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1:56:52

여수시

여수군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cd00>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6cb2>
파일:여수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돌산읍
남면 삼산면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광림동 광무동 오림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국동 국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대교동 남산동 봉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동문동 관문동 종화동 동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둔덕동 둔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만덕동 덕충동 만흥동 오천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묘도동 묘도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문수동 문수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미평동 미평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삼일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강동 서교동 봉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시전동 시전동 신기동 웅천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쌍봉동 학용동 안산동 소호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서동 여서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천동 선원동 여천동 화장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월호동 경호동 신월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주삼동 주삼동 봉계동 해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중앙동 중앙동 고소동 교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충무동 충무동 군자동 연등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한려동 공화동 수정동 }}}}}}}}}
전라남도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麗水市
Yeosu City
}}}
<colbgcolor=#0f6cb1><colcolor=#fff> 시청 소재지 <colcolor=#fff> 본청 시청로 1 (학동)
여서청사 전남 여수시 여서1로 107 (여서동)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 6 20
면적 512.33㎢
인구 268,120명[1]
인구 밀도 523.33명/㎢[2]
시장
파일:zsdkl3gasdg.svg
정기명 (초선)
시의회
파일:zsdkl3gasdg.svg
24석[3]

2석[4]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6석[5]
국회의원
<colbgcolor=#0f6cb1>
파일:zsdkl3gasdg.svg
주철현 (재선)[6]

파일:zsdkl3gasdg.svg
조계원 (초선)[7]
상징 시화 동백꽃
시목 동백나무
시조 갈매기
지역번호 06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8]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9]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1.1. 상징
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경제7. 관광8. 교육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사건사고13. 여담14. 출신 인물
14.1. 역사적 인물14.2. 근현대 인물14.3. 가공의 인물
15. 국내자매도시
15.1. 국외자매도시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북쪽으로 순천시, 광양시, 남쪽으로 남해가 펼쳐져 있고, 서쪽으로 고흥군, 완도군, 동쪽으로 경상남도 남해군과 접해있다.

전라남도 2위인 268,522명의 인구와 전남 GDP의 50% 가량을 만들어내며 전라남도 수출액의 74.4%를 담당하고 1,316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등, 전남의 핵심적인 도시다. 한려해상,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두 국립공원 모두 여수시 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한려해상의 가 여수시를 의미한다.[10]

여수시는 여수엑스포 직후인 2010년대부터 도시의 모습이나 위상이 급격하게 변화했다. 별 볼일없는 시골이었던 돌산이 최고급 펜션들로 가득차고 헤엄쳐도 갈 거리지만 다리가 없던 경도엔 2조원짜리 리조트가 들어왔으며 구도심이던 대교동 인근이 관광 지역으로 급부상했다. 특히 여수의 강남이라는 웅천지구의 변화는 그 축을 같이한다. 따라서 여수시에 대해 이해하고 싶은 사람은 2010년대를 기준으로 구분해서 찾아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1.1. 상징

파일:여수시 슬로건.png
슬로건
파일:시정구호_음각형[1].jpg
시정 구호
파일:여수시_마스코트.png[11]
마스코트 구키와 구니
파일:여수시 CI_국문_세로.svg [12]
심벌마크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참고.

2.1. 지명의 유래

여수라는 명칭은 고려 태조 23년(940) 행정 구역 개편시 해읍현을 여수현으로 변경하면서 사용하게 됐으며, '여수(麗水)'는 4면이 아름다운 바다로 둘러싸인 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고려 태조 왕건삼국을 통일한 뒤 전국을 순행할 때, “이 지역은 인심이 좋고 여인들이 아름다운데 그 이유가 무엇이냐” 묻자 신하들이 “물이 좋아서 인심이 좋고 여인들이 아름답습니다”고 답했다고 한다. 그래서 지명을 여수(麗水)라 했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여수가 물이 좋다고 말하는 것은, 요새도 '물 좋다'라는 말이 '(여자들의) 미모가 좋다'는 뜻으로 통하는 속어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근본이 있는 발언이라 말할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사람들이 예쁜 것으로 말하는 도시는 주로 순천시. 여수는 돈으로 대표된다.

2.2. 임진왜란

1592년(선조 25) 4월 14일을 기하여 일본군의 대군이 침략을 시작했다. 임진왜란 초기에 경상도좌수영·우수영의 수군도 일본군에 아무런 저항을 하지 못하고 무너졌다. 전라좌수사 이순신은 이미 여수 지방에서 거북선을 건조하여 일본의 침략에 대비했다. 이순신은 본영과 휘하 각 진의 전선을 동원해 경상도 남해안으로 진출했다. 이순신은 가는 곳마다 연전연승했다. 옥포·합포·당항포·율포·노량·한산도 등에서 왜의 수군을 크게 무찔렀다. 이때 전라남도 지방 각처의 수령과 만호가 함께 출정했다.

순천부사 권준, 낙안군수 신호(申浩), 흥양현감 배흥립(裵興立), 광양현감 어영담(魚泳潭), 보성군수 김득광(金得光), 녹도만호 정운(鄭運), 방답진첨사 이순신(李純信), 사도첨사 김완(金浣), 여도권관 김인영(金仁英) 등이 이순신과 함께 공을 세웠다. 이순신의 연전연승의 전공에는 전라도 사람들이 적극 참여했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이순신의 승리로 인해 임진왜란 초기 국면에서 전라도가 보전될 수 있었다. 이에 전라도에서는 왜적을 이 땅에서 격퇴하고자 하는 수많은 의병이 일어났다. 이러한 전라도 의병의 활약에 조선군이 전열을 정비하고 또한 명나라 군대가 원조하면서 전세는 조선에 유리하게 전환됐다.

1593년(선조 26) 8월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고 여수에 통제사영을 설치했다. 그러나 이순신은 여수가 지리상으로 외딴 곳이므로 왜와 해전을 벌이는 데는 지세가 불리하다는 이유로 본영은 그대로 남겨둔 채 한산도로 본진을 옮겨갔다. 한산도는 선박을 감추어 놓기가 좋으며 또한 왜의 수군이 남해안을 통과하려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지점이었기 때문이다.

1597년(선조 30) 1월 명나라와의 화의 교섭이 결렬되자 일본의 20만 군대가 다시 조선을 침범하면서 정유재란이 발발했다. 이 해 2월 이순신은 모함을 받아 투옥되었다. 원균이 전라좌수사 겸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왜의 수군과 대적했으나 대패했다. 왜군은 섬진강을 따라 구례 운봉을 지나 전라도 내륙까지 침범했다. 이러한 위급한 상황에서 이순신이 다시 삼도수군통제사가 됐다. 장흥의 회령, 포진 등 남해안 일대에 흩어져 있던 전선과 병사를 모아 해남의 어란포(於蘭浦)와 진도의 명량(鳴梁)에서 왜군을 대파했다.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여수 지역에서는 정철(1544~1595)·정린(1556~1595)·정춘(1555~1594)의 활동이 주목된다. 1592년 왜구가 침입하자 이들은 재산을 털어 이순신의 휘하로 정운(鄭運)·송희립(宋希立) 등과 함께 당항포로 진격하는 등 많은 전장에 참여했다. 이들은 여수 지역에 기반을 둔 창원정씨 사람들로서 후에 가곡사에 배향되었다. 지금은 여수시 웅천동에 위치한 오충사에 배향되어 있다.

이들과 함께 여수 지역에서는 흥국사를 중심으로 한 의승수군(義僧水軍)의 역할을 빼놓을 수 없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전직 관료, 무과 출신, 유생, 승려 등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전쟁에 참여했던 것이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봉기하여 전라도 수군과 결합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전라좌수영 산하의 의승수군은 상설군으로 편제되어 흥국사에 주둔을 하게 된다. 승대장의 휘하의 인원을 사찰 내의 각 전각과 산내의 암자에 편성시키고 있었는데, 지금의 여수시 한산사와 석천사 등지에도 파견되어 있었다. 『호좌수영지(湖左水營誌)』에 진남관 동편에 있던 승청(僧廳)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어 당시 승군의 역할을 짐작해 볼 수 있다.

2.3. 여수·순천 10.19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수·순천 10.19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참고로 김용옥이 2018년 10월 30일을 맞아 이를 주제로 강연하러 여수에 왔다.

2.4. '통합' 여수시의 출범

1949년 8월 14일 여수읍이 여수부로 승격하면서 여수군이 여수시여천군으로 분리되었다. 1966년부터 여천군 삼일면과 쌍봉면에 여천공업단지가 조성되었고 1970년대 들어 우리나라 유수의 석유화학공업단지로 발전하면서 이 지역의 인구가 크게 늘고 주거 환경이 크게 바뀌었다. 이에 따라 1976년 이 지역이 여천군에서 분리되어 전라남도 여천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80년 12월 1일에는 돌산대교가 착공되어 1984년에 준공되었다. 1986년에 여천출장소는 여천시로 승격되었다. 원래의 여수군이 여수시·여천시·여천군이라고 하는 2시 1군의 행정 체계가 된 것이다. 1996년 「도농 복합 형태의 시 설치에 따른 행정 특례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어 정부에서 여수시의 통합을 유도했으나 실패했다. 그 뒤 여수 시민들의 자발적인 발의로 다시 통합이 논의되었고, 1998년 4월 1일을 기하여 오늘의 통합 여수시로 다시 출범했다.

