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0:16:46

구미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구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구미(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70bb>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fe0000 21%, #ed1c24); font-size: 1em"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 포항시
자치군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고령군 CI.svg
고령군
||<width=25%> 파일:봉화군 CI.svg
봉화군
||<width=25%> 파일:성주군 CI.svg
성주군
||<width=25%> 파일:영덕군 CI.svg
영덕군
||
파일:영양군 CI.svg
영양군
파일:예천군 CI.svg
예천군
파일:울릉군CI임시.png
울릉군
파일:울진군 CI.svg
울진군
파일:의성군 CI.svg
의성군
파일:청도군 CI.svg
청도군
파일:청송군 CI.svg
청송군
파일:칠곡군 CI.svg
칠곡군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33a0>
파일:구미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아읍 산동읍 선산읍 도개면 무을면 옥성면 장천면 해평면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33a0> 송정동
시청
송정동
원평동 원평동
지산동 지산동 양호동
양포동 구포동
거의동 금전동 옥계동
선주원남동 남통동 봉곡동 부곡동 선기동 수점동 원평동
형곡1, 2동 형곡동
공단동 공단동
신평1동 신평동 원평동
신평2동 공단동
비산동 비산동
도량동 도량동
광평동 광평동
상모사곡동 상모동 사곡동 임은동
임오동 오태동
인동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구평동 신동 인의동 황상동 }}}
진미동 진평동 시미동 임수동 }}}}}}}}}
경상북도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rowcolor=#000,#fff>
파일:구미시 CI.svg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
龜尾市
Gumi City
}}}
<colbgcolor=#0033a0><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송정대로 55 (송정동)
광역자치단체 경상북도
하위 행정구역 3 5 17
면적 615.35㎢
인구 404,800명[1]
인구밀도 657.84명/㎢[2]
지역내 총생산 46조 1,778억원[3][4]
지역내 총수출액 33조 4,624억원[5][6]
1인당 GRDP 1억 2,349만원[7]
시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장호 (초선)
시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석[8]

파일:zsdkl3gasdg.svg
5석[9]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8석[10]
<colbgcolor=#0033a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구자근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명구 (초선)
상징 <colcolor=#fff> 시화 개나리
시목 느티나무
시조 까치
지역번호 054 - 44X ~ 48X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1]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
4.1. 지형4.2. 기후4.3. 경북 서부의 중심도시4.4. 도시구조
4.4.1. 구미 1기 지구4.4.2. 구미 2기 지구4.4.3. 구미 2.5기 지구4.4.4. 구미 3기 지구4.4.5. 구미 4기 지구4.4.6. 구미 4.5기 지구4.4.7. 구미 5기 지구
5. 인구6. 교통7. 경제
7.1. 산업
7.1.1. 침체7.1.2. 해결 노력
7.1.2.1. 기업 유치 및 산업 첨단화7.1.2.2. 국가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7.1.2.3. 구미형 일자리
7.2. 상권
7.2.1. 문화로
7.2.1.1. 오락실
7.2.2. 인동
7.3. 금융
8. 관광9. 음식10. 생활문화
10.1. 교육10.2. 물가10.3. 의료기관10.4. 스포츠10.5. 대중문화에서
11. 정치12. 군사13. 하위 행정구역14. 사건사고15. 기타16. 출신 인물
16.1. 독립유공자16.2. 가상 인물
17.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colbgcolor=#0033a0><colcolor=#fff> 파일:구미시청.jpg
구미시청
경상북도 구미시 송정대로 55

경상북도 서남부에 있는 .

도 내에서는 포항시에 이어 2번째로 큰 도시로, 서로는 김천시, 남으로는 칠곡군, 북으로는 상주시의성군, 동으로는 대구광역시 군위군과 인접하고 있다.

경산시 다음으로 대구광역시와 통학·통근권을 가장 밀접하게 공유하는 대구권의 도시 중 한 곳이다. 대구광역시를 제외한 대구권의 도시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대구광역시와는 어느 정도 독자적인 생활권을 가지고 있다.[12]

1969년 박정희 정부가 구미시와 칠곡군 일대에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해 전자반도체 산업을 중점 육성했다. 이에 따라 전자산업, 반도체산업 관련 기업들이 대거 입주해 인구가 급증하고 산업도시로 성장했다. 2010년대부터 기업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예전에 비해서 국가 경제 전체에서 차지하는 구미시의 비중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여전히 경상북도 내에서 포항시와 함께 중요한 경제적인 축을 담당하고 있는 도시이다.

2. 상징

<colbgcolor=#21439c><colcolor=#fff> 파일:external/sstatic.naver.com/37087.jpg
파일:external/www.gumi.go.kr/i_mascot.gif
구미시 슬로건(Yes Gumi)과 구미시 마스코트 거북이 '토미'(TOMI). 이름은 거북이(Tortoise), 새천년(Millennium) 지성(Intelligence)의 합성어로 '거북이 꼬리(龜尾)'라는 의미에서 따 온 캐릭터다.
파일:external/www.gumi.go.kr/i_mascot_apply.gif
왠지 응용 동작에는 파트너로 보이는 여자 캐릭터가 있지만 이름은 딱히 정해지지 않은 듯하다.

거북을 모티브로 제작한 캐릭터라 그런지 마리오 시리즈에 나오는 엉금엉금을 닮았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미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지리

4.1. 지형

구미는 좁게 보면 금오산이나 천생산을 중심으로 자잘한 산맥에 둘러싸여 있는 전형적인 분지 지형이다. 서쪽으로는 금오산이, 동쪽으로는 유학산, 천생산, 베틀산 세 개의 산이 둘러싸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넓게 보면 도시의 중심부를 남북으로 낙동강이 관통하고 그 주변으로 상당히 넓은 평지가 펼쳐져 있다. 칠곡군왜관이 낙동강 주변의 평야에 있으며, 구미국가산업단지도 마찬가지다. 이 평야들은 남쪽으로는 칠곡군대구광역시달서구에, 서쪽으로는 김천시에, 그 북쪽으로는 상주시의성군에 있다. 구미시내의 평야의 경우 지산들[13], 해평들[14], 고아읍의 항골들, 선산읍의 포평들과 어르지들, 모과남들 등이 있다.

예부터 학자들이 많았던 고을이라 지명 역시 상당히 다양하며, 상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사창이 존재하였음을 보여주는 사창이라는 이름의 지명 역시 존재한다.[15]

역사적으로는 후삼국시대일리천 전투가 일어난 장소로 추정되기도 하다.[16] 그러다 보니 아직도 그 당시 유래된 지명들이 존재하고 있다. 견훤의 아들 신검의 부대가 집결한 고아읍 관심리 앞 들판을 ‘어갱이들’이라 하는데, 태조 왕건이 매봉산을 사이에 두고 신검을 방어하기 위해 군사를 고아읍 관심리 앞들에 주둔시켰다고 해서 이곳을 ‘어검(御劒)평야’ 또는 ‘어갱이들’이라 한다. 또한 진을 쳤던 곳은 ‘장대(새도방)’로, 신검이 송림리 앞들에 진을 치고 있다가 전세가 불리하여 군사를 괴평리로 옮겨 배수진을 친 곳이 ‘발검(撥劒)평야’, 곧 ‘발갱이들’이 된다. 태조 왕건이 매봉산 서쪽 낮은 구릉으로 진격해 기습 작전을 펴서 점령한 곳이라 해서 ‘점검평야’ 곧 ‘점갱이들’이라 한다. 이들 지명은 오늘날까지 여전히 주민에 의해 불리고 있다.

옛날부터 낙동강의 영향으로 물산이 풍족한 동네였으며, 이러한 지리적인 이점을 기반으로 선산군인동이 성장하였다. 선산의 경우 영남학파의 뿌리이자 그 유명한 영남인재 발언이 지목된 동네이기도 하다. 조선 후기 학자 이중환(李重煥)이 쓴 택리지에 “조선 인재의 반은 영남에서 나고, 영남 인재의 반은 선산군에서 난다.”고 한 선산이 바로 이 선산이다. 그 이유로는 고을의 풍족함과 더불어 풍수지리를 꼽기도 한다. 선산군의 지형은 봉황이 껴안은 모습으로, 풍수지리적으로 최고의 택지 중 하나다. 더불어 금오산은 세 명의 왕이 나는 명당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경상도 제일의 고을인 상주시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일본군의 침공이 극심했다. 그래서 길재김종직, 허위 등 인의(仁義)에 관련된 고사나 인물이 많다. 대표적으로는 의구총이나 경상도에서는 3.1 운동의 시발점이 된 고을이라는 점 또는 곽재우와 의병에 관련된 일화 등이 있다.

4.2. 기후

<rowcolor=#fff> 기온\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기온(℃) -0.6 1.8 7.1 13.3 18.6 22.6 25.3 25.6 20.6 14.2 7.4 1.1
[17]

지리적으로 대구와 가깝고 기후도 대구와 비슷하기는 하지만, 은근히 다르다. 큰 폭설이나 폭우가 오지 않는 점은 대구와 비슷하지만, 대구와 다르게 묘하게 진눈깨비는 자주 오는 편이다. 더위는 큰 일교차로 열대야가 심하지 않아 대구보다는 좀 덜 더우나 최고 기온만으로 따지면 대구보다 더울 때도 가끔씩 있다. 2005년 4월 28일에는 낮 최고기온 32.9℃[18]를 찍은 적도 있다. 찜통 더위가 계속되던 2018년 8월 1일에는 최고기온 38.1℃를 찍는 기염을 토해내기도 했다. 분지 지형인 데다가 공업 지역이 넓고 도시 내부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 이러한 현상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기도 하며, 대구 같은 경우에는 끊임없이 식목 사업을 추진하여 더위를 일정 부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분석도 많다. 겨울 같은 경우에는 대구보다 조금 춥다.

역대 최저 기온은 1974년 1월 26일의 -24.0℃, 최고기온은 2018년 8월 1일의 38.1℃이다.

그리고 태풍의 피해를 잘 입지 않는 편이다. 2002년 태풍 루사 때도 물론이고 2010년 태풍 곤파스의 영향권에서도 비켜갔다. 곤파스가 온 날 구미는 바람 조금 불고 말았다. 실제로 구미에 전자 공단이 들어선 이유 중에는 이런 기후 조건도 고려 대상이었다고 한다. 눈도 잘 안 오기는 하지만 전국적인 폭설이면 많이 온다. 하지만 그래봤자 휴교하기에는 화력이 딸려서 금방 원상복귀되거나 와도 하루아침 만에 다 녹아버리는 일이 다반사다.[19]

이렇듯 주변 도시와 비슷한 듯 다른 기후와 기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2008년 경상북도 서부권을 관할하는 구미 기상대가 개소했다. 2018년 7월 4일에는 이례적으로 구미에 호우주의보가 내려져 비가 많이 쏟아지고, 이로 인해 교통마비가 오는 등 시민들은 불편함을 겪기도 했다.

4.3. 경북 서부의 중심도시

경북 서부의 범위는 경우에 따라 다소 다르나 대체로 구미시를 중심으로 상주시[20], 김천시, 성주군, 문경시, 칠곡군 일대로 잡고 있다. 경북 서부의 중심도시 역할은 구한말까지는 상주, 일제강점기 이후 1970년대까지는 김천이 맡아왔다. 당장 김천이 그 수원, 포항과 함께 1949년에 이미 시로 승격한 사실과 3번 국도4번 국도가 김천에서 만난다는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21]

그러나 1960년대 말부터 박정희가 고향인 구미를 산업도시로 발전시키고 경부고속도로금오산을 피하여 북으로 우회하며 구미를 관통하게 되면서 이 영향을 받아 함께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덕분에 경북 서부에서 도시들의 관계는 역전되어 현재는 구미가 경북 서부에서 최대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도 김천시와 칠곡군 및 주변 주요 도시와 교류가 많으며, 김천 주민에 따르면 김천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구미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22]

생활권은 대구, 칠곡 또는 김천과 같은 생활권에 속하는데 3,000원 짜리 무궁화호를 타면 구미역에서 대구 도심에 있는 대구역까지 30~35분 정도 밖에 안 걸리고, 2,600원으로 무궁화호를 타고 김천역으로 가기도 한다. 이로 인해 구미에서 돈을 벌고 주말엔 대구에서 여가를 소비하는 사람들도 많고, 대구에서 구미·김천으로, 김천에서 구미·대구로, 구미에서 김천·대구로 통근하거나 통학하는 사람도 많다. 주로 강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며, 강동 지역에 이용하는 사람들은 5번 국도25번 국도를 주로 이용한다.

