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궁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경 | ||||||||||||
만월대 / 개경 본궐 | 수창궁 | 북천동궁 | 수춘궁 | 연경궁 | 명복궁 | 양화궁 | 현덕궁 | 북궁 | |||||
승천부 | 강도 | 서경 | 동경 | ||||||||||
승천궐 | 고려궁지 / 강도 본궐 | 서궁 | 장락궁 | 대화궁 | 용덕궁 | 구제궁 | 좌우궁궐 | 조유궁 | |||||
남경 | 동주 | 그 외 | 사찰 내 재궁 | ||||||||||
남경 별궁 | 태봉국 철원성 | 만월대 내 별궁 | 고려의 궁원 | 남궁 | 의종 대 별궁 | 삼소궁궐 | 흥왕사 | 안화사 | }}}}}}}}} |
평양의 도성 및 궁궐 | |||||||||||
고조선 | 고구려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
왕검성 | 대성산성 | 안학궁 | 장안성 | 구제궁 | 장락궁 | 좌우궁궐 | 대화궁 | 용덕궁 | 평양행궁 | 풍경궁 |
1. 개요
대동강수(大同江水)는 보석같이 푸르고,
장락궁화(長樂宮花)는 비단같이 붉다.
옥련(玉輦)이 노니는 것은 혼자서 좋은 일이 아니니,
태평한 풍월을 민(民)과 함께 즐기고자 함이다.
서도 구호, 이지저 작. 동문선 19권 칠언절구 중 발췌.
장락궁화(長樂宮花)는 비단같이 붉다.
옥련(玉輦)이 노니는 것은 혼자서 좋은 일이 아니니,
태평한 풍월을 민(民)과 함께 즐기고자 함이다.
서도 구호, 이지저 작. 동문선 19권 칠언절구 중 발췌.
고려 서경 황성(皇城) 내에 있던 궁궐이다. 동시에 평양성 내에 있었다고 추정되며 서경에 있는 궁궐 중 가장 우대받았던 궁궐이다.
2. 역사
고려 때엔 평양시는 제 2수도로 서경(西京)이란 명칭을 가졌으며 소성경(小城京), 호경(鎬京), 웅도(雄都), 서도(西都) 등 수많은 별칭을 가지고 있었다. 서경엔 대화궁, 구제궁, 용덕궁 등 많은 궁궐이 있었고 그 중 황성, 궁성 내에 확실히 있었다고 추정되는 "장락궁(長樂宮)"이 있었다. 궁궐의 뜻은 "오래토록 즐거운 궁전"이며 전한의 궁궐 중에도 같은 이름의 궁궐이 있어 여기서 따온 듯 하다.[1] 미앙궁(未央宮)과 장락궁은 전한의 황제가 거처하던 두 주궁으로 장락미앙이라는 줄임말이 부귀영화의 대명사로 쓰이기도 했다.장락궁이 언제 세워졌는지는 구제궁처럼 알 수 없다. 최사위(961 ~ 1041)가 장락궁 개수에 참가했다는 기록이 있다. 장락궁에 오는 임금들은 태조 이래의 전통대로 제 2수도 서경에 의무로 오는 경우도 있었고 3대 임금 정종처럼 아예 천도하려고 오는 경우도 있었다.
2.1. 고려
고려 초엔 태조 왕건이 고려(고구려)의 옛 수도를 존중하자는 의미로 크게 우대했으며 이후 군주들은 분사(分司), 나누어진(분) 정부기관(사)을 설치했으며 자주 행차하였다. 제3대 정종은 서경으로 완전히 천도를 시도했다. 제4대 광종은 서경을 서도(西都)로 개칭했다. 이후 서도는 서경의 대표적 별칭이 된다. 제 6대 성종은 서경을 웅도(雄都, 웅장한 도읍,도시)라고 칭한 뒤 직접 행차해 정무를 보고 조카 왕송(나중의 목종)을 개령군으로 봉해 자신의 후계자로 공인했다. 제7대 목종은 서경을 호경(鎬京)으로 개칭했다. 이후 호경은 서경의 별칭 중 하나가 된다. 고려사에 따르면 목종은 거의 매년마다 호경에 행차했다.1012년, 현종은 서경에 개경 본궐처럼 황성(皇城)을 둘러 황성 > 궁성으로 이루어진 천자식 궁궐을 완성한다. 1014년에 김훈·최질의 난이 일어나 현종은 정권을 빼앗긴다. 김훈·최질의 난은 강조의 정변 이후 일어난 두번째 무신의 난으로 후에 일어날 무신정변과 그 성격이 비슷하다. 1015년 현종은 서경에 행차해 장락궁에서 연회를 열고 그들을 크게 우대했다. 김훈, 최질 일당이 취해 경계를 풀자 왕가도를 시켜 모두 체포해 총 19명을 주살했다.