한편 1989년 여수수산전문대학이 여수수산대학으로, 1993년 여수수산대학교로, 다시 1998년에는 여수대학교(개교기념일: 5월 1일)로 승격했다가, 2006년 전남대학교(개교기념일: 6월 9일)와 통합되어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가 되었다.

통합 여수시의 출범은 우리나라 지방자치제의 발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일이다. 중앙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시행에 의한 것이 아닌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하여 통합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이다.[13] 여수인은 그간의 역사 경험에서 오는 자각과 미래를 향한 실천적 합의 정신을 바탕으로 이러한 선택을 했던 것이다. 이를 계기로 여수 지방은 새로운 천년을 향한 역사, 문화, 경제 역량을 결집할 수 있게 되어 남중해안권의 중심도시로 앞길을 나가고 있는 만큼 그리하여 2012 여수 엑스포를 유치하기도 했다.

3. 지리

옆에 위치한 고흥군처럼 반도 지형이다. 북쪽엔 순천시광양시, 서쪽엔 고흥군, 동쪽엔 경상남도 남해군이 있다. 남쪽으로 남해가 펼쳐져있다.

홍콩과 여수의 지형, 시가지 분포가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다.

3.1. 자연지리

전반적으로 리아스식 해안 지형에 따라서 해안지대는 산지가 펼쳐지는 반면 내륙에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여수국가산업단지웅천동 등은 간척을 통해 평지를 확보했고, 기타 지역은 전반적으로 반도 내부 평지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다보니 특별한 하천은 없지만 도시하천으로는 연등천과 엑스포타운 안쪽의 덕대천, 웅천동의 고음천이 있고 쌍봉천, 상암천, 중흥천, 대포천, 돌산천 등이 있다.

땅의 모양이 알파벳 Y와 비슷하다. 반도임에도 처럼 유일하게 동서남북으로 여수해만, 가막만(駕莫灣).보돌바다,여자만, 묘도만(猫島灣)(광양만)으로 4면의 바다를 둘러선 곳이다. 또한 그 밑에 화양면 전체, 소라면 남부, 쌍봉동 남부로 있는 고돌산반도가 있는데 화양반도라고 불리기도 한다. 1998년 김포시 승격 이전까지 반도에서 유일한 시급도시였다.

기후적으로는 대표적인 온난 습윤 기후로 여름철은 서늘하고 겨울철은 온난하며, 강수량도 풍부하여 사계절 생활하기 좋은 지역이다. 겨울엔 여수시 북쪽에 위치한 여수국가산업단지의 영향으로 북쪽에 높은 산이 거의 없는데도 (가장 높은 산인 영취산이 510m) 찬바람이 내려오지 못한다. 1월달 평균온도가 부산이랑 맞먹는 1.8°C. 공단이 어지간히 큰 게 아니라는 걸 느낄 수 있다. 부산만큼 눈이 안온다. 그래서 서울에서 일상적으로 오는 눈이 폭설로 느껴질 정도다. 심지어 눈이 안 오는 해도 있다. 눈이 오는 해를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 눈이 5cm만 와도 도시 전체가 마비될 정도. 2005년 말, 폭설이 내려서 여수시내 학교가 휴교령을 내린 적도 있었다. 심지어 시내버스도 멈춘다! 실제로 2012년 겨울에 여수중학교는 5cm 정도의 눈에 강당이 무너졌다. 건축 자체도 눈에 대비되어있지 않았고 이를 통해 여수에 얼마나 눈이 오지 않는지 알수있는 부분. 하지만 몇년에 한번 그런일이 일어날까 말까 하니 제설차량도, 제설함도 없다. 삼가 웅천지구 재개발 등으로 조금이나마 제설함이 설치되었다. 여수에는 비가 내리는데 바로 북쪽의 순천이나 광양에는 눈이 쌓이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3.2. 도시구조

대체로 과거부터 항구가 발달한 도시였으므로 여수항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었으며 구도심을 중심으로 조선소와 금융기관, 관공서와 상가가 집중 밀집되었다. 이 때문에 여수항 일대(여수읍)가 1949년에 일찌감치 여수시로 독립한 반면 여천군의 유일한 읍인 돌산은 육지와 연결되지 못하여 독립된 시가지를 이루지 못했다. 이후 여천군 삼일읍/쌍봉면 일대가 국가산단의 배후도시로써 1986년 여천시로 승격되면서 여천시 지역에 시가지가 들어서게 되었고, 삼여 통합 직전에는 여천군 돌산읍 우두리 일원에 택지개발이 진행되어 그 일부가 시가지화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여수시/여천시/여천군의 도시 구조는 여수시 원도심 중심의 단핵구조를 가진 도시 형태의 성격을 띠면서 여천 지역은 여수의 하위 생활권역으로 기능했다.

이런 여수지역의 단핵구조는 1990년대부터 어느정도 깨진다. 특히 여수시 문수동과 여서동 지구를 개발하면서 시의 일부 기능이 이동을 했고, 다시 1998년 삼려(여수시/여천시/여천군)가 통합하면서 시청을 비롯한 여수시의 일부 기능이 여천지역으로 이동했다. 이후에도 토지용도의 상업용지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아직도 금융기관과 관공서 등 각종 상권이 밀집한 중심 상권을 유지해 왔으나, 현재는 원도심의 공동화가 심각해지고있다. 학생들 대부분이 원도심 대신 여천에 있는 '흥국상가'를 주로 이용하고 상권도 많이 이동했다.

한편 여서-문수지구와 바로 연계되는 웅천지구의 건설이 완료될 경우에 여수 지역내의 최대 상권지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웅천지구는 계획 인구 28,000명에 마리나항을 갖추고 있는 택지개발사업이다. 당초 순천시 신대지구 개발사업이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계획인구(30,000명)를 가지고 추진되어 분양의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사업 완료 시에는 죽림지구 ~ 기존 여천시 지구 ~ 웅천지구 ~ 여서-문수지구, 신월-국동지구 ~ 여수도심지구 ~ 우두 택지지구까지 여수 지역의 시가지가 모두 이어지게 되며 여서-문수 + 웅천지구가 확고한 상업적 중심지구로서 여수 지역내에서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그것을 입증하기라도 하듯 웅천지구에 한화건설에서 29층 규모의 주상복합 단지인 ‘디 아일랜드’ 건설이 완료되었다. 웅천지구는 이제 디 아일랜드, 자이 더 스위트, 골드클래스 테라스힐, 등으로 대표되는 신규 아파트들, 그리고 인근의 기성 부촌인 우림필유, 지웰 3차와 맞물려 여수시 부촌으로서의 입지를 확실하게 하고있다. 전남권 집값의 독보적 1인자로 30평대도 6억 5천 수준에 최대 15-20억원대의 아파트까지 위치해있다. 또한 인구감소에 시달리자 율촌면 산수리~조화리일대에 테크밸리 택지개발지구 조성에 서두르고 있고 별개로 조화리지역을 중심으로 오피스텔과 아파트단지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사람들이 술 먹으러 가는 곳은 대체로 여서동(구 송원백화점 건물 앞)[14], 봉산동(마늘시장)[15], 학동(부영 3차)이 있다. 2019년 현재는 관광객들은 해양공원 일원을 많이 찾으며, 산단근로자들은 무선 여천동 선원동 경계선을 많이 이용하며, (구)여수권 시민은 중앙동, 여서동 일원을 이용하며, (구)여천권 시민은 부영 3단지 일원을 많이 이용한다. 10대 중고등학생들은 아주 외진 곳에 사는 게 아닌 이상, 중앙동 시내에서 노는 경향이 있다. 그곳에 롯데리아, 대궁게임랜드, 화장품가게, 옷가게, 카페 등이 있다. 사실 이쪽에 중고등학교가 많다. 여수중과 여수고등학교, 여수여중과 여수여자고등학교, 종고중과 여수공업고등학교가 있다.

3.2.1. 통합청사 문제 - 구 여수시와 여천시 간의 반목

구 여수시와 여천시, 여천군이 통합하며 하나의 도시가 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도시구조상 여수와 여천이 갈린다.[16] 사는 곳에 따라서 여수 사람과 여천 사람으로 나뉘고 터미널, 등을 따로 사용하고 있으며, 떡밥이 있을때마다 이권 문제로 반목하기도 한다. 통합 후 한참 지난 현재까지도 공무원들은 구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 공무원 출신별로 파벌을 지을 정도다. 심지어 같은 시이며, 같은 교육지원청이 관할하는 한 학군임에도 정작 중/고등학교는 여수, 여천을 나누어 돌린다.

아직도 해결되지 않는 문제 중에 하나가 통합청사 문제인데, 이는 1998년 3려 통합 당시로부터 거슬러가는 일이다. 당시 여수시에 비해 여천시, 여천군 지역은 통합에 대한 반대여론이 높았으며, 특히 이름의 측면에서 그랬다. 이름의 정통성이야 당연히 여수시가 가지고 있었고 인구 역시 여수시가 여천시, 여천군을 합친 것보다 5만명이나 더 많은 상황이었다. 하지 여천이라는 이름을 가진 행정구역은 2개나 있었기 때문. 이 때문에 통합시의 명칭을 여수시로 하는 대신 시청사 여천지역 배치, 의원 정족수 동일구성, 예산 30% 옛 여천군 배정, 공공기관 여천시 이전 등등을 여수시가 양보하기로 합의했고 이에 따라 통합시의 1청사는 학동에 구 여천시청으로 결정되게 되었다.

