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12:59:16

의성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슈룹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의성군(슈룹)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70bb>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fe0000 21%, #ed1c24); font-size: 1em"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 포항시
자치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width=25%> 파일:봉화군 CI.svg
봉화군
||<width=25%> 파일:성주군 CI.svg
성주군
||<width=25%> 파일:영덕군 CI.svg
영덕군
||
파일:영양군 CI.svg
영양군
파일:예천군 CI.svg
예천군
파일:울릉군CI임시.png
울릉군
파일:울진군 CI.svg
울진군
파일:의성군 CI.svg
의성군
파일:청도군 CI.svg
청도군
파일:청송군 CI.svg
청송군
파일:칠곡군 CI.svg
칠곡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5c81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5c81f>
파일:의성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의성읍
가음면 구천면 금성면 다인면
단밀면 단북면 단촌면 봉양면
비안면 사곡면 신평면 안계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안사면 안평면 옥산면 점곡면 춘산면 }}}
}}}}}}}}} ||
경상북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의성군 CI.svg의성군
義城郡
Uiseong County
}}}
군청 소재지 의성읍 군청길 31 (후죽리)
광역자치단체 경상북도
하위 행정구역 1 17
면적 1,174.59㎢
인구 48,888명[1]
인구밀도 41.62명/㎢[2]
고령인구비율 45.4%[3]
군수
김주수 (3선)
군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3석[4]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5]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형수
지역번호 054 - 83X
SN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external/www.usc.go.kr/symbol_05.gif
마스코트 의동이[6]

1. 개요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관광7. 특산물
7.1. 추천 특산물
8. 생활문화
8.1. 교육8.2. 금융기관8.3. 문화시설8.4. 스포츠
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북쪽에 안동시, 동쪽에 청송군, 서쪽에 구미시, 상주시, 예천군, 남쪽에 대구광역시 군위군이 있다.

대구권에 속한 지역이며, 의성군의 서쪽으로 낙동강 본류가 흐른다. 낙동강의 주요 지류 중 하나인 위천이 의성 군내를 관통하며, 경작지가 넓고 평야지대가 비교적 많다. 특히 군 서부의 안계평야는 경주의 안강평야, 영천의 금호평야와 함께 경북에서 손꼽히게 넓은 평야다. 이 때문에 농업 인구가 대다수를 차지했던 197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인구가 20만을 넘을 정도로 제법 큰 군이었지만, 이후 농촌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기 시작해 현재는 전성기보다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군 중심지인 의성읍이 비교적 군 동쪽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중부의 봉양면과 서부의 안계면이 각각의 소중심지 역할을 한다. 각각 안동/군위와 상주로 가는 시외버스도 따로 운행되고 있다.

예천군과 서로 1~2위를 다투고 있을 정도로 남아선호사상이 가장 심한 지역 중 1곳이다. 근처의 안동시가 있어서인지 유교 사상이 뿌리 깊게 박혀서인 듯. 하지만 최근에는 시대가 바뀌어 인식이 변했고, 인구 감소로 인해 남자, 여자 모두 귀한 대접을 받는다.

2. 역사

의성군 행정구역 변천사
의성군
(義城郡, 1895)
비안군
(比安郡, 1895)
의성군
(1914)

삼한 시대에는 소문국(召文國)이라는 소국이 금성면 지역을 중심으로 있었다. 한자 '召'를 다르게 읽어 '조문국'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금성면에 조문국박물관이 있다. 신라 벌휴 이사금(서기185년) 때 구도와 구수혜 장군이 정복해 신라 땅이 되었고 신라 경덕왕 때에는 문소군(聞韶郡)이라 개칭되었다. 문소군 소속 영현이 넷 있었는데 진보현(眞寶縣, 의성읍), 비옥현(比屋縣, 비안면), 안현현(安賢縣, 비안면), 단밀현(單密縣, 단밀면)이다. 즉 신라 때는 금성면이 중심이고 의성읍이 외곽이었는데 나중에 서로 뒤집힌 것이다.

고려 초에 이르러 문소군의 성주가 견훤군을 막다가 전사했는데 이를 보고 의로운 고장, 즉 의성(義城)이라 하여 의성부로 승격되었다. 한편, 안계 평야 일대는 속현(屬縣)들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비옥현, 안정현(현재의 의성군 서부 지역 중심지인 안계가 있는 곳), 단밀현, 다인현 등이 있었는데, 비옥과 안정은 의성을 주현으로 하고 있었고, 단밀은 처음에는 의성의 임내였으나 후에 소속 주현이 상주로 바뀌었고, 다인은 처음부터 상주의 임내였으나 예천으로 소속이 바뀌었다.