고려사 기록엔 현종, 정종, 선종, 숙종, 예종이 자주 행차했다. 특히 정종, 숙종, 의종은 용선(龍船)을 타고 대동강을 내려와 아주 화려하게 장락궁으로 갔다고 한다. 숙종, 예종은 자신의 왕권 확장 및 여진 정벌을 위해 자주 행차했다. 숙종은 붕어 전 마지막까지 서경 장락궁에 있다가 개경으로 돌아오던 중 사망했다. 예종은 이 곳에서 윤관의 여진정벌 성과를 보고 받고 성을 추가로 짓게 했다.
인종은 서경 세력을 육성하기 위해 장락궁에 힘을 쏟았고 아들 의종은 반란을 피하기 위해 장락궁을 찾았다. 묘청의 난이 터지면서 서경 나성, 황성, 궁성은 반란군의 거점지가 된다. 진압군의 수장인 김부식이 표현한 서경의 성곽은 북쪽엔 산으로 둘러 쌓였고 동서남쪽은 대동강으로 둘러 쌓였다고 했다.
1233년, 고종 재위 20년 차에 여몽전쟁이 벌어졌고 서경이 폐허가 됐다고 한다. 장락궁은 어떻게 됐는지 모르지만 서경의 중심지에 있던 궁궐로서 전란을 피해가진 못했을 것이다.
원종 재위 2년째인 1261년에 당시 태자가 서경에 행차했는데 대동강에서 흑룡이 보였다고 한다.
2.2. 조선
장락궁으로선 조선왕조실록에 마지막 기록이 나오는데 태조실록 5권, 태조 3년(1394년) 2월 23일에 하륜이 평양장락궁(平壤長樂宮)의 예를 들며 한양으로의 천도를 주장한다. 당시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를 논의하던 중 한양의 부지, 즉 경복궁의 부지가 작다는 의견이 나오자 하륜은 경복궁 부지가 전왕조 고려의 평양장락궁(前朝 平壤長樂宮) 부지와 비슷하다며 옮겨가도 상관없다고 강조한다.장락궁은 조선 대에 영숭전(永崇殿)으로 바뀌어 궁전에서 사당으로 그 기능이 전환된다. 조선 태조의 어진이 걸렸으며 세종대왕은 감독관 두 명을 두게 시켰다. 세조는 직접 영숭전에 가 제사 지냈고 명종은 영숭전과 평양의 모습을 병풍에 그리게 시켰다.
3. 주요 건축
3.1. 나성(羅城)
고려사에 따르면 태조 재위 2년(919년) 3월에 무너진 절을 고치게 하였고 10월에 성을 쌓았다. 태조 21년(938년)에 나성을 쌓았다. 태조는 서경을 평양고도(平壤古都)라고 부르며 자주 행차했고 그가 다닌 곳은 충렬왕 대까지 유적으로 남아있었다.- 정릉사 유적
- 청암리 사지 유적
- 중흥사(重興寺, 中興寺)
중흥사 문서 참조.
- 목멱사(木覓祠)
평양시, 당시 고려 서경 목멱산(木覓山)에 세운 사당이다. 목멱산신을 모신 사당이라 산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 붙혔다. 고려 현종이 재위 3년(1012) 12월에 지었으며 신상(神像)을 세웠다. 명종과 충렬왕이 사신을 보내 제사를 지냈다. 조선시대에도 한양 목멱산에 같은 명칭을 붙인 있었다.
