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3 01:24:16

신진욱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0095da
'''[[틀:협성교육재단|[[파일:협성교육재단 logo.jpg|width=29]] {{{#0095da {{{+1 협성교육재단}}}}}}]]'''
역대 이사장
초대
신진욱
제2대
신철원


협성교육재단 초대 이사장
신진욱
申鎭旭 | Shin Jin-wook
파일:신진욱 전 의원.png
<colbgcolor=#0095da><colcolor=#fff> 출생 1924년 5월 27일[1]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
사망 2014년 10월 9일 (향년 90세)
본관 아주 신씨[2]
우봉(愚峯)
학력 대구사범학교 (졸업)
영남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웰즐리 대학교 (사회학 / 명예박사)
종교 장로회(예장통합)[3]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8, 14
경력 협성교육재단 이사장
대구남산교회 원로장로
국회의원
YMCA 중앙이사
경상북도의회의원
신민당 지도위원
신민당 경상북도지부부위원장
신민당 경북제3지구당(대구남구) 위원장

1. 개요2. 생애
2.1. 교육자로서2.2. 정치인으로서2.3. 사망
3. 여담4. 선거 이력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이다. 본관은 아주(鵝州), 호는 우봉(愚峯), 종교장로회이다.

남동생 신진수는 재선 국회의원으로 수성대학교의 전신인 제남간호전문학교를 설립하였다.

2. 생애

1924년 5월 27일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4]#의 농가에서 아버지 신종기(申宗基, 1894. 12. 7 ~ 1958. 11. 18)와 어머니 전주 이씨 이소선(李小仙, 1904. 9. 20 ~ 1968. 6. 29)[5][6] 사이의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때는 일제강점기로, 고향에서 국민학교를 다니다가 가정형편으로 5학년 때 중퇴하였다. 이후 강원도 강릉군에 거주하던 5촌 당숙(堂叔) 신용기(申溶基, 1909. 10. 20 ~ 1985. 3. 26)의 집에 기거하며 국민학교를 졸업할 수 있었다. 국민학교 졸업 후 상경하여 고학으로 중학교를 졸업한 뒤 대구사범학교 강습과에 진학하였다.

2.1. 교육자로서

대구사범학교 졸업 직후 황해도 신계군의 산골 국민학교에 발령받아 근무하였다.

8.15 광복 후 고향으로 내려온 그는 대구초등학교에 발령받아 근무하였다. 한때 청년동맹에 가입해 역사공부에 심취하기도 하였으나, 청년동맹이 좌익 운동에 가담하고 있었기에 불만을 품고 탈퇴, 귀향하였다. 이후 고향의 국민학교에 발령받았지만 교장을 쫓아내는 과정에서 좌익 동료 교사와 어울렸다는 이유로 유치장 신세를 지고 파면되었다.

6.25 전쟁 당시에는 경주 문화중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면서 전쟁고아를 돌보는 고아원을 세웠으나, 전쟁 중에 고아원이 전소되면서 교육사업을 청산하고 대구로 왔다. 당시만 해도 고아원 출신자는 학교교육을 받을 수가 없었기에 학교를 세우기로 마음을 먹고, 대구시 대명동 명덕로터리 부근에 토지를 구입하여 고아원을 세웠다.

이 때 고아원을 등기해 학교로 둔갑시켰고, 미국원조 자금을 끌어들이기도 하였는데 이렇게 해서 현재 대경권 최대의 중등교육기관 사학법인으로 불리는 협성교육재단[7]의 전신인, 협성상업학교를 설립하였다.

2.2. 정치인으로서

그는 1956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나선 신익희대구시 유세에서 유세장을 구하지 못하고 있자 마침 신익희를 만나 자신의 협성상업학교 운동장을 사용하도록 권했다. 또 소유하고 있던 낡은 지프차 한 대를 유세용으로 쓰도록 흔쾌히 내놓으면서 야당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이후 민주당 소속 경상북도의회 의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의성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오상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효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0년 영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8]를 취득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이효상에게 설욕하였다. 같은 해 동생 신진수(제11대, 13대 국회의원)에 대한 전국구 공천 헌금 문제로 정일형폭행한 흑역사가 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여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효상 후보와 신민당 신도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 1984년 정치규제에서 해금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의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권정달 후보와 한국국민당 김영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7년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대구직할시 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94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경제과학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다가 중도 사퇴하였다. 1996년 민주당의 후신 통합민주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98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신당 후보로 경상북도 의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창화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3. 사망

2014년 10월 9일(목)에 노환으로 별세했다. 장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위치한 선영이다.#

3. 여담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12[9]

파일:민주당 1955년 글자.png
8,146 (21.74%) 낙선 (2위)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3[10]

[[민정당|
파일:민정당 글자.svg
]]
15,799 (34.56%)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4,645 (39.55%)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45,658 (56.33%) 당선 (1위) 초선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2[11]

[[무소속(정치)|
무소속
]]
28,035 (15.84%) 낙선 (3위)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44,962 (15.58%) 낙선 (4위)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4[12]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7,062 (13.82%) 낙선 (3위)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무소속(정치)|
무소속
]]
18,352 (13.82%)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6,004,578 (29.17%) 당선 (7번) 재선
1995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장 후보 사퇴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남