하지만 당시 인구 7만 8천명의 신생시이던 여천시의 청사는 통합 이후 30만이 넘는 도시가 관장해야 할 모든 기구들이 다 들어가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 때문에 상당수 기구와 시의회 등은 여서동의 구 여수시청을 2청사 삼아 입주되었고, 돌산읍에 있는 구 여천군청을 3청사로 세계 되었다. 이렇게 청사가 3개로 나뉘어져 있는 상황이 미관상으로 보나, 업무 효율적으로 보나 좋을 리 없었으나, IMF 외환위기 등 굵직한 사건들을 겪으며 어영부영 세월이 흘렀다. 물론 현재는 1청사로 불리는 구 여천시청에 대부분의 기관이 자리잡았지만...

이 문제가 다시 불거진 것은 2004년. 당시 2012 여수 엑스포를 유치 준비 중이던 여수시는 박람회장 부지로 여수신항만과 그 일대를 점찍었고, 이를 위해 2청사로 쓰고 있던 여서동 청사(구 여수시청)[17]와 신항만에 들어가있던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의 청사를 교환하고 해수청 부지를 박람회장에 편입시키려는 계획을 세우게 된다. 하지만 여전히 학동의 1청사는 여수시의 전 기구를 담기에는 역부족이었고, 결국 2청사에 있던 기구들을 각각 조각내어 돌산읍의 3청사 등 곳곳으로 분산배치하도록 했는데...

3려 통합 이후 여천 쪽으로 발전이 쏠리는 것에 자존심 상해하던 구 여수시 주민들이 반발하게 된다. 정통성과 인구 모두 여수시가 가지고 있었음에도 통합 때문에 그동안 지역발전을 위해서 여천 쪽으로 모든 것이 집중되도 다 참아왔는데 해도해도 너무 한다는 것이었다. 해수청 건물은 낡고 신항만 인근 공시지가도 여서동보다 훨씬 떨어지기 때문에 등가교환 원칙에 어긋나고, 시청사=전 시민의 재산인데 김충석 시장 맘대로 처분한다는 주장도 있었으며, 건물을 쓰려고 바꾸는 것도 아니고 해수청 인수해서 철거하려고 교환한다는게 말이 되냐는 의견에, 교환조건 맞추려고 신항만 인근 공시지가를 과다하게 높게 책정했다는 점에 등 비판이 빗발쳤다. 나중에 순천시, 광양시 등과 통합하게 되면[18] 여수 지역에 2개 이상의 구청이 생길텐데 구 청사로 활용하려면 남겨놓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무엇보다 "2청사마저 없어지면 구도심 상권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란 의견이 강했다(...) 한편 구 여천시 주민들 역시 "기회는 이때다" 라며 어서 빨리 여천에 통합시청 설치하라고 들고 일어났다. 주민투표 여론도 높았다.

이렇게 청사 이전이 구 여수시 주민들과 여천시 주민들간 싸움으로 번질려는 와중에 당시 김충석 여수시장은 담화문을 통해 '우리는 여수엑스포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여수엑스포 하려면 해수청 부지가 꼭 필요하다. 어쨌든 3려통합 당시 1청사를 여천시에 둔다는 원칙에는 안 벗어난다.(2,3청사 없다고 안했다)'라고 강변했으며, 무엇보다 '순천, 광양이랑 통합하면 순천 놈들이 우리 여수에 2개 구청 만들어 줄 것 같음?[19] 통합하면 순천만 좋아지고, 여수랑 광양은 개털된다. 해양수산청이 자꾸 광양으로 도주하려고 하고 있고, 해수청 나가면 세관, 검역소 등 관련 기관들 다 빠져 나가기 때문에 이 기회에 넓은 청사를 하사함으로써 발목을 잡아야 한다' 등등의 논리를 내놓으며 주민들을 설득하려 했다. 여기에 더해 시장은 행정절차도 마련하지 않은 채로[20] 청사 이전을 먼저 하는 선집행 후절차라는 주민들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행정을 펼치기에 이른다. 결국 원안대로 2005년 8월에 여수지방해양수산청이 여서동 청사를 양도받아 들어오고, 남은 자리[21]에 여수시의회와 중부민원출장소와 차량등록사업소, 도시미화과만 남게 되었으며, 나머지 기구들은 돌산 청사 및 곳곳으로 분산이전 되었다.

결국 이 문제는 법정까지 갔고, 2006년 지방선거로 2010년 지방선거로 시장이 한번 바뀌고 다시 김 시장이 돌아와 엑스포 개최가 확정된 2011년까지 끌어왔으나 법률상 하자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하지만 구 여천시 주민들이 원하는 통합청사가 완성된 것은 아니기에 지금도 심심하면 통합청사 떡밥이 터져나오고 있으며, 2014년 현재까지도 여수시 청사는 3개로 나뉘어 있고, 이 문제는 영원한 여수시의 숙제가 되고있다. 이 문제를 조금이라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에 하나라면 책임읍면동제의 확대적용 시 여수시에도 적용하는 방법을 건의해봐야 할 것이다. 위에 서술된 대로 외지인들도 위성사진만 보고도 느껴질 정도...

돌산 3청사 부지에 전라남도국제교육원이 들어서게 되면서 3청사에 있던 부서들이 옮길 대체 부지를 놓고 또 논란이 벌어졌다. 일단 후보 지역으로는 여서동 2청사와 현 시청사 부지 등이 있다. 시의회에서 여서동 2청사 부지 안이 부결되는 등 논란이 일어나다가, 결국 문수동의 옛 여명학교 건물을 보수하여 사용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안전진단 결과 여명학교 건물은 D등급 판정을 받아서 대규모 보강공사를 하거나 허물고 재건축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서 일단 구) 여수시 권역의 전남대학교 여수 국동캠퍼스의 건물로 부서를 이전해서 국동임시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수시 측에서는 아예 여천에 있는 1청사 부지에 별관을 지어서 통합 청사를 운영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청사 이전 당시 상황처럼 역시 주변 주민 및 상인들의 반발이 상당한 상태이다.

4. 인구

파일:여수시 CI.svg
전라남도 여수시 인구추이 (1966~현재)
1966년 258,163명[1966여수시]
1970년 265,656명[1970여수시]
1973년 7월 1일
여천군 돌산면 경호리여수시 편입
광양군 골약면 송장리(現 여동리) → 여천군 율촌면 편입
1975년 282,025명[1975여수시]
1976년 9월 1일 여천군 삼일면 + 쌍봉면 →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승격
1980년 306,977명[1980여수시]
1985년 312,845명[1985여수시]
1986년 1월 1일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 전라남도 여천시 승격 분리
1990년 305,532명[1990여수시]
1995년 331,850명[1995여수시]
1998년 4월 1일 여수시 + 여천시 + 여천군여수시 통합(삼여통합)
2000년 324,604명
2005년 301,542명
2010년 293,488명
2015년 290,168명
2020년 280,242명
2024년 11월 268,1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읍면동 및 출장소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전동 43,672명
쌍봉동 31,373명
소라면 21,583명
여천동 19,332명
문수동 18,827명
여서동 16,027명
미평동 11,024명
국동 10,240명
만덕동 10,209명
둔덕동 9,507명
돌산읍 우두출장소 8,032명
주삼동 7,597명
월호동 7,178명
화양면 6,075명
율촌면 5,786명
광림동 5,327명
대교동 4,583명
동문동 3,965명
서강동 3,850명
중앙동 3,765명
충무동 3,412명
한려동 2,672명
남면 2,658명
돌산읍(본청) 2,374명
삼일동 2,030명
삼산면 1,953명
돌산읍 죽포출장소 1,798명
화정면(본청) 1,271명
묘도동 1,074명
화정면 개도출장소 757명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각 읍면동(출장소)별 색깔은 각각 舊 여수시, 舊 여천시, 舊 여천군 지역임.
}}}}}}}}} ||

권역별 여수시 인구는 아래와 같다.[29]
*통합 여수반도 인구 현황 (현재인구는 2024년 10월 말기준.)
1998년 4월 → 현재 인구
구)여수시 188,558명 → 110,985명 (-77,573명)
구)여천시 81,040명 → 105,187명 (+24,147명)
(구쌍봉면권역계 : 102,070명 구삼일읍권역계 : 3,117명)
구)여천군 61,285명 → 52,350명 ( -8,935명)[30]
(도서부 읍면합계 : 18,905명, 육지부 읍면합계 : 33,345명)
3여 합계 330,965명 → 268,522명 (-62,443명)

전남 1위 인구를 두고 순천과 엎치락뒤치락하는 관계이다. 2019년 3월 일시적으로 순천에게 1위 자리를 뺏겼다가 다음 달에 재탈환했지만 2020년 7월 다시 순천에게 뒤쳐진 이후 2022년 현재까지도 1위를 되찾지 못하고 있다. 여수의 인구는 1992년 333,194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2006년 30만대가 붕괴되었고 2021년에는 28만명 선도 무너졌으며, 2024년 7월부로 27만명 선도 무너지고 말았다.

