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弓, bow
고대부터 인류가 사용한 투사무기.#!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활#|]][[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한국의 성씨 弓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성씨)#|]][[궁(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이름자
일본인에게 주로 쓰이는 글자로, 한자는 宮(집 궁)이나 穹(하늘 궁)을 사용한다. 한국인은 집 궁의 경우 남궁씨의 일부분에 해당되며, 이름자로도 매우 드물지만 쓰이기도 한다. 상명자보다 하명자가 그나마 쓰인다.3. 행궁
왕과 왕실가족이 임시로 머무는 궁궐이자 관청을 이루는 말. 주로 행궁이라고 부르나 짧게 궁으로 부르기도 한다.4. 宮, Palace
왕과 왕족들이 사는 궁전을 이르는 말.옛날에 쓰였던 궁을 고궁이라고 한다.
대통령 관저도 '(대통령)궁'이라 부르기도 한다. 러시아의 크렘린궁, 프랑스의 엘리제궁 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전#|]][[궁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宮, 고구려의 제6대 왕인 태조대왕의 이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조대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조대왕#|]][[태조대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宮, 박소희作 만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만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만화)#|]][[궁(만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 드라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드라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드라마)#|]][[궁(드라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만화를 원작으로 한다. 2006년 방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S#|]][[궁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만화의 설정을 차용한 후속작이다. 2007년 방영.
7. 窮. 궁극기의 준말, Ult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극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극기#|]][[궁극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장기의 기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장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궁(장기)#|]][[궁(장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