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3:42:19

달서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ef7e20 21%, #ef7e20); font-size: 1em;"
]] 중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0062aa 21%, #0062aa); font-size: 1em;"
]]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자치군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5f27>
파일:달서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5f27><colcolor=#fff> 감삼동 감삼동 일부
도원동 도원동
두류1·2동
두류3동
두류동
본동 본동
본리동 본리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상인동
성당동 성당동
송현1동
송현2동
송현동
신당동 갈산동 일부 | 신당동 | 파호동 | 호림동 | 호산동
용산1동
용산2동
용산동 | 장기동 일부
월성1동
월성2동
[[달서구청|
구청
]] 월성동 일부 | 대천동 일부 | 월암동 일부
유천동 월성동 일부 | 유천동 | 대천동 일부 | 월암동 일부
이곡1동
이곡2동
갈산동 일부 | 이곡동
장기동 장기동 일부 | 장동
죽전동 감삼동 일부 | 죽전동
진천동 대곡동 | 진천동
}}}}}}}}} ||
대구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達西區
Dalseo-gu
}}}
<colbgcolor=#005f27><colcolor=#fff> 구청 소재지 학산로 45 (월성동)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23[1]
면적 62.34㎢
인구 523,183명[2][3]
인구밀도 8,412.70명/㎢[4]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태훈 (3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8석[5]

파일:zsdkl3gasdg.svg
3석[6]

3석[7]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석[8]

1석[9]
국회의원
<colbgcolor=#005f27>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유영하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재옥 (4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권영진 (재선)
상징 <colcolor=#fff> 구화 장미
구목 편백나무
구조 원앙
구수 수달
구가 사랑의 달서 찬가
지역번호 053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
5.1. 생활권5.2. 분구 관련 논의(가칭 성서구)5.3. 서구남구와의 분쟁
6. 교통
6.1. 관내 철도 목록6.2. 관내 시내버스 목록
7. 경제
7.1. 금융
8. 주요 시설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1. 사건사고
11.1. 달서구 홍보송 일본 걸그룹 노래 표절 의혹
12. 여담13. 자매도시14.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서남부에 위치한 구. 동으로는 대구광역시 남구, 남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가창면, 북동으로는 대구광역시 서구, 북서 및 서로는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과 접해 있다.

대구·경북에 속해있는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으며[10], 국회의원 선거구도 국회의원을 3명(달서구 갑, 달서구 을, 달서구 병) 뽑는다.

하지만 2016년을 기점으로 인구 60만에서 지속적인 인구 감소[11]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옆에 있는 달성군에 새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면서 기존 달서구에 거주하던 구축 아파트(기본 20년)의 주민들이 많이 유출된 상황으로 보이며, 달성군 지역에 신규 아파트 분양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데다 달서구에 비해 열악했던 교통, 편의시설이 개선되고 있어 달서구의 인구 유출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12]

다른 자치구와 다르게 달서구의 마크를 보면 굳이 달서'자치구'를 강조해 뒀는데 왜 그렇게 정했는지는 원인 불명.[13]

2. 상징

달서구의 CI
파일:달서구 CI.svg
타원은 미래로, 세계로 힘차게 뻗어나가는 달서구의 영원한 발전을 의미하며, 또한 달서의 이미지인 달(月)을 형상화 하였습니다.두개의 삼각형은 달서구의 2대 생활권(성서·월배권)을 상징함과 아울러 달서의 "서" 자를 형상화하여 첨단도시의 이미지를 담았습니다.색상은 녹색과 청색으로써 달서구가 푸른 대지와 맑고 깨끗한 공간을 가꾸어가는 환경도시임을 의미합니다.
달서구의 브랜드슬로건
파일:달서구 브랜드 슬로건.svg
스마일링 달서 브랜드 이미지는 구민 모두가 항상 웃는 얼굴로 행복하게 살아가는 밝고,멋진 달서 인을 의미합니다.
달서구의 상징물
<colbgcolor=#fff,#1c1d1f> 구목
편백
편백은 상쾌한 공기와 청량감을 주는 피톤치드가 풍부해 심신의 안정감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기동 편백나무 숲, 와룡산, 청룡산, 한실공원 등에서 볼 수 있음
구화
장미
장미의 꽃말인 사랑은 애향심을 강한 번식력은 구의 번영과 발전을 의미하며매년 장미축제가 개최되는 이곡장미공원이 대표적 장소로다양한 종류의 장미(123가지 품종, 15,000여 그루)를 구경할 수 있음
구조
원앙
도원지에 서식하는 원앙은 천연기념물 제327호로암컷과 수컷이 늘 함께 다닌다고 하여화목하고 금슬 좋은 부부를 원앙부부라고 이야기 함
구상징동물
수달
도원지 등에 서식하는 수달은 천연기념물 제330호,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으로 깨끗한 수질 환경에서만 발견되는 청정자연을 대표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음

