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6cb2>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
돌산읍 | |||||||||||||||||||||||||||||||||||||||||||||||||||
면 | |||||||||||||||||||||||||||||||||||||||||||||||||||
남면 | 삼산면 | 소라면 | |||||||||||||||||||||||||||||||||||||||||||||||||
율촌면 | 화양면 | 화정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광림동 | 광무동 | 오림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국동 | 국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대교동 | 남산동 | 봉산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동문동 | 관문동 | 종화동 | 동산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둔덕동 | 둔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만덕동 | 덕충동 | 만흥동 | 오천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묘도동 | 묘도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문수동 | 문수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미평동 | 미평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삼일동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강동 | 서교동 | 봉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시전동 | 시전동 | 신기동 | 웅천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쌍봉동 | 학용동 | 안산동 | 소호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서동 | 여서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여천동 | 선원동 | 여천동 | 화장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월호동 | 경호동 | 신월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주삼동 | 주삼동 | 봉계동 | 해산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중앙동 | 중앙동 | 고소동 | 교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6cb2> 충무동 | 충무동 | 군자동 | 연등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한려동 | 공화동 | 수정동 | }}}}}}}}} |
여수시의 행정동 묘도동 猫島洞 | Myodo-dong | |||
<colbgcolor=#0f6cb1><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전라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여수시 | ||
행정표준코드 | 4810090 | ||
관할 법정동 | 묘도동 | ||
하위 행정구역 | 6통 12반 | ||
면적 | 11.54㎢ | ||
인구 | 1,074명[1] | ||
인구밀도 | 93.07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여수시 갑 | |
| 주철현 (재선) | ||
전라남도의원 | 제2선거구 | |||
| 서대현 (초선) | ||
여수시의원 | 라 선거구 | |||
| 구민호 (초선) | ||
| 송하진 (3선) | }}}}}}}}} | |
행정복지센터 | 묘도1길 67 (묘도동 915-1) | ||
묘도동 주민센터 |
1. 개요
묘도만(광양만), 묘도수도 해역의 묘도를 중심으로 한 섬 지역으로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원래 돌산군(突山郡) 태인면(太仁面)에 속한 섬이다. 1914년 묘도의 괭잇골, 온돌개, 읍포를 통합하여 여수군 삼일면(三日面) 묘도리가 되었으며, 1949년 여천군(麗川郡) 삼일면 관할이 되었다. 1976년 전라남도 여천지구출장소 삼일면 관할로 바뀌었다가 1986년 여천지구출장소가 여천시로 승격됨에 따라 삼일읍에서 독립하여 여천시 묘도동으로 개칭되었고 1987년 1월 지새미,쥐섬이 광양군 골약면으로 이관되었으며, 삼여 통합으로 1998년 여수시에 편입되었다.
묘도를 중심으로 송도, 목도, 서치섬, 황도, 소당도등 작은섬들이 있다.
2. 명칭유래
묘도(猫島)는 우리말 이름인 괴 섬을 한자로 표기한 지명으로 그동안 고양이 섬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는 잘못 전해진 이야기로 실제는 고양이와는 관계가 없는 땅이름이다. 묘도의 옛 이름은 괴 섬이라 하였는데, 괴 섬이란 말은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고어(古語)로 굴(窟)의 뜻이 있다.묘도를 괴 섬으로 부르게 된 것은 섬의 서쪽 해안에 바위굴인 괴 입이 있어서인데 괴 입의 괴를 본래의 의미인 굴로 생각하지 않고 고양이로 추측하여 한자표기도 고양이 묘(猫)자로 표기한 묘도가 되었던 것이다.
묘도 안에 있는 대표적인 마을 중 도독마을이 있는데 마을의 지명 유래는 다음과 같다. 1598년 9월 20일 진린이 묘도에 진을 치고 조·명 연합 육군과 연합 전선을 구축하였다. 10월 9일 고금도로 철수했다가 1598년 11월 11일, 다시 묘도에 진을 친 뒤 18일 노량해전에 참전하였다. 이로써 진린이 묘도에 진을 친 기간은 두 차례 27일이 되는데, 묘도의 도독마을이 바로 조·명 연합 함대의 사령부로 ‘도독’이라는 땅 이름은 진린의 직위인 ‘흠차총령수병어왜총병관전군도독부도독수군도독(欽差總領水兵禦倭總兵管前軍都督府都督水軍都督)’에서 비롯된 것이다.
3. 교통
여수시 교통체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016aac> 철도 | 일반열차 | 전라선(여천역, 여수엑스포역) |
도로 | 국도 | 17번 · 77번(한려해저터널) | |
지방도 | 22번 · 863번 | ||
버스 | 시내버스 | 여수시 시내버스 | |
순천 96, 순천 94, 순천 95, 순천 960 광양 270 | |||
시외 · 고속버스 | 여수종합버스터미널, 여천시외버스정류장 | ||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 |||
항공 | 여수공항 | ||
항구 | 여수항, 거문도항, 국동항 외 189개 |
전라남도의 교통 |
여수에서는 묘도대교, 광양에서는 이순신대교로 접근할 수 있고 광양항이 확장 공사중이다. 또한 여천여객이라는 마을버스도 운영중이다.