4.4. 도시구조

구미시 지역은 매우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크게 보면 원도심인 송정동(구미시청 소재지)과 부도심인 인동동과 양포동+산동읍 정도로 구분할 수가 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도시 구조와는 확연히 다르다. 보통의 도시들은 대구, 대전 등과 같이 도시의 핵심(도심)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 등의 모습으로 확산된다. 하지만 구미는 도시의 핵심(공단)을 중심으로 하여 발전하였고 동시에 방사형과 같은 기본적 도시의 구조로 발전하지 못했는데, 이유를 꼽자면 다음과 같다.

인동 지역이나 기존의 구도심인 송정동 일대를 제외한다면 거의 대다수의 시가지가 단절되어 있다. 보통의 행정동이 다다닥 붙어있는 것에 비하여 구미시는 거의 동과 동이 붙어있는 경우가 희박하다. 그렇기 때문에 동의 경우 독자적인 생활권을 구축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인동과 같이 동과 동이 밀집하여 연속을 이루는 경우에는 좀 더 큰 생활권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시가지의 경우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신시가지에 해당된다. 현재 구미시의 경우 강서의 도심격이자 구미시의 원도심으로써 송정동 일대가 구도심으로 일컬어진다. 그리고 강동 지역이 가파르게 발전하면서 새롭게 인동이 부도심으로 각광 받으면서 신도심의 위치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옥계 지역 역시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1도심 - 2부도심 체계가 곧 새롭게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29]

4.4.1. 구미 1기 지구


구미 1기 지구는 주로 구미시로 승격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 1공단이 삽을 뜨게 되면서 신도시의 일환으로 체계적인 도시 계획 안에서 형성된 주거지이다. 그러나 송정동과 형곡동과 원평동의 경우 그러한 도시 계획의 혜택을 보게 된 지구에 해당하나, 반대로 신평동과 비산동과 공단동의 경우 단순히 노동자들의 편의에 맞추어 공업 단지의 옆에 주로 기업 기숙사 주택의 일환으로 형성되었다.

이 지역들은 가장 먼저 형성된 주거지구로서 구미시의 역사를 가장 대변하는 동네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구미역, 구미종합터미널, 경부고속도로 구미IC 등의 교통 시설, 구미시청이나 구미시립 문화예술회관, 구미시립 도서관, 경북도립 도서관, 구미시민운동장 등의 행정ㆍ문화예술 시설 등이 대거 밀집해있다. 그러다 보니 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중후반까지 구미시에서는 형곡동을 중심으로 하여 일종의 부촌으로 인식되기도 하였으며 원도심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은 일종의 4기 신도시 이전까지 계속되었는데, 4기 신도시 이전에 해당하는 주거 지역들의 경우 분지의 형태를 뛰는 구미시의 지형상 좁은 산세를 파고드는 지역이 많았기 때문이다.[30]

현재 이들 1기 신도시 지역의 대부분의 기관들은 인접 지역과 통합되거나 외곽으로 일부 이전, 혹은 현 위치에 다시 지으려고 하고 있으며, 상당수 주택 지역들은 재개발을 하고 있거나 앞두고 있다.

4.4.2. 구미 2기 지구


1기 지구가 구미시의 승격과 공단의 형성 초기로 구미시의 출범과 거의 같이 하였다면, 2기 지구는 구미시의 발전과 함께 유입되는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새롭게 개발된 지역들을 뜻한다.

1공단이 크게 확장하기 시작하며 기존의 주거지로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게 되었고, 이에 비교적 공단과 밀접한 임오동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기존의 주거지역들이 포화에 이르며 좀 더 새로운 주거지역이 필요해지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원도심과 인접한 지산동과 도량동이 개발되기 시작하며 구미의 시가지가 좀 더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도량동의 경우 기존의 원도심에 해당하는 송정동이나 형곡동이 개별 주택이나 저층 아파트 위주였다면, 도량동을 기점으로 아파트가 중심되어 집단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1기 지구인 신평동이나 비산동과 얼추 비슷하다.

4.4.3. 구미 2.5기 지구


구미 2.5기 지구는 칠곡군 인동면의 편입과 함께 구미 2공단이 형성되기 시작한 때를 기점으로 한다. 1공단에 이어 2공단이 새롭게 준공되며 2공단 주변 진미동과 인동동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원래 이 주변에는 인동 장씨 등 꽤 많은 마을 주민들이 살고 있었던, 쉽게 말해 사람 사는 모습은 갖춘 지역이었다. 하지만 2공단이 건설되며 차츰 도시의 구조를 갖춰가게 된다. 하지만 2공단 자체가 1공단에 비해 작고 그리 큰 영향력을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크게 주변이 변화하지는 못했다.

특이한 점으로는 인동면의 편입과 함께 2공단이 인동면에 형성되었으며, 이 신도시 역시 그 주변으로 하여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2공단 자체가 그리 1공단에 비하여 확연히 큰 단지는 아니었고 그러다 보니 큰 영향력은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2.5기 신도시들의 폭발적인 발전은 3공단의 형성과 함께 3기 신도시들과 같이 발전하게 된다. 이후 강동으로 크게 발전하였고 구미시의 부도심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4.4.4. 구미 3기 지구


구미 3지구는 구미 3공단이 계획되기 시작하며, 동시에 폭발적인 인구증가현상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격적으로 도시개발정책이 구미시 전역으로 퍼져 나가기 시작했을 때 생성된 시가지를 뜻한다.

구미국가산업단지가 갈수록 거대해지며 그 영향력이 주변으로 뻗어나가기 시작하였고, 원래의 칠곡군 인동이 구미시로 편입된 것으로 그치지 않고 그 주변으로 뻗어나가기 시작하였다. 칠곡군의 석적읍과 북삼읍이 차츰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31], 광평동과 상모·사곡동과 같은 기존의 시가지 사이에서 빛을 못 보던 낙후 지역 역시 동시에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동시에 3공단의 형성으로 폭발적으로 구미 강동지역이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완벽히 부도심의 형태를 갖추며 신시가지의 모습을 보이게 된다.

3지구의 특징이라면 본격적으로 원룸 형태의 시가지 모습이 보이기 시작하였다는 것이며, 동시에 기존의 구미시 동 내 지역은 개발이 대부분 이루어졌으며, 그 교외지역들인 읍, 면, 리로 뻗어나갔다는 점이다.

4.4.5. 구미 4기 지구


구미 4기 지구는 구미 4공단과 같이 만들어지게 된다.

특히 기존의 시가지와 동떨어져 개발이 되지 않던 유일한 동 지역이던 선주·원남동(봉곡동)이 마침내 개발된 시기지이기도 하다. 동시에 4공단이 형성되며 기존의 시가지와 근접해있던 지역이 아닌 새로운 시가지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4기 신도시의 경우 4.5기 신도시와 5기 신도시에까지 쭉 이어지며 사실상 구미시의 차세대 발전 동력으로서 각광받는 지역으로 발전해나가게 된다.

4.4.6. 구미 4.5기 지구


여기서부터는 사실상 현재 진행형인 상태로, 현재 구미시에서 추진하는 신도시가 바로 이 시기에 해당한다. 4.5기 지구는 두 가지 이유에서 형성되었는데, 첫째로는 구미 확장단지의 영향 그리고 구미 5공단의 배후지역을 미리 형성하려는 과정에서 기존의 시가지를 연담화하고 강화하는 경우로 볼 수가 있다.

또한 구미 4.5기 신도시의 특징으로 구미시 위기론과 지방 부동산 경기의 급상승에 맞물려 시에서 정책 주도적으로 부동산을 전폭 지원하면서 움직이는 여러 택지지구를 뜻한다. 4.5기 신도시의 경우 일부 대표적인 지역을 제외한다면 대부분 시가지가 이러한 혜택을 보고 있는 경우이며, 주로 기존의 노후화된 시가지(1기부터 3기 신도시 중 낙동강 서안 지역)를 재건축-재개발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그런면에서 기존의 시가지를 재정비하고 연담 및 연계하여 도시 기능을 강화하는 데에 주 목적이 있다. 이러한 구미시의 결정은 구미시 2020년 도시 관리계획 및 재정비안에 따른다.

고아읍의 경우 기존의 오로리 에덴아파트와 봉한리 금류아파트 일원이 재정비 대상으로 선정됐으며, 또한 구운초등학교 일대 지역의 자연 녹지 지역이 해제되었다.

산동면의 경우 두 지역이 재정비 대상으로 선정되었는데, 하나는 확장단지와 5공단 사이의 적림리 일대가 그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동시에 확장단지 역시 대표적인 이 시기의 신도시에 해당한다. 산동면의 두 지역의 경우 기존의 4공단과 새롭게 시행된 5공단 사이의 도시 인프라 및 기능을 강화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거의동의 경우 기존의 양포동과 연계한 택지지구로 개발 중인 상태이다. 또한 고아읍의 문성과 원호리 그리고 선산읍 교리는 5공단의 배후이면서도 기존의 시가지와 연담한 택지지구로 볼 수 있다.

동시에 상모·사곡동과 구평동의 경우 최근 발표된 택지지구로서, 사곡동의 경우 기존에 허허벌판이었던 구미 주안교회 뒷 편의 벌판이 그 사업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상모동의 경우 구미 상모교회와 상모고등학교의 산 방향 건너편이 사업대상으로 선정되었다. 구평동의 경우 구평3지구 택지조성사업[32]에 맞물리며 그 동안 1지구와 2지구 사이 공터로 유지되던 지역을 '불바위지구'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진행하기로 결정되었다. 이 역시 기존의 약화된 상모 사곡동 및 구평동의 불완전한 시가지를 연담화하고 기능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마지막으로 인의동의 인동중학교 주변의 공터들이 모두 사업 대상에 선정되었다. 또한 구포동의 가라골 지역 역시 사업 대상에 선정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을 보듯이 4.5기 신도시의 경우 기존의 산업지구의 형성에 발맞춰 이루어지던 택지지구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격적으로 연담화를 시도함과 동시에 시가지를 정비해나가기 시작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4.4.7. 구미 5기 지구


구미 5지구는 일명 하이테크밸리인 5공단과 함께 형성되기 시작했다. 사실 아직 5공단이 준공이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여기에 속하는 대다수 지구는 아직 개발의 삽조차 뜨지 못한 게 사실이다. 우선 이 때부터는 기존의 구미시 자체적으로 형성된 시가지와 관련이 없는 지역에 형성될 계획이다. 즉, 행정동이나 법정동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농촌지역이 그 해당지역들이다.

그나마 선산읍의 경우 교리를 중심으로 일부 도시지역이 형성될 예정이기는 하다. 산동면의 경우 확장단지가 존재하는 소재지역이기는 하나, 워낙 행정구역이 넓어 직접적 관련은 없을 전망이다. 아직 4.5지구 역시 완전히 착공과 준공이 이루어지진 않았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5기 지구에 해당하는 지역들이 개발되려면 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구미시 도시계획과 발전은 구미공단의 형성과 함께 시작되었고, 꾸준히 그러한 흐름을 보여주었다. 그렇기 때문에 구미와 공단을 빼놓고는 이야기가 불가능하다.

