라는 관점이 우세한 편이다. 그래도 아주 일자무식은 아닐지언정 왕으로서의 기본 소양이 부족했던 것은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것은 철종(조선) 문서 참조.[8] 철종의 친아버지 전계대원군의 종가.[9] 사진 출처 - 강화군 보도자료.[10] 좌측에 보이는 한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