수산자원감소등 신규산단 조성부진과 기존 석유.화학산업위주에서 벗어날 일자리 다각화 창출부진도 인구감소를 부추졌고 특히 공공기관 이전과 정주여건이 너무나 낡아진 구)여수시권역의 인구감소가 너무 심한것으로 알고 있어 1998년 4월 기준 188,558명에서 2024년 6월말 111,914명으로 8만명 넘게 줄어들었고 구)여천시지역은 웅천택지 개발에도 불구하고 81,040명에서 105,587명으로 늘어나는데 그쳤으며 구)여천군 권역은 소라면 죽림택지와 돌산읍 우두택지 조성에도 불구하고 율촌지역 개발에 대한 너무나 부진한 것 때문에 61,285명에서 52,546명으로 줄어들었으니 구)여수시권역 인구감소가 여수시 전체 인구감소를 견인한 격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전국 시군구 인구소멸위험지수 현황(2022년 3월 기준)에서 전남도내 20만명 이상의 도시에서 최초로 (0.482)로 나와 전남 5개시 중 나주 다음으로 두번째 낮은 수치를 기록했고 24년7월에는 (0.405)로 나와 소멸위험 진입에 들어가버려 위기를 느낀 여수시는 가만히 두고보고만 있을 수 없어 율촌, 만흥, 소제, 엑스포, 웅천, 죽림 등의 주거단지, 여천역세권개발, 묘도, 율촌 등의 산업단지와 화양면 옥적리 한옥농공단지, 경도, 화양 등의 관광단지 등 굵직한 사업들로 반등을 노리고 있다.

인구가 줄고 있기 때문에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에 다니는 학생들더러 주소지를 여수시로 이전할 것을 권하고 있다. 여수 사람들은 예상 외로 전대 여캠에 가려고 하지 않는다. 오히려 여수에 있는 학교임에도 전남대학교라는 이름 때문에 광주의 학생들이 입학하는 비율이 높으니, 여수시는 이 점을 의식하여 광주 시민들의 주소 이전을 노리는 걸로 보인다. 이를테면 2015년 2월 문화사회과학대학의 오리엔테이션을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했는데, 여수시청의 직원이 와서 주소지 이전의 혜택을 이야기하며 주소를 옮길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학기 중에도 학교식당 등에서도 시청 직원들이 전단지를 나눠주면서 신청서를 받기도 한다. 이후 2018년 2학기에 여수시가 다시 한 번 칼을 뽑았다. 1년 동안 6개월씩 나누어 도합 50만원의 지원금을 준다고 한다. 2018년 9월 16일자 글을 읽어보자. 그런데 대학생들을 끌어들이는 방법은, 타지에서 온 학생들이 전대 여캠을 졸업하는 순간 자기 고향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무척 높으므로 결국 임시방편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선거구도 이 추세대로 간다면 21대 총선에서는 인구를 빨아들이고 있는 순천시가 분구되고, 인구가 줄고 있는 여수시가 합구될지도 모르는 상황이었으나 간신히 유지되었다.[31] 하지만 이대로 인구감소가 계속된다면 22대 총선에서 합구는 면했지만 23대 총선에선 합구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우려감에 2022년 지방선거에서 여수시장에 출마하는 입지자들마다 율촌면 조화리~산수리일대에 신도시개발을 통한 지역 인구 늘리기로 적극적인 공론화에 열을 올리고 있고 별개로 조화리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단지들이 들어설 예정이다.