조선 초기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며 비옥현과 안정현만 비안현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어 독립하였으며 나머지 두 속현은 소속 주현에 흡수되었다. 조선 후기인 1895년(고종 32)에 전국이 13도로 개편되면서 의성, 비안이 군으로 바뀌었다. 1906년 단밀, 다인 일대가 구 비안군에 흡수되었다. 1908년 구 비안군과 구 의흥군 일부를 통합하였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비안군을 흡수하였으며 18개 면이 되었다. 1934년에는 산운면과 소문면을 통합하여 금성면으로 개칭하여 17개 면이 되었고, 1940년 11월 1일에 의성면이 의성읍(1읍 16면)으로 승격되었다. 1990년 4월 1일 안사출장소가 안사면으로 승격하여 1읍 17면이 되었다.

3. 지리

파일: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 (군위 대구 편입).svg
경상북도의 중앙에 있다. 울진울릉, 독도를 제외한 경상북도내 지자체가 80km 반경 안에 들어간다. 심지어 그 80km 반경 안에 경상남도충청북도 초입이 걸치는 구간도 있다. 이는 의성군의 행정구역이 좌우로 긴 형태 및 경상북도 중앙에 있기 때문.

의성군 비안면·봉양면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다인면은 상주시·예천군, 사곡면과 춘산면은 청송군, 단밀면은 상주시·구미시와 인접해 있다. 신평면의 북부 지역은 지리적인 관계로 안동시 생활권에 근접해 있다.

위천-남대천으로 이어지는 낙동강의 지류가 군역을 동에서 서로 관통한다. 옛 의성군 영역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유역의 평지가 굉장히 적지만, 낙동강으로 합류하는 옛 비안군 영역은 대구/경북에서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평야지역이 펼쳐져 있다.

추위와 더위로 유명한 곳이다. 역대 최저기온은 1981년 1월 17일의 -23.3 ℃, 최고기온은 2018년 8월 1일의 40.4 ℃이다. 최한월이 약 -3°C라 온대 하우 기후냉대 동계 건조 기후의 중간지대에 위치한다. 그리고 봄에는 아침에 0도 근처까지 떨어지고 낮에 25도 근처까지 오르는 등 일교차가 매우 심하다.[7] 겨울에는 영하 10도 이하로 내려가고, 여름에는 35도 이상으로 오르는 등 연교차도 심하다. 내륙에 있지만 강수량이 적은 동네라서 여름에 뜨겁기는 해도 기온에 비해서는 생각보다 죽을 듯이 숨막힐 정도는 아니다. 강수량이 적은 것은 겨울도 마찬가지로 눈 구경하기 힘들고 엄청나게 건조하다.

금성면 쪽에는 금성산이라는 곳이 있는데, 이 산은 한반도 최초의 화산으로 백악기에 분화했던 사화산이다. 참고로 그 근방에 공룡발자국 화석이 존재한다.

4. 인구

파일:의성군 CI.svg 의성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3,753명
1970년 182,709명
1973년 7월 1일 의성군 금성면 광현동 → 군위군 군위읍 편입
1975년 179,570명
1980년 146,063명
1985년 122,664명
1987년 1월 1일
의성군 단밀면 용산동 → 선산군 도개면 편입
선산군 도개면 청산동 → 의성군 구천면 편입
1990년 96,897명
1995년 77,362명
2000년 68,453명
2005년 62,412명
2010년 58,832명
2015년 54,477명
2020년 51,724명
2024년 10월 48,88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의성읍 12,532명
안계면 4,310명
금성면 4,113명
봉양면 3,920명
다인면 3,687명
비안면 2,580명
안평면 2,074명
단촌면 1,884명
옥산면 1,718명
구천면 1,716명
단북면 1,705명
단밀면 1,645명
사곡면 1,552명
점곡면 1,552명
춘산면 1,475명
가음면 1,462명
안사면 863명
신평면 800명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 ||

2016년 ‘중앙 이코노미스트’가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과 국내 252개 기초단체의 인구 현황(2015년)을 분석한 결과 노인 인구 100명 당 20~30대 여성 인구 17명으로 30년 뒤 사라질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젊은 여성 없는 의성·고흥·군위…30년 뒤 내 고향 사라진다[8] 이러한 지역소멸위기에 맞추어 활발한 인구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전국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귀농·귀촌이 많은 지역이며 출산율 또한 높은 지역이다. 의성군, 경북 귀농실적 1위, 의성군, 귀농·귀촌 가구 유치 '전국 2위', '소멸위기' 의성군, 합계출산율은 경북 1위. 하지만 이러한 인구정책에도 불구하고 2023년 3월 인구 5만 선이 잠시 붕괴됐다가 4월에 다시 5만명 선을 회복했지만, 2024년 1월부로 10개월 만에 인구 5만 선이 다시 붕괴되었다.