3. 역사

달서구 행정구역 변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f27> 일자 舊 달서면 성서 월배 대곡지구
<colcolor=#005f27> 1896. 8. 4. 대구군 달서면
(大邱郡 達西面)
대구군 성서면
(大邱郡 城西面)
대구군 서하면
(大邱郡 西下面)
대구군 감물천면
(大邱郡 甘勿川面)
대구군 월배면
(大邱郡 月背面)
대구군 조암면
(大邱郡 租岩面)
대구군 인흥면
(大邱郡 仁興面)
1910. 10. 1. 대구부 달서면
(大邱府 達西面)
대구부 성서면
(大邱府 城西面)
대구부 감물천면
(大邱府 甘勿川面 南山洞)
대구부 월배면
(大邱府 月背面)
대구부 조암면
(大邱府 租岩面)
대구부 인흥면
(大邱府 仁興面)
1914. 3. 1. 달성군 달서면
(達城郡 達西面)
달성군 성서면
(達城郡 城西面)
달성군 월배면
(達城郡 月背面)
달성군 화원면
(達城郡 花園面)
1938. 10. 1. 대구부 서부출장소
(大邱府 西部出張所)
1949. 8. 15. 대구시 서부출장소
(大邱市 西部出張所)
1958. 1. 1. 대구시 성서출장소
(大邱市 城西出張所)
대구시 월배출장소
(大邱市 月背出張所)
1963. 1. 1. 대구시 서구
大邱市 西區
달성군 성서면
(達城郡 城西面)
달성군 월배면
(達城郡 月背面)
1973. 7. 1. 달성군 월배면
(達城郡 月背面)
1979. 5. 1. 달성군 월배읍
(達城郡 月背邑)
1980. 12. 1. 달성군 성서읍
(達城郡 城西邑)
1981. 7. 1. 대구직할시 서구
大邱直轄市 西區
대구직할시 남구
大邱直轄市 南區
1988. 1. 1. 대구직할시 달서구
大邱直轄市 達西區
1995. 1. 1. 대구광역시 달서구
大邱廣域市 達西區
}}}}}}}}} ||
1988년 서구 성당1∼2동, 내당4∼6동[14], 성서1∼3동[15], 본리동과 남구 관할의 월배출장소를 합하여 대구직할시 달서구가 설치되었으며 1995년 광역시로 변경되며 대구광역시 달서구가 되었다.

원래는 달성군 달서면, 성서면, 월배면, 화원면의 일부 지역으로 달서구의 이름 자체는 달성군 달서면에서 왔다. 일단 옛 달서면 지역 일부(두류동, 성당동 일대)가 있는 만큼 달서면의 지분이 없지 않지만, 구의 대부분이 성서월배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고 정작 옛 달서면의 대부분은 현재의 서구가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옛 달서면과 현재의 달서구의 영역은 꽤 차이가 크다. 현재 달서구에서 달서면의 지분은 극히 일부분이고 따라서 달성군 성서면, 월배면이 구의 실질적인 모체라 할 수 있다.

4. 인구

파일:달서구 CI.svg 대구광역시 달서구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8년 1월 1일 서구 일부지역[16] + 남구 일부지역[17]달서구 분리
1990년 359,514명
1995년 482,345명
2000년 588,546명
2005년 595,860명
2010년 607,083명
2013년 10월 610,752명(정점)
2015년 602,641명
2020년 558,631명
2024년 10월 523,18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5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천동 50,991명
월성1동 40,873명
상인1동 34,376명
유천동 33,857명
도원동 33,472명
신당동 30,017명
감삼동 29,303명
용산1동 29,152명
용산2동 26,930명
성당동 22,039명
이곡1동 21,554명
본리동 19,532명
상인2동 18,442명
송현1동 17,816명
송현2동 16,842명
장기동 16,197명
이곡2동 15,337명
두류1·2동 14,926명
월성2동 14,718명
죽전동 12,841명
본동 12,364명
상인3동 10,426명
두류3동 8,732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 ||

2010년대까지는 60만명을 넘고 국회의원 선거구를 3개씩 배정받을 정도로 인구가 많았으나, 달성군이 대대적으로 개발되면서 그 쪽으로 인구가 많이 빠져나갔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국회의원 선거구 3개를 유지하고 있지만, 인구 감소세가 생각보다 빠른 상태. 당장 21년 한 해에만 14,000명의 인구가 줄었다.