그런데 이순신대교의 문제점은 국도도, 국가지원지방도도, 지방도도 아니라서 완공 후 관리비를 떠안지 않기 위한 눈치싸움이 벌어졌고, 결국 전라남도, 여수시, 광양시가 관리비를 분담하고 있지만 화물차가 워낙 많이 다니는 도로이다보니 매년 관리비가 증가해서 골치아픈 상황이다. 때문에 해마다 59번 국도로 승격을 꾸준히 주장하고 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f6cb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wiki style="color:#0f6cb1;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시내 | 2 | 6 | 7 | 77 | 333 | |||||||||
555 | 555-1 | 666 | 666-1 | 777 | |||||||||||
999 | |||||||||||||||
화양 | 21 | 23 | 24 | 24-1 | 25 | ||||||||||
25-1 | 26 | 26-1 | 27 | 28 | |||||||||||
29 | |||||||||||||||
율촌 소라 | 31 | 32 | 33 | 34 | 35 | ||||||||||
36 | 37 | 38 | 330 | ||||||||||||
90 | 91 | 93 | 95 | ||||||||||||
삼일 | 61 | 68 | 73 | 76 | 610 | ||||||||||
여천 | 80 | 81 | 82 | 83 | 84 | ||||||||||
85 | 87 | 88 | 89 | ||||||||||||
1000 | 2000 | ||||||||||||||
돌산 | 100 | 102 | 103 | 105 | 106 | ||||||||||
109 | 111 | 111-1 | 112 | 115 | |||||||||||
116 | |||||||||||||||
마을버스 | 국동 200 | 화정면.고흥 220 | 묘도 600 | 고소동 1019 | |||||||||||
금오도.안도 365-1 | 연도 365-2 | 개도 365-3 | 거문도 365-4 | 초도 365-5 | |||||||||||
폐선 노선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1 | 3 | 5 | 8 | 9 | ||||||||||
10 | 13 | 15 | 16 | 17 | |||||||||||
18 | 21-1 | 22 | 35-1 | 36-1 | |||||||||||
50 | 52 | 62 | 65 | 72 | |||||||||||
75 | (구)77 | (구)83 | 84-1 | (구)85 | |||||||||||
85-1 | 86 | (구)87 | 88-2 | 92 | |||||||||||
100-1 | 101 | 107 | 110 | (구)111-1 | |||||||||||
113 | 114 | 888 |
}}}}}}}}} ||
*묘도동지역 어항보유현황
소규모어항 : 광양포항, 도독항, 묘읍항, 온동항, 장촌항
4. 관광
2013년 2월 월내동 여수국가산업단지와 묘도동 묘도 사이를 잇는 묘도대교가 정식개통하면서 여수산단의 야경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되면서 새로운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다.게다 2012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로 여수 관광의 가장 큰 난제 중 하나인 도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광양에서 묘도를 거쳐 여수시에 이르는 이순신대교가 설치되었다. 이순신대교는 주탑과 주탑사이 주경간장이 1,545m로 이는 묘도에 주둔했던 충무공(忠武公)의 탄신해인 1545년을 기념한 것이다.
유두산쪽에 묘도산성터가 있다
5. 주요기관
묘도우체국도 있었지만 인구.이용량 부족으로 폐쇄되었다.- 묘도동주민센터
- 묘도동주민자치센터
- 이순신대교 유지관리사무소
- 묘도보건진료소
- 여천농협 묘도지점
6. 교육
묘도중학교도 있지만 계속되는 인구 감소로 인해 삼일중 묘도분교로 전락했다가 죽림으로 이전 겸 통폐합되었다.- 상암초등학교 묘도분교장
7. 현황
한적한 어촌 마을이었으며 월내동에 있는 도선장에서 배를 타고 가야 했으나 2013년에 이순신대교가 개통되면서 북쪽으로는 광양항, 남쪽으로는 여수대교를 통해 여수산단으로 연륙되었다. 묘도 주변에 있는 섬은 황도, 목도, 송도, 소당도, 서치도, 가문도, 새섬이 있다.시가지 예정화지구로 지정되어 다리 개통시 시가지 지구로 예정되어 있으나 부족한 산단의 부지확보를 위해 산단지구로 변경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서 결국 신소재 및 복합에너지 산업단지를 유치하기로 결정하였다. 봉화산(246.3m), 도독산성, 괭잇골, 도독, 광양포, 온동, 창촌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그리고 묘도 서쪽해변에 산을 깎아 묘도녹색산단이 조성 중에 있다.
2024년 6월 20일 항만재개발지역에 수소산업 클러스터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어 개발속도에 탄력을 붙게 되었다.
여수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적은 법정동이자 행정동이지만, 법정동으로 머물고 있는 경호동과 달리 지리적인 여건이 도서로 구성되어 독립적인 행정동으로 존속하고 있다. 주민들은 어업보다는 농업에 더 많이 종사하며 쌀, 보리, 감자, 마늘 등이 생산된다. 주변 해역에서는 과거에는 굴, 꼬막, 피조개 등을 양식하고, 멸치, 붕장어, 낙지 등이 잡혔지만 묘도만(광양만)해역 주변의 여수산단과 광양제철소등에서 나오는 오염 물질 등으로 인해 수산 자원이 줄어들어 옛말이 되고 말았다.
여수국가산업단지와 광양제철소, 율촌지방공단에 둘러싸여 있는 광양만권의 중심도시로 동아시아의 물류 중심지인 여수반도와 광양항을 연계하는 거점·관문지역이며 광양과 여수를 잇는 연륙사업의 조기 실현 등 산업단지와 항만·관광이 연계되는 지역이다.
8. 출신인물
- 심재수 : 전)여수시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