2024년 9월 기준 소멸위험지수0.093으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두 번째로 낮다.[9]

===# 읍면별 인구 #===
파일:의성군 CI.svg 의성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4,289명
1970년 24,272명
1975년 26,466명
1980년 24,661명
1985년 22,509명
1990년 20,123명
1995년 18,032명
2000년 16,346명
2005년 14,967명
2010년 14,730명
2015년 14,121명
2020년 13,447명
2024년 4월 12,53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단촌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931명
1970년 8,173명
1975년 8,114명
1980년 6,555명
1985년 5,557명
1990년 4,163명
1995년 3,154명
2000년 2,787명
2005년 2,565명
2010년 2,306명
2015년 2,092명
2020년 1,937명
2024년 4월 1,8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의성군 CI.svg 점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144명
1970년 6,982명
1975년 7,110명
1980년 5,883명
1985년 4,903명
1990년 3,502명
1995년 2,668명
2000년 2,294명
2005년 2,072명
2010년 1,978명
2015년 1,779명
2020년 1,598명
2024년 4월 1,55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의성군 CI.svg 옥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199명
1970년 8,035명
1975년 8,286명
1980년 6,155명
1985년 5,031명
1990년 3,556명
1995년 2,804명
2000년 2,421명
2005년 2,289명
2010년 2,182명
2015년 1,944명
2020년 1,820명
2024년 4월 1,71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의성군 CI.svg 사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031명
1970년 7,746명
1975년 7,327명
1980년 5,663명
1985년 4,687명
1990년 3,436명
1995년 2,601명
2000년 2,295명
2005년 2,034명
2010년 1,785명
2015년 1,604명
2020년 1,565명
2024년 4월 1,55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의성군 CI.svg 춘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114명
1970년 5,946명
1975년 5,490명
1980년 4,230명
1985년 3,685명
1990년 2,986명
1995년 2,365명
2000년 2,045명
2005년 1,823명
2010년 1,742명
2015년 1,593명
2020년 1,468명
2024년 4월 1,47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의성군 CI.svg 가음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782명
1970년 6,604명
1975년 6,152명
1980년 4,811명
1985년 4,163명
1990년 3,062명
1995년 2,312명
2000년 1,986명
2005년 1,810명
2010년 1,625명
2015년 1,484명
2020년 1,466명
2024년 4월 1,4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의성군 CI.svg 금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110명
1970년 16,400명
1973년 7월 1일 의성군 금성면 광현동 → 군위군 군위면 편입
1975년 15,061명
1980년 12,245명
1985년 10,352명
1990년 8,679명
1995년 6,470명
2000년 5,766명
2005년 5,372명
2010년 5,007명
2015년 4,635명
2020년 4,334명
2024년 4월 4,1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봉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466명
1970년 11,799명
1975년 11,540명
1980년 9,447명
1983년 2월 15일 비안면 안평동 → 봉양면 편입
1985년 8,360명
1990년 6,493명
1995년 5,254명
2000년 4,874명
2005년 4,316명
2010년 4,133명
2015년 3,962명
2020년 3,953명
2024년 4월 3,92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비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037명
1970년 11,715명
1975년 11,111명
1980년 8,769명
1983년 2월 15일 비안면 안평동 → 봉양면 편입
1985년 6,599명
1990년 4,922명
1995년 3,743명
2000년 3,293명
2005년 2,957명
2010년 2,779명
2015년 2,551명
2020년 2,553명
2024년 4월 2,5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구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708명
1970년 7,448명
1975년 6,869명
1980년 5,399명
1985년 4,363명
1987년 1월 1일 선산군 도개면 청산동 → 의성군 구천면 편입
1990년 3,584명
1995년 2,729명
2000년 2,414명
2005년 2,225명
2010년 2,041명
2015년 1,908명
2020년 1,821명
2024년 4월 1,71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의성군 CI.svg 단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021명
1970년 8,637명
1975년 7,980명
1980년 6,286명
1985년 5,008명
1987년 1월 1일 의성군 단밀면 용산동 → 선산군 도개면 편입
1990년 3,503명
1995년 2,744명
2000년 2,464명
2005년 2,301명
2010년 2,179명
2015년 1,960명
2020년 1,756명
2024년 4월 1,64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단북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170명
1970년 9,057명
1975년 8,511명
1980년 6,806명
1985년 5,407명
1990년 4,091명
1995년 3,014명
2000년 2,620명
2005년 2,303명
2010년 2,149명
2015년 1,979명
2020년 1,802명
2024년 4월 1,70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안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922명
1970년 13,564명
1975년 13,736명
1980년 11,320명
1985년 9,704명
1990년 7,901명
1995년 6,779명
2000년 5,867명
2005년 5,446명
2010년 5,151명
2015년 4,725명
2020년 4,585명
2024년 4월 4,31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다인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477명
1970년 15,798명
1975년 16,151명
1980년 13,060명
1985년 10,520명
1990년 8,464명
1995년 6,551명
2000년 5,696명
2005년 5,182명
2010년 4,732명
2015년 4,187명
2020년 3,822명
2024년 4월 3,6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신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275명
1970년 10,053명
1975년 9,705명
1980년 7,277명
1985년 5,673명
1990년 4월 1일 신평면 안사출장소 → 안사면 승격 분리
1990년 2,090명
1995년 1,369명
2000년 1,102명
2005년 1,007명
2010년 917명
2015년 807명
2020년 815명
2024년 4월 8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안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070명
1970년 10,480명
1975년 9,944명
1980년 7,496명
1985년 6,193명
1990년 4,506명
1995년 3,410명
2000년 2,870명
2005년 2,608명
2010년 2,397명
2015년 2,263명
2020년 2,143명
2024년 4월 2,07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의성군 CI.svg 안사면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90년 4월 1일 신평면 안사출장소 → 안사면 승격 분리
1990년 1,836명
1995년 1,363명
2000년 1,213명
2005년 1,135명
2010년 999명
2015년 883명
2020년 839명
2024년 4월 86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천 명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성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 시행 영향 및 향후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로 인해 교통망이 더 확충되어 의성군의 교통이 편리해질 예정이다.

