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경상북도 구미시 출신/활동 독립유공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fff> 성명 | 운동계열 | 훈격 |
<colcolor=#000> 허위 | 의병 | 대한민국장 | |
박희광 | 만주방면 | 독립장 | |
권쾌복 | 학생운동 | 독립장 | |
장진홍 | 의열투쟁 | 독립장 | |
김정묵 | 임시정부 | 애국장 | |
송병우 | 의병 | 애국장 | |
송세호 | 국내항일 | 애국장 | |
이원길 | 국내항일 | 애국장 | |
허겸 | 의병 | 애국장 | |
허형 | 의병 | 애국장 | |
허훈 | 의병 | 애국장 | |
이내성 | 국내항일 | 애국장 | |
권오환 | 3.1 운동 | 애족장 | |
김영득 | 국내항일 | 애족장 | |
김종철 | 광복군 | 애족장 | |
남상순 | 국내항일 | 애족장 | |
육홍균 | 일본방면 | 애족장 | |
전재덕 | 광복군 | 애족장 | |
장재성 | 문화운동 | 애족장 | |
최재화 | 3.1 운동 | 애족장 | |
황진박 | 의열투쟁 | 애족장 | |
박명언 | 3.1 운동 | 애족장 | |
박몽득 | 국내항일 | 애족장 | |
박봉술 | 3.1 운동 | 애족장 | |
방하영 | 국내항일 | 애족장 | |
이상백 | 3.1 운동 | 애족장 | |
임봉선 | 3.1 운동 | 애족장 | |
장용희 | 국내항일 | 애족장 | |
김관묵 | 3.1 운동 | 애족장 | |
유경흥 | 국내항일 | 애족장 | |
장호관 | 학생운동 | 애족장 | |
장병묵 | 국내항일 | 애족장 | |
이종식 | 국내항일 | 애족장 | |
권영해 | 3.1 운동 | 애족장 | |
김의경 | 3.1 운동 | 건국포장 | |
박희목 | 3.1 운동 | 건국포장 | |
이능학 | 3.1 운동 | 건국포장 | |
장병옥 | 국내항일 | 건국포장 | |
전용신 | 3.1 운동 | 건국포장 | |
허필 | 만주방면 | 건국포장 | |
김구하 | 국내항일 | 건국포장 | |
임장수 | 국내항일 | 건국포장 | |
김구하 | 국내항일 | 건국포장 | |
노명일 | 국내항일 | 대통령표창 | |
권경보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김도길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김성윤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박근술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박명출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박삼봉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박순석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서기옥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서천수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이영래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이윤약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임동석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임삼선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장준현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임점석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임용섭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장주서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장영직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장상건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김종권 | 일본방면 | 대통령표창 | |
이소열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이범성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 |
이명 | 장재성(張在成) |
자 / 호 | 성팔(星八) / 원봉(園峰) |
출생 | 1914년 3월 3일 |
경상북도 선산군 선산면 동부동 (現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 | |
사망 | 1939년 6월 25일[1] (향년 25세) |
대구형무소 | |
본관 | 인동 장씨[2] |
가족 | 아버지 장병희, 어머니 경주 김씨 |
학력 | 선산보통학교 (졸업) 배재중학교 (졸업) |
서훈 | 대통령표창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1914년 3월 3일 경상북도 선산군 선산면 동부동(現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에서 아버지 장병희(張炳熙)와 어머니 경주 김씨 김경옥(金慶玉)의 딸 사이의 3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조선 중기의 대학자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13대손으로, 선산보통학교(현 선산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상경하여 배재중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일본으로 유학하여 고수중학을 졸업한 후 도쿄 소재 니혼대학 법과에 입학하였다.#그는 니혼대학 재학 중이던 1936년 배일사상집인 <말하는 침묵(沈默)>을 발행했고 1937년 <백의민족의 가요>, <명사십리>를 작사해서 보급했지만 금지곡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이를 비판하고 한국 민족의 궐기를 호소하는 지하잡지 <민족이여 일어나라>를 도쿄에서 동지 최원형(崔垣亨)과 함께 발간하여 국내외 동지들에게 배포했다. 또한 1938년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배일사상 고취 시나리오 <홍주머니, 일명 아리랑>을 집필하여 영화제작을 기획하고 영화 촬영을 위해 귀국 도중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후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어 미결수로 지내다가 잔혹한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재판에 회부되기 며칠 전인 1939년 6월 25일에 옥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장재성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1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