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訓
(? ~ 1015)
1. 개요
고려 제8대 현종때의 무신. 김훈·최질의 난의 주모자.2. 생애
좌우기군의 장군으로 있던 중 1010년에 벌어진 제2차 여요전쟁때, 고려군이 통주 전투에서 크게 패배해 거란(요나라)의 군사가 그대로 진격해오자 김계부, 이원, 신영한과 함께 완항령에서 군사를 매복해 칼을 쥐고 돌격하여 거란군을 잠시 퇴각시키는 전공을 세웠다. 완한령 전투에서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전후 상장군으로 승진하였다.하지만 거란의 제3차 침공에 대비하던 와중에 중추원의 일직인 황보유의와 중추원사 장연우[1]가 경군의 영업전으로 문관들의 녹봉을 충당하면서 영업전을 빼앗기게 되자 1014년 11월 25일에 최질, 박성, 이협, 이상, 이섬, 석방현, 최가정, 공문, 임맹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그대로 군사들을 이끌고 궁궐로 쳐들어간 다음 황보유의와 장연우를 결박하고 채찍으로 때려 거의 초주검으로 만든 뒤 이들을 귀양보내고, 그후 상참관 이상의 무관은 문관을 겸하게 해달라며 현종에게 협박성 요구를 해서 결국 이 또한 허락을 받아냈다.
이후 현종에게 어사대(御史臺)와 삼사(三司)를 각각 금오대(金吾臺)와 도정서(都正署)로 바꿔줄 것을 요청하여 이마저도 허락을 받아냈고, 그렇게 권력까지 모두 장악하게 되었지만, 1015년 4월 5일에 현종이 이자림[2]의 계책에 따라 서경(평양)으로 이동하여 장락궁에서 여러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 당시 그 자리에 참석했다가 김훈은 최질 등 18명과 함께 그대로 주살되었다.
이후 그의 반란에 연좌된 일가 친족들의 경우, 1016년 3월 20일에 연좌된 자들을 모두 풀려나게 하고, 김훈의 아들 및 동복형제들은 모두 본관으로 돌아가도록 하면서도 사면에서는 용서받지 못하는 조치를 처분받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