6. 관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 제77호), 관덕동 3층석탑(보물 제180호) 빙산사지 5층석탑(보물 제327호) 등의 문화재와 금성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천연기념물 제373호) 등이 있다. 이 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빙산사지 5층석탑 등은 유홍준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제3권에 소개되어 있다.

매년 3월마다 사곡면 화전리 일대에서 산수유꽃 축제가 열리고 있으며, 춘산면에 위치한 빙계서원과 빙계계곡, 단촌면 고운사(孤雲寺), 도리원 탑산온천, 만경산, 비봉산, 청화산, 오토산, 금성산, 비봉산 등의 산들이 있다.

2013년 의성 조문국박물관과 조문국 유적지(금성산 고분군)가 개장되었다.

의성 제오리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가 있다.

7. 특산물

파일:의성마늘3.jpg
의성 마늘

특산물로는 마늘, 산수유, 홍화 재배로 유명하다. 이 가운데에서도 특히 마늘이 가장 유명해서 고향이 의성이라고 하면 다들 “아~ 마늘 나는 데요?”라고 한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의성 마늘이 등록되어 있다. 의성 마늘은 단단해 저장성이 좋고 특유의 향과 그다지 맵지 않은 은은한 맛이 강한 고품질을 자랑한다.

의성마늘 관련 기록은 1655년 나온 농가집성(農歌集成)과 사시찬요초(四時纂要抄)라는 책에 나타나는데, 본격적인 마늘 재배는 조선 중종 21년(1526년) 의성읍 치선리에 경주 최씨와 김해 김씨가 터를 잡으면서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파일:의성마늘통닭.jpg
파일:의성마늘돈까스2.jpg
의성마늘돈까스
파일:의성 흑마늘2.jpg
파일:의성마늘햄.png
의성흑마늘

한국 음식에 곳곳에 마늘이 들어가다 보니 한국에게는 의성 마늘은 더욱 익숙한 편이기도 하다. 마늘이 유명해서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이 유명한데, 흑마늘, 흑마늘 진액, 흑마늘 조청, 의성마늘통닭, 의성마늘, 의성마늘소, 의성마늘돈까스 등이 자연스럽게 유명하다.

