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3:45:40

수성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동인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ef7e20 21%, #ef7e20); font-size: 1em;"
]] 중구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svg
서구
파일:남구(대구광역시) CI.svg
남구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북구(대구광역시) CI.svg
[[대구광역시청/산격청사|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8837 21%, #0062aa 21%, #0062aa); font-size: 1em;"
]] 북구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파일:달서구 CI.svg
달서구
자치군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파일:군위군 CI.svg
군위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75b0db>
파일:수성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75b0db><colcolor=#fff> 고산1동 신매동 일부 | 욱수동
고산2동 가천동 | 고모동 | 노변동 | 대흥동 | 삼덕동 | 시지동 | 연호동 | 이천동
고산3동 매호동 | 사월동 | 성동 | 신매동 일부
두산동 두산동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만촌동
범물1동
범물2동
범물동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수성구청|
구청
]] 범어동
상동 상동
수성1가동 수성동1가
수성2·3가동 수성동2가 | 수성동3가
수성4가동 수성동4가
중동 중동
지산1동
지산2동
지산동
파동 파동
황금1동
황금2동
황금동
}}}}}}}}} ||
대구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수성구 CI.svg
수성구
壽城區
Suseong-gu
}}}
<colbgcolor=#75b0db> 구청 소재지 달구벌대로 2450 (범어동)
광역자치단체 대구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23[1]
면적 76.54㎢
인구 409,107명[2]
인구밀도 5,344.19명/㎢[3]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대권 (재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5석[4]

파일:zsdkl3gasdg.svg
6석[5]

1석[6]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석[7]
국회의원
<colbgcolor=#75b0db>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주호영 (6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인선 (재선)
상징 구화 장미
구목 은행나무
구조 왜가리
구가 수성구민의 노래
지역번호 053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파일:플리커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
4.1. 행정동별 인구
5. 지역 특징
5.1. 수성구 편중발전 논란
6. 교통
6.1. 관내 철도역 목록
7. 관광
7.1. 관내 시티투어버스
8. 경제
8.1. 금융
9. 생활문화
9.1. 교육9.2. 주거환경9.3. 문화시설9.4. 치안9.5. 의료기관
10. 정치11. 하위 행정구역12. 자매도시13. 대중문화 속 수성구14. 출신 인물1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수성구 홍보 영상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파일:2023 범어네거리.jpg
파일:삼성라이온즈파크 야경.png
범어네거리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파일:수성유원지.jpg
파일:attachment/2011_세계육상선수권대회_개막식_in_대구스타디움.jpg
수성못 대구스타디움
파일:대구미술관2.jpg
파일:external/www.museum.or.kr/982258506_nDuicUPQ_B4EBB1B8.jpg
대구미술관 국립대구박물관 }}}
대구광역시 동남부에 위치한 자치구.

동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 남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서로는 대구광역시 남구중구, 북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와 접한다.

달서구, 북구 다음으로 대구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자치구로, 대구 도심인 중구,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하는 달서구와 함께 대구의 중심축을 구성하고 있으며 교육열이 높은 지역으로 유명하다.

수성구청2호선 범어역에서 달구벌대로 경산 방향으로 약 200m 거리에 있다.

동구, 북구 대현동과 함께 청도군 운문면 대천리의 운문댐이 상수원이다.

2. 상징

수성구의 CI
파일:수성구 CI.svg
전체적인 형상은 기와집과 같은 주거형태의 모양을 하고 있고 수성구의 "ㅅ"자를 의미하여 수성구가 살기좋은 주거지역임을 상징하고 노란색은 젊음과 교육의 도시, 파란색은 쾌적한 환경과 삶의 질을 추구한다는 의미한다.
수성구의 BI
파일:수성구 BI.svg
행복수성의 자음이 사람,미소 아이콘이 되어 심볼화 됨
수성구의 캐릭터
파일:수성구 캐릭터 뚜비와 도리.png
수성구의 캐릭터 뚜비는 과거 중동 마을을 지키던 실제 존재했던 돌두꺼비와 망월지 두꺼비를 더한 것으로 고유한 지역 정체성을 담은 캐릭터이다. 수성구 욱수동 망월지에서 대를 이어 살아가고 있는 뚜비는 언제나 미소를 머금은 얼굴에 상기된 볼이 매력적이다. 생명사랑, 환경에 관한 일이라면 무섭도록 책임감 있는 반전매력을 지닌 뚜비는 SAVE THE EARTH라는 슬로건 아래 불의를 보면 참지못하는 환경보안관으로 기후위기를 경고하고 있다.(도리 : 뚜비 곁을 항상 지키는 믿음직스러운 반려돌)