===# 읍면동별 인구[32] #===
파일:여수시 CI.svg 돌산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6,579명
1970년 25,486명
1973년 7월 1일 여천군 돌산면 경호리 → 여수시 편입 및 경호동 전환
1975년 23,250명
1980년 23,335명
1980년 12월 1일 여천군 돌산면 → 돌산읍 승격
1985년 20,114명
1990년 16,724명
1995년 16,425명
2000년 16,304명
2005년 15,062명
2010년 14,811명
2015년 14,347명
2020년 13,229명
2024년 11월 12,2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소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013명
1970년 15,685명
1975년 15,175명
1980년 14,282명
1985년 13,722명
1990년 10,985명
1995년 10,812명
2000년 9,925명
2005년 9,151명
2010년 9,266명
2015년 18,207명
2020년 20,426명
2024년 11월 21,58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율촌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357명
1970년 15,815명
1975년 16,017명
1980년 15,462명
1985년 13,649명
1990년 11,657명
1995년 11,939명
2000년 9,958명
2005년 8,486명
2010년 7,432명
2015년 7,063명
2020년 6,292명
2024년 11월 5,78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화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2,014명
1970년 20,643명
1975년 19,764명
1980년 16,915명
1985년 14,638명
1990년 11,345명
1995년 11,610명
2000년 9,833명
2005년 9,026명
2010년 8,235명
2015년 7,005명
2020년 6,518명
2024년 11월 6,07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남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890명
1970년 17,182명
1975년 16,660명
1980년 13,709명
1985년 11,614명
1990년 8,256명
1995년 6,780명
2000년 5,087명
2005년 4,003명
2010년 3,630명
2015년 3,307명
2020년 2,846명
2024년 11월 2,6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화정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954명
1970년 12,276명
1975년 11,986명
1980년 10,302명
1985년 8,216명
1990년 5,798명
1995년 5,031명
2000년 3,839명
2005년 3,110명
2010년 2,806명
2015년 2,428명
2020년 2,167명
2024년 11월 2,02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삼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709명
1970년 11,720명
1975년 10,209명
1980년 7,435명
1985년 5,289명
1990년 3,775명
1995년 3,127명
2000년 2,748명
2005년 2,323명
2010년 2,638명
2015년 2,398명
2020년 2,062명
2024년 11월 1,9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동문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927명[1966동문동]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수시 26 법정동 → 여수시 26 행정동 전환
종화동(법정동) → 종화동(행정동)
관문동(법정동) → 관문동(행정동)
동산동(법정동) → 동산동(행정동)
1970년 17,324명[1970동문동]
1975년 20,299명[1975동문동]
1980년 21,289명[1980동문동]
1985년 19,609명[1985동문동]
1990년 16,947명[1990동문동]
1995년 11,947명[1995동문동]
1997년 7월 25일 동산동 + 군자동 → 종고동 합동
1998년 2월 1일 종화동 + 관문동 + 종고동 일부 → 동문동 합동
2000년 9,445명
2005년 7,079명
2010년 5,973명
2015년 4,781명
2020년 4,657명
2024년 11월 3,96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한려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710명[1966한려동]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수시 26 법정동 → 여수시 26 행정동 전환
수정동(법정동) → 수정동(행정동)
공화동(법정동) → 공화동(행정동)
1970년 13,099명[1970한려동]
1975년 14,805명[1975한려동]
1980년 16,153명[1980한려동]
1985년 16,685명[1985한려동]
1990년 12,483명[1990한려동]
1995년 8,629명[1995한려동]
1997년 7월 25일 수정동 + 공화동 → 오동동 합동
1998년 2월 1일 여수시 오동동 → 한려동 개칭
2000년 6,817명
2005년 5,471명
2010년 4,721명
2015년 3,425명
2020년 3,223명
2024년 11월 2,6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중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976명[1966중앙동]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수시 26 법정동 → 여수시 26 행정동 전환
고소동(법정동) → 고소동(행정동)
중앙동(법정동) → 중앙동(행정동)
교동(법정동) → 교동(행정동)
1970년 14,480명[1970중앙동]
1975년 15,815명[1975중앙동]
1980년 16,654명[1980중앙동]
1985년 15,529명[1985중앙동]
1990년 12,145명[1990중앙동]
1995년 9,794명[1995중앙동]
1997년 7월 25일
고소동 + 중앙동중앙동 합동
교동 + 충무동 → 충무동 합동
1998년 2월 1일 중앙동 + 충무동 일부 → 중앙동 합동
2000년 9,063명
2005년 7,541명
2010년 6,505명
2015년 5,487명
2020년 4,452명
2024년 11월 3,76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충무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402명[1966충무동]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수시 26 법정동 → 여수시 26 행정동 전환
군자동(법정동) → 군자동(행정동)
충무동(법정동) → 충무동(행정동)
연등동(법정동) → 연등동(행정동)
1970년 13,988명[1970충무동]
1975년 14,255명[1975충무동]
1980년 16,939명[1980충무동]
1985년 16,668명[1985충무동]
1990년 15,037명[1990충무동]
1995년 11,255명[1995충무동]
1997년 7월 25일
동산동 + 군자동 → 종고동 합동
교동 + 충무동충무동 합동
1998년 2월 1일 종고동 일부 + 충무동 일부 + 연등동 → 충무동 합동
2000년 8,925명
2005년 6,637명
2010년 5,676명
2015년 4,775명
2020년 4,050명
2024년 11월 3,41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광림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585명[1966광림동]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수시 26 법정동 → 여수시 26 행정동 전환
광무동(법정동) → 광무동(행정동)
오림동(법정동) → 오림동(행정동)
1970년 8,357명[1970광림동]
1975년 10,151명[1975광림동]
1980년 12,593명[1980광림동]
1985년 12,867명[1985광림동]
1990년 14,799명[1990광림동]
1995년 13,600명[1995광림동]
1997년 7월 25일 광무동 + 오림동 → 광림동 합동
2000년 11,631명
2005년 9,569명
2010년 8,467명
2015년 7,195명
2020년 6,220명
2024년 11월 5,3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서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612명[1966서강동]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수시 26 법정동 → 여수시 26 행정동 전환
서교동(법정동) → 서교동(행정동)
봉강동(법정동) → 봉강동(행정동)
1970년 10,348명[1970서강동]
1975년 12,185명[1975서강동]
1980년 12,214명[1980서강동]
1985년 11,776명[1985서강동]
1990년 9,637명[1990서강동]
1995년 7,222명[1995서강동]
1997년 7월 25일 서교동 + 봉강동 → 서강동 합동
2000년 6,989명
2005년 5,761명
2010년 5,159명
2015년 4,380명
2020년 3,826명
2024년 11월 3,85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대교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676명[1966대교동]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수시 26 법정동 → 여수시 26 행정동 전환
봉산동(법정동) → 봉산동(행정동)
남산동(법정동) → 남산동(행정동)
1970년 14,138명[1970대교동]
1975년 17,387명[1975대교동]
1980년 22,171명[1980대교동]
1985년 23,987명[1985대교동]
1990년 21,570명[1990대교동]
1995년 16,138명[1995대교동]
1998년 4월 1일 봉산동 + 남산동 → 대교동 합동
2000년 12,256명
2005년 9,133명
2010년 7,800명
2015년 6,263명
2020년 5,470명
2024년 11월 4,58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국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473명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신국동 → 국동 개칭 및 행정동 전환
1970년 4,068명
1975년 4,643명
1980년 14,252명
1985년 17,837명
1990년 18,785명
1995년 16,811명
2000년 18,384명
2005년 14,559명
2010년 12,708명
2015년 13,181명
2020년 11,605명
2024년 11월 10,2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월호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30명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수시 26 법정동 → 여수시 26 행정동 전환
신월동(법정동) → 신월동(행정동)
1970년 2,260명
1973년 7월 1일
여천군 돌산면 경호리 → 여수시 편입
여천군 돌산면 경호리 → 여수시 경호동 전환
1975년 5,306명[1975월호동]
1980년 6,603명[1980월호동]
1985년 6,806명[1985월호동]
1990년 5,895명[1990월호동]
1995년 10,203명[1995월호동]
1998년 2월 1일 신월동 + 경호동 → 월호동 합동
2000년 9,164명
2005년 8,351명
2010년 8,745명
2015년 7,886명
2020년 6,983명
2024년 11월 7,1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여서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78명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서동(법정동) → 여서동(행정동)
1970년 1,054명
1975년 1,087명
1980년 1,273명
1985년 1,095명
1990년 8,551명
1995년 29,130명
2000년 28,269명
2005년 25,015명
2010년 23,873명
2015년 21,616명
2020년 18,844명
2024년 11월 16,0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문수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95명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문수동(법정동) → 문수동(행정동)
1970년 1,187명
1975년 1,288명
1980년 1,398명
1985년 6,942명
1990년 11,035명
1995년 19,068명
2000년 24,265명
2005년 22,623명
2010년 24,439명
2015년 22,280명
2020년 21,241명
2024년 11월 18,8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미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29명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미평동(법정동) → 미평동(행정동)
1970년 1,316명
1975년 1,559명
1980년 3,059명
1985년 3,915명
1990년 5,536명
1995년 14,501명
2000년 16,298명
2005년 15,454명
2010년 14,407명
2015년 13,220명
2020년 11,860명
2024년 11월 11,2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둔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52명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둔덕동(법정동) → 둔덕동(행정동)
1970년 982명
1975년 1,452명
1980년 2,111명
1985년 3,141명
1990년 5,764명
1995년 7,264명
2000년 10,607명
2005년 9,546명
2010년 11,735명
2015년 11,162명
2020년 10,335명
2024년 11월 9,50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만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849명[1966만덕동]
1967년 1월 1일
여수시 행정동제 실시
여수시 26 법정동 → 여수시 26 행정동 전환
오천동(법정동) → 오천동(행정동)
만흥동(법정동) → 만흥동(행정동)
덕충동(법정동) → 덕충동(행정동)
1970년 2,856명[1970만덕동]
1975년 10,374명[1975만덕동]
1980년 14,279명[1980만덕동]
1985년 15,076명[1985만덕동]
1990년 14,985명[1990만덕동]
1995년 12,204명[1995만덕동]
1997년 7월 25일 오천동 + 만흥동 → 만오동 합동
1998년 2월 1일 만오동 + 덕충동 → 만덕동 합동
2000년 10,853명
2005년 9,868명
2010년 6,427명
2015년 9,429명
2020년 10,499명
2024년 11월 10,20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쌍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947명
1970년 12,651명
1975년 12,736명
1976년 9월 1일 여천군 쌍봉면 →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쌍봉면 개편
1980년 21,099명
1985년 30,902명
1986년 1월 1일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 여천시 승격
쌍봉면 학용리 + 안산리 + 소호리 + 학동리 → 쌍봉동 신설
쌍봉면 시전리 + 웅천리 + 신기리 → 시전동 신설
쌍봉면 선원리 + 여천리 + 화장리 → 여천동 신설
쌍봉면 봉계리 + 주삼리 + 해산리 → 주삼동 신설
1990년 19,680명
1995년 24,628명
2000년 25,501명
2005년 32,387명
2010년 37,346명
2015년 36,325명
2020년 32,672명
2024년 11월 31,37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시전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월 1일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 여천시 승격
쌍봉면 학용리 + 안산리 + 소호리 + 학동리 → 쌍봉동 신설
쌍봉면 시전리 + 웅천리 + 신기리 → 시전동 신설
쌍봉면 선원리 + 여천리 + 화장리 → 여천동 신설
쌍봉면 봉계리 + 주삼리 + 해산리 → 주삼동 신설
1990년 13,800명
1995년 21,885명
2000년 23,613명
2005년 20,817명
2010년 23,109명
2015년 28,332명
2020년 37,425명
2024년 11월 43,6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여천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월 1일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 여천시 승격
쌍봉면 학용리 + 안산리 + 소호리 + 학동리 → 쌍봉동 신설
쌍봉면 시전리 + 웅천리 + 신기리 → 시전동 신설
쌍봉면 선원리 + 여천리 + 화장리 → 여천동 신설
쌍봉면 봉계리 + 주삼리 + 해산리 → 주삼동 신설
1990년 8,913명
1995년 15,211명
2000년 17,805명
2005년 22,175명
2010년 23,218명
2015년 23,182명
2020년 21,519명
2024년 11월 19,33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주삼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월 1일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 여천시 승격
쌍봉면 학용리 + 안산리 + 소호리 + 학동리 → 쌍봉동 신설
쌍봉면 시전리 + 웅천리 + 신기리 → 시전동 신설
쌍봉면 선원리 + 여천리 + 화장리 → 여천동 신설
쌍봉면 봉계리 + 주삼리 + 해산리 → 주삼동 신설
1990년 4,386명
1995년 3,523명
2000년 6,171명
2005년 9,797명
2010년 8,954명
2015년 8,312명
2020년 8,196명
2024년 11월 7,59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삼일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66년 18,844명
1970년 22,743명
1975년 25,574명
1976년 9월 1일 여천군 삼일면 →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삼일면 개편
1980년 23,450명
1980년 12월 1일 여천지구출장소 삼일면 → 삼일읍 승격
1985년 22,768명
1986년 1월 1일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 여천시 승격
삼일읍 중흥리 + 화치리 + 월하리 + 평여리 + 적량리 + 월내리 → 삼일동 신설
삼일읍 묘도리 → 여천시 묘도동 전환
삼일읍 낙포리 + 신덕리 + 상암리 + 호명리 → 상암동 신설
1990년 14,697명[1990삼일동]
1995년 11,200명[1995삼일동]
1999년 3월 1일 삼일동 + 상암동 → 삼일동 합동
2000년 9,189명
2005년 7,130명
2010년 4,071명
2015년 2,902명
2020년 2,434명
2024년 11월 2,0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여수시 CI.svg 묘도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월 1일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 여천시 승격
삼일읍 중흥리 + 화치리 + 월하리 + 평여리 + 적량리 + 월내리 → 삼일동 신설
삼일읍 묘도리 → 여천시 묘도동 전환
삼일읍 낙포리 + 신덕리 + 상암리 + 호명리 → 상암동 신설
1990년 2,347명
1995년 1,813명
2000년 1,665명
2005년 1,468명
2010년 1,337명
2015년 1,280명
2020년 1,191명
2024년 11월 1,07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00명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천 쪽으로만 땅이 연결돼있는 반도라서 2012년 이전까지는 교통을 순천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2012 여수 엑스포 개최 덕분에 전라선 신호개량 및 고속화사업으로 KTX가 운행되기 시작했고, 여수 - 순천 간 자동차전용도로가 신설되면서 서울, 광주 방향으로의 교통은 단순히 순천 외곽을 거쳐가게 되었으며, 부산, 경남 방향으로는 이순신대교를 통해 더욱 빠르게 갈 수 있게 되면서 교통망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2010년대 들어서 여수시의 경제력과 막대한 관광수요 덕에 교통사업을 추진하는 족족 승인이 나고 있다. 여수시에 지어진/지어질 해상 교량은 총 19개로 이미 모두 승인이 떨어져 2024년 내로 착공한다. 고흥-완도군이 서로를 이으려는 6개 연도교 사업이 몇년째 지지부진한 것과 큰 대비를 이룬다.