5. 인구

<rowcolor=#000> 경상북도 구미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6,725명
1970년 105,995명
1973년 7월 1일
칠곡군 북삼면 낙계동 → 선산군 구미읍 편입
선산군 산동면 도산동 → 군위군 소보면 편입
1975년 123,421명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1980년 177,344명[1980구미시]
1983년 2월 15일
칠곡군 북삼면 오태동 → 구미시 편입
금릉군 감문면 소재동·봉남동 → 선산군 선산읍 편입
1985년 208,976명[1985구미시]
1987년 1월 1일
선산군 도개면 청산동 → 의성군 구천면 편입
의성군 단밀면 용산동 → 선산군 도개면 편입
선산군 장천면 석우동 → 칠곡군 가산면 편입
1989년 1월 1일 칠곡군 가산면 신장리 → 선산군 장천면 편입
1990년 268,513명[1990구미시]
1995년 1월 1일 구미시 + 선산군 → 구미시로 통합
1995년 311,431명
2000년 341,550명
2005년 383,786명
2010년 404,920명
2015년 419,915명
2018년 4월 422,287명(정점)
2020년 416,328명
2024년 11월 404,8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rowcolor=#fff>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동동 46,285명
양포동 44,804명
고아읍 37,579명
선주원남동 37,492명
산동읍 30,068명
상모사곡동 29,806명
도량동 27,416명
송정동 22,813명
임오동 17,744명
진미동 16,689명
형곡2동 15,737명
선산읍 13,806명
형곡1동 12,960명
비산동 12,623명
원평동 9,367명
신평1동 4,633명
공단동 4,171명
광평동 4,129명
해평면 3,717명
신평2동 2,957명
장천면 2,832명
도개면 2,067명
지산동 1,899명
무을면 1,789명
옥성면 1,643명
2024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

경상북도 중에서 면적이 경산시 다음으로 2번째로 작은 데 반해 인구 수가 경북 2위라서 인구밀도는 경북 1위이다.[36] 2023년 1월 기준 만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1.15%이다.

한때는 전국에서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도시, 가장 젊은 도시 타이틀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대기업의 해외 이전과 수도권으로의 이탈현상이 일어나면서 2015년 이후부터 인구가 정체 혹은 소폭 감소 중이며, 구미보다 인구가 적었던 김포시, 시흥시, 평택시, 파주시 등 경기도 도시들에 추월당했다. 물론 이 도시들은 수도권 버프를 업고 엄청난 발전을 이루고 있는 경기도에 속한 도시들이기 때문에 구미와의 비교는 사실 어불성설이다. 2022년 41만명선이 2011년 이후 11년 만에 무너졌다. 구미시는 코로나로 인한 생산업 근로자 감소로 인한 인구 감소라고 밝히고 있다.

전체적으로 지방의 인구는 계속 줄고 있기 때문에 인구 보합세를 유지하면서 소멸위험지수가 1.0이 넘었던 구미는 그나마 선방하고 있는 것이다.[37] 포항과 더불어 경상북도의 캐시카우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한 도시이기 때문에 경상북도와 대구의 관심을 톡톡히 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침체되어 있는 구미를 살리기 위한 꾸준한 노력으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얻어내고 있다. 구미형 일자리(LG화학)가 성사되었고, 구미발전소와 제2국가반도체 클러스터 건설의 최대 수혜 지역이 되면서 미래를 위한 새로운 도약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읍면동별 인구[38] #===
파일:구미시 CI.svg 선산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855명
1970년 16,876명
1975년 17,905명
1979년 5월 1일 선산군 선산면 → 선산읍 승격[39]
1980년 18,647명
1983년 2월 15일
금릉군 감문면 소재동·봉남동 → 선산군 선산읍 편입
옥성면 봉곡동·포상동 → 선산읍 편입
1985년 19,150명
1990년 19,367명
1995년 20,396명
2000년 18,846명
2005년 16,915명
2010년 16,132명
2015년 14,751명
2020년 15,001명
2024년 4월 13,8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고아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295명
1970년 14,384명
1975년 14,776명
1980년 14,233명
1985년 14,337명
1990년 15,405명
1995년 17,525명
1997년 11월 1일 구미시 고아면 → 고아읍 승격
2000년 33,560명
2005년 32,217명
2010년 32,608명
2015년 33,323명
2020년 36,487명
2024년 4월 37,5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산동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965명
1970년 8,472명
1973년 7월 1일 선산군 산동면 도산동 → 군위군 소보면 편입
1975년 7,245명
1980년 6,000명
1985년 5,327명
1990년 4,435명
1995년 4,123명
2000년 4,358명
2005년 4,269명
2010년 3,825명
2015년 3,700명
2020년 26,619명
2021년 1월 1일 구미시 산동면 → 산동읍 승격
2024년 4월 30,0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무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780명
1970년 7,317명
1975년 6,868명
1980년 5,318명
1985년 4,388명
1990년 3,384명
1995년 2,948명
2000년 2,717명
2005년 2,579명
2010년 2,325명
2015년 2,096명
2020년 1,873명
2024년 4월 1,7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구미시 CI.svg 옥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991명
1970년 7,573명
1975년 7,202명
1980년 5,451명
1983년 2월 15일 옥성면 봉곡동·포상동 → 선산읍 편입
1985년 4,046명
1990년 3,146명
1995년 2,766명
2000년 2,424명
2005년 2,225명
2010년 2,126명
2015년 1,954명
2020년 1,729명
2024년 4월 1,64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구미시 CI.svg 도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048명
1970년 7,689명
1975년 7,264명
1980년 5,750명
1985년 5,046명
1987년 1월 1일
의성군 단밀면 용산동 → 선산군 도개면 편입
선산군 도개면 청산동 → 의성군 구천면 편입
1988년 7월 1일 도개면 신림리 일부 → 해평면 편입
1990년 4,222명
1995년 3,337명
2000년 3,091명
2005년 2,822명
2010년 2,690명
2015년 2,410명
2020년 2,225명
2024년 4월 2,0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구미시 CI.svg 해평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262명
1970년 12,337명
1975년 11,784명
1980년 10,069명
1985년 8,849명
1988년 7월 1일 도개면 신림리 일부 → 해평면 편입
1990년 7,505명
1995년 7,231명
2000년 6,003명
2005년 5,970명
2010년 5,857명
2015년 5,128명
2020년 4,133명
2024년 4월 3,7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장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281명
1970년 8,670명
1975년 8,361명
1980년 6,572명
1985년 5,786명
1987년 1월 1일 선산군 장천면 석우동 → 칠곡군 가산면 편입
1989년 1월 1일 칠곡군 가산면 신장리 → 선산군 장천면 편입
1990년 4,961명
1995년 4,111명
2000년 4,131명
2005년 4,083명
2010년 3,825명
2015년 3,592명
2020년 3,183명
2024년 4월 2,83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송정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2,824명
1985년 6,975명
1990년 21,351명
1995년 21,126명
2000년 22,596명
2005년 22,240명
2010년 20,281명
2015년 18,827명
2020년 7월 20일 선주원남동 일부 → 송정동 편입
2020년 24,429명
2024년 4월 22,8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원평동 인구 추이[舊]
(1966년~현재)
1966년 21,231명
1970년 22,677명
1975년 41,989명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19,878명[1980원평동]
1985년 20,838명[1985원평동]
1990년 20,960명[1990원평동]
1995년 15,350명[1995원평동]
1999년 3월 2일 원평2동 + 원평3동 → 원평2동 합동
2000년 12,664명[2000원평동]
2005년 9,576명[2005원평동]
2010년 9,976명[2010원평동]
2015년 9,478명[2015원평동]
2020년 6,994명[2020원평동]
2021년 7월 1일 원평1동 + 원평2동 → 원평동 합동
2024년 4월 9,3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도량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6,002명
1985년 9,824명
1990년 20,243명
1995년 3월 1일 도산동 → 도량동, 지산동 분동
1995년 33,227명
2000년 31,292명
2005년 32,307명
2010년 33,818명
2015년 31,409명
2020년 30,006명
2024년 4월 27,41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지산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1일 도산동 → 도량동, 지산동 분동
1995년 5,833명
2000년 4,770명
2005년 3,777명
2010년 3,291명
2015년 2,910명
2020년 2,239명
2024년 4월 1,8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파일:구미시 CI.svg 선주원남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11,408명[1980선주원남동]
1985년 12,279명[1985선주원남동]
1990년 14,176명[1990선주원남동]
1995년 15,370명[1995선주원남동]
1999년 3월 2일 선주동 + 원남동 → 선주원남동 합동
2000년 19,862명
2005년 27,547명
2010년 43,750명
2015년 47,930명
2020년 7월 20일 선주원남동 일부 → 송정동 편입
2020년 39,544명
2024년 4월 37,49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형곡1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1,320명
1985년 2,620명
1990년 1월 1일 신시동 → 형곡동 개칭
1990년 15,101명
1995년 3월 1일 형곡동 → 형곡1동, 형곡2동 분동
1995년 15,319명
2000년 17,296명
2005년 18,058명
2010년 16,887명
2015년 15,372명
2020년 14,681명
2024년 4월 12,9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형곡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1일 형곡동 → 형곡1동, 형곡2동 분동
1995년 20,050명
2000년 22,396명
2005년 23,662명
2010년 23,159명
2015년 21,442명
2020년 17,039명
2024년 4월 15,7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신평1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6,366명
1985년 11,622명
1990년 13,445명
1995년 10,638명
2000년 8,807명
2005년 6,108명
2010년 5,398명
2015년 4,405명
2020년 3,307명
2024년 4월 4,6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신평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5,140명
1985년 6,741명
1990년 7,471명
1995년 6,222명
2000년 5,302명
2005년 4,116명
2010년 3,628명
2015년 2,498명
2020년 3,262명
2024년 4월 2,95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구미시 CI.svg 비산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27,926명[1980비산동]
1985년 39,165명[1985비산동]
1990년 1월 1일 공단동 → 공단1동, 공단2동 분동
1990년 18,772명[1990비산동]
1995년 15,968명[1995비산동]
2000년 15,033명[2000비산동]
2005년 13,303명[2005비산동]
2010년 8,886명[2010비산동]
2015년 10,388명[2015비산동]
2020년 13,313명[2020비산동]
2021년 1월 1일 비산동 + 공단1동 → 비산동 합동
2024년 4월 12,6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광평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3,895명
1985년 4,657명
1990년 6,631명
1995년 5,687명
2000년 4,935명
2005년 3,311명
2010년 3,660명
2015년 5,065명
2020년 4,386명
2024년 4월 4,12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구미시 CI.svg 상모사곡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6,032명[1980상모사곡동]
1985년 7,945명[1985상모사곡동]
1990년 10,873명[1990상모사곡동]
1995년 9,132명[1995상모사곡동]
1999년 3월 2일 사곡동 + 상모동 → 상모사곡동 합동
2000년 11,998명
2005년 26,632명
2010년 29,911명
2015년 31,359명
2020년 31,015명
2024년 4월 29,8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임오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2,399명
1983년 2월 15일 칠곡군 북삼면 오태동 → 임은동 편입
임은동 → 임오동 개칭
1985년 4,720명
1990년 6,166명
1995년 8,232명
2000년 12,826명
2005년 15,492명
2010년 17,625명
2015년 21,165명
2020년 19,003명
2024년 4월 17,7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인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876명
1970년 8,445명
1975년 8,820명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5,095명[1980인동동]
1983년 2월 15일 인동동 + 신구동 → 인동동 합동
1985년 6,461명
1990년 13,334명
1995년 28,807명
2000년 28,213명
2005년 52,277명
2010년 54,353명
2015년 57,617명
2020년 48,598명
2024년 4월 46,22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7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진미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4,406명
1985년 5,789명
1990년 7,239명
1995년 8,246명
2000년 12,574명
2005년 23,172명
2010년 21,814명
2015년 21,308명
2020년 16,329명
2024년 4월 16,68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양포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7년 3월 2일
선산군 구미읍 + 칠곡군 인동면 →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승격 분리
1978년 2월 15일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 → 구미시 승격
구미읍 송정동 → 구미시 송정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1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2동 전환
구미읍 원평동 일부 → 원평3동 전환
구미읍 지산동 + 도량동 → 도산동 신설
구미읍 봉곡동 + 부곡동 + 선기동 + 수점동 → 선주동 신설
구미읍 원평동 일부 + 남통동 → 원남동 신설
구미읍 형곡동 → 구미시 신시동 전환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1동 신설
구미읍 신평동 일부 → 신평2동 신설
구미읍 비산동 일부 → 구미시 비산동 전환
구미읍 광평동·비산동·사곡동·임은동 각 일부 + 신부동·낙계동 전역 → 공단동 신설
구미읍 광평동 일부 → 구미시 광평동 전환
구미읍 사곡동 일부 → 구미시 사곡동 전환
구미읍 상모동 → 구미시 상모동 전환
구미읍 임은동 일부 → 구미시 임은동 전환
인동면 인의동 + 황상동 → 인동동 신설
인동면 진평동 + 시미동 + 임수동 → 진미동 신설
인동면 신동 + 구평동 → 신구동 신설
인동면 구포동 + 금전동 → 포전동 신설
인동면 양호동 + 거의동 + 옥계동 → 양계동 신설
1980년 2,669명[1980양포동]
1983년 2월 15일 포전동 + 양계동 → 양포동 합동
1985년 2,458명
1990년 3,081명
1995년 8,248명
2000년 22,608명
2005년 28,431명
2010년 36,273명
2015년 46,465명
2020년 46,475명
2024년 4월 44,8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구미시 CI.svg 공단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90년 1월 1일 공단동 → 공단1동, 공단2동 분동
1990년 27,278명
1995년 21,539명
2000년 13,248명
2005년 7,697명
2010년 2,297명
2015년 5,323명
2020년 4,458명
2021년 1월 1일 공단2동 → 공단동 개칭
2024년 4월 4,17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6.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미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철도 강세 지역이었으나, 중부내륙고속도로 등 고속도로망의 확충으로 도로교통의 경쟁력이 매우 강해졌다. 하지만 주변 도시들에 비해서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다만, 시내버스는 굉장히 부실한 편이다. 도시 규모에 비해 매우 엉망이라 불편하기 때문에 자가용 보유가 추천된다.