===# 행정동별 인구 #===
파일:달서구 CI.svg 성당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성당동(법정동) → 성당동(행정동)
1966년 5,430명
1970년 7,035명
1975년 9,742명
1980년 14,797명
1985년 38,612명
1985년 12월 1일 성당동 → 성당1동, 성당2동 분동
1990년 48,366명(성당1동 16,480명 + 성당2동 31,886명)
1995년 39,974명(성당1동 14,760명 + 성당2동 25,214명)
2000년 32,906명(성당1동 11,829명 + 성당2동 21,077명)
2005년 23,665명(성당1동 10,504명 + 성당2동 13,161명)
2010년 27,729명(성당1동 9,187명 + 성당2동 18,291명)
2011년 5월 9일 성당1동, 성당2동 → 성당동 합동
2015년 26,844명
2020년 24,747명
2023년 8월 22,2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두류1·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내당동 →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분리
1966년 16,778명(내당4동)
1970년 7월 1일 내당3동 → 내당3동, 내당5동 분동(내당5동(舊두류1동) 인구 합산 시작)
1970년 33,241명(내당5동 16,579명 + 내당4동 16,662명)
1975년 30,403명(내당5동 15,309명 + 내당4동 15,094명)
1980년 33,182명(내당5동 16,289명 + 내당4동 16,893명)
1985년 30,624명(내당5동 14,737명 + 내당4동 15,887명)
1988년 1월 1일 내당4동, 내당5동 달서구 이관
내당5동 → 두류1동 개칭
내당4동 → 두류2동 개칭
1990년 37,600명(두류1동 13,649명 + 두류2동 23,951명)
1995년 30,270명(두류1동 11,017명 + 두류2동 19,253명)
2000년 24,017명(두류1동 8,479명 + 두류2동 15,538명)
2005년 20,861명(두류1동 7,401명 + 두류2동 13,460명)
2010년 19,003명(두류1동 6,953명 + 두류2동 12,050명)
2011년 5월 9일 두류1동 + 두류2동 → 두류1·2동 합동
2015년 17,751명
2020년 14,714명
2023년 8월 14,9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두류3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서구 내당1동 → 내당1동, 내당6동 분동
1985년 40,984명(내당6동)
1985년 12월 1일 내당6동 → 내당6동, 내당7동 분동
1988년 1월 1일 내당6동 → 두류3동 개칭
1990년 16,762명
1995년 15,562명
2000년 10,666명
2005년 12,432명
2010년 11,380명
2015년 10,645명
2020년 8,575명
2023년 8월 8,64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감삼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성서출장소 中 죽전동 + 감삼동 → 성서2동 신설
1985년 27,537명
1989년 6월 1일 성서2동 → 성서2동, 성서4동 분동
1990년 30,426명
1995년 26,945명
1996년 1월 1일 성서2동 → 감삼동 개칭
2000년 21,942명
2005년 26,554명
2010년 26,708명
2015년 29,573명
2020년 27,706명
2023년 8월 29,24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죽전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9년 6월 1일 성서2동 → 성서2동, 성서4동 분동
1990년 25,511명
1995년 21,844명
1996년 1월 1일 성서4동 → 죽전동 개칭
2000년 17,443명
2005년 19,535명
2010년 17,430명
2015년 16,585명
2020년 14,018명
2023년 8월 12,9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장기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성서출장소 中 장동 + 장기동 + 용산동 → 성서1동 신설
1985년 7,971명
1990년 11,684명
1995년 13,678명
1996년 1월 1일 성서1동 → 장기동 개칭
2000년 78,403명
2003년 3월 31일 장기동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분동
2005년 20,609명
2010년 19,163명
2015년 17,937명
2020년 17,625명
2023년 8월 16,2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용산1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3월 31일 장기동 →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분동
2005년 39,600명
2008년 36,468명
2009년 36,203명
2010년 36,127명
2011년 35,774명
2012년 35,691명
2013년 35,847명
2014년 35,506명
2015년 35,197명
2016년 34,232명
2017년 33,453명
2018년 33,073명
2019년 32,381명
2020년 31,760명
2021년 30,945명
2022년 29,988명
2023년 8월 29,3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용산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3월 31일 장기동 →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분동
2005년 38,468명
2008년 36,143명
2009년 35,494명
2010년 35,419명
2011년 34,891명
2012년 34,529명
2013년 34,338명
2014년 33,722명
2015년 33,412명
2016년 32,222명
2017년 31,193명
2018년 30,724명
2019년 30,190명
2020년 29,482명
2021년 28,819명
2022년 27,702명
2023년 8월 27,02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이곡1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3월 15일 성서출장소 폐지, 舊성서출장소 지역 → 성서3동 신설
1985년 10,638명
1990년 15,564명
1995년 51,346명
1996년 1월 1일 성서3동 → 이곡동, 신당동 분동
2000년 52,605명
2003년 3월 31일 이곡동→ 이곡1동, 이곡2동 분동
2005년 30,629명
2010년 28,157명
2015년 26,515명
2020년 23,698명
2023년 8월 21,69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2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이곡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3월 31일 이곡동→ 이곡1동, 이곡2동 분동
2005년 22,050명
2008년 21,079명
2009년 20,700명
2010년 20,410명
2011년 20,005명
2012년 19,681명
2013년 19,408명
2014년 19,151명
2015년 18,849명
2016년 18,085명
2017년 17,473명
2018년 17,277명
2019년 16,831명
2020년 16,717명
2021년 16,490명
2022년 15,872명
2023년 8월 15,4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신당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6년 1월 1일 성서3동 → 이곡동, 신당동 분동
2000년 42,468명
2005년 50,141명
2008년 41,974명
2009년 40,380명
2010년 39,712명
2011년 38,382명
2012년 38,001명
2013년 37,761명
2014년 37,183명
2015년 36,315명
2016년 34,898명
2017년 33,369명
2018년 32,671명
2019년 31,899명
2020년 31,942명
2021년 31,686명
2022년 30,916명
2023년 8월 30,1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본리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성서출장소 中 본리동(법정동) → 본리동(행정동)
1985년 22,401명
1987년 1월 1일 본리동 中 구마로 이남지역 → 본동 신설 분리[18]
1990년 21,326명
1995년 22.381명
2000년 21,204명
2005년 14,435명
2010년 23,945명
2015년 24,529명
2020년 22,109명
2023년 8월 19,6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월성1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월배출장소 中 월성동 + 월암동 + 대천동 → 월배1동 신설
1985년 7,991명
1990년 8,237명
1992년 9월 1일 월배1동 → 월배1동, 월배5동 분동
1995년 16,796명
1996년 1월 1일 월배1동 → 월성1동 개칭
2000년 14,513명
2005년 12,296명
2010년 35,651명
2015년 42,527명
2020년 43,862명
2021년 11월 29일 월성1동 일부 + 진천동 일부 → 유천동 분동
2023년 8월 40,82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월성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월배1동 → 월배1동, 월배5동 분동
1995년 31,945명
1996년 1월 1일 월배5동 → 월성2동 개칭
2000년 27,967명
2005년 25,061명
2010년 21,768명
2015년 19,307명
2020년 16,489명
2023년 8월 14,8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진천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3월 15일 월배출장소 中 진천동 + 대곡동 + 유천동 → 월배3동 신설
1985년 18,289명
1990년 24,435명
1995년 34,872명
1996년 1월 1일 월배3동 → 진천동 개칭
2000년 36,141명
2005년 42,800명
2010년 53,073명
2015년 64,455명
2020년 76,898명
2021년 11월 29일 월성1동 일부 + 진천동 일부 → 유천동 분동
2023년 8월 51,14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유천동 인구 추이
(2021년~현재)
2021년 11월 29일 월성1동 일부 + 진천동 일부 → 유천동 분동
2021년 31,789명
2022년 33,605명
2023년 8월 33,8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상인1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90년 6월 1일 월배2동 → 월배2동, 월배4동 분동
1990년 12,923명
1994년 7월 1일 월배4동 → 월배4동, 월배6동 분동
1995년 36,069명
1996년 1월 1일 월배4동 → 상인1동 개칭
2000년 37,004명
2005년 33,349명
2010년 44,186명
2015년 43,946명
2020년 39,385명
2023년 8월 34,53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상인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월배출장소 中 상인동+ 도원동 → 월배2동 신설
1985년 9,260명
1990년 6월 1일 월배2동 → 월배2동, 월배4동 분동
1990년 30,513명
1995년 33,296명
1996년 1월 1일 월배2동 → 상인2동 개칭
1997년 3월 15일 상인2동상인2동, 도원동 분동
2000년 30,214명
2005년 27,437명
2010년 24,417명
2015년 23,657명
2020년 20,272명
2023년 8월 18,58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상인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4년 7월 1일 월배4동 → 월배4동, 월배6동 분동
1995년 21,887명
1996년 1월 1일 월배6동 → 상인3동 개칭
2000년 20,416명
2005년 17,982명
2010년 16,197명
2015년 13,832명
2020년 11,472명
2023년 8월 10,4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도원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7년 3월 15일 상인2동 → 상인2동, 도원동 분동
2000년 45,469명
2005년 46,275명
2008년 44,263명
2009년 43,570명
2010년 43,075명
2011년 42,382명
2012년 41,754명
2013년 41,122명
2014년 40,709명
2015년 41,556명
2016년 40,550명
2017년 39,688명
2018년 38,449명
2019년 37,328명
2020년 36,436명
2021년 35,557명
2022년 34,323명
2023년 8월 33,6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7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송현1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월배출장소 中 송현동(법정동) → 송현동(행정동)
1985년 37,387명
1987년 1월 1일 서구 본리동 일부 → 본동(법정동) 신설 및 송현동(행정동) 편입
1987년 6월 15일 송현동 → 송현1동, 송현2동 분동
1990년 30,940명
1995년 29,727명
2000년 25,854명
2005년 25,408명
2010년 23,828명
2015년 22,469명
2020년 19,777명
2023년 8월 17,95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송현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7년 6월 15일 송현동 → 송현1동, 송현2동 분동
1990년 6월 1일 송현2동송현2동, 본동 분동
1990년 32,176명
1995년 31,039명
2000년 29,240명
2005년 26,302명
2010년 23,523명
2015년 21,858명
2020년 18,476명
2023년 8월 16,94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달서구 CI.svg 본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7년 1월 1일 서구 본리동 일부 → 본동(법정동) 신설 및 송현동(행정동) 편입
1990년 6월 1일 송현2동 → 송현2동, 본동 분동
1990년 13,093명
1995년 19,989명
2000년 17,711명
2005년 17,988명
2010년 16,433명
2015년 15,316명
2020년 13,065명
2023년 8월 12,18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5. 지역 특징