이 밖에도 쌀, 고추, 사과, 자두, 복숭아 등을 재배, 생산하기도 한다.

7.1. 추천 특산물

8. 생활문화

8.1. 교육

파일:의성군 CI.svg 경상북도 의성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가음초등학교 구천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다인초등학교 단밀초등학교
단촌초등학교 도리원초등학교 비안초등학교 안계초등학교 안평초등학교
안평초등학교 신평분교장 옥전초등학교 의성남부초등학교 의성북부초등학교 의성초등학교
점곡초등학교 춘산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의성군 CI.svg 경상북도 의성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북중부중학교 금성중학교 다인중학교 봉양중학교 삼성중학교
안계중학교 옥산중학교 의성여자중학교 의성중학교 탑리여자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의성군 CI.svg 경상북도 의성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북소프트웨어고등학교 금성고등학교 안계고등학교
의성고등학교 의성여자고등학교 의성유니텍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2. 금융기관

의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
국가기관
의성우체국 (17)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시중은행
국민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다인농협 (2) 의성중부농협 (3) 신평농협 (1) 의성축산농협 (3)
안계농협 (2) 서의성농협 (1) 새의성농협 (4) 금성농협 (2)
의성농협 (3)
새마을금고
화전새마을금고 (2) 의성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의성신용협동조합 (1) 다인신용협동조합 (1) 예성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의성군산림조합 (1)

8.3. 문화시설

8.4. 스포츠

8.4.1. 씨름

컬링 이전에는 씨름 스타의 산실 역할을 한 곳이 의성이다. 의성초등학교-의성중학교-의성고등학교로 이어지는 지역 씨름의 계보가 탄탄하며 예전에는 많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씨름부가 있었을 정도였고, 의성군청에서도 씨름단을 운영하고 있다. 의성에 연고가 있는 유명 씨름인으로는 5대, 8대, 13대 천하장사를 거머쥐었던 1980년대 씨름스타 이준희 대한씨름협회 경기위원장과 32대, 38대, 40대 천하장사 출신이자 1990년대 씨름스타 이태현 용인대 교수 등이 있다. 이들의 출생지는 모두 의성이 아니지만 의성에서 학창시절을 보내면서 씨름을 배웠다.

1995년 단 6명의 인원으로 전국대회 준우승을 일궈낸 의성여자고등학교 농구부도 한때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8.4.2. 컬링

스포츠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 작은 촌락이지만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인기 종목으로 급부상한 컬링의 메카가 바로 의성이다. 최근엔 컬링 수도라는 호칭이 자리 잡았다. #

국내 최초의 컬링 전용 빙상장 의성컬링센터가 의성읍 충효로 104에 위치해 있으며, 의성군 내의 중, 고등학교의 방과 후 활동엔 컬링이 포함되어 있을 정도다. 이는 의성군 출신의 체육인이자 국내 컬링의 아버지로 불리는 김경두 전 대한컬링연맹 부회장의 노력이 컸다. 전직 레슬링 선수 출신이었던 김 회장은 컬링이라면 동양 선수와 서양 선수의 체격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종목이라 생각해서 의성군에 컬링훈련원을 개설했고 실제로 그의 예상은 거의 들어맞아서 한국은 단기간[12] 내에 세계 랭킹에서 경쟁하는 선수들을 배출하는 나라가 되었다.[13]

국내 컬링계는 현재 경기도경상북도가 양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14] 경기도청 선수들도 마땅히 연습할 시설이 없어 의성에서 훈련한 뒤에 의성에서 경기를 치를 정도였다. 2018년 의정부컬링훈련장이 완공됐고 그에 앞서 진천선수촌 컬링장도 완공됐지만[15], 이미 의성의 의성컬링센터카자흐스탄이나 몽골 등 비교적 컬링 역사가 짧은 아시아의 대표팀이 찾아와 훈련할 정도로 아시아에서 손꼽히는 컬링장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도 의성에선 의성 마늘배 전국 컬링 대회를 주기적으로 열어 컬링 보급에 힘쓰고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남녀, 믹스더블 대표팀 모두 경북체육회 컬링팀 선수들이 선발됐고, 특히 여자팀의 선수들 중 네 명[16]이 의성 출신의 선수들이며, 모두 같은 학교 출신[17]학교 방과후 활동으로 컬링을 시작한 만화 같은 이야기와 준결승에서 일본을 꺾고 은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달성하며 주목받았다.[18] 이들은 '팀 킴'으로 불리며 한국에서 컬링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에 일조하였다.[19] 이 뿐만 아니라 2014년 소치 올림픽 당시 국가대표팀이었던 경기도청이슬비 선수도 의성여고 출신이다. 이로써 2회 연속 올림픽 컬링 대표선수들을 길러낸 도시가 되었다.