여수시의 주요 다리들은 다음과 같다.

백리섬섬길 1단계
고흥 - 적금도 - 낭도 - 둔병도 - 조발도 - 화양면을 다리로 잇는다.

백리섬섬길 2단계(20년 착공)
화양면 - 백야도 - 제도 - 개도 - 월호도 - 화태도 - 돌산도를 잇는다.

금오도 연륙교 사업(24년 착공)
월호도 - 대두라도 - 금오도를 잇는다.

돌산대교/거북선대교
돌산에 놓여진 2개의 다리

이순신대교-묘도대교
여수산단과 광양항을 잇는다.

여수 화양면 적금도와 고흥 영남면을 잇는 연륙교인 팔영대교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322호에 의거하여 2016년 12월 27일에 개통되었다. 또한 미래에셋증권이 경도에 투자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경도와 신월동을 잇는 다리를 짓겠다는 계획도 있다. 2020년 2월 화양면에서 적금도를 잇는 네 교량이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

여수 관내로 진입하는 고속도로는 없지만, 엑스포로 인해 생긴 자동차전용도로 엑스포대로가 엄청난 직진성을 띄고 순천완주고속도로 동순천 나들목과 직통으로 이어져있어, 굳이 돈을 내고 통과해야 하는 고속도로로 변경할 필요가 전혀 없어졌다. 톨게이트만 없으면 고속도로 끝난줄도 모른다. 때 마침, 민선8기에 들어 지역정치권을 중심으로 호남고속도로 여수연장을 전남도에 요청했다.

율촌수생약국 앞 정류장에서는 여수시 시내버스(31~34, 330)와 순천시 시내버스(94~96, 960)를 연결할 수 있다. 참고로 여수에서 순천으로 택시 타고 가면, 4만원이 나온다. 물론 순천에서 여수를 가는 것도 마찬가지. 무궁화호 기차가 가장 싸고 빠르다. 2,600원에다 20분만에 도착하기 때문.

2021년 8월 24일, 전남 여수시와 경남 남해군의 숙원 사업인 '여수∼남해 해저터널'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자 여수시와 지역 정치권이 일제히 환영하고 나섰다. 해저터널은 2027년에 개통될 예정이며, 약 90분 걸리던 교통 시간이 무려 10분으로 단축될 전망이다. 터널은 여수 신덕해수욕장과 가깝다. 여수 - 남해 해저터널 여수시 추진위원회 회장 안규철 外 추진위원회 일동은 여수시내 현수막을 통해 김회재 국회의원에게 감사를 표했다.

서울따릉이, 세종시어울링 등과 같은 공공자전거 서비스인 여수랑을 시에서 운영하고 있다.

2024년 여수시의 택시는 기본료가 4,300원, 할증 시간(00~04시)에 5,160원이다.

2024년 10월 1일부터 여수시 시내버스 요금이 성인 1700원, 중고생 1360원, 초등학생 850원으로 인상되며 시 정책사업인 ‘여수시·순천시·광양시 초·중·고등학생 100원 버스‘는 그대로 유지된다.

6.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전남지역별GRDP.png
여수시의 경제력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전라남도 그 자체라고 불러도 될 만큼 엄청난 경제력을 갖추고 있다. 전남 최대규모의 수산업, 단일규모 세계 최대크기의 화학 산단, 전국적으로 손에 꼽히는 관광지로서의 급부상까지 전국적으로 도시 규모에 비해 유래없는 총 생산량을 보이고 있다.

2021년 기준 총 생산량이 무려 30조 5,669억원으로 전남의 다른 시들인 광양, 순천, 목포, 나주시의 총생산을 합친 것보다 크다. 그 차이가 통계가 나오는 해마다 커지고 있으며 여수산단을 2배 근접하게 확장하는 율촌산단 매립이 끝나면 어마어마한 차이로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7.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5년 전국 2위 규모인 1,358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한 전라남도를 대표하는 관광도시이다.

2012년에 신월동에 히든베이호텔(구 여수연도관광호텔)이 문을 열었다. 2013년에 대통령상을 수상했고, 개관 10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도약을 준비했다. 봉헌학원 이사장이자 히든베이 호텔의 김재호 대표의 과거 인터뷰를 읽어보자.

남면 횡간리에 관왕묘가 존재한다. 조선 후기에 세운 걸로 추정되며, 여수시의 유일한 관왕묘이다.

통일교의 문선명 총재는 소호동에 디오션리조트, 거문도에 호텔을 짓는 등 여수에 꽤나 투자했지만(2005년), 문선명 사후 여수에 관심이 끊겼다.

2018년 7월 12일, 여수시 중앙쇼핑 건물 2층에 청년몰인 꿈뜨락몰을 열어 인기를 얻었다.

시민감동연구소의 한창진 대표가 2018년부터 여수 역사가 담긴 달력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여수시에도 특유의 전통주가 있다. 여수주조공사여수막걸리가 여수에서뿐만 아니라 타지에서도 무척 인기 많다. 또한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에 위치한 여남주조공사가 순곡 돌산 生동동주에 이어 쑥 및 호박으로도 막걸리를 만들었다. 그게 바로 해풍쑥 생 막걸리웰빙 호박 동동주다. 그러나 호박 동동주는 호박이 비싼 탓에 단종되었다(2020년). 이어 개도주조장의 개도 막걸리, 장성군의 (주)청산녹수가 만든 여수밤바다 막걸리, 황칠본가의 황칠막걸리, 방풍도가&푸드의 방풍막걸리 등이 있다.

2000년대 초에, 여수시를 연고로 한 농구팀이 있었다.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2000~2001)이자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2001~2003)이었다. 이 팀은 2003년 재정난으로 부산으로 이전하다 2021년에 수원으로 이전하여 수원 KT 소닉붐으로 개명하여 활동하고 있다.

제18차 세계한상대회는 2019년 10월 22~24일,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중국의 진박회(進博會, 중국국제수입박람회)와 비교해 보자.

2019년 말 여수-고흥을 잇는 교량을 연결하는 계획이 탄력을 받고 있다.

2015년 전국노래자랑 1772회(10월 11일)에 처음 나왔다. 1960회(2019년 9월 8일)에 이어 2067회(2024년 4월 14일, 일요일)에 등장했다.

2019년 10월 5~6일, 여수 진남문예회관에서 2019 손양원목사 순교 70주년 뮤직&드라마 콘서트를 무대에 올렸다. 손양원 목사의 일대기였다. 첫날 권오봉 여수시장, 주승용 국회부의장, 최도자 국회의원 등이 자리했다.

2019년 11월 9일, 호남 최초로 로드 FC를 개최했다.

2019년 12월 27일, 웅천지구에 이순신도서관을 열었다.

2020년 1월 16일, 유한회사 KMT경식 대표이사는 초대 민선 여수시체육회장에 취임했다.

2020년 1월 18일, 유소년 축구클럽 여수FC U-18을 창단했다. 이는 여수정보 1월 21일자 1면에 나온다.

2020년 1월 23일, 백종원의 '맛남의 광장', 일본산 가다랑어포 대체할 훈연멸치 개발했다. 여수공항에서 촬영을 진행한 것은 덤.

2020년 5월 29일, 웹 드라마 호접몽(好蝶夢)을 공개했다.

2023년 11월 9~11일에 '2023여수 섬섬 와인 & 스피릿 페스타'를 열었다. 2024년 10월 15~19일에 2024 여수 와인&스피릿 페스타를 열었다. 두 번의 행사가 여수세계박람회장 아쿠아플라넷 여수 광장에서 열렸다.

8. 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여수시도 저출산으로 학령 인구가 감소하는 문제를 피하지 못했다. 이를테면 2000년대까지만 해도 여수구봉중학교, 여수진남여자중학교 등 1학군 중학교들은 9학급으로 신입생들을 받았다. 10여년이 지나 2018년이 되자, 중앙여중, 진성여중, 충덕중은 신입생(2005년생)들을 무려 3개 학급으로 편성했다. 1학군의 2018년 신입생(2005년생)들은 평균적으로 4개 학급으로 나뉜다고 보면 된다. 2학군 학교들은 학령 인구가 좀 높아서, 대체로 학년마다 6~7학급을 두고 있다.

2025년 1학기부터 단성학교들이 남녀공학으로 개편되어 여자중학교 4곳은 교명을 변경한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둔덕동에 예비군부대가 있다. 이 부대는 해안경계도 겸하고 있기 때문에 해안지역에 경계초소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해군은 거문도에 해상감시부대를 운용하고 있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6cb2>
파일:여수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돌산읍
남면 삼산면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 화정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광림동 광무동 오림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국동 국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대교동 남산동 봉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동문동 관문동 종화동 동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둔덕동 둔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만덕동 덕충동 만흥동 오천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묘도동 묘도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문수동 문수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미평동 미평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삼일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강동 서교동 봉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시전동 시전동 신기동 웅천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쌍봉동 학용동 안산동 소호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서동 여서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천동 선원동 여천동 화장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월호동 경호동 신월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주삼동 주삼동 봉계동 해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중앙동 중앙동 고소동 교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충무동 충무동 군자동 연등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한려동 공화동 수정동 }}}}}}}}}

12. 사건사고

며칠 전 전남 여수에서 복면을 쓴 20대 남성이 파출소에 들어가 화살 총을 쏘며 난동을 부린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당시 파출소에 있던 경찰들이 범인을 잡기는커녕 몸을 숨기고 112에 신고를 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13. 여담

A~B: 전남 여수에서 버스 타고 왔어요. 한 시간 반 정도 걸렸어요. 배구 보려고, 내일 시험인데 조퇴하고 왔어요.