전형적인 중산층 주거지와 대규모 산업단지인 성서산업단지가 있다. 수성구에서 통근하기엔 거리가 꽤 있는 성서산업단지, 달성군 일대의 산업단지에서 사업체를 운영하는 사람들이나 구미의 대기업, 중견기업 등지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주로 거주하며 죽전네거리와 월배신도시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중대형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다.

또한 2030년 두류3동 옛 두류정수장 터에 대구시청 신청사가 이전하기로 확정되었다. 달서구민들은 크게 환영하고 있다. 대구는 달성군 편입으로 시역이 서쪽으로 크게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달서구 일대가 지도상 중심에 가깝게 됐으며 도시의 지리적 중심으로 시청 이전 후 새로운 도심지, 중심으로 발전한 대전 둔산신도시광주 상무지구 등처럼 발전할 것에 대한 기대감, 시청 신청사가 건립되어 본격적으로 공무원들이 신청사에서 업무를 보기 시작하면 공무원들과 민원인들이 대거 유입되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상권 활성화로 인해 좋아질 가능성이 높다. 現 구청장인 이태훈 역시 대구광역시청 신청사가 들어와 달서구가 더욱 발전할 수 있게 되어 적극 환영하고 있다. 일단 이 구청장은 달서형 뉴딜사업을 추진하고 성서산업단지를 개조해 최첨단 스마트도시 조성에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어서 달서구의 미래와 경제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민들의 거주 만족도도 높아 2021년 실시된 달서구청의 행정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달서구에 계속 살고 싶다는 응답이 87.2%로 높게 나타났다.#

5.1. 생활권

성서월배라는 2개의 부도심을 하나의 구로 묶은 형태라서, 두 지역의 생활권이 다르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방면(월배)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방면(성서)은 성서산업단지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으로 분리되어 있어 각기 다른 생활권을 이룬다. 늘 성서성서구로 분구한다는 떡밥은 때만 되면 흘러나온다.

인구(치안수요)가 많아 관할 경찰서는 2개가 있다. 월배는 달서구청 옆에 있는 대구달서경찰서, 성서지구성서산업단지역(성서네거리) 북쪽의 이마트 성서점 맞은편에 있는 대구성서경찰서가 있다.[19]

소방서 역시 마찬가지인데 지금까지는 월배와 성서를 달서소방서가 혼자 전담했었지만 다사 지역에 강서소방서[20]가 2015년 7월에 신설되었고 성서 지역의 소방 관할을 맡고 있다.[21]

시내버스 권역 번호도 차이를 보이는데 시내와 가까운 지역과 성서, 다사읍과 하빈면은 5번, 나머지 월배, 달성군 남서부는 6번이다.[22][23]

현재 두 생활권을 직접 연결하는 곳은 유천교에서 성서4차산단(대천동공영차고지 건너)을 거쳐 다사읍 서재리까지 가는 달서대로다. 그리고 급행7번달서대로를 관통한다. 대천교로 가기 전에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이 통과한다.

