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31 11:41:12

항구

시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교통 시설
도로 분류 자동차전용도로(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인도(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지하도 · 지하차도)
등급 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 농어촌도로 · 사도
시설물 교차로(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기타 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철도 분류 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형태 지하철 · 고가철도
시설물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항만 항구(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공항 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관제탑 · 계류장
기타 운하, 갑문
공간 시설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 공지
유통·공급 시설
유통·생산 공장 · 물류 터미널
공급 수도 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 저수조
전기 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 전봇대
방송·통신 방송국 · 기지국 · 송신소
시장 재래시장(도매시장) · 쇼핑몰(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유류 주유소
공공·문화 체육 시설
공공 기관 중앙관청지방관청(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우편집중국 · 우편취급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교육 유치원 · 학교 · 학원
문화 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체육 운동장(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장
복지 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방재 시설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 · 빗물펌프장 · 저류지
보건 위생 시설
의료 병원(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결혼 결혼식장
장례 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봉안당
기타 도축장
환경 기초 시설
하수도 하수 처리장 · 정화조
폐기물 처리 매립지 · 소각장
기타 폐차장 }}}}}}}}}

파일:busan port.jpg

대한민국부산항

1. 개요2. 특징3. 종류
3.1. 기능에 따른 분류3.2. 형태에 따른 분류3.3. 위치에 따른 분류
4. 시설물
4.1. 수역 시설4.2. 외곽 시설4.3. 접안 시설4.4. 하역 시설4.5. 보관 시설4.6. 유도 시설4.7. 기타
5. 목록6. 가상의 항구7. 언어별 명칭8. 관련 문서

1. 개요

항구(, port)는 가 드나드는 시설을 말한다. 역사적으로 수산업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지만, 20세기 이후에는 수산업을 배제한 채 순수하게 무역을 위한 항구도 발달하면서 지금은 둘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항구들이 운영되고 있다. 300,000 t짜리 VLCC 옆에 5 t짜리 어선이 나란히 접안할 수는 없으니 말이다.

의미상으로 항만과는 매우 헷갈리며, 보통 항만도 항구로 통칭하는 경우가 많다.

2. 특징

바다와 인접해서 배가 드나드는 도시를 항구도시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바다와 접한 나라들은 어디에나 있는 시설이기도 하다. 반면에 내륙국들은 바다와 접한 항구가 없기 때문에 바다를 맞대는 이웃나라들과 우호관계를 견지하며 항구를 빌려서 사용한다. 대표적인 예로 말리세네갈, 에티오피아지부티·케냐·소말릴란드, 우간다케냐, 말라위·르완다·부룬디·잠비아탄자니아, 보츠와나·짐바브웨·레소토·에스와티니남아프리카 공화국,[1] 벨라루스러시아, 체코폴란드, 세르비아불가리아,[2] 볼리비아아르헨티나·페루,[3] 오스트리아독일,[4] 라오스베트남, 네팔인도[5]의 사례가 있다.

심지어 다른나라 항구 빌려쓰기도 부담이라 운하를 파서라도 바다로 오가려는 나라들도 있으니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등의 일부 카스피해 국가들은 러시아의 볼가-돈 운하를 통해 해양으로 오고가고 하지만 한계점이 느껴 러시아를 거치지 않고 바로 흑해로 오고가는 유라시아 운하카스피해-아랄해 운하를 모색하고 있고 실패로 끝났지만 볼리비아, 파라과이를 중심으로 구상을 한 남미 대수로운하도 있으며 다뉴브강 하구에 주르줄레슈티항을 통해 바다로 오가는 몰도바도 있어 내륙항구들도 적잖게 있다.



모든 항구가 바다와 직접 면한 것은 아니다. 큰 강이나 호수에도 항구는 존재할 수 있다. 일부 내륙항은 운하나 자연 하천을 통해 바다와 연결해서 선박이 드나들기도 한다. 가령 벨기에의 안트베르펜이나 독일의 함부르크, 우크라이나헤르손도 해안과 직접 면하지 않고 강의 중하류 부근을 통해서 바다와 연결되며 탕가니카 호와 맞닿아 있는 부룬디의 도시 부줌부라나 빅토리아 호와 맞닿아 있는 탄자니아의 도시 므완자, 우간다의 수도인 캄팔라와 같이 커다란 담수 호와 면한 항구도시도 있다. 우리나라에도 있는데 바로 수도 서울서울항이다.