3. 역사

수성구 행정구역 변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76b0e0> 일자 舊 수성면 파동 시지
<colcolor=#76b0e0> 1896. 8. 4. 대구군 수동면
(大邱郡 守東面)
대구군 수북면
(大邱郡 守北面)
대구군 수현내면
(大邱郡 守縣內面)
대구군 상수서면
(大邱郡 上守西面)
경산군 서면
(慶山郡 西面)
1910. 10. 1. 대구부 수동면
(大邱府 守東面)
대구부 수북면
(大邱府 守北面)
대구부 수현내면
(大邱府 守縣內面)
대구부 상수서면
(大邱府 上守西面)
1914. 3. 1. 달성군 수성면
(達城郡 壽城面)
달성군 가창면
(達城郡 嘉昌面)
1914. 4. 1. 경산군 고산면
(慶山郡 孤山面)
1938. 10. 1. 대구부 동부출장소
(大邱府 東部出張所)
1949. 8. 15. 대구시 동부출장소
(大邱市 東部出張所)
1958. 1. 1. 대구시 가창출장소
(大邱市 嘉昌出張所)
1963. 1. 1. 대구시 동구
(大邱市 東區)
1980. 4. 1. 대구시 수성구
(大邱市 壽城區)
1981. 7. 1. 대구직할시 수성구
(大邱直轄市 壽城區)
1995. 1. 1. 대구광역시 수성구
(大邱廣域市 壽城區)
}}}}}}}}} ||

수성구 일대는 신라 시대에는 수창군(壽昌郡)이라 불리는 독립된 군이었고, 대구는 대구현이라는 이름으로 수창군에 속한 속현이었다. 그런데 고려의 시조 왕건공산 전투에서 후백제군에게 대패를 당한 것에 대한 뒤끝인지는 몰라도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수창군의 속현들을 떼어내서 모두 상주목 경산부 관내의 속읍으로 붙여 버리고, 수창군도 동경유수관 아래 속읍으로 편입시켜 버림으로써 대구 지역에서의 기존 통치 구조를 바꿔 버렸다. 수창군은 이때부터 대구 지역에서 중심 도시로서의 지위를 잃었고, 대신 그전까지 수창군에 소속된 속현에 불과했던 대구현이 두각을 드러내어 고려 인종 21년(1143년)에는 현령이 부임하고 대구와 마찬가지로 원래 수창군 산하의 속현이었던 팔리현, 하빈현, 하원현이 모두 대구현에 소속되게 되면서 대구현이 대구 지역의 중심 도시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수창군 시절의 관아터로 보이는 유적이 2019년에 대구 수성구 중동 356-7번지 일원에서 확인되었지만, 하필 그 지역이 수성 골드클래스 더 센텀 공사 현장이었고, 2월부터 4월까지 고작 36일의 짧은 현장 발굴조사만 한 것을 끝으로 보존 조치는 고사하고 아파트 건설공사를 그대로 강행해 완전히 파괴돼 사라져 버렸다. 지역의 그 많은 전문가를 놔두고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외지 전문가 두 명 불러 자문 들은 게 전부였다는 모양. ### 현재 해당 터에는 안내판 세 개만 세워져 있다. # 수성골드클래스는 2021년 12월에 준공되었다.

본래 대구군 수동면, 수북면, 수현내면, 상수서면과 경산군 서면 지역이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수동면, 수북면, 수현내면이 신설된 달성군의 수성면으로, 상수서면이 가창면으로 폐합되었고, 경산군 서면은 고산면으로 개칭되었다.

1938년 수성면이 대구부로 다시 편입되면서 동시에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58년 달성군 가창면이 대구시로 편입되면서 가창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할 때 가창출장소는 달성군으로 환원되었으나, 파동만 잔존하여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동구의 남부를 분할하여 수성구를 신설하였으며 이듬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구직할시 수성구로 승격되었고, 1995년 광역시로 개칭되면서 대구광역시 수성구로 개칭되었다.