7. 경제

7.1. 산업

<colbgcolor=#0033a0><colcolor=#fff> 파일:구미국가산업단지2.jpg
구미국가산업단지 전경
아무래도 구미 자체가 공업도시이다 보니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으며, 인구도 많지 않다. 그래도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 생산이 이루어진다. 낙동강 유역 지역은 주로 농사를 하며, 구미국가산업단지 개발 이후에도 읍면 지역에는 아직도 이 많다.

그 외 일반산업단지가 없는 대신 고아농공단지, 구미신동농공단지, 해평농공단지 등이 조성되어 있다.

구미, 나아가 경북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구미국가산업단지는 국내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인 IT 기기, 반도체, LED, 방산장비 등을 제조하며, 주요 대기업의 연구소나 공장들이 많이 몰려 있다. 그래서 구미가 남초 지역이다. 1970년 조성 이후 수출 10억불을 돌파했고, 1976년에 수출 도시임을 상징하는 수출탑[69]이 도시의 중심에 세워졌다.[70]

한 때는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수출액이 대한민국 전체 수출 흑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기도 했다. 당시 구미는 한국의 실리콘밸리라는 말이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유명했고, 남북전쟁이 일어나면 북한군이 반드시 타격할 주요 도시로 꼽히기도 했다.

포항시와 함께 경상북도의 경제를 주도하는 도시다.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전성기를 이루던 20세기까지는 대구 역시 구미의 경제권에 포함됐다. 즉 구미는 대구에 일자리를 제공하고 대구는 구미에 인프라를 제공하는 방식의 관계가 유지 중이다. 현재까지도 대구에서 구미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상당히 많으며, 여가를 즐기려 대구를 찾는 구미 시민도 많다.

참고로 국내에서 최초로 인터넷이 구축된 도시가 구미다. 1982년 5월 31일, 서울과의 연결에 성공했다.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와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연구 3년만에 이루어낸 성과다.

7.1.1. 침체

구미시는 20세기 한국의 수출을 책임지는 대표적인 산업도시였다. 하지만 지금은 과거에 비해서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하락하고 있다. 구미와 같은 산업도시의 쇠퇴 문제는 다른 비수도권 산업도시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특히 국내의 인건비 상승 문제로 인해 해외로 공장 이전이 늘어나고 경기도[71]로 공장이나 연구소가 이전함과 동시에 투자 정체 문제가 맞물리며 구미의 성장이 고전 중이다. 대기업과 중견기업들이 계속해서 구미국가산업단지 대신 경기남부나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

2010년대 이후 삼성전자 모바일 연구소 부분 일부가 수원으로 이전하고 생산라인 중 일부가 베트남으로 이전하면서 과거에 비해 구미의 일감이 감소하고 있다. 구미의 경쟁력 악화로 이어지고 있는데, 실제로 삼성전자 구미사업장의 일감이 크게 감소하자 그 인근 상권은 점점 침체되었다. #

실제로 삼성전자 1~2차 하청업체 절반이 베트남으로 갔거나 이전을 계획 중이었으며, 일감 역시 현저히 줄어 대다수의 업체들이 야간 및 2교대 생산라인을 철수시키거나 축소시켜 주간 생산 인원들로만 편성하는 등 20대 젊은층을 중심으로 실직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나마 지금 와서야 삼성전자 모바일 연구소, 사업부와 네트워크 사업부에 대한 투자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면서 어느 정도 회복되었다.

LG이노텍구미국가산업단지에 대폭 투자하고 SK실트론 역시 반도체 회로기판 제조 라인을 구미 위주로 늘리고 있지만, LG전자TV 생산라인은 인도네시아로 이전했다. 구미시는 구미국가산업단지 5공단의 조기 착공 및 준공,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사업부 유치, 노후화된 1단지, 2단지의 리모델링 사업 발표 및 IT 부분 대기업, 중견기업을 유치하고 있으나 여전히 경기남부에 비해 투자 유치 액수가 부족하다.

구미가 과거에 비해 성장하지 못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참여정부 시기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에서 제외된 것이다. 참여정부 시기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있어서도 인근 김천경북드림밸리를 유치하면서 개발이 되었지만 구미는 구미국가산업단지 4공단 착공 외에는 전혀 혜택을 받지 못했다. 수도권 집중 문제 역시 구미의 정체에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2006년 참여정부 시절, LG디스플레이 신규 공장 입지로 구미시가 검토되었는데 결국 경기도 파주시로 간 적이 있다. 물론 이것은 당시 경상북도지사김관용과 구미시장인 남유진의 실책이 크다. #

당시 LG디스플레이 부사장의 말에 따르면 구미시에 먼저 산업용으로 4공단 토지를 신청하였으나 외국인 기업투자 유치에 눈이 뒤집혀진 남유진이 거절했다고 한다. 그래서 파주시에서 땅을 계약하였으나 그마저도 예정보다 적은 땅이어서 후에 수차례 공장을 짓는 토지산업 변경과 건축 계약을 해야 했다. 이는 파주에 10공장까지 짓는 계기가 되었다.

이 때문에 김관용도 과거와 달리 현재 와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늘었고, 남유진은 아예 후임 시장 자리를 더불어민주당에 주는 것도 모자라서 21대 총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후보들보다도 지지율이 낮게 나올 정도로 정치적 타격[72]을 입었다. 그리고 2019년 문재인 정부에서도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 유치를 위해서 구미와 경북은 물론이고 대구까지 가세하여 힘을 모았으나 결국 용인에 밀려버린 적이 있었다. #

2020년에는 LG전자TV 공장이 인도네시아로 이전되고, 2022년에는 LG전자태양광 패널 사업을 철수하면서 구미 공장의 인원이 2000명대에서 900명으로 절반 이상 축소되었다. 다행히도 LG그룹에서는 LG이노텍이 기존 LG전자의 공장을 인수하고 기존 직원들을 구미 내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사업장으로 재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

7.1.2. 해결 노력

7.1.2.1. 기업 유치 및 산업 첨단화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미는 2013년에 최대 수출 성과를 기록하는 등 여전히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산업도시로의 위상을 지키고 있으며 경북대경권 전체에서 중요한 경제도시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여전히 많은 대기업, 중견기업들의 연구소공장들이 있고 구미시와 경북 모두 대기업과 중견기업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의왕의 삼성SDI에서 구미로 인력이 투입되고, 구미 5공단 하이테크 밸리LG화학 배터리 양극재 공장 유치에 성공하였다.

2021년에는 LG이노텍카메라 모듈 공장과 반도체 기판 공장, SK실트론의 반도체 기판 공장, 삼성전자스마트폰, 태블릿 PC 공장과 5G 통신설비 공장을 유치하거나 생산 물량을 늘렸다.

2022년 6월 28일에는 LG이노텍의 카메라 모듈 신설 및 플리칩-볼그리드 어레이기판 설비 투자 등 1조원대 가량 투자를 이끌어냈다. 그리고 SK실트론 역시 반도체 기판 공장 시설에 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7.1.2.2. 국가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
2019년 문재인 정부 시절 SK 하이닉스 국가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 유치를 시도하였고 당시 대구 등 인근 지역 역시 구미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 사업을 지지했으나 경기도 용인시에 밀렸다. 그래서 구미시청에서는 제2 국가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 재도전을 시사했다.

현재 구미공단LG이노텍이나 SK실트론 등 반도체 부품 회사들과 매그너칩 반도체 등 반도체 기업들이 있다. 이번 반도체 클러스터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반도체 분야와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 위주로 조성될 예정이며 4개의 반도체 공장과 팹리스 시설들이 입지할 예정이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후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구자근(구미 갑), 김영식(구미 을) 의원이 구미공단 5공단 지역에 국가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 유치를 건의하였다. 구미시청에서는 구미 - 대구 - 포항 간 반도체 클러스터로 구축하기로 계획안을 구상했다. 대구경북대학교, 영남대학교 등 지역 대학에서 반도체 특화 인력 양성, 서비스업을 지원하고, 구미의 구미공단에서 메모리와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공장 운영, 포항포항공과대학교 역시 연구개발 인력 양성, 전력반도체 및 신소재 제조를 담당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

결국 구미국가산업단지에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하기로 했다. 지역에서는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예전과 같은 조건으로 부활할 기회라고 보며 반도체 웨이퍼, 소재 부분에서 먼저 투자 받고, 그 다음에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 SK하이닉스 반도체 사업부 위주의 시스템 반도체, 비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 클러스터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가 강하다.

그러나 이미 막대한 중복 투자를 받은 경기도 용인평택에 비해 많이 적은 투자 비용을 받고, 구미가 원하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 SK하이닉스 반도체 사업부 위주의 시스템 반도체, 비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가 아닌 반도체 웨이퍼, 소재 위주다 보니 만족스럽지 않다는 평가도 있다. 애초에 투자 금액 자체가 비교 불가 수준이다보니 용인 투자에 대한 반감이 당연히 남아있다. # #
7.1.2.3. 구미형 일자리
광주형 일자리에 이은 기업-지역 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투자협약식에 참석하는 등 중앙정부에서도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2년간 별다른 이야기가 없다가 2021년 11월 LG화학이 산업통상자원부에 상생형 일자리 사업 신청을 하는 것으로 확인돼 연내 착공이 기대되고 있다.