- 예조묘(藝祖廟)
태조 신성대왕을 모신 사당이다. 예조(藝祖)는 태조의 묘호를 달리 부른 듯하다. 고려 명종 20년(1190년) 10월에 처음 등장한다. 서도(西都)로 사신을 보내 제사 지냈다고 하며 태조가 서도를 흥하게 했고 태조의 의관(衣冠)이 묘에 바쳐져 있었다고 한다. 예종 때 태조행재소(太祖行在所), 충렬왕 때 태조묘(太祖廟)가 등장하는데 모두 같은 장소로 보인다.
3.2. 황성(皇城) / 평양성(?)
고구려의 도성 및 궁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졸본도읍기 동명성왕 ~ 유리명왕 | 국내도읍기 유리명왕 ~ 장수왕 | ||
졸본성[1] | 국내성 | 환도산성 | ||
하고성자토성 / 나합성[2] | 오녀산성 |
||<tablewidth=100%>[1] 졸본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성곽인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음
[2] 졸본의 평지성으로 추정되는 토성
[3] 평양 천도 이전에 존재했던 평양의 평지성 ||
}}}}}}}}} ||[2] 졸본의 평지성으로 추정되는 토성
[3] 평양 천도 이전에 존재했던 평양의 평지성 ||
고구려, 고려 시대까지 있었던 장안성이 원조라고 생각된다. 평양성은 나성일 수도 있다. 고려사에 등장하는 장락궁의 문 중에 장안성의 문 이름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현종 재위 2년(1011년) 8월에 쌓았으며 서경 궁성이 개경 본궐과 같은 위치에 있다는 의미이다. 별궁 대화궁, 구제궁, 용덕궁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영명사 등 고구려 때부터 내려오는 오래된 여러 사찰이 있었다. 고려사 김부식 열전엔 평양성으로 추정되는 성의 문 이름이 나온다.
- 다경루(多景樓)
고려 혹 고구려 시절의 옛 성터에 세웠다는 누각. 뜻은 "많고 크다"이며 예종이 이름을 지었다. 의종은 이 곳에서 연회를 연 뒤 신하들에게 백금을 하사했다고 한다.
- 부벽루(浮碧樓)
문서 참조. 의종이 폐위 당하기 2년 전 이 곳에서 별무반 중 하나인 신기군의 말타기와 물놀이를 관람했다.
- 용서정(籠瑞亭)
패강(대동강)에 있던 큰 정자로 의종이 폐위 당하기 1년 전 여기서 연회를 열었다.
- 동명사(東明祠)
고려사 기록엔 성 동남쪽 용산(龍山) 지역에 위치했다고 한다. 동명성제사(東明聖帝祠), 동명왕묘(東明王廟)라고도 했다. 고려시대 민간에선 진주묘(眞珠墓)라고 불렸다고 한다. 이름을 보면 알다시피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을 모신 사당이다. 고려사 지 기록엔 고려는 늘 시절에 맞춰 어압(御押)을 보냈다. 어압은 임금(어)이 직접 쓴 문서(압)로 정확하게는 임금의 옥새가 찍힌 문서를 이르는데 이 어압을 보내 매달 보름마다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민간에서도 자주 소원을 빌었다고 한다.
- 통한교(通漢橋)
대동강에 있던 대교. 숙종이 당시 왕태자였던 예종을 시켜 다리를 순시하고 오게 했다. 다리의 뜻은 "거대함을 통하는 다리." 매우 오래된 다리인 듯 한데 고려시대 민간엔 '시조 동명성왕이 통한교를 건너 구제궁에 가 조천석을 밟고 승천했다.'란 전설이 있었다고 한다.
3.3. 궁성(宮城)
고려사에 따르면 태조 신성대왕 재위 5년(922년)에 재성(在城)을 쌓았다고 한다. 재성은 궁성과 같은 의미이며 이 때 쌓은 재성이 장락궁인지는 미상이다. 정종 문명대왕 재위 2년(947년) 서경으로 천도를 시도하며 왕성(王城)을 쌓았다 한다. 역시 이 왕성이 장락궁 궁성을 의미하는지는 불명. 문종 인효대왕 재위 35년(1081년) 서경의 궁궐을 보수하고 동, 서쪽에 좌우궁궐을 추가로 지었다.3.3.1. 정전으로 가는 길
- 구정(毬庭)
큰 광장. 고려 ~ 조선조까지 유행했던 스포츠 격구(擊毬)를 하기 위한 광장이다. 이 구정에서 도교식 제사인 초제를 지냈는데 동국이상국집 전집 40권에 이규보가 쓴 축문이 남아있다.
