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4:57:27

인천부

인천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추홀
彌鄒忽
백제 초기 비류
<colbgcolor=#000000>
매소홀현
買召忽縣
475
<colbgcolor=#4a2d5b>
소성현
邵城縣
757
경원군
慶源郡
1095
인주
仁州
1133
경원부
慶源府
1390
주부토군
主夫土郡
475
장제군
長堤郡
757
수주
樹州
1095
길주
吉州
1308
부평부
富平府
1310
인주
仁州
1392
경기도
인천군

仁川郡
1413
경기도
인천도호부

仁川都護府
1460
경기도
인천부

仁川府
1896
인천부
仁川府
1910
부평부
富平府
1310
경기도
부평도호부

富平都護府
1413
인천부
부평군

富平郡
1895
경기도
부평군

富平郡
1896
경기도
부천군

富川郡
1914*
경기도
인천부

仁川府
1940
경기도
제물포시

濟物浦市
1945**
경기도
인천시

仁川市
1949***
인천직할시
仁川直轄市
1981
인천광역시
仁川廣域市
1995
* 이때 부평 전체와 인천부의 외곽이 부천군에 병합되었다. 부천군에 흡수된 기존 인천부 지역은 소래면, 영종면, 용유면, 덕적면을 제외하고 1936년, 1940년에 차례대로 인천부에 재편입되었다. 하지만 영종면, 용유면은 1989년에, 덕적면은 1995년에야 옹진군 편입을 통해 인천에 재편입될 수 있었고, 구 소래면 지역은 아직도 돌아오지 못하고 시흥시 관할로 남아있다.
** 1945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 단 17일간 있었던 행정구역이다.
*** 전국의 부(府)가 시(市)로 일괄 변경되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f,#1c1d1f>
[[일본|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b0313f;margin: -6px -1px -11px"
경기도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고양군 부천군 시흥군 수원군 진위군 안성군 용인군 이천군 금포군 강화군 파주군 포천군 연천군 광주군 양평군 양주군 가평군 여주군 장단군
충청북도영동군 옥천군 보은군 청주군 괴산군 제천군 단양군 음성군 진천군 충주군
충청남도대전부
공주군 연기군 논산군 부여군 서천군 보령군 홍성군 청양군 서산군 당진군 예산군 아산군 천안군
전라북도군산부 전주부
옥구군 익산군 김제군 고창군 정읍군 금산군 진안군 남원군 부안군 임실군 순창군 무주군 장수군
전라남도광주부 목포부
무안군 나주군 화순군 곡성군 담양군 여수군 제주군 함평군 영광군 광양군 고흥군 보성군 강진군 해남군 장성군 구례군 장흥군 완도군 진도군 순천군 영암군
경상북도대구부
달성군 경산군 영천군 경주군 영일군 영덕군 영양군 청송군 안동군 의성군 군위군 칠곡군 김천군 상주군 예천군 영주군 봉화군 문경군 성주군 고령군 청도군 선산군 울도군
경상남도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울산군 동래군 창녕군 사천군 하동군 거창군 고성군 통영군 함양군 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산청군 창원군 김해군 밀양군 양산군 남해군
강원도이천군 간성군 금화군 철원군 울진군 춘천군 홍천군 횡성군 원주군 평창군 영월군 정선군 삼척군 강릉군 양양군 통천군 회양군 평강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황해도 해주부
연백군 금천군 신계군 해주군 평산군 곡산군 옹진군 장연군 송화군 재령군 서흥군 봉산군 수안군 신천군 안악군 황주군 은률군
평안남도평양부 진남포부
대동군 용강군 중화군 강동군 성천군 순천군 평원군 강서군 안주군 개천군 덕천군 영원군 맹산군 양덕군
평안북도신의주부
박천군 정주군 선천군 의주군 영변군 희천군 운산군 태천군 구성군 철산군 용천군 삭주군 창성군 벽동군 초산군 위원군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
함경남도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덕원군 고원군 홍원군 북청군 신흥군 풍산군 안변군 문천군 영흥군 정평군 이원군 단천군 갑산군 삼수군 장진군
함경북도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부령군 경흥군 명천군 회령군 종성군 경성군 길주군 경원군 온성군 무산군
※ 1945년 8월 기준.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평안남도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파일:제2기 경성부 휘장_White.png 파일:인천부 휘장.svg파일:인천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개성부 휘장.png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파일:신의주부 마크(1929~?).png파일:신의주부 화이트.svg 파일:평양부 마크(1922~?).png파일:평양부 로고_White.png 파일:진남포부 휘장.svg파일:진남포부 휘장 화이트.svg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평양부
함경북도 함경남도
파일:청진부 휘장.svg파일:청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나진부 휘장.svg파일:나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성진읍(1938~?)의 마크.png 파일:원산부 휘장.svg파일:원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함흥부 휘장.svg파일:함흥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흥남읍(일제강점기)의 마크.png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황해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파일:해주부 마크(1939~?).png 파일:대전부 휘장 2기.svg파일:대전부 휘장 2기 화이트.svg 파일:군산부 마크(1928~?).png 파일:전주읍 마크(1930~?).png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 파일:광주부 휘장.svg파일:광주부 휘장 화이트.svg
해주부 대전부 군산부 전주부 목포부 광주부
경상남도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 파일:부산부 휘장.svg파일:부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마산부 휘장.svg파일:마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진주부 마크(1940~?).png
대구부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