4. 인구

파일:수성구 CI.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80년 4월 1일 대구시 동구 일부 → 수성구 승격 분리
1980년 204,422명
1981년 7월 1일 대구시 → 대구직할시 승격 분리, 경산군 고산면 → 수성구 편입
1985년 282,560명
1990년 351,613명
1995년 456,408명
2000년 459,658명
2005년 437,356명
2010년 461,988명
2015년 451,786명
2020년 424,314명
2024년 12월 409,10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산3동 30,046명
고산1동 31,343명
고산2동 26,274명
황금1동 21,904명
만촌1동 20,714명
만촌3동 21,182명
지산1동 19,290명
범어4동 18,956명
지산2동 18,699명
범어3동 17,449명
수성1가동 16,954명
범물2동 15,854명
범어1동 20,805명
상동 14,464명
범어2동 14,264명
두산동 14,766명
수성4가동 13,357명
중동 14,536명
파동 15,332명
황금2동 11,255명
수성2·3가동 10,421명
만촌2동 10,966명
범물1동 10,046명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 ||

4.1. 행정동별 인구

파일:수성구 CI.svg 범어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범어동(법정동) → 범어동(행정동)
1966년 12,173명
1970년 19,504명
1975년 10월 1일 범어동 → 범어1동, 범어2동 분동
1975년 18,047명
1980년 30,619명
1982년 9월 1일 범어1동범어1동, 범어4동 분동
1985년 23,257명
1990년 26,134명
1995년 19,203명
2000년 16,226명
2005년 14,983명
2010년 18,594명
2015년 18,272명
2020년 16,384명
2024년 11월 20,80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어2동 인구 추이
(197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범어동 → 범어1동, 범어2동 분동
1975년 6,775명
1980년 4월 1일 동구 신천4동 일부 + 범어2동범어2동, 범어3동으로 조정
1980년 11,125명
1985년 12,658명
1990년 16,734명
1995년 14,882명
2000년 12,719명
2005년 10,512명
2010년 12,922명
2015년 15,225명
2020년 16,048명
2024년 11월 14,26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어3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80년 4월 1일 동구 신천4동 일부 + 범어2동 → 범어2동, 범어3동으로 조정
1980년 18,440명
1985년 18,287명
1990년 17,439명
1995년 13,196명
2000년 11,642명
2005년 6,801명
2010년 11,679명
2015년 14,256명
2020년 16,445명
2024년 11월 17,4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어4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범어1동 → 범어1동, 범어4동 분동
1985년 17,115명
1990년 25,673명
1995년 22,953명
2000년 21,854명
2005년 19,743명
2010년 20,491명
2015년 19,448명
2020년 18,996명
2024년 11월 19,0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만촌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만촌동 → 만촌1동, 만촌2동 분리
1970년 1,532명
1970년 2,985명
1975년 6,789명
1980년 11,653명
1985년 15,455명
1990년 20,391명
1995년 19,209명
2000년 15,538명
2005년 27,480명
2010년 25,954명
2015년 25,277명
2020년 23,247명
2024년 11월 20,7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만촌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만촌동 → 만촌1동, 만촌2동, 분리
1966년 1,256명
1970년 2,013명
1975년 6,341명
1980년 14,546명
1985년 24,367명
1990년 37,943명
1992년 9월 1일 만촌2동만촌2동, 만촌3동 분동
1995년 17,641명
2000년 14,919명
2005년 14,473명
2010년 13,979명
2015년 13,164명
2020년 11,488명
2024년 11월 10,8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만촌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만촌2동 → 만촌2동, 만촌3동 분동
1995년 17,671명
2000년 20,913명
2005년 19,116명
2010년 22,995명
2015년 19,892명
2020년 20,434명
2024년 11월 21,22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수성1가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수성동(법정동) → 수성동(행정동)
1966년 1월 1일 수성동 → 수성1·2·3가동 조정
1966년 13,494명
1970년 22,991명
1975년 10월 1일 수성1·2·3가동 →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분동
1975년 20,792명
1980년 20,818명
1985년 20,865명
1990년 21,288명
1995년 19,631명
2000년 20,441명
2005년 20,135명
2010년 18,772명
2015년 19,725명
2020년 18,767명
2024년 11월 16,89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수성2·3가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75년 10월 1일 수성1·2·3가동 →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분동
1975년 15,436명
1980년 19,119명
1985년 20,146명
1990년 20,509명
1995년 16,524명
2000년 13,673명
2005년 10,023명
2010년 12,153명
2015년 13,404명
2020년 12,207명
2024년 11월 10,45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수성4가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신천동 →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신천5동 분리
1966년 11,764명(신천3동)
1970년 16,441명(신천3동)
1975년 17,528명(신천3동)
1980년 4월 1일 동구 신천3동 → 수성구 편입 및 수성4가동 조정
1980년 17,168명
1985년 16,519명
1990년 15,260명
1995년 12,876명
2000년 17,300명
2005년 15,867명
2010년 17,945명
2015년 16,876명
2020년 15,199명