- 영봉문(靈鳳門)
개경 본궐의 신봉문, 위봉문처럼 봉 자 돌림 문이다. 영봉문 앞에도 큰 광장인 구정이 있었다. 영봉문 또한 이중루이며 윗층을 영봉루(靈鳳樓)라고 해 위에서 군대를 사열하였다. 선종이 영봉루의 부계(浮階)를 올라 잔치를 구경했다. 1107년, 예종은 영봉루에서 17만 별무반을 출정시켜 전쟁을 시작한다. 고려사 윤관 열전엔 서경 위봉루에서 부월(지휘권 부여를 상징하는 의장용 큰 도끼)을 받았다고 하는데, 위봉루는 개경 만월대에 있던 누각이다. 영봉루와 기록이 섞인 듯 하다. 별무반의 출정지가 고려사 윤관 열전은 장락궁 영봉루, 윤관이 올린 표문엔 장락궁 성용전, 보한집엔 용덕궁이라 돼있어 사서의 기록이 다 다르다. 장락궁에 봉 자 돌림 문이 있는 것을 보아 고려 시대 때 장락궁은 크게 우대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락궁도 회경전, 천덕전에 가는 길처럼 최소 세 개의 문이 막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황성 정문, 궁성 정문을 포함하면 다섯 개. 영봉문의 뜻은 "영험한 봉황."
- 장락문(長樂門)
장락전과 이름이 같은 것을 보아 장락전의 전문(대문)으로 보인다.
3.3.2. 정전(正殿)
장락전(長樂殿)궁궐과 이름이 같으며 장락궁의 정전(正殿)으로 추정된다. 서경을 자주 왔던 숙종이 머물렀으며 연회를 열었다. 숙종이 붕어하기 전 마지막으로 조회를 보았던 전각이 장락전이다. 예종이 장락전학사(長樂殿學士) 직위를 내렸으며 이 곳에서 수성명사(壽星明詞)란 시를 지어 악사에게 부르게 시켰다. 의종이 자신의 절일 하청절을 맞아 이 곳에서 연회를 열었다.
고려사 예지엔 서경 관리들이 승진했을 때 의례를 기록했다. 승진할 관리는 장락궁에 가 장락전을 향해 절한다. 성체만세(聖體萬歲)라 외친 뒤 무용수가 축하하는 의미로 춤을 추면 다시 절한다. 관리가 감사의 뜻을 담은 시를 읽고 나면 무용수가 다시 춤을 추고 관리는 다시 절한다. 이렇게 의례를 마치고 나서야 새로운 관직에 정식으로 임명된다.
3.3.3. 기타 건축
- 집상전(集祥殿)
- 집상전문(集祥殿門)(?)
- 관풍전(觀風殿)
- 상안전(常安殿)
- 성용전(聖容殿)
- 영헌전(靈憲殿)
- 미화정(美花亭)
- 관풍정(觀風亭)
- 팔경정(八景亭)
- 청원루(淸遠樓)
- 회복루(會福樓)
- 태조행재소(太祖行在所)
- 수서원(修書院)
- 국자감(國學監)
- 잡재서(雜材署)
- 영작원(營作院)
3.4. 사서에 등장하는 대문
고려사엔 장락궁에 대해 단편적인 기록 밖에 없어 대문들이 나성의 문인지, 황성의 문인지, 궁성의 문인지 알기가 어렵고 추정만 할 수 있다. 평양성의 성문이 장락궁의 문 이름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선요문(宣耀門)
- 경창문(景昌門)
- 대동문(大同門)
- 흥례문(興禮門)
- 연정문(延正門)
- 함원문(含元門)
- 광덕문(廣德門)
- 양명문(楊明門)
- 창화문(昌華門)
- 칠성문(七星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