사업 내용은 LG화학이 생산하는 2차전지 양극재 공장이며, 위치는 구미 5국가산업단지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1년 12월 29일 광주, 밀양, 횡성, 군산, 부산에 이어 구미를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추가 선정했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자회사 LG BCM을 설립해 2025년까지 구미 5산단 내에 연간 60,000톤을 생산할 수 있는 이차전지 양극재 공장을 설립한다. 투자액은 4,946억원이고 직접 고용인원은 187명이다. 또한 LG 화학이 100억원을 출자해 5산단 내의 ESG펀드와 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하고 구미시는 5산단 임대료를 50년간 무상 지원한다.

7.2. 상권

상권은 크게 강서 생활권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로 상권과 강동 생활권을 중심으로 하는 인동 상권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문화로의 강세가 더욱 강하며, 중심 상권의 기능이 더 크다.

특이한 점은 구미역과 더불어 구미의 관문 중의 하나인 구미종합터미널 주변이 농협 파머스마켓 외에는 별 게 없다는 것이다. 대신에 터미널 정문 건너편의 골목을 따라서 유흥가가 밀집해 있다. 터미널에서 좀 걸어가면 나오는 송정동에 동아백화점 구미점이 있긴 한데 전국에서 가장 작은 백화점으로 알려져 있다. 동백 구미점은 1990년 개업 당시에는 규모가 제법 컸으나, 세월이 많이 흘렀고 확장이나 리모델링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금은 할인점 수준이 되었다. 그래서 구미시민들은 대구로 쇼핑가는 경우가 많다.

원래 구미역에 민자역사를 유치하려 했을 때 롯데백화점이 들어온다는 카더라가 있었다. 그러나 민자역사 유치는 실패하고 대신 대구역이 민자역사 + 롯데백화점 유치를 동시에 달성했다. 롯데백화점 대구점 매출의 8% 정도는 구미에서 원정오는 고객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구미역에서 대구역까지 30분 정도 밖에 안 걸리는 데다가 기차를 타고 내리면 바로 대구역 롯데백화점이기 때문이다. 거기다 2016년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신세계백화점이 개장되었고 2024년대경선이 개통될 예정이다.

구미에 롯데백화점으로 추정되는 백화점이 들어오기로 여러 차례 구미시에 제안이 들어왔다고 한다. 처음엔 구미 IC 부근으로 들어오기로 하였다가 거절당하자 KEC 부지에 들어오기로 새롭게 제안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것마저 거절당하자 이번에는 현재 준공이 코 앞인 확장단지 상업부지에 백화점을 포함한 복합 쇼핑몰[73]이 들어오기로 했다가 또 다시 거절하면서 결국 그 복합 쇼핑몰이 영천으로 가게 됐다는 소문이 있다. 이미 한 차례 모다아울렛이 구미에 들어오기로 했다가 거절당하여 김천으로 옮겨서 생긴 것[74]을 고안하면 참으로 아쉬운 일이 아닐 수가 없다. 구미시에서는 분노한 시민들에게 "수자원공사에서 허락을 안 해줬어요.ㅠㅠ" 하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구미에 대형마트는 이마트 2곳, 홈플러스, 롯데마트 1곳이 있으며, 신평동과 광평동 사이에 있는 수출탑로터리 인근에 이마트 구미점롯데마트 구미점[75], 그리고 약간 떨어진 곳에 홈플러스 구미점 같은 대형마트들이 있는데, 문제는 이것들이 죄다 공단 외곽에 있고, 같은 도로에 반경 1km 남짓한 간격으로 연달아 들어서 있다는 것이다.[76] 인동에는 대형마트가 아예 없었으나, 2011년 KT 동구미지사 옆에 이마트 동구미점이 입점했다. 하지만 이곳도 공단 주변이고 주변에는 주거지가 전혀 없다.

재래시장은 중앙시장, 번개시장, 인동시장, 선산 5일장 정도가 있다.

외제차 매장은 과거에 단 한 곳도 없었지만 2016년에 BMW 전시장이 홈플러스 옆에 생겼고, 2017년에는 이마트 뒷쪽 르노코리아 매장 옆에 닛산 전시장[77]이 개장했는데 이후 한국 시장 철수로 사라졌고, 2023년까지 BMW 커넥티드 센터 한 곳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다. 이후 2024년 3월 토요타/렉서스 전시장(대구/경북 권역 딜러사 ‘토요타 와이엠’ 산하)이 생겼고, 벤츠 전시장(‘중앙모터스‘ 산하)이 개점할 예정이다.

경북 서부권의 거점 도시임에도 대형 서점이 없으며[78], 그나마 규모가 되는 곳으로 영풍문고 구미롯데마트점과 삼일문고가 있다. 과거에는 갤러리 플렉스(현 테라스5)에 제일서적 구미점이 있었고, 특히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 서점이었던 춘양당서점은 2000년대 초까지 송정동 KDB산업은행 구미지점 맞은편[79]에 위치했었는데 이후 교육지원청삼거리 부근의 해람빌딩으로 확장이전을 했다가 2014년 여름 즈음에 운영을 종료했다. 한편 원평동 중앙로 구미역 맞은편 오른쪽 건물[80]에도 춘양당서점이 위치해 있었는데, 구미역사 내부 2층 보리스 춘양당이라는 이름으로 자리를 옮겨 영업하다가 중간에 구미역사 내부 4층으로 이전을 했고 2021년 여름에 결국 폐업하였다.

7.2.1. 문화로

강서 생활권의 중심 상권이며, 동시에 시내. 한 번 돌아보는데 10분이면 충분하다.

구미역을 중심으로 하여 바로 역전에 보이는 택시 승강장이 있는 1번 도로(現 구미중앙로)2번도로(現 문화로)로 구성되어있다. 1번 도로의 경우 CGV 구미점, 2번 도로의 경우는 롯데시네마 프리미엄구미센트럴점 등 각종 영화관들이 자리잡고 있다. 문화로로 바로 들어가는 버스 정거장이 없기 때문에 시내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1번 도로에 필히 내려야 한다. 브랜드 패션점이나 회전율이 빠른 분식이나 패스트푸드와 같은 음식점들이 주로 이 쪽에 위치한다. 문화로의 경우는 문화로 문서 참조.
7.2.1.1. 오락실
전뇌전기 버추얼 온 오라토리오 탱그램 5.4가 존재하기도 했다. 그런데 그 오락실은 입주했던 쇼핑몰(갤러리 플렉스)이 박살나면서 덩달아 사라졌다. 그 쇼핑몰은 대대적인 내/외부 리모델링을 거쳐 새로운 건물(테라스5)로 탈바꿈했다. 대성학원이 있었던 바로 그 건물로 참고로 대성학원 건물은 학원 주제에 영화관보다 커다란 건물이다. 시내 전경을 보면 그 건물보다 높은 건물이 없다. 참고로 해당 건물은 원래 다모아백화점이었는데 인수한 대구 하나백화점이 1995년 부도나면서 한동안 휑한 곳이었다가 테라스5라는 이름으로 재개장했다.

그곳의 기계를 대부분 인수한 곳이 바로 구미역 1층의 구미 펀잇(구 게임매니아) 오락실이다. 안타깝게도 구미 펀잇은 2017년 기준으로 폐업했다. 구미에서 유명한 오락실은 롯데시네마 구미점 옆의 빅 게임 랜드와 구미역 건너편의 게임 스포츠텍 구미점, 역전게임월드가 있다. 빅 게임 랜드에는 유비트사운드 볼텍스가 두 대씩, 비트매니아 IIDX, 팝픈뮤직, 리플렉 비트, DANCERUSH가, 그리고 대구 제외 경북권 유일의 maimai DX/CHUNITHM/사운드 볼텍스 발키리 모델이 있으며, 게임 스포츠텍은 사운드 볼텍스/유비트가 세 대, GITADORA 드럼매니아/비트매니아 IIDX가 두 대, 리플렉 비트, 팝픈뮤직, DDR, 노스텔지어, 신 태고의 달인이 한 대씩 있다. 대구를 제외하고 경북권에서 BEMANI 시리즈를 전부 보유했던 오락실 두 곳 중 한 곳.[81] 역전게임월드는 부스형 노래방이 주력인데, 2층에는 필통 150B 후기형 다수가, 3층에는 필통 300L 후기형 2대와 KMS-S90 다수가 있다. 강동권에는 진평동 먹자골목 내 소재한 신세계 게임랜드사운드 볼텍스 2대, 유비트/비트매니아 IIDX를 보유 중이다.

7.2.2. 인동

강동의 중심 상권이자, 신 시내. 특히 인동이라는 자체 생활권 역시 존재한다. 상권의 경우 시내상권을 담당하는 문화로가 있으며 또한 진평동 먹자골목 역시 존재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동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금융

<colcolor=#fff> 구미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구미우체국 (18)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5)
한국수출입은행 (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10)
시중은행
신한은행 (4) 우리은행 (3)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4)
국민은행 (2) iM뱅크 (1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해평농협 (2) 무을농협 (2) 옥성농협 (2) 선산농협 (2)
고아농협 (4) 산동농협 (4) 인동농협 (7) 구미칠곡축산농협 (9)
구미농협 (10) 대구경북능금농협 (1)
새마을금고
상모새마을금고 (5) 임오새마을금고 (3) 도레이새마을금고 (1) 사곡새마을금고 (1)
공단새마을금고 (1) 형곡새마을금고 (3) 중앙새마을금고 (5) 공단1동새마을금고 (1)
송정새마을금고 (2) 금오새마을금고 (2) 원남새마을금고 (5) 구미새마을금고 (3)
도량새마을금고 (8) 지산새마을금고 (2) 구미강동새마을금고 (7) 고아새마을금고 (1)
선산새마을금고 (1) 해평새마을금고 (1) 도개새마을금고 (1) 코닝정밀소재새마을금고 (1)
삼성전자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구미신용협동조합 (2) 옥계신용협동조합 (1) LG디스플레이신용협동조합 (1) KEC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구미시산림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오성상호저축은행 (1) 라온저축은행 (1)

8. 관광

파일:금오산 약사암.jpg
파일:구미 금오지.jpg
금오산 약사암 금오산 금오지출처
파일:천생산2.png
파일:동락공원.jpg
천생산 동락공원
파일: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jpg
파일:낙동강체육공원4.jpg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낙동강 체육공원

금오산도립공원 및 금오산 케이블카, 구미 에코랜드, 낙동강 체육공원, 박정희 대통령 역사자료관,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등락공원, 도리사 등의 관광지가 있다. 관광지로서 인지도가 높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관광자원으로 내세울만한 곳이 꽤나 많은 편이다. 박정희 대통령의 고향인 점도 있지만, 신라불교가 처음 전래된 곳, 그리고 야은 길재의 묘소를 비롯하여 각종 서원이 밀집할 정도로 성리학적 요소가 가득한 점이 대표적인 요소라 볼 수 있겠다. 실제로 요즘 나오고 있는 구미 관광안내도에는 이런 점들을 잘 강조하고 있다. 다만 인지도가 비교적 높은 경상북도의 다른 도시들과 달리, 대부분 201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완성이 된 것이라는 점에서 관광지화가 다소 늦은 편에 속한다.

우선 고대부터 보자면 신라 불교가 처음 전래된 곳으로 알려져 있는 모례마을에 신라불교초전지를 재현해놓고 전시시설과 체험시설을 만들어놓았다. 이와 관련해서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알려져 있는 도리사와 대둔사가 위치하고 있다.