5.2. 분구 관련 논의(가칭 성서구)

성서 지역을 가칭 성서구로 분구하자는 주장이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과 함께 전국적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할 당시부터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2000년대 초중반 달서구청 차원에서도 실제로 분구를 추진했다.#

분구를 위한 인구 조건도 특별시의 경우 70만, 광역시의 경우 50만 명으로 52만 명의 달서구는 분구 요건에 부합한다.[24] 대구 2호선 성서산업단지역 북동쪽에는 달서구 분구를 대비해 비워 둔 구청 부지를 비롯한 성서행정타운 예정지도 있다. 다만 이 성서행정타운 예정지는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건립 재원 마련을 위해 대구광역시에서 매각하기로 했다.

성서구가 신설된다면 인구는 20만 명이 넘고, 성서 생활권이면서 달서구로 인해 달성군의 월경지가 된 다사읍[25]하빈면까지 성서구에 포함 시 30만이 넘는다. 더구나 성서5차산업단지의 개발이 완료되면 인구는 더욱 늘 것이라고 한다.[26]

달서구 분구가 주장되는 주된 이유는 월배성서의 이격 문제와 행정 효율 도모가 있다. 인구가 16만 정도인 서구의 공무원 숫자가 550명 정도인데, 인구가 50만이 넘는 달서구의 공무원 숫자는 560여 명에 불과하다. 따라서 대구 중구(인구 약 7만 명)와 남구(인구 약 14만 명)를 합구하고 달서구를 분구하여 공무원 1인당 담당 인구수를 비슷하게 조정하자는 것이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달서구 갑 선거구에 출마한 녹색당 변홍철 후보가 공약들 중 하나로 성서구 독립을 제시하였다.

5.3. 서구남구와의 분쟁

처음에는 개발 지역을 잘 관리하기 위해 이미 발달한 시가지 지역으로부터 구를 떼어 냈다. 그런데 달서구의 인구가 급증하는 반면, 행정구역을 떼어 준 남구서구의 인구는 각각 10만과 20만 수준으로 정체, 기존 지역은 슬럼화가 진행되는 등 서로 처지가 역전되었다.

그 때문에 남구의 주민들이 전국 최초로 행정구역 반환소송을 청구하기도 했다. 골자는 월배 지역이 사라진 이후 세수 급감과 재산상 손실, 지역 개발의 어려움 등을 겪었다는 것이다. 그 밖에 서구에서도 죽전동, 용산동을 다시 서구로 편입시키는 정책을 세우긴 했으나, 전자와 후자 모두 묻힌 듯하다. #[27]

다만 편입해 봐야 별 것 없다는 주장도 있다. 게다가 달서구 입장에서는 주력 지역인 죽전동, 용산동, 월배를 뺏기면 인구가 절반 수준으로 줄고, 이 일대 주민들도 달서구에 비해 낙후된 이미지를 가진 서구, 남구 편입을 반대하기 때문에 당연히 좋아할 리 없다. 달서구-서구 경계 조정이나 1988년 이전으로 환원[28] 등으로 월배/성서 분리를 해결하려는 의견도 있으나 별 영향력은 없다.

그런데 달서구와 서구의 경계선은 지금도 이상하게 되어 있다. #

6.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f2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5f27>
파일:달서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9dc5> <colbgcolor=#ffffff,#191919> 계대동문로 · 공원순환로 · 구마로
당산로 · 대명천로 · 도원남로 · 두류공원로
명덕로 · 명천로
비슬로
상원로 · 상인로 · 상인서로 · 상화로 · 상화북로 · 새동네로 · 새방로 · 서당로 · 서원남로 · 서원로 · 성당로 · 성서공단남로 · 성서공단로 · 성서공단북로 · 성서동로 · 성서로 · 성서서로 · 성지로 · 송현로 · 신당로
앞산순환로 · 앞산터널로 · 야외음악당로 · 와룡로 · 용산로 · 용산서로 · 월곡로 · 월배로 · 월서로 · 월성로 · 월암로 · 이곡공원로 · 이곡동로 · 이곡서로
장기로 · 장산남로 · 장산로 · 조암남로 · 조암로 · 중흥로 · 진천로
큰장로
테크노폴리스로
파도고개로 · 평리로
학산남로 · 학산로 · 한들로 · 한실로 · 호산동로 · 호산로 · 화암로
대구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



달서구 도로의 두 축은 성서의 달구벌대로(30번 국도)와 월배의 월배로(5번 국도)이다. 달서구의 주요 상권 및 거주지역은 이 두 도로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4차 순환선을 구성하는 상화로가 구 남쪽을 연결한다.

인구가 많고 경북 서남부와 달성군에서 대구로 진입하는 관문에 있기 때문에 교통량은 늘 많다.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이 구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신천대로가 고속도로와 나란히 달리면서 고속화도로 역할을 하는 이 도로들의 교통량도 매우 많다.

불명예스럽게도 대구 폭주족 제1의 집결지라고 알려져 있다. 신천대로, 대구종합유통단지, 대구스타디움, 팔공산로, 중앙대로, 범안로 등지에서도 폭주족이 모이기도 하지만 일직선으로 4km 넘는 곳은 달서구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29]

거기다 인구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비율적으로 높기도 하다. 특히 호림동의 모다아울렛이 이들의 아지트로 유명한데, 유천교에서부터 성서산단을 지나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 입구 신당재까지 달서대로가 이들의 주력 코스이다. 길이도 꽤 길고 차선도 넓으며 비교적 교통량이 적은 편이기 때문이다.

