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역 | 운학 - |
봉양역 | ||
청량리 방면원 주 ← 30.5 ㎞ | 안동 방면 | |
제 천 6.9 ㎞ → | ||
중앙선 무궁화호 | ||
부전 방면 | ||
서울·동대구 방면 삼 탄 ← 14.4 ㎞ | 충북선 무궁화호 | 영주 방면제 천 6.9 ㎞ → |
역명 표기 | ||
중앙선 | 봉양 Bongyang 鳳陽 / [ruby(鳳陽, ruby=ポンヤン)] | |
충북선 | ||
주소 |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주포로8길 58 (장평리) | ||
관리역 등급 | ||
배치간이역 (제천조차장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충북본부) | ||
운영 기관 | ||
중앙선 | 한국철도공사 | |
충북선 | ||
개업일 | ||
경경선 | 1941년 7월 1일 | |
충북선 | 1958년 1월 1일 | |
2022년 11월 5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1] | |
승강장 구조 | ||
2면 6선 상대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청량리 방면운 학 ← 14.8 ㎞ | 중앙선 봉 양 | <width=120px>모량 방면제천조차장 4.5 ㎞ → |
조치원 방면공 전 ← 8.6 ㎞ | 충북선 봉 양 | <width=110px><width=110px>종점[2] |
[clearfix]
1. 개요
현 역사 (1998년 준공) |
1941년 중앙선의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2021년 중앙선 복선전철사업으로 탈바꿈
봉양역은 1941년 7월 중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44년 역사를 신축하고 1958년 목행-봉양 간 충북선 개통에 이어 1968년 봉양-제천 간 중앙선이 개통되면서 꾸준하게 성장해왔다. 충북선과 중앙선의 분기역으로 철도 여객, 화물 수송의 큰 역할을 맡고 있는 횡축 간선망 봉양역. 옛 역사는 108㎡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기와단층의 역사였으며 현재의 시멘트 벽돌조 슬라브 단층 역사로 새롭게 지어진 것은 1998년이었다. 이후 2015년부터 진행된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2021년 타는 곳을 새롭게 정비하여 6년 만에 영업을 재개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중앙선과 충북선의 철도역,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주포로8길 58 소재.2021년 중앙선 복선전철사업으로 탈바꿈
봉양역은 1941년 7월 중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44년 역사를 신축하고 1958년 목행-봉양 간 충북선 개통에 이어 1968년 봉양-제천 간 중앙선이 개통되면서 꾸준하게 성장해왔다. 충북선과 중앙선의 분기역으로 철도 여객, 화물 수송의 큰 역할을 맡고 있는 횡축 간선망 봉양역. 옛 역사는 108㎡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기와단층의 역사였으며 현재의 시멘트 벽돌조 슬라브 단층 역사로 새롭게 지어진 것은 1998년이었다. 이후 2015년부터 진행된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2021년 타는 곳을 새롭게 정비하여 6년 만에 영업을 재개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역세권이 별로 크지 않고 봉양읍 자체가 제천시내와 가까운 곳이라서 여객열차가 자주 정차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역은 충북선의 종점이자 중앙선과 연결되는 이유로 운전취급상 매우 중요하다. 특히 중앙선 및 충북선의 역할을 생각하면 더더욱.예전에 중앙선이 단선이던 시절에 중앙선과 충북선은 이 역에서 평면교차를 했다. 그리고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이 진행되면서 중앙선이 내측으로 운행하고, 충북선은 외측으로 분기하는 구조로 변경되었으며, 이를 위해 충북선 상행선 일부가 이설되었다.
2015년 5월까지 무궁화호가 7회 정차했지만, 중앙선 서원주역~봉양역간 복선전철화 공사에 들어가면서 선로 연결 공사 때문에 2015년 6월 1일자 개정 시각표부터는 봉양역에 정차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하고 있다. 2017년 10월 즈음부터 상하행 모두 이 역과 제천조차장역 사이의 선로가 이설되었으며, 장내 구조도 기존 2면 9선의 승강장에서 2면 6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바뀌었다.
예전 비둘기호가 폐지된 시점부터 통일호가 폐지되기 직전까지, 제천역과 이 역 구간에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전산통일호[3]와 특정통일호[4]가 공존(즉 같은 통일호인데 열차마다 운임이 달랐다는 말)하였다. 중앙선 통일호는 특정통일호로, 충북선 통일호는 전산통일호로 운행했는데 둘 다 봉양역에 반드시 정차했기 때문이다.[5]
2021년 1월 5일부터 서원주-제천 복선전철 이설 완공과 동시에 중지되었던 여객영업도 다시 시행했다. (상.하행 각각 5회 정차, 총 10회 정차)[6] 하지만 여객영업을 재개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2월 24일을 끝으로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 그와 동시에 여객운행을 멈추던 시절도 유지되던 보통역의 등급도 내려놓게 되었고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당했다.