중세로 넘어가본다면 성리학 관련 유적이 많다. 야은 길재의 묘소가 이쪽에 위치하고 있고, 길재 추모하기 위해 만들어진 정자 채미정이 금오산 길목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를 추모하기 위해 만든 금오서원이 원래 금오산 자락에 있다가 선산읍으로 옮겨갔다. 또한 남인 산림인 여헌 장현광 역시 지역 출신이라 여헌기념관을 비롯 그의 영정을 봉안한 서원인 동락서원, 그의 집인 모원정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성리학적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금오산 길목에 구미성리학역사관을 만들고, 채미정 근처에 야은역사체험관을 만들었다. 또한 사육신하위지생육신이맹전의 묘소가 위치하고 있고, 그들을 기리는 서원인 월암서원이 있다.

근현대로 간다면 우선 구한말 항일의병을 일으켰던 왕산 허위의 생가와 묘소가 위치하고 있어 그 지역에 왕산허위기념관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당연히 구미하면 유명한 인물인 박정희 대통령의 생가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의 생가 주변으로 기념관인 민족중흥관, 박물관인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그리고 박정희 대통령이 강조했던 새마을 운동과 관련하여서 만든 새마을 운동 테마공원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자연명소로는 금오산도립공원이 있다. 구미 지역 거의 모든 학교가 금오산으로 매년 소풍을 가는 편이기 때문에 현지 주민들에게 식상한 곳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금오지 올레길 조성 사업으로 한층 아름다워졌다. 정월 대보름에 금오산에서 열리는 금오대제와 매년 5월 구미 출신의 명창인 박록주를 기념하는 전국국악대전이 열린다. 금오산 케이블카 역시 운행 중이며,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운행한다. 다만 타 지역에서의 인지도는 그리 높지는 않은 편이며, 지역 관광객들이 대다수이다.

금오산 입구에는 유원지와 금오랜드라는 놀이공원이 있다. 그리고 빙상장 앞에 보면 수영장도 있는데 여름에만 영업하나 과거(10년 전)엔 자주 영업하였으나 과거와 다르게 사람이 줄어 물이 없이 말라 있는 경우가 다수다. 표지판을 보면 야심차게 롤러코스터도 지을 계획이었으나 현실은 시궁창이다. 휴가철이 아닐 때 주중에 시간을 내서 가보자. 놀이공원을 전세낸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다. 바이킹이나 범퍼카 등 웬만한 건 다 있어서 소소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또, 구미에서 우스갯소리로 이 바이킹이 한국에서 제일 무서운 바이킹이라 자부하는데 진자운동으로 방향이 바뀔 때 텅! 덜커덕! 다라라락! 하는 소리가 공포를 유발한다. 안전바의 느슨함도 한몫한다. 하지만 사고는 전혀 없었으니 안심하자. 2013년 이전만 해도 사람이 은근 많아 놀이기구마다 1명씩은 관리했으나 현재는 3개의 놀이기구를 1명이 관리하는 실정이며 과거엔 자유이용권도 존재하였으나(4,000원) 현재는 주인이 바뀌고 재정 악화로 인해서 놀이기구 3번 타는데 4,500원(2017년 기준)이라 요새는 금오랜드 자체를 가는 사람이 많지 않다. 망치로 때려서 개구리를 잡는 매대도 관리되고 있지 않다. 입구에서 들어가서 오른쪽에 보이는 VR게임장은 과거 100원 넣고 게임하는 오락기와 500원짜리 오토바이나 에어하키, 자동차 게임기가 있었다. 그리고 그 주변에 음식점은 그나마 옹심이 칼국수가 유명했으나 2014년을 전후해 주인이 바뀌는 바람에 음식 양도 줄고 맛도 바뀌면서 그래도 그 근처에서 밥이나 간식을 사먹으려면 금오랜드 바로 옆에 매점이 하나 있긴 하나 가격이 유원지 요금으로 고가이므로 조금 더 올라가서 대주차장에 가면 식당 몇개와 GS25 편의점이 하나 있고 식당가가 있으니 거기가 조금 낫다.

매년 11월 14일 박정희 탄신제가 열린다. 비슷한 행사로 매년 10월 26일에 추모행사가 열리지만 추모식인 만큼 조용하게 치르는 편이다.

또한 2000년부터 매년 9월에 LG드림페스티벌이 개최된다. 다만 이쪽은 LG본사가 아닌 LG경북협의회 주최다.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역예선을 거쳐 본선으로 가는 모양. 본선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팀이 경연 일주일 뒤 구미시민운동장에서 초대가수와 함께 무대를 가진다.[85]

9. 음식

파일:구미선산곱창.jpg
파일:구미 쭈꾸미.png
선산곱창 주꾸미 볶음
구미시에는 선산곱창이라는 특유의 요리가 있는데 육수에다 곱창과 김치, 파 같은 것을 넣고 팔팔 끓이는 요리다. 구미를 방문한다면 한 번 먹어보도록 하자.

그리고 불향이 나는 주꾸미 볶음 요리도 유명하다.

10. 생활문화

10.1. 교육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구미시의 대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국립 파일:금오공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사립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Ⅵ대학(구미캠퍼스)
원격대학 파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심볼.sv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구미시학습관 }}}}}}}}}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경상북도 구미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구고등학교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외국어고등학교 구미고등학교 구미산동고등학교
구미여자고등학교 구미여자상업고등학교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구미제일고등학교
금오고등학교 금오공업고등학교 도개고등학교 사곡고등학교 상모고등학교
선산고등학교 선주고등학교 오상고등학교 인동고등학교 현일고등학교
형곡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경상북도 구미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구중학교 광평중학교 구미신평중학교 구미여자중학교 구미인덕중학교
구미중학교 금오중학교 도개중학교 도송중학교 무을중학교
봉곡중학교 산동중학교 상모중학교 선산중학교 선주중학교
송정여자중학교 오상중학교 오태중학교 옥계동부중학교 옥계중학교
인동중학교 진평중학교 천생중학교 해마루중학교 해평중학교
현일중학교 형곡중학교 형남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구미시 CI_White.svg 경상북도 구미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고아초등학교 광평초등학교 구미문성초등학교 구미봉곡초등학교 구미사곡초등학교
구미신당초등학교 구미신평초등학교 구미오산초등학교 구미왕산초등학교 구미원당초등학교
구미인덕초등학교 구미초등학교 구운초등학교 구평남부초등학교 구평초등학교
금오초등학교 남계초등학교 덕촌초등학교 도개초등학교 도량초등학교
도봉초등학교 도산초등학교 무을초등학교 문장초등학교 비산초등학교
산동초등학교 상모초등학교 선산초등학교 선주초등학교 송정초등학교
신기초등학교 야은초등학교 양포초등학교 오태초등학교 옥계동부초등학교
옥계초등학교 옥성초등학교 원남초등학교 원호초등학교 인동초등학교
인의초등학교 장천초등학교 정수초등학교 지산초등학교 진평초등학교
천생초등학교 해마루초등학교 해평초등학교 형곡초등학교 형남초등학교
형일초등학교 황상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대학교로는 국립대학교국립금오공과대학교가 있다. 이름처럼 종합대학이 아닌 이공계 중점 대학이다.[86] 원래는 국립대가 아니었는데 1990년에 국립대로 전환하였다. 재단을 설립한 초대 총장이 박정희 전 대통령의 심복이던 이동호 씨였고 당시 사립대였음에도 불구하고 국립대에 준하는 지원을 받았었다. 원래는 신평동에 있었다가 외곽 지역인 양호동으로 이전했는데 산호대교를 타면 중간에 진입할 수 있다. 기존 부지에는 구미시 종합 비즈니스 지원센터와 모바일융합기술센터가 들어서 있다. 산동읍에는 경운대학교, 김천시와의 경계 지점인 부곡동에는 구미대학교(옛 구미1대학)이 있다. 또한 공단동에는 한국폴리텍Ⅵ대학 구미캠퍼스가 있다.

구미시는 고교 비평준화 지역이다. 따라서 구미 지역 중학생들은 평준화 지역과는 달리 중학교에서의 내신 성적을 계산하여 고교 입시에 100% 반영하는 방식으로 고교에 입학한다. 그래서 고등학교에도 대략적인 서열이 있다. 구미고(남고)와 구미여고, 현일고 각각 상위권을 차지하며 그 밑에 금오고, 사곡고, 선주고, 경구고(남고), 상모고, 금오여고, 인동고, 오상고, 선산고 등의 다른 일반계 학교들이 그 뒤를 잇는 식이었다. 그런데 이것도 다 옛날이야기다. 2015년에는 중3들이 대거 하향지원을 했기에 구미고와 구미여고의 등급컷은 엄청나게 떨어졌으며, 구미여고는 심지어 그렇게 학생을 긁어모으려 시도하고도 83명이 미달되었다.....가 2018년엔 남학생들이 구미고에 대거 지원해 구미고의 등급컷이 다시 올라갔다. 2020년에는 산동읍산동고가 생김에 따라 인근 학생이 대거 지원해 다른 학교들의 등급컷이 내려갔다.

특성화고로는 구미전자공고, 구미정보고, 구미여상(구 구미정보여고) 등이 있으며 하위 일반계 학교들과 커트라인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 중에서 금오공고와 구미전자공고, 경북 생활과학고, 경북외고의 경우 특목고라서 전국모집이라서 경쟁률이 의외로 높다. 심지어는 제주도나 그 인근 섬인 마라도나 추자도 등지에서도 온다. 최근들어 정시가 축소되고 수시비중의 증가된 이유 등으로 굳이 상위학교를 지망하지 않는 탓에 자율형 공립고 지정이 된 인동고의 급부상과 정부의 마이스터고 지원사업으로 인해 웬만한 일반계를 개발살내 버리는(거의 2, 3위권에 접하는 커트라인.)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의 약진(무려 전국 10~20퍼)으로 인해 구미(남/여)고등학교 이하의 학교의 서열을 논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게 되었다. 더구나 여고는 타 남녀공학의 약진과 여고 기피현상으로 사정이 좋지 않다. 그래도 구미여고는 현 구미시 최상위 학군 중 하나이다. 다만 금오고가 여고 기피현상 때문에 피를 봤는데 1기만 남녀 비율이 1:1이다. 2기부터 남자가 1~2반 나오는 사태가 벌어졌다. 그래서 금오고가 아니고 광평여고라고 하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 금오공고, 구미전자공고의 경우 그 학교 출신교사들이 몇 명은 있다. 구미고등학교는 이 사진 한 장으로 유명하다. 학교급식으로 정력드립

특수목적고등학교로는 공업계열인 금오공업고등학교,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경상북도 유일의 외국어고등학교경북외국어고등학교가 있다. 1996년에 개교했고 주소는 경상북도 구미시 금오산로 198-10, 교훈은 올바르게, 슬기롭게, 더불어 함께. 2009년에 입학한 14기까지는 전국 단위 모집이어서 서울/경기권 학생들도 많이 지원하였으나 2010년 15기부터는 경북으로 모집단위가 바뀌어서 진정한 의미의 경북외국어고등학교가 되었다. 5개 반이 영어과 3반, 일본어과와 중국어과 각각 1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어과는 또다시 영어-일본어과 1반, 영어-중국어과 2반으로 나뉜다. 경북외고의 경우 바로 앞에 금오산이 있는데다 교내에도 벚꽃나무가 심어져 있어 벚꽃철이 되면 장관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소풍객들과 바로 옆 결혼식장의 하객들 때문에 봄이 되면 소음과 주차 문제로 고통받는다. 산 밑이라 공기는 좋지만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익충, 해충 막론하고 갖가지 종류의 곤충을 볼 수 있으며, 도둑 고양이, 심지어 박쥐까지 다양한 동물들도 만날 수 있다. 2011년에 발생한 구미 단수 때도 무지 고생했다. 당시 기숙사에는 400명이 넘는 학생들이 살고 있었는데, 물도 안 나오고 가끔 나오는 물도 정체불명의 노란색 물질이 떠다녀서 제대로 씻지도 못했고 물이 내려가지 않는 화장실에서 나오는 악취는 말할 것도 없었으며 결정적으로 중간고사 기간이었다.