2024년 11월 13,3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황금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황청동(법정동) → 황청동(행정동)
1966년 1,529명
1970년 1,765명
1975년 1,987명
1977년 12월 1일 황청동 → 황금동 개칭
1980년 5,477명
1985년 27,715명
1990년 36,261명
1992년 9월 1일 황금동 → 황금1동, 황금2동 분동
1995년 23,738명
2000년 20,718명
2005년 12,309명
2010년 26,182명
2015년 23,740명
2020년 24,417명
2024년 11월 21,8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황금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황금동 → 황금1동, 황금2동 분동
1995년 16,551명
2000년 14,889명
2005년 14,482명
2010년 13,296명
2015년 12,956명
2020년 11,147명
2024년 11월 11,27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중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중동(법정동) → 중동(행정동)
1966년 5,718명
1970년 9,476명
1975년 13,967명
1980년 18,204명
1985년 21,099명
1990년 22,275명
1995년 19,463명
2000년 16,504명
2005년 15,282명
2010년 13,900명
2015년 13,024명
2020년 11,350명
2024년 11월 14,5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상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상동(법정동) → 상동(행정동)
1966년 3,819명
1970년 7,211명
1975년 10,103명
1980년 13,820명
1985년 17,051명
1990년 20,624명
1995년 20,929명
2000년 19,082명
2005년 18,472명
2010년 16,617명
2015년 18,499명
2020년 16,938명
2024년 11월 14,5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파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파동(법정동) → 파동(행정동)
1966년 1,361명
1970년 4,742명
1975년 8,255명
1980년 13,182명
1985년 14,068명
1990년 19,411명
1995년 18,153명
2000년 16,830명
2005년 16,830명
2010년 14,151명
2015년 14,891명
2020년 12,821명
2024년 11월 15,3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두산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두산동(법정동) → 두산동(행정동)
1966년 1,569명
1970년 2,641명
1975년 3,758명
1980년 3,250명
1985년 4,338명
1990년 7,146명
1995년 11,102명
2000년 11,035명
2005년 9,936명
2010년 12,326명
2015년 14,762명
2020년 14,257명
2024년 11월 14,7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지산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지산동(법정동) → 지산동(행정동)
1966년 1,718명
1970년 2,006명
1975년 2,782명
1980년 5,612명
1985년 6,187명
1990년 19,504명
1992년 9월 1일 지산동 → 지산1동, 지산2동 분동
1995년 32,251명
2000년 30,436명
2005년 28,631명
2010년 27,231명
2015년 25,336명
2020년 22,584명
2024년 11월 19,3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지산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9월 1일 지산동 → 지산1동, 지산2동 분동
1995년 28,781명
2000년 27,619명
2005년 25,738명
2010년 24,349명
2015년 22,519명
2020년 19,171명
2024년 11월 18,7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물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5년 2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범물동(법정동) → 범물동(행정동)
1966년 1,074명
1970년 953명
1975년 1,276명
1980년 1,485명
1985년 1,547명
1990년 1,389명
1995년 40,444명
1996년 1월 1일 범물동 → 범물1동, 범물2동 분동
2000년 19,835명
2005년 17,150명
2010년 15,482명
2015년 13,704명
2020년 11,661명
2024년 11월 10,0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범물2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6년 1월 1일 범물동 → 범물1동,범물2동 분동
2000년 21,935명
2005년 20,249명
2010년 19,386명
2015년 17,725명
2020년 17,191명
2024년 11월 15,8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고산1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고산출장소 中 욱수동 + 신매동 + 매호동 + 사월동 + 성동 → 고산1동 신설
1985년 10,715명
1990년 10,819명
1995년 38,654명
1996년 1월 1일 고산1동고산1동, 고산3동 분동
2000년 31,329명
2005년 31,891명
2010년 36,456명
2015년 34,881명
2020년 31,555명
2024년 11월 31,28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고산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989명
1970년 11,750명
1975년 14,512명
1980년 18,696명
1981년 7월 1일 경산군 고산면 → 대구직할시 수성구 편입 및 고산출장소 개편
1982년 9월 1일 고산출장소 中 욱수동 + 신매동 + 매호동 + 사월동 + 성동 → 고산1동 신설
1983년 3월 15일 고산출장소 → 출장소 폐지
舊 고산출장소 지역 → 고산2동 신설
1985년 11,278명
1990년 12,913명
1995년 17,109명
2000년 26,346명
2005년 26,308명
2010년 30,936명
2015년 28,011명
2020년 27,801명
2024년 11월 26,30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수성구 CI.svg 고산3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6년 1월 1일 고산1동 → 고산1동, 고산3동 분동
2000년 27,213명
2005년 29,699명
2010년 36,192명
2015년 36,199명
2020년 34,206명
2024년 11월 30,05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5. 지역 특징