도시철도 역시 월배의 1호선, 그리고 성서의 2호선이 각각 월배로달구벌대로의 지하를 달리면서 도심을 잘 이어준다.

6.1. 관내 철도 목록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63b94><tablebgcolor=#fff,#1f2023><bgcolor=#063b94><color=white> 파일:달서구 CI_White.svg달서구의 철도역 ||
철도회사 노선
대구교통공사 파일:Daegu1.svg 1호선 대곡역, 진천역, 월배역, 상인역, 월촌역, 송현역
파일:Daegu2.svg 2호선 강창역,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 이곡역, 용산역, 죽전역, 감삼역, 두류역
한국철도공사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30] 계명대역, DS04정거장
취소선 표시 된 역은 아직 개통하지 않은 역이다.

6.2. 관내 시내버스 목록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달서구 경유 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급행
순환 순환2-1[1] 순환3-1
간선
지선
출근 7250
타지역 250 606
}}}}}} ||

[1] 달서구를 경유하지 않는 걸로 보일수 있겠으나 서대구시장 정류장이 달서구 소재이다.

7. 경제

시청 신청사가 달서구 두류동으로 새로 이전해 오기 때문에 이에 따른 지역 활성화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두류공원과 연계해서 중구 시청 동인청사와 북구 시청 산격청사를 통합하여 시청 신청사를 랜드마크로 신축하면 공무원들의 시청사 접근성 및 출퇴근 편의 등의 장점과 시민들의 방문 및 대구시청이 두류공원과 연계되어 주요 관광지로 발전하는 등 더욱 발전하게 될 것이다.

다만 이는 아직 발생하지 않은 시청 이전의 기대효과이고, 현재 달서구 경제를 지탱하는 것은 성서산업단지이다. 거의 남구 만한 면적이 산업단지로 조성되어 있다. 주력은 자동차 부품과 기계 산업으로, 대구 생산력의 현재를 책임지는 지역이다. 다만 지금은 달성군 산업단지의 발전으로 주춤한 상태.

7.1. 금융

달서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대구달서우체국 (16)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8)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중앙회) (6)
시중은행
신한은행 (6) 우리은행 (3)
SC제일은행 (2) 하나은행 (7)
국민은행 (7) iM뱅크 (30)
지방은행
부산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월배농협 (7) 성서농협 (8) 대구축산농협 (4) 서대구농협 (2)
대구경북양돈농협 (2) 대구경북능금농협 (1) 달성축산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강구수협 (1)
새마을금고
성서새마을금고 (4) 달서새마을금고 (3) 서부새마을금고 (4) 신당새마을금고 (1)
이곡새마을금고 (1) 우리새마을금고 (2) 성일새마을금고 (2) 두류새마을금고 (1)
송현새마을금고 (4) 월배새마을금고 (5) 계명대학교동산의료원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대구신라신용협동조합 (1) 삼익신용협동조합 (6) 대구대건신용협동조합 (3) 월성신용협동조합 (1)
대구성서신용협동조합 (2) 계명신용협동조합 (1)

성서산업단지가 위치해 있어 기업금융 수요가 많은 탓인지 성서 일대는 중구 못지 않게 은행 지점이 많다.

8. 주요 시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883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중구 신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 경상감영과 옛골목 · 달성공원 · 서문시장 · 동성로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수성못 · 대구스타디움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비슬산 · 강정고령보와 디아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팔공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83타워
}}}}}}}}}}}} ||


계명대학교계명아트센터,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대구지방검찰청 서부지청,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교통공사, 두류공원(이월드, 83타워, 코오롱야외음악당[34],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수목원, 대구학생문화센터, 달서아트센터(구 달서구 첨단문화회관 - 웃는얼굴아트센터) 등이 있다. 수성구 못지않게 이 곳 역시 공공시설과 여가 시설이 풍부하다. 대곡동에는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가 들어서면서 9개 지방청을 모두 이 곳으로 이전했다. 용산1동의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은 서구, 달서구, 달성군을 관할하며 산하 법원으로 고령군법원, 성주군법원이 있다. 서부지원은 월성2동 달서구청 뒤에 있던 달서등기소를 서부지원으로 옮겨 흡수, 통합한 후 서구, 달서구, 달성군의 등기업무(지원등기과)도 관할하고 있다.[35] 대구가정법원서구 평리3동 서구청 옆에 있었다가 용산1동 서부지원으로 이전해 왔다.

2030년 두류3동 옛 두류정수장 터에 대구광역시청 신청사가 건립, 이전해 올 예정이다. 시청사가 들어오면 자연스레 주변이 발전하고 활성화되기 마련이기 때문에 그 동안 상대적 외면을 받던 북구달성군 쪽으로 시청사 이전을 기대[36]했으나, 결국은 중구수성구와 함께 대구를 이끌어 가고 있는 대구 3대장 달서구로의 시청 이전이 결정되면서 비균형발전에 대한 불만도 있는 모양. 다만 옛 두류정수장 부지에서 조금만 북쪽으로 가면 대구에서 낙후된 축에 속하는 지역인 서구라, 시청이 건립되면 서구 지역 역시 간접적으로 수혜를 보게 될 예정이다.

민선 4~6기 구청장을 맡았던 곽대훈 구청장이 도서관 등 교육 인프라에 관심과 애정이 많았던지라, 재임 시절에 구립 도서관이 좀 생겼다. 곽대훈 전 구청장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달서구 갑 선거구에 당선되었다.[37]

영화관은 롯데시네마 3개(롯데시네마 대구광장/롯데시네마 성서/롯데시네마 상인), CGV 2개(CGV 대구월성, CGV 대구죽전)가 있다. 롯데시네마 상인점은 2015년 12월 16일, CGV 월성점은 2016년 11월 말에 개점하여 월배지구에 영화관이 두 개로 늘었다.