인근 김천시의 김천고등학교가 자사고로 전환된 이후로는 한 해에 30~40명 정도가 김천고로 가는 경향이 있다.

10.2. 물가

공업도시 특유의 비싼 물가를 보인다. 밥값이 1인분에 7,000원에 육박하는 건 예삿일이고, PC방이 40분에 1000원이라든가[87], 숯불고기 1인분에 9,000원선인 경우도 있다.

대중교통 요금도 매우 비싸다. 성인 기준 일반버스와 공단순환버스 1,500원, 좌석버스와 리무진버스 2,000원이다.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100원씩 할인된다.[88] 과거 잘 나갔던 산단이 있던 곳이라 물가가 매우 비싸다.

10.3. 의료기관

대학병원급이 2개 있다.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376병상)과 순천향대학교 부속 구미병원(333병상)으로 둘 다 각각의 의료법인에서 주력 병원들은 아니지만 지역 내 최대 규모 병원들이다. 모두 강서, 특히 공단지역에 있고 인동에는 구미강동병원(224병상)이 있다.

10.4. 스포츠

구미시민운동장박정희체육관이 있다. 박정희체육관은 본래 시설명이 '구미실내체육관'이었는데 2002년 개명 당시 논란이 있었다. 판단은 알아서. 현재 구미시를 연고로 하는 프로스포츠 팀은 없어서, 타 지역으로 가야 직관을 갈 수가 있다.

축구는 2016년부터 WK리그 스포츠토토 여자축구팀이 연고지를 대전에서 구미로 옮겼지만 2020년 이후 세종으로 연고지를 이전하게 되었다. 이유는 2021년 구미시의 전국체전 개최로[89] 주경기장, 보조경기장 보수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스포츠토토 여자축구단의 정상적인 경기 진행이 어려워졌고, 마땅한 대체 구장이 없었기 때문. K리그의 경우 대구광역시 생활권이라 대구 FC 팬이 많고, 옆동네인 김천시에는 김천 상무 FC도 있다. 2012년, 구미시 측에서 K리그 챌린지(현 K리그2)에 참가하는 시민구단 창단을 시도했으나 시의회 반대에 부딪히고 불미스러운 일까지 발생하며 무산되었고 지금도 시민구단 창단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배구V-리그 남자부 프로구단인 구미 KB손해보험 스타즈가 LIG손해보험 그레이터스 시절부터 연고지로 삼았으나, 2017년 7월에 의정부시로 연고지를 이전해서 이제는 구미시에서 남자 배구는 볼 수 없게 되었으며 대중교통을 이용해 대전으로 올라와야 볼 수 있게 되었다. 여자부의 경우 구미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제니스는 2009~2010 시즌까지는 구미를 연고지로 하고 있었고 2012~13 시즌에는 GS칼텍스 서울 KIXX[90]의 경기가 열렸다. 한편 2015~16시즌부터 도로공사가 옆동네 김천으로 연고지를 이전함에 따라 구미에서의 접근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또는 남자부처럼 대전으로 올라가서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경기를 봐도 된다.

농구의 경우 예전에는 옛 대구 오리온스가 가장 가까운 팀이었고 경기를 제2경기장인 구미에서 가끔 개최했지만 오리온스가 2011년 고양시로 야반도주하는 바람에 볼 수 없다가, 2021년 10월 전자랜드 농구단을 인수한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농구단이 생겨서 대구에서 다시 농구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야구는 구미 연고팀이 존재하지 않지만, 2003년에 창단되었다가 마이스터고로 전환되면서 2009년 해체된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 야구부가 존재했었다. 현재는 2016년에 창단된 도개고등학교 야구부가 그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고 봐도 된다. 대구광역시 생활권이라서 삼성 라이온즈의 팬이 많은 편이다. 역시 대전으로 올라가면 한화 이글스 경기를 볼 수도 있다.

2020년대 들어서 구미시 복합 스포츠센터가 볼링의 새로운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2020년부터 실업 볼링단 최강자를 가리는 인카금융 슈퍼볼링이 열린 것을 시작으로 2021년부터 국가대표 및 청소년대표 선발전, 대한볼링협회장배 전국남녀종별볼링선수권대회, 대통령기 전국볼링대회, 대한체육회장기 전국단체대항볼링대회, 전국소년체육대회 등 주요 볼링 대회가 연이어 개최되고 있다.

한동안 배구 경기가 열리지 않다가, 프로배구 컵 대회인 2023 도드람컵이 박정희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91]

10.5. 대중문화에서

11.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미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박정희 대통령의 고향이므로 보수정당에 대한 지지가 높다. 시 차원에서 박정희 기념 사업이 진행되고 있고, 박정희 생가에서 추모행사를 하고 있다. 그래서 박정희의 딸인 박근혜18대 대선 당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었다. 박근혜탄핵으로 구미에서도 지지세가 급락한 것과 달리 박정희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 좋다.

그런데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장세용 구미시장이 취임하면서, 기념사업 축소 및 ‘박정희 지우기’ 의혹, 구미국가산업단지 50주년 기념행사에서 박정희 빼고 박정희 추도식에도 참석하지 않는 등 논란이 일어났다. 소속 정당이 다른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장세용 구미시장이 각각 취임하면서 예산과 매년 운영비 부담 문제를 두고 경북도와 초기에는 갈등을 빚기도 했으며 결국 서로 반반씩 부담을 하기로 했다. # #

다만 박정희는 구미시를 중심으로 한 대경권의 1960년대생 이전 세대인 중노년층 사이에서는 박정희에 대해 경제를 살리고 국가를 일으켜 세운 것으로 기억하고 있고 구미에서 여전히 강한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장세용 구미시장과 민주당 기초의원, 그리고 이들을 당선시킨 구미시의 민주당 지지층에서도 반동을 피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속도 조절과 대화, 협의를 하고 있다. 결국 2019년 장세용 구미시장도 박정희 40주기 추도식에 참석하였다. # #

12. 군사

국산 대함미사일인 '해성'이 첫 발표식을 한 곳이 구미 공단으로 겉보기엔 멋있어 보이지만 이걸 역으로 뒤집어 보면 최악의 사태에는 구미에 우선적으로 스커드 미사일이 날아온다. 경부고속도로 구미~김천 사이에는 비상활주로가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지정해제되어 흔적만 남아있다.

지역방위사단인 제50보병사단 예하 제120보병여단 본부와 1대대가 위치해 있다.

13.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미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사건사고

15. 기타

이름 때문에 오리온마이구미와 엮인다.
경상도인 관계상 돔배기, 고등어, 문어를 제사상에 올리는 집도 있으며, 불교세가 강하다.

대한민국 대표 라면인 신라면을 만드는 농심의 공장이 구미에 있어 라면축제를 개최하고 있다.[93] '산업도시' 구미에 웬 라면 축제? "구미에는 라면 공장도 있어요" (2023.11.17/뉴스데스크/대구MBC)

16. 출신 인물


다른 인물들은 이 곳을 참조.

16.1. 독립유공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구미시 CI.svg경상북도 구미시 출신/활동
독립유공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운동계열 훈격
<colcolor=#000> 허위 의병 대한민국장
박희광 만주방면 독립장
권쾌복 학생운동 독립장
장진홍 의열투쟁 독립장
김정묵 임시정부 애국장
송병우 의병 애국장
송세호 국내항일 애국장
이원길 국내항일 애국장
허겸 의병 애국장
허형 의병 애국장
허훈 의병 애국장
이내성 국내항일 애국장
권오환 3.1 운동 애족장
김영득 국내항일 애족장
김종철 광복군 애족장
남상순 국내항일 애족장
육홍균 일본방면 애족장
전재덕 광복군 애족장
장재성 문화운동 애족장
최재화 3.1 운동 애족장
황진박 의열투쟁 애족장
박명언 3.1 운동 애족장
박몽득 국내항일 애족장
박봉술 3.1 운동 애족장
방하영 국내항일 애족장
이상백 3.1 운동 애족장
임봉선 3.1 운동 애족장
장용희 국내항일 애족장
김관묵 3.1 운동 애족장
유경흥 국내항일 애족장
장호관 학생운동 애족장
장병묵 국내항일 애족장
이종식 국내항일 애족장
권영해 3.1 운동 애족장
김의경 3.1 운동 건국포장
박희목 3.1 운동 건국포장
이능학 3.1 운동 건국포장
장병옥 국내항일 건국포장
전용신 3.1 운동 건국포장
허필 만주방면 건국포장
김구하 국내항일 건국포장
임장수 국내항일 건국포장
김구하 국내항일 건국포장
노명일 국내항일 대통령표창
권경보 3.1. 운동 대통령표창
김도길 3.1. 운동 대통령표창
김성윤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근술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명출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삼봉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순석 3.1. 운동 대통령표창
서기옥 3.1. 운동 대통령표창
서천수 3.1. 운동 대통령표창
이영래 3.1. 운동 대통령표창
이윤약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동석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삼선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준현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점석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용섭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주서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영직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상건 3.1. 운동 대통령표창
김종권 일본방면 대통령표창
이소열 3.1. 운동 대통령표창
이범성 3.1. 운동 대통령표창
}}}}}}}}} ||