대구의 관공서와 오피스 빌딩이 들어선 주요 업무지구이자 부도심이다. 수성구청, 대구지방법원, 대구고등법원대구지방검찰청, 대구고등검찰청, 대구경찰청, 대구지방고용노동청, 대구 차량등록사업소 등 주요 관공서가 밀집해 있고, 대구 지역 방송국 3사 KBS대구방송총국(범어동), 대구MBC(욱수동)[8], TBC(대구방송)(두산동)[9] 등이 모두 수성구에 있다. 과거 KBS대구방송총국은 동구 신천동에 있었고 대구MBC는 중구 전동에 있었지만, 수성구로 이전하면서 방송국 3사가 모두 수성구에 소재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2011년 2월에 개국한 대구극동방송이마트 만촌점 근처에 있고, 대구 기독교TV 방송국이 두산동 한샘교회에 있으며, 2012년 12월 30일에 개국한 대구국악FM방송국도 지산동 수성아트피아 안에 있다.

대구에서 가장 교육열과 집값이 높은 구다. 대구에서 부자가 가장 많이 살며, 주거 선호도가 가장 높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난개발이 심각한 편으로, 특히 과거부터 시가지가 들어선 신천동로 주변은 복잡한 곳도 많다. 투기과열지구 지정 전과 지정 후 한동안은 평당 3,000만 원대로 집값이 미친듯이 올라서 이목을 받기도 하였고, 한 때 진정이 되었다가 현재는 보합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수성구에서 최고 부촌이라 할 수 있는 지역은 범어동이다. 그러나 투기과열지구 해제를 공약으로 내세웠던 주호영 후보가 수성구의 가장 중요한 지역인 범어동 등을 포함하는 수성구 갑 선거구에서 당선이 되면서 또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 실제로 코로나19 등 악재나 정부의 부동산 대책의 타격 및 투기과열지구 지정 유지 등 각종 규제가 풀리지 않은 상태인데도 2020년 9월 들어서 집값이 꽤 높은 폭으로 상승 중이라 중형 평수임에도 10억에서 14억을 호가하는 매물이 나오고 있다. 2020년 8월 말 범어동 모 아파트에서는 전용 84㎡ 면적의 매물이 대출 한계선을 넘은 15억 3,000만 원에 거래되면서 부동산 업계와 언론이 들썩했다. 이는 비수도권 최초로 중형 평수의 매물이 15억을 넘은 사례다. 또한, 정부에서 지난 6.17 부동산 대책으로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은 주택을 구입할 때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며, 투기과열지구는 자금조달계획서에 있는 항목에 따른 부가적인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도 계속 집값이 내려가지 않는 이유는 수성구 지역이 규제가 걸려 있어도 그 정도는 무릅쓰고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사람들이 넘쳐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2020년 12월 대구시 전체에 조정대상지역 규제가 걸리자 그나마 투자가치가 있는 수성구 쪽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역풍선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2021년 2월 범어동의 한 아파트 국민평수(84㎡) 매물이 17억 7,500만 원에 거래되면서 다시 한 번 비수도권 신고가를 찍었다. 여기에 더해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정책을 비웃기라도 하듯 해당 아파트 단지와 주변 아파트 단지의 호가가 가파르게 올라가 잡힐 기미가 안 보이고 있다.