세무서의 경우 달서세무서는 없고 대신에 서대구세무서가 달서구 감삼동에 있으며 서구와 달서구 갈산동, 감삼동, 두류동, 본리동, 성당동, 신당동, 용산동, 이곡동, 장기동, 장동, 죽전동, 파호동, 호림동, 호산동을, 남구의 남대구세무서가 월성동, 대천동, 월암동, 상인동, 도원동, 진천동, 대곡동, 유천동, 송현동, 본동을 관할하고 있다. 그래서 한때 달서세무서 신설이 거론되기도 했었지만, 묻힌 듯 하다. 다만 달서구의 생활권이 성서와 월배로 나뉘어 있고 성서는 서구, 월배는 남구와 어느 정도 생활권을 공유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게 자연스럽다. 그런데 달서구보다 인구가 적은 수성구의 경우 수성세무서가 신설되었다.

경찰서의 경우 두류동, 성당동, 본리동, 감삼동, 죽전동, 장기동, 용산동, 이곡동, 갈산동, 신당동, 호산동, 파호동, 호림동, 장동의 치안은 성서경찰서 관할이고, 나머지 달서구 동네의 치안은 달서경찰서 관할이다.

소방서의 경우 월배지구의 소방과 긴급구조는 달서소방서, 성서지구의 소방과 긴급구조는 강서소방서 관할이다.

의료기관은 상급종합병원계명대학교 동산병원(1,004병상)이 있는데, 병상수로는 대구경북 최대 규모이다. 원래 중구 현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자리에 있었으나 2019년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그 외 종합병원으로는 대구보훈병원(460병상), 나사렛종합병원(274병상), 더블유병원(261병상), 삼일병원(192병상), 구병원(187병상) 등이 있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달서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달서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사건사고

11.1. 달서구 홍보송 일본 걸그룹 노래 표절 의혹

달서구는 2019년 7월 대구시 신청사 유치 홍보를 위해 "달서구 패밀리"라는 이름으로 홍보곡 "대구의 새시대"를 발표했다. 이 곡은 이태훈 구청장이 작사하고 김태형 당시 더불어민주당 구의원이 작곡했다. 문제는 곡이 전체적으로 일본 걸그룹 E-girls의 곡 "Follow Me"와 너무나 똑같다는 점이다. 후렴구는 E-girls의 곡에 개사만 한 수준이고, B멜로디 부분도 코드나 리듬이 매우 유사하다. 이에 대해 김태형 구의원은 "이 곡(Follow Me)를 전제로 해서 쓴 건 아니고, 자신이 일본음악을 많이 듣기 때문에 오마주가 담긴 것"이라고 해명했다. 의도적 표절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그렇지만 오마주라고 하기에는 그대로 베껴온 수준이라 문제.

E-girls의 Follow Me는 일본 오리콘 차트 2위, 유튜브 조회수 8천만 회를 기록한 히트곡이자 E-girls의 대표곡으로서, 가요계에 관심이 있는 일본인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 노래라서, 자칫하다가는 나라 망신이 될 상황이었다.[38] 그러나 지역 언론에 표절 의혹이 보도된 후에도 아무 조치가 없었다. "대구의 새시대"는 2022년 현재까지 각종 음원 사이트에서 유료로 서비스되기까지 하고 있다.
달서구 패밀리 - 대구의 새시대
E-girls - Follow Me

