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08:31:43

철교


1. 철도가 지나는 다리
1.1. 개요1.2. 종류1.3. 목록
1.3.1. 서울특별시
1.3.1.1. 철교1.3.1.2. 대교1.3.1.3. 교
1.3.2. 수도권1.3.3. 강원특별자치도1.3.4. 충청도1.3.5. 경상도1.3.6. 전라도1.3.7. 이북지역
2. 철로 만든 교량3. 관련 문서

1. 철도가 지나는 다리

1.1. 개요

파일:ㄷㅅㅊㄱ 2022.jpg
[1]

열차가 다니는 교량이며, 보통 하천을 지나는 다리를 의미한다. 철도가 지나고, 그곳에 열차가 다니는 교량이다보니 원래는 철도교(鐵道橋)가 맞는 말인데 이를 철교(鐵橋)라고 줄여쓴다. 영어로는 Railway Bridge라고 한다. 도로만을 상부 통과하는 교량은 가도교(架道橋)라고 불린다. 하천을 지나지 않고 단순 지면으로만 지나가는 교량은 그냥 고가철도(高架鐵橋)라고 불린다.

1.2. 종류

파일:external/c2down.cyworld.co.kr/download?fid=64222288b83fe31191dd22b088f53742&name=DSC_0241.jpg
무도상철교에서나 볼 수 있는 레일형태의 구조물. 벌교역 동편의 벌교천을 건너는 철교에서 촬영되었다.

1.3. 목록

1.3.1. 서울특별시

수도권 전철 5호선[8], 서울 지하철 6호선, 수도권 전철 8호선[9], 서울 지하철 9호선은 지상구간에서 하천을 건너지 않아 철교를 통과하지 않는다. 5호선, 6호선과 9호선은 차량기지 및 그와 인접한 구간을 제외하면 지상구간이 없다. 특히 5호선은 지상역도 없다. 8호선은 차량기지를 제외하면 남위례역 인근에 지상구간이 있으나 여기는 강이 있는 지역이 아니라 지형의 고저차가 심해 모든 구간을 지하로 건설하기 어려워서 지상으로 나오는 것이다.

이 문단의 철교들 중 특별히 횡단하는 하천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한강을 횡단하는 교량이다.
1.3.1.1. 철교
1.3.1.2. 대교
1.3.1.3.

1.3.2. 수도권

1.3.3. 강원특별자치도

1.3.4. 충청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모든 하천을 하저터널로 통과하므로 교량을 지나지 않는다.

1.3.5. 경상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온천천 위를 지나는 동래역~구서역 구간은 고가로 통과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양산천을 철교로 횡단하나 이름이 불분명하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석대역 이후로 종점인 안평역까지 전 구간이 고가로 통과하므로 서술하지 않는다.

1.3.6. 전라도

1.3.7. 이북지역

2. 철로 만든 교량

Iron Bridge. 제목 그대로 을 사용하여 만든 교량이다. 보통 트러스교현수교 등 등에서 주로 쓰인다.

대표적으로 미국에 있는 금문교는 철제이다. 그런데 해안에 있는지라 소금기를 잔뜩 머금은 바닷바람과 수시로 맞닥뜨리고 있어서, 부식 방지를 위한 도색 작업을 수시로 해줘야 한다더라.

영국 버밍엄 외곽에 있는 아이언브릿지는 세계 최초의 철교이다. 아이언브릿지가 있는 마을의 이름도 이를 기념하여 '아이언브릿지'이다. 근처에 아이언브릿지와 관련된 작은 박물관이 있다.

3. 관련 문서


[1] 사진 속 철교는 당산철교. 서울 2호선 열차[2] 다시 지은 적이 있다고 쳐도, 서부경전선의 특성상 그마저도 최소 30년 이상 되었을 거다. 2019년 10월 1일 기준으로 드디어 보수공사를 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되었다.[3] 영종대교 공항철도 선로가 무도상교량이다.[4] 부득이하게 철도 노반을 굴착해야 될 일이 있을 때 그곳에 임시로 가설한 교량. 보통은 짧게 쓰고 다시 덮어버리기 때문에 설치나 해체가 쉽다. 선암역 신역사 공사 당시 임시가설교량을 설치한 바 있다.[5] 신도림으로 가는 열차가 지하로 들어가기 직전에 철교를 잠깐 건넌다.[6] 근데 영종대교(도로는 2000년, 철도교는 2007년에 지어졌다.)는 이례적으로 무도상 교량인데, 영종대교는 현수교라서 무거운 자갈이나 콘크리트도상을 올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7] 도카이도 신칸센 신후지~시즈오카 구간에 있는 후지가와 교량(富士川橋梁)이다. 이외에도 도카이도 신칸센이 지어진 지 워낙 오래되었다 보니 저런 무도상 트러스교가 꽤나 있다.[8] 광나루-천호 구간, 마포-여의나루 구간 등 전 구간을 하저터널로 통과한다.[9] 현재에도 앞의 네 노선과 마찬가지이며 별내선 연장 이후로도 한강을 하저터널로 건너므로 철교를 통과하지 않는다.[10] D선은 비교적 최근인 1994년에 지어졌고 전체적인 모습도 요즘에 지어지는 철교의 모습과 비슷해서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될 이유가 없었다.[가칭] [12] 신이문역이 가까우나 정차할 수 없다.[13] 관련기사[14] 구 안양천교는 철골 구조로 만들어진 판형교라서 열차가 지나갈 때 쇠 긁는 소리가 아주 진품이었다. 손톱으로 철판 긁는 소리를 200dB로 올렸다고 생각해보라.[15] 아직 공식화 되지 않은듯 보여서 취소선 표시.[16] 철골 구조물과 레일이 완전히 붙어 있는 구조. 참고로 일본의 세토대교도 비슷한 궤도를 사용 중이다. 영종대교는 현수교라서 무거운 도상을 올릴 수 없었다.[17] 강릉남대천을 3번 건너는데 그중에 2개가 교량, 1개가 하저터널이다.[18] 네이버지도 치악역 검색 후 구내건널목에서 북쪽으로 가선 지지대 4칸째 지점부터 북단부 전부 라멘식[19] 다만 좀 애매한데 트러스 구간만 무도상이었다.[20] 정확히는 아산만방조제 안쪽이기 때문에 약간 애매하다.[21] 나머지 하나는 인천국제공항선 마곡철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