좋은 항구가 되기 위한 입지 조건은 의외로 까다로운 편이다. 일반적으로 만에 항구가 들어서게 되는데, 그 만으로 통하는 입구의 유속은 빠르면 안 된다. 또 외해에서 곧바로 항구로 들이치는 파도를 막을 섬이나 다른 지형의 도움이 있어야 하고, 또 현대에 이르러서는 수심이 깊고 조수 간만의 차가 적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부산광역시가 이 모든 조건에 맞는 모범 답안에 가까운 지형을 갖추고 있다.[6] 물론 20세기 이후에는 LA항처럼 대규모 토목공사로 이러한 입지조건을 극복하고 대단위 항구를 지을 수도 있지만, 북한 서해갑문의 사례처럼 돈도 적지 않게 들고 한반도 서해는 워낙에 대규모 항구를 만들기에 안 좋은 환경이라 여러모로 힘들다. 서울에서 가까운 인천항, 남부 지방의 목포항 등 서해안 항구보다 부산항이나 울산항 등 동, 남해안 항구가 물동량이나 규모가 더 큰 게 괜히 그런 게 아니다.

다른 예시로는 사우디아라비아담맘, 주바일처럼 항구로써의 입지 조건은 나쁘지 않지만 대양으로 나가려면 바다의 화약고를 지나야 하는 뭐 같은 경우도 있다. 결국 홍해 쪽에 항구를 파 송유관으로 연결했다.

좀 더 규모가 작고 어업목적의 항구들은 '어항' 또는 '포구'라고 쓴다. 반면 항구 중에서도 복합적이고 큰 역할을 할 경우에는 항만이라고 부른다. 흔히 아는 항구들은 대부분 항만에 속한다.

선박이 정박하는 곳 근처에는 주차금지다. 주차하면 선박과 충돌할 수 있다.#[7]

국가 사정으로 인해 감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8] 무역항들 중에는 배 없는 해적 입국관리관/검역관들이 부패한 경우가 상당히 많다. 선박이 입항 시 접대비용[9]이 한국, 일본, 미국, 영국 등 선진국 무역항에서는 아예 발생하지 않거나 정말 많아야 50~100달러 정도 발생하는 것에 비해, 후진국 무역항에서는 보통 몇 백 달러(담배 보루나 기타 기호품)에서, 많으면 몇시간 입항한 걸로 1000달러 이상까지(다과나 기호품이 아니라 아예 현금으로) 가져가는 경우도 많다. 안 주면 출항금지 처리로 하루가 급한 회사 입장[10][11]이라 선장, 선원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그냥 현금 주고 회사에서 보상받지만, 문제는 입항시에 보관함 자물쇠를 제대로 안 잠근 경우 선박 운행, 유지보수에 필요한 방청페인트, 윤활유, 선박 연료 같은 것도 도둑질해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들은 당장 선박 운용에 필요한 데다 특성상 유독성물질, 인화물질 등의 위험물인지라 다시 구매하려면 지정된 항구에서 복잡한 절차를 거쳐서 구매해야 해서 몇 배로 짜증나는 경우가 된다. 그렇다고 아예 입항을 안 하기에는 고작 몇 천 달러 때문에 보급이나 선적, 하역 등의 필요로 인해 안 할 수도 없다. 도선사에서 가라면 가야 한다. 이런 문제는 선장기관장이 합심할 정도로 선원 전반의 공통된 인식이며, 특정 국가나 인종 혐오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3. 종류

3.1. 기능에 따른 분류

3.2. 형태에 따른 분류

3.3. 위치에 따른 분류

4. 시설물

4.1. 수역 시설

4.2. 외곽 시설

4.3. 접안 시설

4.4. 하역 시설

4.5. 보관 시설

4.6. 유도 시설

4.7. 기타

5. 목록

5.1. 한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동해안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서해안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남해안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제주도 제주항 · 서귀포항
연안항
동해안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서해안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남해안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제주도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5.1.1. 국가어항

국가어항의 지정권자 및 개발주체는 해양수산부장관이고, 관리청은 광역시장 또는 시장·군수이다.

