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부 | ||||
경모궁 | 계동궁 | 남별궁 | 누동궁 | 도정궁 | |
명례궁 | 사동궁 | 선희궁 | 수진궁 | 순화궁 | |
안동별궁 | 어의궁 | 연희궁 | 영수궁 | 영희전 | |
용동궁 | 운현궁 | 이현궁 | 인경궁 | 인덕궁 | |
자수궁 | 죽동궁 | 창성궁 | 창의궁 | 칠궁 | |
태화궁 | |||||
경기도 | |||||
강화행궁 | 개성행궁 | 경덕궁 | 남한산성 행궁 | 낙생행궁 | |
낙천이궁 | 노량행궁 | 목청전 | 수원행궁 | 수창궁 | |
시흥행궁 | 안산행궁 | 안양행궁 | 양주행궁 | 용흥궁 | |
월미행궁 | 이천행궁 | 이태조 행궁 | 진위행궁 | 파주행궁 | |
풍덕행궁 | 풍양궁 | 포천이궁 | 화성행궁 | ||
충청도 | |||||
노은리 행궁 | 목천행궁 | 보은행궁 | 신도안 대궐 | 온양행궁 | |
전의행궁 | 직산행궁 | 초정행궁 | 천안행궁 | ||
전라도 | |||||
격포행궁 | 경기전 | 무풍 명례궁 | 전주행궁 | ||
경상도 | |||||
집경전 | |||||
평안도 | |||||
영변행궁 | 영숭전 | 영유행궁 | 의주행궁 | 평양행궁 | |
풍경궁 | |||||
황해도 | |||||
배천행궁 | 평산행궁 | 해주행궁 | |||
강원도 | |||||
고성행궁 | 분수령 행궁 | 상원사 행궁 | 춘천이궁 | ||
함경도 | |||||
영흥본궁 | 함흥본궁 | ||||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 |
1. 개요
조선 후기 경복궁 후원 동쪽에 위치하였던 궁가.2. 상세
경복궁 북동쪽에 있었으며, 후원의 동쪽 출입문인 춘양문과 담장이 연결되었다. 현재의 삼청동 국무총리 공관을 포함한 그 북쪽 일대이다.19세기까지 이곳에는 특별한 시설이 없었다. 유일하게 18세기의 지도인 호암미술관 소장 《한양도성도(漢陽都城圖)》에 태백성(太白星)을 제사지내는 제성단(祭星壇)이 그려져 있을 뿐이었다. 자세한 시기는 모르나 고종 대에 경복궁 후원을 조성하면서 이 일대에 태화궁을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철거되었다. 이 일대는 이후 이완용의 서형(庶兄) 이윤용의 아들과 친일파 송병준의 소유가 되었다. 1961년부터 국무총리 공관이 들어서 현재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