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부 | ||||
경모궁 | 계동궁 | 남별궁 | 누동궁 | 도정궁 | |
명례궁 | 사동궁 | 선희궁 | 수진궁 | 순화궁 | |
안동별궁 | 어의궁 | 연희궁 | 영수궁 | 영희전 | |
용동궁 | 운현궁 | 이현궁 | 인경궁 | 인덕궁 | |
자수궁 | 죽동궁 | 창성궁 | 창의궁 | 칠궁 | |
태화궁 | |||||
경기도 | |||||
강화행궁 | 개성행궁 | 경덕궁 | 남한산성 행궁 | 낙생행궁 | |
낙천이궁 | 노량행궁 | 목청전 | 수원행궁 | 수창궁 | |
시흥행궁 | 안산행궁 | 안양행궁 | 양주행궁 | 용흥궁 | |
월미행궁 | 이천행궁 | 이태조 행궁 | 진위행궁 | 통진행궁 | |
파주행궁 | 풍덕행궁 | 풍양궁 | 포천이궁 | 화성행궁 | |
충청도 | |||||
노은리 행궁 | 목천행궁 | 보은행궁 | 신도안 대궐 | 온양행궁 | |
전의행궁 | 직산행궁 | 초정행궁 | 천안행궁 | ||
전라도 | |||||
격포행궁 | 경기전 | 무풍 명례궁 | 전주행궁 | 보길도 행궁 | |
경상도 | |||||
집경전 | |||||
평안도 | |||||
영변행궁 | 영숭전 | 영유행궁 | 의주행궁 | 평양행궁 | |
풍경궁 | |||||
황해도 | |||||
배천행궁 | 평산행궁 | 해주행궁 | |||
강원도 | |||||
고성행궁 | 분수령 행궁 | 상원사 행궁 | 춘천이궁 | ||
함경도 | |||||
영흥본궁 | 함흥본궁 | ||||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 |
대한제국의 궁궐 사동궁 寺洞宮 | ||
<colbgcolor=#bf1400> 사동궁 이화문 | ||
위치 | 한성부 중부 관인방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인사동길 30번대 홀수 지역 일대)[1] | |
설립시기 | 1906년 | |
해체시기 | 2005년 | |
링크 | [2] |
<colbgcolor=#bf1400> 사동궁 양관과 한옥 |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의 궁궐. 고종의 2남 의친왕 이강이 살던 궁이자 의친왕부(義親王府)가 있었던 곳이다. 1895년에 유학을 떠났던 시절엔 조선의 왕자 의화군이었으나 1905년에 미국 유학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을 때는 대한제국의 친왕으로 책봉된 상태였기에 의친왕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에 따라 1906년에 사동궁이 건립되었다.의친왕과 사동궁 이야기(영상)
2. 상세
한성부 중부 관인방[3]에 있었다. 이름은 궁이 있던 동네의 별칭 '사동(寺洞)'에서 유래했다.[4][5]의친왕의 5녀 이해경의 증언에 따르면, 의친왕은 결혼 직후엔 계동궁 근처 의화궁에 머물렀다가 왕으로 책봉된 이후부터는 사동궁에 머물렀다고 한다. 의친왕부(義親王府)는 1906년(광무 10년)에 생겼는데, 의친왕은 왕으로 책봉받기 직전인 1899년(광무 3년)부터 미국에서 머물다 1905년(광무 9년) 무렵에 귀국했기에 그 이후부터 거주하였다. 1908년(융희 2년)에는 양관(洋館)이 건립되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사동궁은 '이강공저(李堈公邸)'[6]로 불렸다가 1930년에 일제가 의친왕을 강제로 공위에서 물러나게 하고 장남 이건이 뒤를 이은 후에는 '이건공저(李鍵公邸)'로 불렸다. 그리고 8.15 광복 후 의친왕에게 환원되면서 다시 사동궁으로 불렸다.
