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국가별 수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북아프리카 | ||
리비아 | 모로코 | 튀니지 | |
트리폴리 | 라바트 | 튀니스 |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이집트 | |
하르툼 | 알제 | 카이로 | |
서사하라 | |||
티파리티 | |||
동아프리카 | |||
에리트레아 | 지부티 | 소말리아 | |
아스마라 | 지부티 | 모가디슈 | |
남수단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
주바 | 아디스아바바 | 캄팔라 | |
케냐 | 르완다 | 부룬디 | |
나이로비 | 키갈리 | 기테가 | |
탄자니아 | 말라위 | 모잠비크 | |
도도마 | 릴롱궤 | 마푸투 | |
세이셸 | 모리셔스 | 코모로 | |
빅토리아 | 포트루이스 | 모로니 | |
마다가스카르 | 소말릴란드 | ||
안타나나리보 | 하르게이사 | ||
서아프리카 | |||
카보베르데 | 나이지리아 | 말리 | |
프라이아 | 아부자 | 바마코 | |
부르키나파소 | 니제르 | 감비아 | |
와가두구 | 니아메 | 반줄 | |
세네갈 | 기니비사우 | 기니 | |
다카르 | 비사우 | 코나크리 | |
시에라리온 | 라이베리아 | 코트디부아르 | |
프리타운 | 몬로비아 | 야무수크로 | |
가나 | 토고 | 베냉 | |
아크라 | 로메 | 포르토노보 | |
모리타니 | |||
누악쇼트 | |||
중앙아프리카 | |||
카메룬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야운데 | 은자메나 | 방기 | |
상투메 프린시페 | 적도 기니 | 가봉 | |
상투메 | 말라보 | 리브르빌 |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브라자빌 | 킨샤사 | 루안다 | |
남아프리카 | |||
나미비아 | 보츠와나 | 짐바브웨 | |
빈트훅 | 가보로네 | 하라레 | |
잠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
루사카 | 프리토리아 행정 케이프타운 입법 블룸폰테인 사법 | 마세루 | |
에스와티니 | |||
로밤바 왕정·입법 음바바네 행정 | |||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 유럽의 수도 | |||
}}}}}}}}} |
몬로비아 (라이베리아) Monrovia |
위 사진 오른쪽 빨간 HOPE 건물은 꽤 유명한 건물이다. |
1. 개요
라이베리아의 수도이다. 시차는 한국과 9시간 차이 나며, 몬로비아 시간대가 더 느리다. 인구는 2024년 기준 약 173만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미국 제5대 대통령 제임스 먼로다.19세기에는 그저 지방 소읍 정도의 규모였고, 미국계 라이베리아인들이 과반을 점유했지만, 20세기 들어 지방민들이 몬로비아로 오면서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1989년부터 2003년까지 이어진 내전의 여파로 전투가 이어지며 상당수의 기반시설이 파괴되었고, 내전 종식 이후로 인프라는 복구되었지만, 복구만 되었을뿐, 인구대비로는 매우 부족해서 교외지역의 쓰레기 처리와 위생문제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2. 산업
항구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그 밖에도 어업, 서비스업, 무역업이 있다. 하지만 아직도 나라 자체가 최빈국이다.그외 편의치적 목적으로 몬로비아 항구를 모항으로 하는 외국 선박들도 많다. 인천항 부산항을 가보면 선박 후미에 선박이름과 Monrovia라고 적혀있는 선박들을 볼수 있는데 이게 다 편의치적목적으로 몬로비아를 모항으로 하는 선박들이다.
3. 의료
라이베리아 입국 시에는 황열병 예방접종 여부를 확인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여행 전 접종이 필요하다. 라이베리아 내 모든 의료시설은 라이베리아 경제 때문에 매우 열악하기 짝이 없고, 의료시설에서 보관하고 있는 혈액은 매우 위험해서 절대로 혈액을 이용한 치료를 하면 안 되며[1] 약품 재고도 거의 없어서 여행할 때에는 비상약품을 반드시 휴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큰 부상이라도 당할 경우 의료 후송기를 이용해 스페인이나 아랍에미리트로 가야 한다.또한 말라리아 위험지역이라서 말라리아 억제약을 복용하면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장티푸스와 콜레라 등의 전염병이 만연하는 곳이기에 반드시 음식물을 익혀서 먹고 위생에 주의해야 하며, 식수는 병으로 판매되는 물만 사용하는 것이 권고된다고.
4. 치안
서아프리카에서 코트디부아르의 아비장, 세네갈의 다카르와 같이 그나마 치안이 안전한 곳이며, 아비장보다는 훨씬 위험하고 누악쇼트보다는 조금 안전한 수준으로 사실 옆 나라들 때문에 안전하다고 하는거지 실상은 안전한 편도 아니다.[2] 과거 라이베리아 내전과 보코 하람때문에 곯머리를 앓았지만, 2010년도에 들어서면서 보코 하람의 근거지가 차드와 나이지리아, 아자와드, 니제르, 중아공, 부르키나 파소 등으로 옮겨지고 내전도 거의 종식되어 안전해진 편이다.하지만 타국에서는 경범죄가 늘어나는 대신 여기서는 강력범죄가 증가 추세다. 아직은 별로 없지만 몇년 후까지 내다보아야 할 것이다.
5. 관광
일단 볼 거리 자체가 거의 없다. 여기 가는 사람들도 개발도상국 아프리카 지역을 느끼기 위해서 가는 거니 말 다했다. 게다가 최근 외국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강간도 많아지고 있다.물가는 서아프리카에서는 괜찮은 편이지만 우리에게도 꽤 높고, 최근 들어 서아프리카 공통으로 경범죄율이 높아져서 치안이 영 좋지 못하다.
특히 지방 관광은 절대 하지 말자. UN 평화유지군만이 유일하게 치안을 담당하며, 일부 지역은 아예 치안공백 상태이다. 사실상 공권력은 몬로비아에만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