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리역 | ||
역명 표기 | ||
중앙선 | 탑리 Tap-ri[1] 塔里 / タムニ | |
주소 |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5길 31 (탑리리)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102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3급) (안동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 | ||
운영 기관 | ||
중앙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경남부선 | 1940년 3월 1일 | |
경경선 | 1942년 4월 1일 | |
중앙선 | 1948년 1월~2024년 12월 20일 | |
승강장 구조 | ||
1면 3선 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청량리 방면비 봉 ← 5.4 ㎞ | 중앙선 탑 리 | 모량 방면우 보 8.6 ㎞ → |
[clearfix]
1. 개요
현 역사(1997년 준공) |
맞이방 |
금학산 고성(금성산성)을 모티브로 설계
사명대사가 왜군과 격전을 벌였던 지역
탑리역은 1940년 4월 1일 중앙선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 같은해 보통역으로 승격하여 중앙선 화물과 승객의 수송을 도와온 역이다. 옛 탑리역의 모습은 다른 시골역사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목조건물에 기와가 올라간 삼각박공지붕이었다. 그러나 철도산업 개량화 사업의 일환으로 1997년 12월 31일 새롭게 준공된 현재의 역사는 매우 다른 모습이다. 마치 역사 전체가 하나의 성과 같이 보인다. 바로 금성산성이라고도 불리는 금학산 고성을 모티브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금학산 고성은 신라시대 문무왕 13년에 부족 소국들과의 싸움을 막기 위해 돌로 축조한 성으로 둘레 9,100척. 높이 13척으로 아주 높고 험하다라는 기록이 남아있다. 가깝게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유정)가 왜군과 격전을 벌인 장소이기도 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사명대사가 왜군과 격전을 벌였던 지역
탑리역은 1940년 4월 1일 중앙선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 같은해 보통역으로 승격하여 중앙선 화물과 승객의 수송을 도와온 역이다. 옛 탑리역의 모습은 다른 시골역사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목조건물에 기와가 올라간 삼각박공지붕이었다. 그러나 철도산업 개량화 사업의 일환으로 1997년 12월 31일 새롭게 준공된 현재의 역사는 매우 다른 모습이다. 마치 역사 전체가 하나의 성과 같이 보인다. 바로 금성산성이라고도 불리는 금학산 고성을 모티브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금학산 고성은 신라시대 문무왕 13년에 부족 소국들과의 싸움을 막기 위해 돌로 축조한 성으로 둘레 9,100척. 높이 13척으로 아주 높고 험하다라는 기록이 남아있다. 가깝게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유정)가 왜군과 격전을 벌인 장소이기도 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중앙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5길 31[2] 소재.
2. 역 정보
2대 역사(1958년 준공, 1997년 철거) |
1958년 6월 14일 구 역사가 준공되었고 1994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1997년 12월에 현 역사가 완공되었으며 금학산 고성을 본떠 설계되었다.
2024년 9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4-509호에 의거하여 폐역이 사전 고시되었고 2024년 12월 하순에 중앙선 의성-영천 구간이 이설되면 폐지될 예정이다.[3]
3. 역 주변 정보
의성군 남부에 자리한 금성면의 중심지로, 역을 동반한 중앙선과 28번 국도를 사이(탑리리(塔里里) 서부와 대리리(大里里) 동부 지역)에 두고 소규모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금성면 행정복지센터와 보건지소 및 문화센터, 천주교 안동교구 의성성당 탑리공소 및 사회복지회 산하 금성카리타스 요양원, 탑리우체국(경북지방우정청 의성우체국 산하) 등의 행정, 사회 기관들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금성초등학교, 탑리여자중학교, 금성중·고등학교가 있는데, 다른 농산어촌 시골 학교들답게 학생 수가 거의 없는 편이다.[4]
한편, 탑리여자중학교 내에는 이 역명의 어원이라 할 수 있는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5]가 서 있는데, 문서에도 언급되지만, 통일신라 시절에 조성된 것은 확실하나 관련 절이 있었다는 흔적이 하나도 없어서 왜 이 위치에 석탑이 들어섰는지 의문이 많이 남은 유물로 해당 석탑을 연구하기 위해 역사학계나 고고학계에서 많이 오는 편이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04년 | 67명 | |
2005년 | 77명 | |
2006년 | 78명 | |
2007년 | 52명 | |
2008년 | 59명 | |
2009년 | 60명 | |
2010년 | 67명 | |
2011년 | 74명 | |
2012년 | 72명 | |
2013년 | 73명 | |
2014년 | 72명 | |
2015년 | 71명 | |
2016년 | 56명 | |
2017년 | 55명 | |
2018년 | 47명 | |
2019년 | 46명 | |
2020년 | 32명 | |
2021년 | 35명 | |
2022년 | 44명 | |
2023년 | 51명 | |
2024년 | ?명 | [6]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둘러보기
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명† - 삼곡† - 도담† - - - - - - - - - - - - 옹천† - - - - - - - - - - - - - - - - - - - - - 북영천† - - - - - - 모량†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