2022년 말부터는 대구 지역에서 본격적으로 부동산 침체 사태가 터지면서 미분양과 집값하락이 발생하자 수성구도 예외가 아니게 되었다. 앞서 서술된대로 수성구의 집값이 상당히 높았던 만큼 매우 큰 하락폭[10]을 나타내기도 했다.

1980년대 후반 이후 하루가 다르게 빠른 발전을 이룬 수성구지만, 군부대의 존재와 개발제한구역 지정에 의한 그린벨트가 형성 되어있다. 따라서 고모역 근처의 이천동, 가천동 부근에는 한적한 농촌 마을이 있다. 성동에는 고산서당 등의 유적도 있으며 적지 않은 양의 포도가 생산되고 있어 싱싱한 '고산 포도'를 맛볼 수 있다. 논과 옥수수밭이 펼쳐진 평지 한가운데로 경부선, 경부고속선, 대구선 선로가 지나가고 있는 한적한 풍경을 즐길 수도 있다. 그러나 수성구 본시가지와 시지 사이의 연호동은 이미 도시개발에 들어갔고, 성동 일대 역시 워낙 넓은 평지라 2020년대 들어서 개발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2019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대구에서 외제차가 가장 많이 등록된 기초자치단체다.[11] 이런 이유로, 대구시 내에 있는 외제차 전시장과 서비스센터가 수성구에 많이 몰려있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상기 언급된 브랜드의 서비스센터가 모두 수성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테슬라와 같은 전기차 브랜드도 수성구를 거점으로 영업 중이다.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도 많이 보인다. 같은 대구 지역인 서구의 4,415대와는 수치가 무려 11.8배가 차이나면서 빈부격차의 쓸쓸함을 보이기도 했다. 주요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도 수성구 위주로 대구 내 딜러가 많다.[12]

지역 건강보험료 납부금액 순위가 전국 10위다. 이 수치가 무엇을 말해주냐면, 부동산, 소유 승용차를 포함한 모든 전재산을 통틀어 집계하는 과세표준이라는 소리다. 즉 지역 내부의 평균 소득 자체가 높아야 순위권에 들어간다는 것. 부동산 등을 제외한 금융자산이 10억 이상인 사람들이 사는 자치구 중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1위다.

2015년 지역발전위원회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동아일보의 미래전략연구소가 진행한 전국 230개 시군구 주민들의 삶의 질 만족도 조사에서 6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23년 수성구청의 행정조사 결과에 따르면 무려 수성구민 94.1%가 “수성구에서의 삶의 질에 만족한다.”라고 답했다. #

수성구민의 구정참여도도 높은 편이라 수성구청에서 진행하는 구정사업을 보면 4차산업 관련 또는 전국에서 최초로 실시하거나 수성구민들의 실생활에 밀접한 경우가 굉장히 많다. 따라서 우수사례로 선정되거나 각종 행정경진과 관련된 대회에서 수상하는 경우도 많다. 문화 사업에도 적극적인 편이다. 대표적으로 수성구 청소년 문화의 집 건립 등의 사업이 있고 대구광역시의 구 중 구립도서관 수가 6개로 가장 많으며 고산도서관, 용학도서관, 범어도서관 같은 곳은 규모도 꽤 크고 각종 문화행사도 활발히 진행하는 편이다.

수성구는 도시브랜드파워 향상을 위해 2020년부터 노력해왔는데, 그 결과물이 수성구의 도시브랜드 “위더스 수성”, 새로운 캐릭터 “뚜비” 및 수성구 대표 서체이다. 도시브랜드 제정 및 전용 서체 제작/배포는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 최초로 시도한 사례다. 특히 전용서체의 경우는 다운로드 10만 건을 넘기는 등 대중들에게 널리 쓰이면서 수성구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5.1. 수성구 편중발전 논란