Q: 페퍼저축은행의 창단 첫 홈경기 첫 번째 관중으로 입장했어요. 소감이 어떤가요.
A: 광주에 프로배구단이 창단했는데, 그것도 제가 첫 번째로 입장하게 돼 의미가 있는 것 같아요. 죽을 때까지 이 순간을 잊지 못할 거 같아요.
B: 우리가 첫 번째로 입장을 했다고 하니까 더 설레고 기대되는 것 같아요.

Q: 배구는 언제부터 좋아하기 시작했나요.
A: 이번 도쿄올림픽 때부터 많은 관심을 갖기 시작했어요. 그게 여기까지 이어진 것 같아요.

Q: 좋아하는 배구선수는 누구인가요.
A: 김연경 선수랑 김수지 선수, 페퍼저축은행에서는 이한비 선수 좋아해요.
B: 현대건설 고예림 선수랑 페퍼저축은행에서는 이현 선수 좋아해요.

Q: 이한비 선수랑 이현 선수 좋아하는 이유,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A: 창단팀 주장이기도 하고 배구하는 모습도 지켜봤는데, 너무 멋있어서요.
B: 이현 선수는 귀여우세요.

Q: 페퍼 선수들에게 응원 한마디 부탁드려요.
A: 정말 고생 많으셨고, 앞으로도 열심히 응원하겠습니다.
B: 지금까지 수고 많으셨고, 고생한 만큼 좋은 결과 얻었으면 좋겠습니다. ||