역 주변에 제천 바이오밸리가 있어서 화물철도 취급을 하고 있다. 제천조차장역과 제천역, 고명역이 시멘트를 취급하는 반면, 봉양역은 컨테이너가 들어오고 있다. 봉양역이 정식으로 화물철도를 취급하는 역으로 돼 있는지는 불명이나, 제천 바이오밸리 산업단지[7]의 영향으로 비공식적으로라도 컨테이너가 오가고 있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에는 봉양119안전센터, 카포스 자동차마을, 옛날가마솥순대, 봉양파출소, 봉양사랑의집, 장평1리 마을회관밖에 없다. 역 동쪽에 중앙고속도로 제천IC가 있다.봉양역 바로 앞에 있는 도로는 북부로인데 5번 국도와 38번 국도가 중복 지정된 국도대체우회도로이다. 북부로를 개통하기 전까지는 제원로가 봉양역 앞으로 왔고 38번 국도는 주포사거리로 들어가서 주포로였는데 북부로 개통에 따라 북부로로 5번 국도와 38번 국도가 이설되었다. 중앙고속도로 제천IC의 동서부 연결도로는 원래 38번 국도였는데 역시 북부로 개통에 따라 고속도로 회차로로만 사용하고 있다.
봉양읍의 중심지는 봉양역에서 서쪽으로 가서 고개를 하나 넘어야 있는 주포리인데 역은 장평리에 있기 때문에 봉양읍 내부 잠재 수요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봉양역 북쪽 약 3km 정도 떨어진 곳에 제천 바이오밸리 산업단지와 봉양역 동쪽 약 2km 지점에 각종 건설 자재가 들어오는 야적장들이 많이 있긴 하다. 때문에 여객보다는 화물이 주력이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2021년 | 미개통 | 15명 | [8] | |
2022년 | 명 | 21명 | 명 | [9] |
2023년 | 10명 | 13명 | 23명 | [10]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승강장
삼탄·원주 | |||||||
1 | ↑ | ↑ | ↑ | ↓ | ↓ | ↓ | 2 |
제천 |
1 | 중앙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원주·양평·청량리 방면 |
충북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대전·동대구·서울 방면 | |
2 | 중앙선·충북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제천·안동·부전 방면 |
2면 6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두 승강장은
6. 여담
봉양읍에 소재하는 역이 이 역을 비롯해서 연교역, 구학역, 공전역이 있었다. 하지만 중앙선의 이설 및 복선전철화가 끝나면서 이 역과 충북선에 있는 공전역을 제외하고는 전부 폐역되었다. 전철화와 동시에 이설된 구간은 만종역에서부터 봉양역 사이의 기존 구간과 아예 달라졌기 때문이다.영업을 재개했을때 기존 역사를 그대로 놔두고 승강장과 구내 육교만 새로 지었다. 보통 신역사를 지을때 기존 역사를 철거후 다시 짓는것에 비해 이례적인 케이스. 때문에 구식 스타일의 건물과 유리궁전이 공존하는 특이한 구조가 되었다.
7. 둘러보기
충북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내수† - - - 도안† - - 보천† - - - 소이† - - 달천† - - 목행† - 동량† - - - 공전† - - | }}}}}}}}} |
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명† - 삼곡† - 도담† - - - - - - - - - - - - 옹천† - - - - - - - - - - - 비봉† - - 우보† - - 봉림† - 갑현† - - 화산† - - - - - - - - 모량†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1] 2021년 1월 5일 재개업[2] 모든 여객열차는 제천역 방면 중앙선으로 연결된다.[3] 탑승객의 좌석을 지정하며, 지정공통 승차권으로 발매한다.[4] 탑승객의 좌석을 지정하지 않으며, 에드몬슨 표를 발권한다.[5] 물론 충북선 통일호는 2001년 5월 31일 이전만 해도 에드몬슨식으로 특정통일호로 동일하게 발매가 되었으나, 그 이후인 2001년 6월 1일부터 2004년 3월 31일까지는 전산통일호로 발매가 되었기에 중앙선의 비전산 통일호, 즉 특정통일호와 구별을 요한다. 여담으로 충북선 통일호 열차번호는 #1141~#1146, 중앙선 통일호는 #1221~#1224였다.[6] 충북선,중앙선 무궁화호,누리로 ITX-새마을이 정차하고 태백선 열차는 통과한다.[7] 중앙고속도로 신림IC~제천IC 구간단속 구간을 지나다 보면 제천IC 부근 양 방향으로 구획을 말끔하게 정리하여 노반을 닦아놓은 곳이 있는데, 제천 바이오밸리 3지구 부지이다. 제천시청에서 바이오밸리에 열심히 투자하라고 광고하는 입간판을 고속도로에다가 설치해 놨다.[8] 무궁화호의 자료는 영업 개시일인 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36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ITX-새마을의 자료는 영업 개시일이 1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5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0] ITX-마음의 운행일은 운행 개시일인 12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