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9:17:52

이원길(독립운동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구미시 CI.svg경상북도 구미시 출신/활동
독립유공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00> 성명 운동계열 훈격
<colcolor=#000000> 허위 의병 대한민국장
박희광 만주방면 독립장
권쾌복 학생운동 독립장
장진홍 의열투쟁 독립장
김정묵 임시정부 애국장
송병우 의병 애국장
송세호 국내항일 애국장
이원길 국내항일 애국장
허겸 의병 애국장
허형 의병 애국장
허훈 의병 애국장
이내성 국내항일 애국장
권오환 3.1 운동 애족장
김영득 국내항일 애족장
김종철 광복군 애족장
남상순 국내항일 애족장
육홍균 일본방면 애족장
전재덕 광복군 애족장
장재성 문화운동 애족장
최재화 3.1 운동 애족장
황진박 의열투쟁 애족장
박명언 3.1 운동 애족장
박몽득 국내항일 애족장
박봉술 3.1 운동 애족장
방하영 국내항일 애족장
이상백 3.1 운동 애족장
임봉선 3.1 운동 애족장
장용희 국내항일 애족장
김관묵 3.1 운동 애족장
유경흥 국내항일 애족장
장호관 학생운동 애족장
장병묵 국내항일 애족장
이종식 국내항일 애족장
권영해 3.1 운동 애족장
김의경 3.1 운동 건국포장
박희목 3.1 운동 건국포장
이능학 3.1 운동 건국포장
장병옥 국내항일 건국포장
전용신 3.1 운동 건국포장
허필 만주방면 건국포장
김구하 국내항일 건국포장
임장수 국내항일 건국포장
김구하 국내항일 건국포장
노명일 국내항일 대통령표창
권경보 3.1. 운동 대통령표창
김도길 3.1. 운동 대통령표창
김성윤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근술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명출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삼봉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순석 3.1. 운동 대통령표창
서기옥 3.1. 운동 대통령표창
서천수 3.1. 운동 대통령표창
이영래 3.1. 운동 대통령표창
이윤약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동석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삼선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준현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점석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용섭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주서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영직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상건 3.1. 운동 대통령표창
김종권 일본방면 대통령표창
이소열 3.1. 운동 대통령표창
이범성 3.1. 운동 대통령표창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파일:독립운동가 이원길.jpg
이명 이균희(李均熹)
출생 1893년 4월 18일
경상북도 선산군 도개면 도개동
(現 구미시 도개면 도개리)
사망 1920년 2월 20일 (향년 28세)
묘소 경상북도 구미시
학력 선산공립보통학교 (졸업)
서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대통령표창 추서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4. 여담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2. 생애

1919년 4월 12일의 선산읍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그는 전국적으로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향인 선산에서는 아직 아무런 계획이 없음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권오환(權五煥)·박희목(朴喜穆)·전용신(田容信)·김의경(金義景) 등과 함께 4월 12일 선산읍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결의하였다.

4월 12일 오후 5시, 그는 이들과 함께 선산읍 시장에 나아가 독립만세를 외치며, 이에 호응하는 5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한 뒤 피신하였다. 그러나 이날 밤 일본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으며, 이해 5월 2일 대구(大邱)지방법원 김천(金泉)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0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1920년 1월 26일 일제의 잔인한 고문의 후유증으로 가출옥하였으나 결국 2월 20일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3. 대중매체

4.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