해양수산부장관이 지정·개발하는 국가어항은 1972년 최초로 62개 항을 지정하여 개발에 착수한 이후 109개 항을 지정하여 개발 중에 있다.

국가어항의 지정권자는 해양수산부장관이다. 국가어항의 구체적인 지정기준은 「어촌·어항법 시행규칙」 제10조의 [별표 1]에 규정되어 있다.

현지어선 척수 70척 이상
현지어선 총톤수가 동해안은 450톤 이상, 서해안은 280톤 이상, 남해안은 360톤 이상
외래어선 이용이 연간 100척 이상
어선어업 위판고가 연간 200톤 이상
「해운법」에 의한 여객선과 「유선 및 도선사업법」에 의한 유·도선의 총 운항 횟수가 일일 4왕복 이상
이상의 5개 기준항목 중 3개 항목 이상 충족하는 항·포구를 국가어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도서인 경우에는 위의 지정항목 중 50% 이상을 충족하면 된다.

시도별 국가어항 보유현황[14]
기타 : 바다가 없는 충북에서는 충주호를 효율적인 '내륙의 바다'라고 홍보한다. 또한 내륙 어촌 종합적 정비와 주민 삶의 질 향상과 내륙해양을 실현한다며 충주호(청풍호)와 대청호내수면 국가어항유치로 정부에 건의를 했다.

5.1.2. 지방어항

지방어항은 시도지사가 지정하여 개발하며 2011년 기준으로 현재 285개 항구가 지정되어있다.
지방어항이 되는 조건으로는 어촌 어항법 시행규칙 제10조의 별표에서 정하고 있으며 아래의 기준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하면 지방어항으로 지정될 수 있다. 단 도서지역의 경우는 인구상 한계가 있고 사실상 바다에 접하여 살아가다보니 아래 기준 중 절반정도만 만족하면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본다.

5.1.3. 어촌정주어항

어촌의 생활 근거지가 되는 소규모 어항이다. 지정권자, 개발 주체 및 관리청은 시장·군수·구청장이다.

개발 연혁: 시장·군수·구청장이 지정·개발하는 어촌정주어항은 2002년에 최초로 213개 항을 지정한 이후 2010년 12월 말 기준 576개 항이 지정되어 있으며, 2010년부터 광특회계 재원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지정 현황: 어촌정주어항은 2011년 말 현재 576개 항이 지정되어 있다.[16]
지정 기준: 어촌정주어항의 구체적인 지정기준은 「어촌·어항법 시행규칙」 제10조의 별표에 나타나 있다.

현지어선 척수 20척 이상인 항·포구(어업의 근거지 또는 해상교통·관광·유통의 입지여건을 갖추어 개발 잠재력이 높은 항·포구로서 시·도지사와 협의한 경우에는 현지어선 10척 이상)

관계 법령: 어촌·어항법, 어항관리조례 (시·군·구 조례)

업무 분담: 시장·군수·구청관할로 어항구역 지정 및 변경, 어항개발계획 수립, 어항시설 사용 협의 승인, 어항시설 공사 시행, 어항시설 사용 허가, 어항 관리 전반

투입 재원: 국비 80%, 지방비 20%

5.1.4. 소규모어항

대한민국의 어항 중 어촌·어항법에 따라 국가어항, 지방어항, 어촌정주어항으로 지정된 법정항을 제외한 나머지 비법정항을 말한다. 2010년 12월 말 1,255개항이 있으며[17] 이 중 육지에 546개항, 도서지역에 709개항이 있다. 소규모어항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부담하고 있다.

그 외에도 소규모어항에도 끼어들지 않는 소규모 포구와 나루터들도 있다.