[[무소속(정치)|
무소속
]]
6,155 (6.44%) 낙선 (3위)
1998 4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경북 의성

[[국민신당(1997년)|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9,610 (21.08%) [13]

5. 둘러보기

파일:옛 경상북도 도기.svg 경상북도 제8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대구 중 대구 서 대구 북
한병채 김정두 신진욱 조일환 강재구
영일
김병윤 정무식 백남억 심봉섭 박준규
의성 안동
김봉환 김상년 박해충 문태준 오준석
영천 경산 청도 상주
정진화 이형우 박숙현 김창환 김인
문경 예천 영주 봉화
고우진 조재봉 김창근 권성기
}}}
}}}}}}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로고.svg 제14대 국회 전국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김대중[B] 이기택 강창성 장재식[B] 이우정[B] 나병선[B]
신진욱[B] 김옥천 장준익[B] 이동근 국종남 김충현[B]
강희찬 박정훈 박일 김옥두[B] 박은태 장기욱
김말룡 양문희 박지원[B] 이장희[C] 남궁진[D] 배기선[D]
최병욱[C] 장정곤[C] 김유진[C] 서호석[C] 장광근[C] 박명서[C]
한원석[C] 김용덕[C] 정양숙[C] 고홍길[C]

[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B] 임기 중 사퇴.[C] 승계.[D] 승계 전 사퇴.[D] 승계 전 사퇴.[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C] 승계.
}}}}}}}}}}}}}}}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전국구 제14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민주자유당
33석
김영삼 박태준 김재광 노재봉
권익현 이만섭 정석모 안무혁
이원조 최병렬 김종인 김광수
박재홍 강선영 정시채 최운지
강용식 김영수 김영진 강신옥
서상목 윤태균 박구일 곽영달
이명박 이환의 강인섭 김동근
최상용 주양자 이현수 노인도
구천서 조용직 구창림 박근호
유성환 이재명 정옥순 김찬두
김사성 이연석 이민헌 이수담
배길랑 김정숙 김현배 박승웅
진경탁 허세욱
민주당
22석
김대중 <colbgcolor=#009d68> 이기택 <colbgcolor=#009d68> 강창성 <colbgcolor=#009A44> 장재식
이우정 나병선 신진욱 김옥천
장준익 이동근 국종남 김충현
강희찬 박정훈 박일 김옥두
박은태 장기욱 김말룡 양문희
박지원 이장희 남궁진 배기선
최병욱 장정곤 김유진 서호석
장광근 박명서 한원석 김용덕
정양숙 고홍길
통일국민당
7석
문창모 양순직 정주영 조윤형
최영한 이건영 정장현 강부자
이용준
13대
15대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권중돈 정일형 김원만 양일동 홍영기
정운갑 송원영 유옥우 조윤형 서범석
고흥문 김재광 김상현 윤제술 노승환
김수한 박한상 윤길중 김응주 김상진
김영삼 김승목 정해영 이기택 김은하
천명기 김형일 이택돈 홍창섭 최병길
이택희 박병배 김한수 한건수 류제연
이철승 강근호 김현기 양해준 류갑종
진의종 정성태 김녹영 김경인 조연하
이중재 임종기 나석호 한병채 김정두
신진욱 조일환 심봉섭 박해충 이형우
김창환 황은환 김기섭 황낙주 조홍래
김이권 이상신 박일 신상우 최형우
유진산 김대중 홍익표 김홍일 김의택
류청 정헌주 이종남 이세규 편용호
김준섭 채문식 이상조 신도환 김재화
김용성 강필선 오세응 유성범 정규헌
이대우 오홍석 박종률 김윤덕 }}}
}}}}}}


[1] 아주신씨 인터넷족보에는 4월 17일생으로 등재되어 있다.[2] 오봉공파 25세 진(鎭) 항렬.[3] 어머니 이소선 여사의 영향으로 어려서 신앙을 가졌다. 대구남산교회의 원로장로를 역임하였으며, 재단본부가 자리한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에 대구동심교회를 설립하였다. 산하의 협성고등학교, 경일여자고등학교, 협성경복중학교, 경일여자중학교, 협성유치원과 같은 부지 내에 있으며, 이들 학교의 채플이 이 교회에서 열린다.[4] 아주 신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신두수·신진수도 이 마을 출신이다.[5] 이건필(李建弼)의 딸이다.[6] 소선여자중학교의 교명이 이에 유래하였다.[7] 재단 소속 학교로 협성유치원, 협성경복중학교, 협성고등학교, 경일여자중학교, 경일여자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제일고등학교, 경북예술고등학교, 경상여자중학교, 소선여자중학교, 금호중학교, 경북휴먼테크고등학교 등이 있다.[8] 석사 학위 논문 : 韓國의 政治指導者에 關한 一硏究 : 特히 政黨과 關聯하여(한국의 정치지도자에 관한 일연구 : 특히 정당과 관련하여).[9] 의성군 갑[10] 대구시 남구[11] 대구시 남구, 동구[12] 안동시, 의성군, 안동군[13] 전임자 김화남 당선무효로 의원직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