16.2. 가상 인물

17. 같이 보기


[1]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2024년 11월 기준.[3] 2023년 통계 기준 구미시 일자리경제포털 구미국가산업단지 소개[4] 농업 생산 포함 시 약 50조원 데이터센터 유치 여건(경제 규모 현황)[5] 2023년 통계 기준 구미시 일자리경제포털 구미국가산업단지 소개[6] 기타 수출액 포함 시 약 40조원 데이터센터 유치 여건(경제 규모 현황)[7] 2023년 통계 기준 계산[8] 구미시 가선거구 (송정동, 원평동, 형곡1동, 형곡2동): 김민성, 박교상
구미시 나선거구 (선주원남동): 김낙관, 박세채
구미시 다선거구 (도량동): 김영태, 김원섭
구미시 라선거구 (지산동,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공단동, 광평동): 김정도, 장세구
구미시 마선거구 (상모사곡동, 임오동): 김춘남, 허민근
구미시 바선거구 (선산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양진오, 장미경
구미시 사선거구 (고아읍): 강승수, 이명희
구미시 아선거구 (산동읍, 해평면, 장천면): 김영길
구미시 자선거구 (인동동, 진미동): 소진혁, 안주찬
구미시 차선거구 (양포동): 정지원
구미시 비례대표: 김근한, 이정희
[9] 구미시 가선거구 (송정동, 원평동, 형곡1동, 형곡2동): 김재우
구미시 아선거구 (산동읍, 해평면, 장천면): 신용하
구미시 자선거구 (인동동, 진미동): 이상호
구미시 차선거구 (양포동): 이지연
구미시 비례대표: 추은희
[10] 구미시 제1선거구 (송정동, 원평동, 형곡1동, 형곡2동): 김용현 (초선)
구미시 제2선거구 (도량동, 선주원남동): 황두영 (초선)
구미시 제3선거구 (지산동,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공단동, 광평동): 허복 (초선)
구미시 제4선거구 (상모사곡동, 임오동) : 김일수 (초선)
구미시 제5선거구 (선산읍, 고아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정근수 (재선)
구미시 제6선거구 (산동읍, 해평면, 장천면): 윤종호 (초선)
구미시 제7선거구 (인동동, 진미동): 김창혁 (초선)
구미시 제8선거구 (양포동): 백순창 (초선)
[11] 구미시 인터넷방송[12] 흔한 대도시위성도시 간의 관계와는 다르게 대구권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위성도시로 통학·통근하는 경우의 비율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으며, 특히 공업도시 구미의 경우 이러한 특성이 더욱 뚜렷하다.[13] 지산동과 고아읍 다식리와 괴평리 소재. 이명박 전 대통령4대강 사업의 일환인 수변도시의 예정지였으나 무산되었다.[14] 해평면 소재, 현재 구미국가산업단지 5단지인 하이테크밸리가 건설 중이다. 하지만 해평들 근처의 자잘한 고개들이나 산지를 평야로 만들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해평들에는 큰 관련이 없다.[15] 한편 구미시 주변 시군에는 인평들(칠곡군 북삼읍 소재, 금오산의 금오동천이 위치), 남율들(칠곡군 석적읍 남율리 소재, 하지만 경부고속도로67번 국도에 의해 거의 단절됐으며 결정적으로 남율택지지구사업으로 거의 소멸) 등이 있다.[16]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으며 선산, 고아를 흐르는 감천이라는 주장도 있고, 인동이나 해평 일대라는 주장도 있다.[17] 1991~2020년 평년값 기준.[18] 공식으로도 이 정도인데, 비공식으로 선산읍에서는 35.2℃를 기록했다.[19] 그래서 등교를 늦게 하거나 일반 등교하는 학교가 대부분이다. 조금만 비가 와도 등교를 늦게 하거나 휴교하는 등 엄살이 심한 경상남도 거제시와는 전혀 다르다.[20] 상주시는 HCN 새로넷 방송의 서비스 지역이긴 하나 안동 MBC가 송출되고 구미시 북부의 무을면, 옥성면 등을 제외하면 문경과 생활권을 공유하는 등 경북 북부로 분류되기도 한다.[21] 더군다나 그 시절에는 경북에 시가 오직 3개(대구, 포항, 김천) 밖에 없었던 때였다.[22] 당시 경부고속도로가 구미를 지나간 것에 대해 논란이 있긴 하나, 아예 말도 안되는 이유는 아니었다. 물론 금오산 남쪽으로 가는 현 경부고속철도 노선이 좀 더 직선에 가깝기는 하지만 당시 상황에서 기술적으로도 쉽지 않은 데다 공사 기간도 더 길고, 비용이 더 드는 남쪽 노선을 선택하는 게 옳았을지는 의문이다. 경부선도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일제강점기 초기에 원래의 금오산 관통 노선에서 이설된 것이다. 금오산역 문서 참조.[23] 지금 인동 지역은 칠곡군 소속이었다. 1978년에 선산군 구미읍과 합쳐지면서 편입.[24] 2공단은 원래 지산동 일대에 건설하려고 했었다가 계획을 수정하면서 지금의 위치에 건설되었다.[25] 만약 1공단처럼 범국가적 차원의 움직임이 가능했다면 공단들은 지금의 위치가 아닌 1공단의 구미천 위의 지산동 일대의 지산들에 자리를 잡았을 것이다. 정부에서 한 지역을 그렇게 밀어줄 리는 없었겠지만 2공단을 지산들에 짓고, 3공단을 구미-선산 통합 후에 산동면 성수리와 해평면 문량리(현재 양포동 위의 낙동강변 들판)에 짓고, 지금의 3공단 자리(임수동)부터 구평동까지 대규모 상업-주택 지구를 짓고, 동시에 지금의 4, 5공단 전체를 공단으로 도배했으면 적어도 선산-강서-강동으로 여전히 공단지역이 도시의 중심에 있지만, 현재처럼 시가지가 따로 놀아서 생기는 문제점이 덜했을지도 모른다.[26] 가장 대표적으로는 구포동 일대의 2공단 지역과 3공단 지역 중 황상동[101]과 4공단과 인접한 옥계동 등이 그러한 경우이다.[27] 문화로 상권 역시 구미시가 확장하면서 유동인구 및 소비층을 조금씩 잃어가면서 이제는 상권의 입지도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28] 이런[29] 구미시에서는 사실 현재 원도심으로 송정동 일대가, 그리고 부도심으로 인동선산읍이라고 말하고는 있으나 뭘로 보나 사실 선산은 부도심이 아니라 어지간한 동네 하나에도 밀리는 게 현실이다. 오히려 장기적으로 옥계권(해평권)이 인동을 뛰어넘는 부도심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30] 도량동, 봉곡동, 인동[31] 다만, 일부는 공장이나 주택이 경계에 걸쳐 있어서 혼란을 더 주고 있다.[32] 구평 영무예다음의 뒤로 구평초등학교와 학서 저수지까지[1980구미시] 구미시 105,360명 + 선산군 72,040명[1985구미시] 구미시 142,094명 + 선산군 66,929명[1990구미시] 구미시 206,121명 + 선산군 62,425명[36] 경북 인구수 1위 포항시는 인구가 많긴 하지만 면적도 1,000㎢ 이상으로 큰지라 인구밀도로는 경산시보다도 낮다. 포항시 인구밀도: 약 445명/㎢, 구미시 인구밀도: 약 677명/㎢, 경산시 인구밀도: 약 637명/㎢[37] 최근 천안시가 1.0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비수도권 자치단체들 중에서는 광역시의 자치구들(광주 광산구, 대전 유성구, 울산 북구)과 세종시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1.0이 넘었으나 2024년 1.0선이 붕괴되었다. 그러나 수도권과 광역시 자치구, 세종을 제외하면 지방 도시들 중 마지막까지 1.0 이상으로 살아남았다.[38] 일부 행정동의 경우 현재 영역을 갖추게 된 일자가 월 단위까지밖에 나오지 않거나, 아예 나오지 않아 이러한 경우의 행정동은 해당 일자를 표기하지 아니하고 있다.[39]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 수 있다에 따라 승격[舊] 舊 구미읍사무소 소재지가 원평동이었음.[1980원평동] 원평1동 7,377명 + 원평2동 6,274명 + 원평3동 6,227명[1985원평동] 원평1동 6,787명 + 원평2동 6,740명 + 원평3동 7,311명[1990원평동] 원평1동 7,583명 + 원평2동 6,204명 + 원평3동 7,173명[1995원평동] 원평1동 6,539명 + 원평2동 4,294명 + 원평3동 4,517명[2000원평동] 원평1동 5,995명 + 원평2동 6,669명[2005원평동] 원평1동 4,583명 + 원평2동 4,993명[2010원평동] 원평1동 4,956명 + 원평2동 5,020명[2015원평동] 원평1동 5,060명 + 원평2동 4,418명[2020원평동] 원평1동 3,778명 + 원평2동 3,216명[1980선주원남동] 선주동 2,512명 + 원남동 8,896명[1985선주원남동] 선주동 2,598명 + 원남동 9,681명[1990선주원남동] 선주동 3,218명 + 원남동 10,958명[1995선주원남동] 선주동 2,525명 + 원남동 12,845명[1980비산동] 비산동 3,078명 + 공단동 24,848명[1985비산동] 비산동 3,560명 + 공단동 35,605명[1990비산동] 비산동 4,001명 + 공단1동 14,771명[1995비산동] 비산동 2,806명 + 공단1동 13,162명[2000비산동] 비산동 5,651명 + 공단1동 9,382명[2005비산동] 비산동 4,957명 + 공단1동 8,346명[2010비산동] 비산동 4,656명 + 공단1동 4,230명[2015비산동] 비산동 4,814명 + 공단1동 5,574명[2020비산동] 비산동 6,325명 + 공단1동 6,988명[1980상모사곡동] 사곡동 3,857명 + 상모동 2,175명[1985상모사곡동] 사곡동 5,266명 + 상모동 2,679명[1990상모사곡동] 사곡동 7,103명 + 상모동 3,770명[1995상모사곡동] 사곡동 5,950명 + 상모동 3,182명[1980인동동] 인동동 3,882명 + 신구동 1,213명[1980양포동] 포전동 1,205명 + 양계동 1,464명[69] 이 탑에 새겨진 '輸出産業의 塔(수출산업의 탑)'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필 휘호로 수출산업의 탑은 수출탑의 정식 명칭이기도 하다.[70] 이 탑은 광평동 롯데마트 근처 도로 한복판에 있는데 구미시민들조차 이 탑의 이름만 알고 의미를 모르는 사람들이 꽤 많다. 또, 이 수출탑이 있는 로터리를 수출탑 로터리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탑 이름을 딴 도로가 수출대로다.(구 수출로)[71] 주로 경기남부 일대. 다만 LG디스플레이 등 일부는 경기북부로 이전한 경우도 있다.[72] 물론 구미는 대기업연구원, 생산직 노동자 비율이 높고 외지인 유입이 많아서 경북 내에서는 진보세가 강하지만 박정희의 고향인 만큼 보수세가 더 강하다. 이런 상황에서 민주당 후보보다도 지지율이 낮게 나온 것은 남유진의 경쟁력이 없다는 것이다.[73] 아마 대구 율하동 롯데아울렛이나 이시아폴리스 롯데몰과 같은 형태로 추정된다.[74] 구미와 경계를 마주하고 있는 김천 아포읍 송천리에 있는데 구미대학교에서 그렇게 멀지 않은 곳에 있다.[75] 근처에 유니클로가 있다.[76] 롯데마트는 점포 건물을 타사에 넘겨 버렸다. 단, 롯데마트 영업은 계속하고 있다.[77] 처음엔 인피니티 매장이 생긴다고 소문이 났었다.[78] 사실 문제집 같은 걸 파는 데는 중앙서적이나 세종서점 등 여러 곳이 있다.[79] 구미시 송정대로 102-1[80] 근처에는 또다른 서점인 영창서림과 중앙서적(지금 중앙서적과는 다른 곳)이 있었다.[81] 다른 한 곳은 포항의 2002 게임랜드.[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괄호] [85] 본래는 격년제로 열려고 했으나 지역 여론이 좋아지자 2002년 2회부터 매년 개최되는 쪽으로 선회했다.[86] 물론 인문사회계열 가운데에서는 유일하게 경영학과가 있다.[87] 요즘은 800~1,000원대로 내려간 편이다. 지역별로 가격이 다르게 책정되어 있는데 구평동은 1시간에 600원이지만 옥계 지역은 1,300원 선을 유지하고 있다.[88] 근데 비싼 시내버스 요금은 구미시 뿐만이 아닌 경상북도 전반의 문제이다. 칠곡 250번만 그런 게 아니다. 다만 거리비례 할증제는 없기 때문에 장거리를 시내버스만으로 이동한다면 저렴할 수도 있다. 즉, 관내에만 있으면 수십km를 시내버스로 이동하여도 추가요금은 없다.[89] 원래 2020년에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021년으로 연기되었고 고등부만 열렸다. 이 때문에 예년과는 달리 시도별 종합 순위를 산정하지 않았다.[90] 장충체육관의 개보수 공사로 인해서 임시 연고지로 삼았다. 이후 2013~2014년에는 평택시에서 경기했다.[91] 이 대회 여자부에서는 구미에 1시즌 있었던 GS칼텍스가 우승을 차지했다.[92] 당시 염색공단이 주를 이루던 대구의 물 문제도 꽤나 심각해서 금호강이 죽음의 강으로 불리고 낙동강의 43%가 대구 금호강으로 인해 오염된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다.[93] 신라면의 일부는 경기도 안성시 등 다른 공장에서도 생산하지만 신라면 전체의 70% 이상은 구미에서 생산한다.[94] 지역구: 경상북도 구미시 갑[95] 당시 지역구는 구미시 갑이었다.[96] 서울 출생이지만 야구를 구미 도산초에서 시작했다.[97] 여담으로 박정희 대통령이 생전에 같은 고향 출신 동생이라고 매우 아껴했다.[98] 최초의 여성 군법무관 출신 장성.[99] 지역구: 대구광역시 수성구 을[100] 윤석열 정부에서 보건복지부장관에 내정되었지만 여러 가지 의혹으로 인해 낙마했다.

[101] 두 지역을 연결하는 67번 국도 일대. 국도도 왕복 4차선이지만 구불구불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