5.2. 외국

5.2.1. 아시아

5.2.1.1. 말레이시아
5.2.1.2. 레바논
5.2.1.3. 요르단
5.2.1.4. 이라크
5.2.1.5. 이스라엘
5.2.1.6. 일본
5.2.1.7. 중국
5.2.1.8. 싱가포르

5.2.2. 아메리카

5.2.2.1. 미국
5.2.2.2. 캐나다
5.2.2.3. 멕시코
5.2.2.4. 브라질
5.2.2.5. 파나마

5.2.3. 유럽

5.2.3.1. 영국
5.2.3.2. 독일
5.2.3.3. 네덜란드
5.2.3.4. 벨기에
5.2.3.5. 스페인
5.2.3.6. 러시아
5.2.3.7. 그리스
5.2.3.8. 몰도바

5.2.4. 오세아니아

5.2.4.1. 호주

5.2.5. 아프리카

5.2.5.1. 라이베리아
몬로비아
5.2.5.2. 남아공
5.2.5.3. 이집트

6. 가상의 항구

※ 실제로 있는 항구와 가상이라 할지라도 항구도시는 항구도시에 기재한다.

7.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항구(), (港)
한자 (항구), 港(항)
그리스어 λιμάνι(limáni, 리마니), λιμένας(liménas, 리메나스)
λιμήν(limḗn, 리멘)(고전 그리스어)
라틴어 portus(포르투스)
러시아어 порт(port), га́вань(gávanʹ)
마인어 pelabuhan, bandar
몽골어 боомт(boomt)/ᠪᠣᠭᠤᠮᠲᠠ(boɣumta)
베트남어 cảng()
스페인어 puerto(푸에르토)
아랍어 مِينَاء(mīnāʔ)
아이누어 tomari(토마리)
영어 port(포트), harbor(하버)
hæfen(고대 영어)
이탈리아어 porto(포르토)
일본어 [ruby(港口, ruby=こうこう)], [ruby(津, ruby=つ)], [ruby(港, ruby=みなと)](minato, 미나토)
중국어 (gǎngkǒu), 港(gǎng), 口岸(kǒu'àn), 港埠(gǎngbù)
튀르키예어 liman(리만)
لیمان(liman), مرسی(mersa)(오스만어)
페르시아어 بَنْدَر(bandar), بَنْدَرْگاه(bandargâh)(이란)
بَنْدَر(bandar), بَنْدَرْگَاه(bandargāh)(고전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porto(포르투)
프랑스어 port
핀란드어 satama
히브리어 נָמֵל(namél)

튀르키예에서는 오스만 제국 시기에 그리스어 어휘 λιμάνι(limáni, 리마니)를 받아들여 liman(리만)을 쓴다.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에서는 과거에는 우즈베크어 bandargoh같이 페르시아어 bandar나 bandargâh에서 따온 단어를 썼다가 현대엔 주로 port를 받아들여서 쓴다.