12. 여담

13. 자매도시

14. 출신 인물


[1] 24법정동, 23행정동.[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3] 대구광역시 관할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인구가 많다.[4] 2024년 7월 기준.[5] 달서구 가선거구 (죽전동,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서민우, 황국주
달서구 나선거구 (이곡1동, 이곡2동, 신당동): 권숙자, 김기열, 박종길
달서구 다선거구 (월성1동, 월성2동): 강한곤
달서구 라선거구 (상인1동, 상인2동): 김해철, 이선주
달서구 마선거구 (진천동, 유천동): 김장관, 장호섭
달서구 바선거구 (상인3동, 도원동): 이진환, 정순옥
달서구 사선거구 (성당동, 두류1·2동, 두류3동, 감삼동): 손범구, 정창근
달서구 아선거구 (본리동, 송현1동, 송현2동, 본동): 고명욱, 박정환
달서구 비례대표: 남현주, 도하석
[6] 달서구 마선거구 (진천동, 유천동): 서보영
달서구 아선거구 (본리동, 송현1동, 송현2동, 본동): 김정희
달서구 비례대표: 임미연
[7] 달서구 가선거구 (죽전동,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이영빈
달서구 다선거구 (월성1동, 월성2동): 박왕규
달서구 사선거구 (성당동, 두류1·2동, 두류3동, 감삼동): 최홍린
[8] 달서구 제1선거구 (죽전동,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이영애 (재선)
달서구 제2선거구 (이곡1동, 이곡2동, 신당동): 허시영 (초선)
달서구 제3선거구 (월성1동, 월성2동, 상인1동, 상인2동): 황순자 (재선)
달서구 제4선거구 (진천동, 유천동, 상인3동, 도원동): 이태손 (재선)
달서구 제5선거구 (성당동, 두류1·2동, 두류3동, 감삼동): 윤권근 (초선)
[9] 달서구 제6선거구 (본리동, 송현1동, 송현2동, 본동) 전태선 의원 당선무효로 인한 공석[10] 경상북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포항시(49만명)보다도 많다.[11] 2016년 59만, 2017년 57만, 2018년 57만, 2019년 56만, 2020년 55만, 2024년 52만.[12] 달성군은 1995년 3월 1일 대구 편입 후 계속 인구가 증가해 2024년 1월 기준 26만에 달한다.[13] 참고로 해당 마크는 1996년부터 사용하고 있는데, 독자적인 마크를 제작하기 전까지 대구광역시 마크를 그대로 쓴 다른 자치구들과 달리 일찌감치 독자적인 마크를 사용했다.[14] 현재의 두류1~3동. 두류1동이 내당4동이었고, 두류2동이 내당5동, 두류3동이 내당6동이었다. 현재 서구 내당4동은 분구되기 전에는 내당7동이었다.[15] 현재의 이곡1~2동, 신당동, 장기동, 용산1~2동, 죽전동, 감삼동. 이 중 용산동, 장기동 일대가 성서1동, 감삼동이 성서2동, 이곡, 신당, 파호, 호산동 일대가 성서3동이었다. 죽전동은 원래는 성서4동이었으나 나머지 성서1~3동에 비해 더 일찍 죽전동으로 개명했다.[16] 내당4~6동, 성당1·2동, 성서1~3동, 본리동[17] 월배1~3동, 송현1·2동[18] 본동은 이후 송현동→송현2동에 속하다가 1990년 6월 1일자로 행정동이 됨.[19] 북구도 마찬가지로 금호강 북쪽 강북 지역(일명 칠곡 지역)을 강북구(가칭)으로 분구하려는 계획에 있으며 강북 지역은 칠곡3지구 시내버스 기종점 뒷편에 있는 대구강북경찰서, 그 외의 북구 지역은 침산동 북구청 옆에 있는 대구북부경찰서로 이원화되어 있다.[20] 원래 성서소방서였으나 달성군 다사읍 주민 및 달서구 성서권 주민들의 의견 차이로 인해 강서소방서로 바뀌었다.[21] 달서구의 북편인 죽전119안전센터의 경우 관할이 강서소방서다. 물론 본서와의 거리는 달서소방서가 월등히 가깝다. 현재 관할 구역은 죽전, 감삼, 용산, 장기(+ 서구 중리) 등으로 성서 권역이 맞다.[22] 참고로 나머지 달성군 동부(가창면)는 4번이다.[23] 전화번호 국번도 용산1동, 죽전동, 감삼동은 서구 국번인 55X~57X이다. 참고로 용산1동과 죽전동 한정으로 52X 국번도 쓰인다. 성서공단 남쪽지역은 월배 국번인 63X를 두류동, 성당동은 남구 국번인 62X 혹은 65X번을 사용하고 성서 지역과 달성군 다사읍, 하빈면 대부분은 58X 혹은 59X 국번을 사용한다.[24] 직할시 시절부터 적용되었던 기준으로, 부산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인천 연수구, 계양구, 광주 남구는 원 소속 구가 계획 수립 당시 50만 이상이라 분구되었지만 달서구는 행정구역 개편안 수립 당시 근소하게 50만에 못 미쳐 분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25]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26] 이 경우 국회의원 선거구도 2석을 갖게 된다.[27] 이와 비슷한 사례로 칠곡군이 있다. 현재 대구광역시 북구에 속해 있는 금호강 이북 지역은 대구 칠곡이라고 불리는데, 이 지역은 원래 칠곡군 칠곡읍이었다. 그런데 1981년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칠곡읍이 대구로 편입되어 주택단지가 들어서고 발전되었다. 그래서 대구 내에서는 금호강 북쪽에 있다고 해서 다르게는 강북 지역으로도 부른다. 하지만 칠곡군은 이 전에 구미시에 인동(현재의 인동동 일대) 지역을 넘겨 주기도 했는데, 공단 지역이 형성되면서 발전했다. 정작 칠곡군은 발전이 지체되고 현재는 대구광역시구미시 사이의 베드타운 정도로 추락했다. 현재 칠곡은 시 승격을 준비하고 있으며, 구 칠곡읍 반환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구미시가 칠곡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에 적극적이고, 구미시와 가까운 석적이나 북삼 같은 군 내 일부 지역은 여기에 매우 긍정적이다.[28] 성서 일대는 서구로, 월배 일대는 남구로 편입.[29] 애초에 폭주족은 어디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긴 하다.[30] 2028년 개통예정.[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괄호] [34] 도심화의 영향으로 코오롱 대구공장이 확장하지 못하면서 1993년 수성구 수성동4가에 있던 코오롱 대구공장이 김천공장으로 통합, 이전한 후 부지 일부에 아파트를 짓게 해 주는 조건으로 기부채납한 야외 공연장이다. 그래서 수성동4가 일대를 다르게 "코오롱지구"라고 불렀다. 1997년 7월에 착공하여 2000년 9월 29일에 개관했다.[35] 남대구, 북대구, 동대구등기소는 동구 효목2동 대구지방법원 등기국으로 일괄 이전했다.[36] 다만 달성군화원읍 후보지는 대구 도심에서 너무 이격되어 있어 비판적인 여론이 많았다.[37] 21대에는 공천 탈락으로 무소속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38] 친민주당 커뮤니티에서는 구청장이 토착왜구라고, 보수성향 커뮤니티에서는 작곡 구의원이 반일씹덕이라고 양쪽에서 조리돌림당하고 있는 상황이다.[39] 지역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병[40] 출생 당시는 서구였지만, 해당 지역이 달서구로 분구되었다.[41] 태어난 곳은 서구이지만 달서구에서 자람.[42] 태어난 곳은 울산이지만 용산동에서 자람.[43] 당시 지역구는 경기도 고양시 을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