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16:04:57

삼산역(중앙선)

폐역 (舊)판대 - [ruby(간현, ruby=~2011)] - [ruby(동화, ruby=~2021)] - 만종
삼산역
태백선
무궁화호
역명 표기
중앙선 삼산
Samsan
三山 / [ruby(三山, ruby=サムサン)]
주소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 산91-1[1]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250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원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중앙선 1965년 11월 30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22년 11월 5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승강장 구조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청량리 방면
양 동
← 3.9 ㎞
중앙선
삼 산
모량 방면
서원주
7.2 ㎞ →
파일:attachment/samsanj.jpg
현 역사(2011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연계 교통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장항선 삼산역 때문에 판대역으로 개업, 2013년 장항선 삼산역 폐역으로 역명 변경
삼산역은 1965년 12월 판대역이라는 이름의 중앙선 보통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교통이 불편하던 인근 마을 주민들의 발로 역할 해왔다. 2001년 이용객 감소로 인해 신호장으로 변경되었다가 2008년 무배치간이역으로 변경, 2011년 현재의 자리로 이설된 이듬해 용문-서원주 간 복선전철이 개통되었다. 역사가 자리한 곳은 일제강점기 시절 원주군 지정면 판대리에서 삼산리로 개편되었던 곳이었지만 이미 장항선에 삼산역이 있었기 때문에 판대역으로 불렸다. 그러나 장항선 삼산역이 2006년 문을 닫으면서 지역실정과 대표성을 감안하여 2013년 판대역이 삼산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중앙선의 철도역.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 산91-1 소재.

2. 역 정보

파일:판대역(역전).jpg
파일:판대역사(구내).jpg
구 역사 (1965년 준공)

1965년 11월 30일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 산86-4에서 판대(判垈)역이라는 역명으로 개업하였다.[2]

1991년 1월 1일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2001년 9월 8일 신호장으로 변경되었다.

2005년 4월 19일부로 간현역 관리역으로 지정되었고 2008년 3월 10일부로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변경되었다.

2011년 12월 21일에 중앙선 복선전철화로 인해 현 위치로 이전하였는데 신 역사는 역 구내에서 도 경계가 지나가서 역 구내의 일부 부지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속이다.

2013년 11월 20일부로 양평군의 역명 개정 건의가 반영되어 삼산역으로 역명이 개정되었다.[3][4]

2014년 8월 1일에 열차운전시행세칙이 개정되면서 동화역 산하에서 양동역 산하로 변경되었다.

야간에는 굉장히 어두운데다 조명은 열차가 진입할 때 양동역에서 원격으로 조정하며, 나머지 시간대에는 불이 꺼져있다고 한다.

수요 자체는 적지만 이 동네는 버스도 잘 안 들어오기 때문에 ITX-새마을과 일부 무궁화호만 이 역에 정차하며 무배치간이역이므로 열차를 일단 타고 열차 안에서 차내대용권을 발권해야 한다.[5]

2.1. 승강장

양동
4 3 2 1
서원주
1·2 중앙선 파일:ITX-새마을 BI.svg 원주·안동 방면
태백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제천·태백·동해 방면
3·4 중앙선·태백선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양동·양평·청량리 방면

3. 역 주변 정보

파일:삼산역 시도경계.png
삼산역 주변의 광역자치단체 경계선. 그림 중앙에 보이는 경계선이 바로 경기도-강원특별자치도 경계이다. 역 구내의 시점(선로 분기기 위치)은 지정로 쪽(지도에서 서북-동남으로 뻗은 도로)에 접해 있어서 의외로 원주시의 지분이 꽤 된다.

별 볼 일 없어 보이는 삼산역이지만, 이 역은 의외의 폭탄이다. 역 자체가 경기도강원특별자치도 양 도에 걸쳐있는 바람에 도로명주소 부여도 안 되는 등 여러가지로 복잡하다.

삼산역이 위치한 곳은 경기도와 강원특별자치도의 경계선에 거의 인접해 있고,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에서 철도와 나란히 지나가는 도로를 내려다보면 경기도 양평군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로 넘어간다는 안내판을 볼 수 있다.

삼산역 간이역사와 시설물, 승강장은 경기도 양평군에 있지만, 삼산역에서 서원주역 방면으로 이어지는 선로는 원주시에 위치해 있다.

삼산역 구내에서 행정구역 경계선이 지나가며, 결론적으로 삼산역 역 구내의 88%는 경기도 양평군이지만 12%는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포함되어 있어서 역 유지보수를 위해 삼산역 관련 행정처리를 할 때마다 경기도청강원특별자치도청 양 측에 협의를 신청해야 한다.

이 때문에 양평군과 원주시 간 경계 미세조정을 위한 협의가 2012년부터 진행중이나 2021년 지금도 전혀 진척이 없다. 경계조정을 통해 역 구내를 전부 양평군에 넘기려 해도 양평군에서 원주시로 넘겨줄 토지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삼산역 주변은 농촌이며 가구 수는 약 200가구 정도이다. 바로 주변이 죄다 군부대라 민가가 아예 없는 지평역보다도 민가가 가까이 위치해 있다.

삼산역 바로 동쪽에는 경기도 양평군 소속인 파크드차밍이라는 애견카페,팔레드차밍이라는 애견동반 콘도가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
2004년 7명
2005년 11명
2006년 11명
2007년 8명
2008년 7명
2009년 8명
2010년 8명
2011년 9명
2012년 11명
2013년 11명
2014년 9명
2015년 9명
2016년 7명
2017년 9명
2018년 9명
2019년 9명
2020년 8명
2021년 12명
2022년 6명 9명 15명 [6]
2023년 5명 5명 10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연계 교통

삼산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노선
삼산리다리앞 (46568)
삼산2리 (00016)
삼산2리 (00014)
버스로 찾아가려면 여러모로 불편한 역이다. 삼산리에서는 하루 2번 양동행 금강고속 농어촌버스(양평 버스 22-2), 하루 2번 58번 버스, 오후에 1번 57번 버스가 다닌다. 구 판대역에서 원주 방면으로 800m 걸어간 판대리에서는 하루 3번 원주행 57번 버스를 탈 수 있다.

6. 둘러보기

중앙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서경주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경주}}}}}}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X
광역전철 전용역: 파일:GJ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정차, 파일:GyeongchunLine_icon.svg:수도권 전철 경춘선 정차, 파일:Seoulmetro1_icon.svg:수도권 전철 1호선 정차, 파일:Seoulmetro8_icon.svg:수도권 전철 8호선 정차 ||}}}}}}}}} ||



[1] 도로명주소 미발급. 일부 포털사이트 지도 서비스에서 '삼산역길 193'이라고 안내하고 있는데, 여긴 역사 이전 전 舊 판대역의 주소이므로 잘못된 정보다.[2] 1965년 개업 당시 삼산리에 속해 있었으나 개업 이전에 이미 장항선에 삼산역이 1965년 9월 21일에 재개업했던 터라 역명중복을 피하기 위해 판대역으로 개업한 것.[3] #[4]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67호[5] 대신 차내에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코레일톡 어플을 이용해도 된다.[6] ITX-새마을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5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