14. 출신 인물

14.1. 역사적 인물

14.2. 근현대 인물

14.3. 가공의 인물

15. 국내자매도시

15.1. 국외자매도시


[1]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2024년 11월 기준.[3] 여수시 가선거구 (돌산읍, 남면, 삼산면): 박성미(3선), 김철민(초선)
여수시 나선거구 (대교동, 국동, 월호동): 고용진(재선), 정신출(초선)
여수시 다선거구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서강동): 김영규(6선), 강현태(재선)
여수시 라선거구 (미평동, 만덕동, 삼일동, 묘도동): 구민호(초선)
여수시 마선거구 (광림동, 여서동, 문수동): 김행기(3선), 백인숙(3선), 민덕희(재선), 이미경(재선)
여수시 바선거구 (소라면, 율촌면): 주재현(3선), 정현주(재선)
여수시 사선거구 (여천동): 강재헌(4선)
여수시 아선거구 (화양면, 쌍봉동, 주삼동): 김종길(4선), 문갑태(재선), 박영평(초선)
여수시 자선거구 (화정면, 둔덕동, 시전동): 이선효(4선), 이찬기(3선), 이석주(초선), 최정필(초선)
여수시 비례대표: 김채경, 진명숙, 홍현숙
[4] 여수시 라선거구 (미평동, 만덕동, 삼일동, 묘도동): 송하진(3선)
여수시 사선거구 (여천동): 정옥기(3선)
[5] 여수시 제1선거구 (돌산읍, 남면, 삼산면, 대교동, 국동, 월호동): 이광일(3선)
여수시 제2선거구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서강동, 미평동, 만덕동, 삼일동, 묘도동): 서대현(초선)
여수시 제3선거구 (광림동, 여서동, 문수동): 강문성(재선)
여수시 제4선거구 (소라면, 율촌면, 여천동): 최무경(재선)
여수시 제5선거구 (화양면, 쌍봉동, 주삼동): 최병용(재선)
여수시 제6선거구 (화정면, 둔덕동, 시전동): 주종섭(초선)
[6]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대교동, 월호동, 여서동, 문수동, 미평동, 둔덕동, 만덕동, 삼일동, 묘도동, 국동, 돌산읍, 삼산면, 남면, 화정면[7] 쌍봉동, 시전동, 여천동, 주삼동, 소라면, 율촌면, 화양면.[8] 구 여수시 블로그.[9] 2015년 9월 22일 이전 페이스북 게시물은 구 여수시 페이스북에서 볼 수 있다.[10] 한려해상의 통영시한산도를 의미한다. 즉 한산도부터 여수시까지의 남해안 지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11] 여니와 수니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여니와 수니는 여수엑스포 마스코트다. 위의 슬로건에 비해 마스코트는 현대화가 상당히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는데, 마스코트가 여수시가 폭발하는 관광수요와 그것을 받쳐줄 경제력을 통해 문화적으로 대폭 성장하게 된 2010-2020년대의 모습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관광 포인트 및 공단 근로자 거주지역이냐 아니냐에 따라 공공시설의 발전도, 거리의 청결함 차이가 두드러지기 시작한 최근의 여수시 모습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12] 세 개의 타원형은 동양의 3才思想(天·地·人)을 의미하며 가운데 섬모양은 오동도를 현대적 감각으로 간결하게 시각화한 것으로써, 큰 타원으로 흐르는 시·지각적 에너지는 세계로 향한 해양도시 여수의 도약의지와 지속적인 발전을 의미한다.[13] 하지만 정작 삼여 통합 문서에서 말하는 통합 과정은 이 말과는 영 딴판으로 서술되어 있다. 아마 시청 등에서 적당히 포장한 말을 그대로 쓴 듯 하다.[14] 응답하라 1994에서 여수출신과 순천출신이 싸우는 장면이 있었는데, 손호준이 순천에는 뉴코아백화점이 있으나 여수에는 백화점이 있냐고 물어보았던 장면이 있었다. 실제 1994년 시점이면 없었던 것이 고증에 들어맞는다. 해당 건물은 1995년 고려쇼핑에서 쇼핑시설로 개점했으나 1년여 후인 1996년 11월 송원백화점의 인수가 결정되어 1997년 말에 송원백화점으로 개점, 2000년대 초까지 영업하게 된다. 지금은 더이상 백화점이 아니지만 당시 이렇다할 랜드마크가 없던 여서동 지역에 이 정도 크기의 큰 백화점이 들어서게 되자 여수시 주민들에게 확실히 각인된 효과가 크게 남아 지금도 여수에서 택시타고 송원백화점(송백)으로 가달라고 하면 모두가 알아듣는 정도이다.[15] 예전에 마늘공판장 및 경매장이었다고 한다.[16] 웅천지구 개발 전까지는 위성 지도로 봤을 때 어디까지가 여수고 어디까지가 여천인지 바로 구분되었으며, 웅천지구 개발 후에도 웅천-여문지구가 완전히 연담화된 건 아니라서 구분이 된다. 대개 둔덕동 한려아파트와 신기동 주공아파트 사이의 다리, 신월동 해안도로로 여수와 여천을 구분한다.[17] 처음부터 옛 여수시청이 이곳에 위치한 것은 아니다. 옛 여수군청 때부터 시청사는 관문동에 위치해 있었다. 이후 여서-문수지구를 개발하면서 시청사를 여서동으로 이전했고, 그 자리에는 동문동우체국이 자리잡았다.[18] 물론 이렇게 될 경우 정 가운데에 있는 순천시에 통합 시청이 들어서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었다. 물론 그렇게 되더라도 여수시 지역은 여수시와 여천시를 나눠 2개의 행정구가 배정될 가능성이 없진 않았다.[19] 이 문제가 나오던 당시 여수시 인구가 30만이었고, 순천시 인구가 27만, 광양시 인구가 14만명이었다. 합산하면 71만명 정도가 나오는데 당시 인구 90만의 고양시도 막 일산구를 동, 서구로 분구해서 겨우 3개 행정구로 버티던 상황이었다. 또한 성남시도 인구 98만명에 3개 행정구로 버티던 상황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중앙정부가 전남 동부권 3개 시의 합병을 승인해준다고 해도 여수 지역에 구청을 2개씩이나 만들어준다는 보장이 전혀 없었다.[20] 보통 행정기구의 설치, 통폐합, 소재지 이전 등 모든 사항은 시의 법률인 조례를 통해 결정되고 이런 것들에 변화를 가하려면 조례부터 개정하여야 한다.[21] 여수시청 여서청사는 통합 이전 18만명의 인구를 자랑하던 구 여수시청으로 쓰였던 건물로 시의회 건물, 시청 본관, 시청 별관이 있었는데 본관을 해양수산청으로 양도하고 나머지 두 건물을 시에서 소유하고 있다.[1966여수시] 여수시 101,851명 + 여천군 156,312명[1970여수시] 여수시 111,455명 + 여천군 154,201명[1975여수시] 여수시 130,623명 + 여천군 151,402명[1980여수시] 여수시 160,988명 + 여천출장소 44,549명 + 여천군 101,440명[1985여수시] 여수시 171,933명 + 여천출장소 53,670명 + 여천군 87,242명[1990여수시] 여수시 173,169명 + 여천시 63,823명 + 여천군 68,540명[1995여수시] 여수시 187,866명 + 여천시 78,260명 + 여천군 65,724명[29] 구)여수시권역 혼자서만 계속 인구 감소에 시달리고 있다.[30] 소라면 죽림택지 개발로 인구감소를 최소화 시켰음.[31] 순천시광양시, 곡성군, 구례군 선거구와 합쳐져서 분구되었다.[32] 권역별로 분리하여 두지 않음. 단, 각 그래프별 색상의 경우 위의 '읍면동 및 출장소별 인구통계'의 항목별 색상과 동일함.[1966동문동] 종화동 4,988명 + 관문동 5,303명 + 동산동 4,636명[1970동문동] 종화동 5,709명 + 관문동 6,790명 + 동산동 4,825명[1975동문동] 종화동 6,943명 + 관문동 7,644명 + 동산동 5,712명[1980동문동] 종화동 7,517명 + 관문동 7,486명 + 동산동 6,286명[1985동문동] 종화동 6,865명 + 관문동 7,209명 + 동산동 5,535명[1990동문동] 종화동 6,223명 + 관문동 6,268명 + 동산동 4,456명[1995동문동] 종화동 4,348명 + 관문동 4,289명 + 동산동 3,310명[1966한려동] 수정동 5,870명 + 공화동 8,840명[1970한려동] 수정동 5,017명 + 공화동 8,082명[1975한려동] 수정동 6,133명 + 공화동 8,672명[1980한려동] 수정동 6,616명 + 공화동 9,537명[1985한려동] 수정동 6,796명 + 공화동 9,889명[1990한려동] 수정동 5,278명 + 공화동 7,205명[1995한려동] 수정동 3,320명 + 공화동 5,309명[1966중앙동] 고소동 4,730명 + 중앙동 4,535명 + 교동 6,711명[1970중앙동] 고소동 5,399명 + 중앙동 3,195명 + 교동 5,886명[1975중앙동] 고소동 5,993명 + 중앙동 3,464명 + 교동 6,358명[1980중앙동] 고소동 6,299명 + 중앙동 3,502명 + 교동 6,853명[1985중앙동] 고소동 5,909명 + 중앙동 3,129명 + 교동 6,491명[1990중앙동] 고소동 4,669명 + 중앙동 2,633명 + 교동 4,843명[1995중앙동] 고소동 3,745명 + 중앙동 2,145명 + 교동 3,904명[1966충무동] 군자동 3,964명 + 충무동 5,441명 + 연등동 3,997명[1970충무동] 군자동 3,716명 + 충무동 5,695명 + 연등동 4,577명[1975충무동] 군자동 3,555명 + 충무동 5,843명 + 연등동 4,857명[1980충무동] 군자동 4,196명 + 충무동 6,236명 + 연등동 6,507명[1985충무동] 군자동 3,350명 + 충무동 5,713명 + 연등동 7,605명[1990충무동] 군자동 2,881명 + 충무동 4,878명 + 연등동 7,278명[1995충무동] 군자동 1,926명 + 충무동 3,510명 + 연등동 5,819명[1966광림동] 광무동 4,745명 + 오림동 840명[1970광림동] 광무동 7,554명 + 오림동 903명[1975광림동] 광무동 9,185명 + 오림동 966명[1980광림동] 광무동 11,110명 + 오림동 1,483명[1985광림동] 광무동 11,451명 + 오림동 1,416명[1990광림동] 광무동 10,187명 + 오림동 4,612명[1995광림동] 광무동 9,205명 + 오림동 4,395명[1966서강동] 서교동 6,693명 + 봉강동 3,919명[1970서강동] 서교동 5,449명 + 봉강동 4,899명[1975서강동] 서교동 6,448명 + 봉강동 5,737명[1980서강동] 서교동 6,086명 + 봉강동 6,128명[1985서강동] 서교동 5,718명 + 봉강동 6,058명[1990서강동] 서교동 4,235명 + 봉강동 5,402명[1995서강동] 서교동 3,439명 + 봉강동 3,783명[1966대교동] 봉산동 3,992명 + 남산동 7,684명[1970대교동] 봉산동 4,382명 + 남산동 9,756명[1975대교동] 봉산동 6,591명 + 남산동 10,796명[1980대교동] 봉산동 10,783명 + 남산동 11,388명[1985대교동] 봉산동 13,023명 + 남산동 10,964명[1990대교동] 봉산동 12,774명 + 남산동 8,796명[1995대교동] 봉산동 9,781명 + 남산동 6,357명[1975월호동] 신월동 2,848명 + 경호동 2,458명[1980월호동] 신월동 3,819명 + 경호동 2,784명[1985월호동] 신월동 4,145명 + 경호동 2,661명[1990월호동] 신월동 3,936명 + 경호동 1,959명[1995월호동] 신월동 8,190명 + 경호동 2,013명[1966만덕동] 오천동 1,199명 + 만흥동 1,742명 + 덕충동 2,908명[1970만덕동] 오천동 1,092명 + 만흥동 1,764명 + 덕충동 5,898명[1975만덕동] 오천동 1,203명 + 만흥동 1,773명 + 덕충동 7,398명[1980만덕동] 오천동 1,246명 + 만흥동 1,895명 + 덕충동 11,138명[1985만덕동] 오천동 1,299명 + 만흥동 1,754명 + 덕충동 12,023명[1990만덕동] 오천동 1,136명 + 만흥동 1,699명 + 덕충동 12,150명[1995만덕동] 오천동 972명 + 만흥동 1,379명 + 덕충동 9,853명[1990삼일동] 삼일동 10,502명 + 상암동 4,195명[1995삼일동] 삼일동 7,720명 + 상암동 3,480명[96] 다만, 이 덕택에 이전까지 생계형이라 제대로 건드릴수 없었던 속칭 고데구리라 불리는 무허가 소형기선저인망들을 상당수 줄일수 있었다고 한다.[97] 영화 너는 내 운명의 모티브가 된 사건이다.[98] 정확히는 총리가 해임건의를 했던 것. 다른 사람도 아니고 한 나라의 총리가 이럴 정도면... 그리고 무엇보다 그 건의를 수렴한 건 박근혜 대통령 본인이다.[99] 공정거래법 제45조는 불합리한 계약은 무효화가 가능하다고 나온다. 어느 한 쪽에게만 유리한 불공정계약도 공정거래법 제45조로 무효화가 가능하다.[100] 노원구 공무원 노동조합과 전북 고창군 공무원 노동조합이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01] 2021년 기준 서울특별시 25명 구청장들 중에서 강서구, 구로구, 서초구, 금천구, 중구를 제외한 20개 구청장 출신 지역이 호남이다. 16개 구청장은 광주광역시와 전남 출신이고, 4개 구청장은 전북 출신이다.[102] 기아 타이거즈 투수 양현종은 서울에서의 원정경기에 대한 부담감이 없냐는 기자의 질문에 워낙 기아 타이거즈 팬들이 많아서 원정경기인지 홈경기인지 헷갈릴 정도로 부담감이 전혀 없다고도 했다.[103] 그러나 500년이나 대대로 흘린 여수사람들의 피와 눈물과 한숨을 위로해 줄 생각 없이, 오직 가무(歌舞)와 시흥(詩興)만 탐하다가 여수군민들의 원성을 받기도 했다.[104] 여수가 고향으로 부친이 여수 학동 출신이라는 기사가 있다. 배우 이장우는 방송에서 본인은 전북 전주시에서 태어났고, 부친의 고향이 경북 문경시라고 했으나, 문경매일신문에는 이장우는 문경 출신이라고 기사가 났는데, 부친의 고향을 본인 고향으로 보기도 하므로 이 경우에 해당할 수도 있다.[105] 비례대표[106] 서울특별시 노원구청장을 역임했으며 국회의원 지역구도 서울특별시 노원구 병이다.[107] 노원구에 여수시 출신이 이분의 영향으로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서울특별시에서 순천시 출신과 더불어 여수시 출신도 가장 많이 사는 지역이 노원구이다.[108] 지역구: 서울특별시 송파구 갑.[109] 성장은 윗동네인 순천시에서 했다.[110] 미 해군 정보국 근무 중 대한민국에 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투옥되었다. 당시 여천고 학생들의 탄원서가 있었고 여수 각지에서 탄원서를 제출했다. 생방송 화제집중 1898회(2005년 11월 9일)에서 로버트 김의 이야기를 다루었다.[111] 지역구: 전라남도 여수시 을.[112] 개그맨 이진호가 명예 화성시민이 된 것과 같은 케이스로 명예 여수시민이다. 아버지가 여수 출신, 어머니는 경상도 출신이다.[113] 지역구: 전라남도 여수시 갑.[114] 서울특별시 출생이며, 초등학교까지는 서울에서 나왔다.[115] 국민의당 비례대표[116] 지역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을이다. 박정현 의원과 함께 대전광역시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 되었다. 남면 안도 출신.[117] 이를 연기한 배우 민도희 또한 여수시 출신이다.[118] 국내 로컬판. 26화 <엄마가 백화점에서!>편에서 고향에 계신 어머니께 롤케이크를 보내는 장면이 나왔는데 주소가 여수시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