8. 관련 문서



[1] 더반, 케이프타운 등의 남아공의 항구 도시들을 빌려서 쓰고 있다.[2] 유고 연방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아드리아 해와 면한 크로아티아와 몬테네그로 등이 독립하면서 내륙국이 되었는데, 문제는 면적이 넓은 아드리아 해의 해안선들 대부분을 갖고 있는 크로아티아와 몬테네그로가 당시 유고 연방을 주도했던 세르비아와 전쟁을 치르거나 정치적 갈등을 빚고 독립해버릴 정도로 세르비아에 대한 적대감과 증오심이 큰 탓에 세르비아는 아주 비좁은 보스포러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 빼고는 지리적으로 사실상 대양과 통하는 길이 없어 고립되다시피한 흑해와 맞댄 다른 이웃국가인 불가리아로부터 흑해 항구들을 울며 겨자먹기로 빌려서 쓰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세르비아는 불가리아 방면을 통한 흑해 항만 사용에 한계를 느꼈는지 아드리아 해에 있는 항구 사용권을 확보하기 위해 아드리아 해를 영유하고 있는 크로아티아 및 몬테네그로 등 구 유고권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고 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먼 상황이다.[3] 아르헨티나와는 대서양 방면을 통해 스페인 밎 유럽 국가와 마이애미, 뉴욕 등 미국 남동부 지역 해안 도시들과 교역을 하기 위해 항만을 빌려쓰고 있고, 페루와는 태평양 방면으로 태평양 연안국가들과 해상무역을 위해 항구를 빌려서 사용하고 있다. 사실 해안선을 맞댄 이웃나라들로 칠레와 브라질도 있긴 한데 칠레는 태평양 전쟁 당시 옛 볼리비아령이었다가 칠레에 합병됐던 안토파가스타주 등 태평양과 맞닿은 현 북칠레 지역들을 둘러싸고 영유권 분쟁을 오랜 기간 빚어온 탓에 사이가 매우 나쁘고,(이 일대 지역이 태평양 전쟁 당시 칠레에게 병합되면서 볼리비아는 해안선과 단절된 내륙국이 되었다.) 브라질은 국토 면적이 너무 큰데다 볼리비아 본국과 브라질 항만 사이에 거리가 너무 멀어 지리적으로 그나마 가깝고 외교적으로도 사이가 나쁘지 않은 아르헨티나와 페루의 항구들을 빌려서 사용하고 있다.[4] 바다를 접한 이웃국가들로 이탈리아와 슬로베니아도 있지만, 독일은 오스트리아처럼 언어도 같은 독일어를 사용하는 터라 오스트리아는 주로 브레머하펜과 킬, 함부르크, 로스토크 같은 독일 항구들을 빌려 사용한다.[5] 네팔의 이웃나라들 중 중국도 바다가 있지만 상하이나 광저우, 칭다오, 옌타이 같은 중국 항구들을 사용하기에 이들 항구 도시가 있는 중국 동남부의 해안 지역과 네팔 본국 사이에 거리가 너무 멀어 그나마 지리적으로 가까운 인도의 항구들을 빌려 쓰고 있다.[6] 서해안처럼 조수간만의 차가 크거나 수심이 너무 얕지 않으면서 영도남구가 남쪽과 동쪽 외해로부터의 자연 방파제 역할 지형에 해당한다.[7] 댓글에 선박을 고정하라는 댓글도 있지만 선박을 고정시키면 밀물 때 그냥 가라앉는다.[8] 인도, 스리랑카,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 등.[9] Item Free. 음료, 다과 비용 등. 그러니까 배에 올라탄 손님에게 차와 간식 한번 대접하는 목적으로 나가는 비용[10] 한번 출항에 천문학적인 금액을 굴리고, 에버기븐 사고같은것만 봐도 알 수 있듯이, 하루를 늦어도 미친듯한 배상금을 내야 하는 도선사는 그냥 접대비 몇천 달러 주는 게 훨씬 싸게 먹힌다.[11] 출항금지 말고도 밀수혐의 등 항구가 배를 X되게 만드는 방법은 정말 무궁무진하다.[12] 태풍이나 풍랑 발생 시 어선들이 인근 항포구로 피항간다는 보도가 나오는데 이때 우선적으로 가게 되는 곳이다.[13] 이런 항들은 조수간만의 차가 크기 때문에 항구 입구에 lockgate를 설치하여 수위를 조정한 다음에 통항하게끔 되어 있다. 특히 한국의 황해는 엄청난 조차로 인해 대형 상선 항만은 인천항, 아산만의 평택항, 금강 하구의 군산항 외에는 드물다. 인천항이 부산항을 따라잡지 못하는 까닭은 이것.[14] 전남이 32곳으로 가장 많이 보유 중[15] 아무래도 해당 해역의 파도 세기 때문인것으로 추정된다. 해군에서도 서해에서 배 묶는 홋줄로 동해에서 배를 접안하면 줄이 끊어진다는 카더라가 있다.[16] 이중 경남이 340여개항으로 가장 많고 다음엔 전남으로 80여개항이다.[17] 이 중 전남이 1089여개항으로 가장 많고 다음엔 경남순이다.[18] 중국의 두만강지린성 훈춘시 방천(팡촨)과 똑같은 지리적인 케이스로 1996년 이래로 국토 최남단 주르줄레슈티에서 450m에 존재하는 도나우강 강변에 항구를 건설하여 대외 무역에 이용하고 있다. 이곳도 원래는 우크라이나 영토였던 걸 2005년 영토 교환을 통해 얻어낸 곳으로, 그 이전엔 도나우 강 하류를 통해 흑해로 나가는 것조차 차단된 완벽한 내륙국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