덕분에 의성 마늘햄의 통에 팀 킴의 사진과 함께 '컬링대표팀 선수들을 응원합니다'라는 문구가 찍혀 나오는 등, 지역 홍보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2018년 11월 의성군은 컬링의성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정했다. '컬링 의성', '컬링의 성(城)'도 되는 중의적인 의미가 담겨있다고. 컬링과 연계된 사업 역시 준비했으나 김경두 일가가 이에 비협조적이었는데다 경북체육회 컬링팀 지도부 폭로 사건이 터지고 한동안 의성컬링센터가 폐쇄된 바람에 2019년부터 관련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8.4.3. 야구

2024년 3월 의성고등학교가 야구부 창단을 선언했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성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읍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예비군훈련장이 있는 것 말고는 특별한 군사시설은 없다. 그러다가 대구 공군기지, 이른바 K-2라고 불리는 규모와 역할 면에서 굉장히 중요한 공군기지가 비안면 및 이웃 군위군 소보면에 걸쳐서 이전될 예정이다. 군위군 소보면보다 평지가 많은 비안면의 부지 편입이 많을 것으로 보이며, 이전 시 의성군의 군사적 중요도가 급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의성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출신 인물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2024년 10월 기준.[3] 2023년 12월 기준.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높다.[4] 의성군 가선거구 (의성읍, 점곡면, 옥산면): 김현찬, 지무진, 황무용
의성군 나선거구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김광호, 배재봉
의성군 다선거구 (단촌면, 봉양면, 신평면, 안평면, 안사면): 김원석, 오호열
의성군 라선거구 (비안면, 구천면, 안계면): 김민주, 박화자
의성군 마선거구 (단밀면, 단북면, 다인면): 우칠윤, 최훈식
의성군 비례대표: 박선희, 이경원
[5] 의성군 제1선거구 (의성읍, 점곡면, 옥산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최태림 (재선)
의성군 제2선거구 (단촌면, 봉양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안사면): 이충원 (초선)
[6] 의성의 특산물 마늘을 형상화한 캐릭터.[7] 1994년 5월 9일에는 아침에 1.6 ℃였다가 낮에는 30.1 ℃까지 올라 일교차가 무려 28.5 ℃나 벌어졌다.[8] 참고로 고흥군, 군위군이 뒤를 이었다. 또한 2015년 인구총조사에 의하면 한국에서 평균연령이 가장 높은 기초자치단체이기도 하다. 평균연령 55.3세, 중위연령 59.2세.[9]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은 기초자치단체는 대구광역시 군위군(0.082)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12] 1994년에 컬링 연맹 설립, 곧바로 세계 연맹에 가입했으며 2001년 아-태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 정도면 단기간이 아니라 초단기간 급성장이라고 봐야할 지경(..)[13] 물론 선수들의 수준과는 무관하게 컬링은 오랜 기간 비인기 종목이었고, 결정적으로 올림픽 출전권을 따내지 못해 외면 받았다. 이 시기를 거쳐간 지도자나 선수들도 하나 같이 아직 우리 컬링은 멀었다는 말을 한다. 처음으로 출전권을 따낸 소치 올림픽을 준비하던 2013년 당시에도 컬링 선수들은 태릉선수촌에서 식사도 못할만큼 인지도나 후원이 열악했다.[14] 경기도(의정부)는 엘리트 체육, 경북(의성)은 생활 체육 기반이라는 점도 대비된다. 아이러니하게도 경북의 실업팀은 남녀에 믹스더블까지 있는 반면, 경기도의 실업팀은 여자팀만 있지만.[15] 다만 진천은 국가대표팀의 훈련용으로 사용된다.[16] 김은정, 김영미, 김선영, 김경애[17] 의성여중-의성여고[18] 자세한 사항은 김은정 항목 참조.[19] 일부 외신에서는 의성군의 특산품이 마늘인 점을 이용해 갈릭 걸스(Garlic Girls)라고 불리기도 했다.[20] 당시 지역구는 대구광역시 서구였다.[21] 당시 지역구는 경상북도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이었다.[22] 지역구: 경상북도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23]중소벤처기업부장관[24] 그와 더불어 대한민국 양대 초극우 정치목사인 장경동은 전북 군산시 태생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