[[일본 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경기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1f2023> 파일:인천부 휘장.svg파일:인천부 휘장 화이트.svg인천부
仁川府
Jinsen City
}}}
<colbgcolor=#2e2e2e><colcolor=#fff> 부청 소재지 경기도 인천부 중정 1정목 9 인천부청
(京畿道仁川府仲町一丁目9仁川府廳,
인천광역시 중구 관동1가 9-1 중구청)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하위 행정구역 69정
면적 약 271.67km²(1940년)
인구 213,833명(1944년)
존속기간 1910년 10월 1일 ~ 1949년 8월 14일[1]
파일:인천부청.jpg
인천부청
해방 이후에도 해당 건물은 1985년까지 인천시청으로 쓰였으며
현재는 중구청으로 쓰이고 있다.
파일:인천항부두_일제강점기.jpg
인천항
일제는 갑문공사와 간척으로 인천항을 개발하였다.
파일:월미도유원지.jpg
월미도 유원지
1920년대부터 개발된 월미도 유원지는 당시 조선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 하나였다.
1. 개요2. 역사3. 산업4. 둘러보기

1. 개요

[ruby(仁,ruby=じん)][ruby(川,ruby=せん)][ruby(府,ruby=ふ)] (진센후)

일제강점기 당시 인천지역에 위치했던 이다. 설치 당시에는 개항장 일대인 현재 인천광역시 중구·동구(2026년 7월 이후 제물포구) 일대만을 관할하였으며 도시 개발과 1936년과 1940년대 확장으로 해방 직전에는 조선 제4의 도시[2]가 되었다.

2. 역사

1896년 23부제의 폐지 이후 인천부가 설치되었다. 당시에는 부평 일대를 포함하지 않고, 현 시흥시 북부와 덕적군도, 남양군월경지(현 남양읍 일부, 1906년에 남양군에 편입)를 포함하는 행정구역이였으나 경술국치 이후 1914년 일본은 원인천을 떼어내어 부평 지역과 합쳐 부천군으로 분리시켰다.

1930년대 말에는 경인일체화 계획으로 부평지역을 경성부에 포함시킬 계획도 있었으나 인천부 확장으로 방향을 돌려 1936년과 1940년 두 차례의 시역확장을 통해 부평지역 일부를 편입하였다.

3. 산업

일제는 인천항을 개발하기 위해 1911년부터 갑문을 건설하여 경성의 외항으로 역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천은 경성의 외항으로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1917년에는 성냥회사가 들어서면서 주요산업이 되었다.

일제는 한반도를 대륙진출의 병참기지로 삼기 위해 1930년대부터 공업화를 진행하였는데 인천에 주요 군수시설들을 설치하면서 1940년대에는 군수산업이 도시의 주가 되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서울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경기개성시 · 개풍군 · 고양군 · 과천군 · 교동군 · 교하군 · 남양군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 · 북포천군 · 삭녕군 · 서울시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 · 양근군 · 양성군 · 양주군 · 양지군 · 양천군 · 연백군 · 영평군 · 오포읍 · 옹진군 · 음죽군 · 인천시 · 일산구 · 장단군 · 적성군 · 죽산군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 · 평택군95 · 풍덕군
강원간성군 · 강원도 · 금성군 · 김화군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 · 평해군
충북문의군 · 연풍군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
충남결성군 · 공주군95 · 노성군 · 대덕군 · 대전시 · 대천시95 · 덕산군 · 면천군 · 목천군 · 보령군95 · 비인군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 · 연산군 · 온양군 · 온양시95 · 은진군 · 정산군 · 직산군 · 천안군95 · 한산군 · 해미군 · 홍주군
전북고부군 · 고산군 · 김제군95 · 만경군 · 무장군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 · 정읍군95 · 정주시95 · 진산군 · 태인군
전남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 · 창평군
경북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내동면 · 대구시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 · 풍기군 · 풍서면 · 하양군 · 현풍군
경남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 · 영산군 · 울산군95 · 울산시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제주남제주군 · 대정군 · 북제주군 · 정의군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1] 1945년 10월 10일 제물포시로 개칭하였으나 10월 28일에 다시 인천부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1949년 8월 15일에 인천시로 개칭된다.[2] 경성, 평양, 부산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