3. 마지막
그러나 8.15 광복 후 사동궁은 몰락했다. 초대 정권에서 구 황실자산 국유화법이 제정되어 황실 자산은 국유화되어 민간에 불하가 되었는데 황족에서 평민이 되어 생활이 궁핍해진 의친왕에게 박응래라는 사람이 접근해 사동궁 일부를 팔라고 강요했고, 결국 1946년에 200만 원에 내놓았다. 그러자 미군정이 사동궁은 사유재산이 아닌 국가재산이니 대법원장에게 얘기해 구 이왕직에서 관리하도록 하였으나 대법원에서는 이를 묵살했다. 그리고 1948년 박응래는 사동궁을 다른 사람에게 팔았다. 사동궁 일부는 의친왕의 후계자 이곤이 물려받았으나 이마저도 한국전쟁 이후 석연치 않은 거래들로 민간에 불하가 되어 의친왕과 의친왕비는 안동별궁[현]으로, 이곤 가족은 덕수궁으로 거처를 옮기게 되었다.<colbgcolor=#bf1400> 주차장 건설로 헐린 사동궁 한옥 |
<colbgcolor=#bf1400> 사동궁 한옥의 일부인 인사동 홍보관 |
<colbgcolor=#bf1400> 사동궁 터에 있는 회화나무 |
4. 구성
사동궁의 규모는 굉장히 컸으며 전성기 때는 지금의 조계사터를 포함한 견지동, 수송동 일부도 영역이었다 한다.운현궁처럼 서양식 건물 1채에 수십 동의 한옥이 있었다. 내전 부분은 지밀 12칸, 행각 42칸, 구주방 14칸, 신주방 34칸, 침방 8칸, 유모방 12.5칸, 서행각 18칸, 이상궁방 18칸, 한상궁방 18칸, 안상궁방 23칸, 동행각 22칸이었고, 외전 부분은 사랑 20칸, 행각 30칸, 방회청 8.5칸, 행랑 16칸, 외행각 12칸, 창사루 100칸, 즉 총합 426.5칸의 규모였다.
5. 역대 종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D90, #4851cb 20%, #4851cb 80%, #373D9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d400> 초대 | 제2대 | 초대 | 제3대 | 제4대 |
의친왕 | 이건 | 의친왕 | 이곤 | 이준 | |
}}}}}}}}} |
1.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 ~ 1955)
2. 이건(李鍵, 1909 ~ 1990) - 의친왕의 뒤를 이어 공가를 세습하게 되면서 ‘이건공저’로 불리었으나 실제로 관리하지 않고 끝내 일본으로 귀화하여 국내로 되돌아오지 않았다.
3. 이곤(李錕, 1919 ~ 1984) - 끝내 일본에 귀화한 이건을 대신해 1955년 의친왕 사후 가문을 계승해 종주가 되었다.
4. 이준(李準, 1961 ~ ) - 현재 사손(嗣孫)[12]
사동궁은 물리적인 궁궐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의친왕 가문을 칭할 때 '사동궁'으로 칭하기도 한다. 의친왕가 종손 이준에 의하면 황실에서 의친왕을 칭할 때 '사동궁 전하'로 칭하였고, 창덕궁에 순정효황후나 덕혜옹주에게 인사드리러 갈 때는 궁녀들이 "사동궁 여섯째가 오셨습니다."라고 칭했다고 한다.
6. 여담
- 한국기원의 모태인 한성기원이 자리를 잡지 못할 때 의친왕은 자신의 사위 이학진(李鶴鎭)[13]을 통해 설립자 조남철에게 사동궁의 한옥 15칸을 기원으로 제공하였고, 한성기원은 사동궁에 자리를 잡으며 조선기원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의친왕도 가끔 바둑 두는 것을 재미있게 바라보았다고.
???: 전하. 훈수만 놓지 마소서.그리고 해방 후 이름을 대한기원을 거쳐 한국기원으로 바꾸어 오늘날까지 이어온다. 다만, 사동궁 매매 이후 조선기원 역시 이사를 갔다. 처음엔 명동성당 건너편 저동의 2층짜리 적산가옥(敵産家屋)으로 옮겼다. 그러다 종로구 관철동을 거쳐 현재의 성동구 마장로에 정착했다.
[1] 구 지번주소 종로구 관훈동 196번지.[2] 의친왕가의 후손들이 직접 운영하는 계정이다.[3]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인사동길 30번대 홀수 지역 일대[4] 이 일대가 원동(園洞), 대사동, 승동, 탑동 등 절과 관련된 지명이 많아 붙여진 별칭이다.[5] 인사동의 사동과 이 사동이 같다.[6] 보통 고종이 덕수궁 이태왕, 순종 - 의민태자가 창덕궁 이왕이 되었다고 의친왕과 흥친왕 역시 사동궁 이강 공, 운현궁 이희 공이 정식 명칭인 줄 아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고종, 순종의 궁호는 일본 천황 밑의 왕족으로 붙는 미야케의 개념이기에 공족이 된 이강과 이희는 미야케를 쓸 수 없었다.[현] 서울공예박물관 자리[8] 구 지번 주소 종로구 견지동 85-18[9] 사랑채였다고 한다.[10] 한동안 '도원'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으나 의친왕의 후손이 '다성'이라고 알려주었다.[11] 이 상황을 증언하는 출처인 책 《대한민국 사용후기》의 저자 J. 스콧 버거슨은 2005년 이 한옥이 헐리는 과정을 보고 사라져가는 문화에 무심한 한국 사람들에게 안타까움을 느낀다고 했다. 저자가 구청 담당공무원에게 이 사실을 따졌을 때 이들은 진짜 몰랐는지 일제 시대 지도를 펴놓고 한동안 당황했다고.[12] 여기서부터는 사동궁에 거주한 경험이 없다.[13] 4녀 이해숙의 남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