대구광역시의 주요 공공 시설과 여가 시설들이 수성구에 몰려 있다. 때문에 서구, 남구 등 타 자치구들은 대구시가 수성구에만 주요 시설을 몰아준다며 불만을 표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유치에 불이 붙었던 2019년에 중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은 어떻게든 대구광역시청을 유치하려 애썼지만 수성구는 다른 구, 군들에게 양보할 겸 가만히 지켜보기만 했고, 대구광역시청 신청사는 달서구 두류동에 건립되는 게 확정됐다. 신청사가 들어서는 달서구뿐만 아니라 서구에도 서대구역이 들어서는 등 2010년대 이후 서부 지역 역시 개발의 수혜를 받고 있다.
관공서
(수성구 관련 관공서 제외)
기관명 주소
대구지방법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364 (범어동)
대구고등법원
대구지방검찰청
대구고등검찰청
대구광역시경찰청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227 (지산동)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76길 11 (수성동2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대구사무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126 (황금동)
대구광역시 차량등록사업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원로 84 (만촌동)
고용노동부 대구고용노동청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231 (범어동)
대구전파관리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원로 90 (만촌동)
방송사 방송사명 주소
TBC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23 (두산동)
대구MBC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길 56(욱수동)
KBS대구방송총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496길 30 (범어동)
대구국악방송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18 (지산동, 수성아트피아)
대구극동방송 대구광역시 수성구 화랑로 90 (만촌동)

상당히 인프라가 집중되어 있다 보니, 그나마 도심인 중구나 인구가 많은 달서구, 동대구역대구신서혁신도시를 낀 동구는 괜찮은 편이지만 서구남구, 북구[13]대구의 다른 자치구는 여러 방면에서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대구시민 모두가 공평히 누려야 할 시설 중 수성구에 있는 시설은 대표적으로 국립대구박물관, 법원, 검찰청, 대구광역시경찰청 등이 있는데, 법원을 포함한 법조타운은 이전한다고 해도 같은 수성구인 연호동으로 이전 예정이고, 달성공원 동물원 등 다른 지역에 있는 공공시설도 수성구가 이전 유치하는 실정이다. 수성알파시티 IT 기업과 롯데몰 유치 등으로 경제도 대구 내에서 계속 승승장구할 예정이다. 집값도 예외는 아닌데, 높은 집값으로 인해 비수성구 주민의 수성구 입성은 상당히 힘든 편이고, 수성구에 살던 사람도 다른 구나 경산시로 전출하고 나면 다시 수성구에서 살지 못 할 정도로 다른 구나 인근 위성도시에 비해서 집값 오름세가 가파르다. 특히 대구에서 중구를 제외하고 가장 교통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이 도시철도 노선을 수없이 깔아달라고 하여 시민들의 비판을 사고 있다. 한 예로, 확정된 4호선과 예정된 5호선이 모두 수성구를 경유하는데, 이어서 수성남부선 신설을 요구하고 있어서 지역 주민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

그런데 의외의 대표적인 혐오시설이 수성구에 있는데, 바로 대구구치소대구명복공원(화장장)이다. 둘 다 고모동 담티고개 끝자락에 있으며 대구구치소의 경우 대륜중ㆍ대륜고등학교가 있는 만촌3동 쪽에서 아주 잘 보인다. 하지만 구치소 주변이 그린벨트 지역이기도 하고 외관도 빌딩형식이라 크게 거부감이 들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지역 발전 저해 원인의 대표격인 군 관련 시설[14]도 수성구 내에 4곳[15][16]이나 있으나 수성구 본시가지와 시지지구 사이의 그린벨트 지역에 있다.

6. 교통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75b0d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75b0db>
파일:수성구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4b73c> <colbgcolor=#ffffff,#191919> 경안로 · 고모로 · 고산로 · 공경로 · 교학로 · 국채보상로
노변공원로 · 노변로
동대구로 · 동원로 · 들안로
만촌로 · 명덕로 · 무열로 · 무학로 · 미술관로
범안로 · 범어로 · 범어천로
상록로 · 상화로 · 성동로 · 세진로 · 수성로 · 시지로 · 신매로 · 신천동로
앞산터널로 · 야구전설로 · 용학로 · 욱수천로 · 월드컵로 · 유니버시아드로
지범로 · 지산로
천을로 · 청솔로 · 청수로 · 청호로 · 충의로
파동로
화랑로 · 효행로 · 희망로
[[틀:대구광역시의 도로|
대구광역시의 다른 도로
]]
}}}}}}}}}


대구광역시의 5대 버스 터미널 중 하나였던 남부정류장이 만촌네거리 만촌역 4번 출구 건너편에 자리잡고 있었으나, 이 곳에서의 교통은 대부분 철도시내버스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었기에 더욱 몰락하는 실정이었다. 이마저도 2016년 12월 동대구 복합환승센터가 생기면서 사라졌다. 이외에도 신매역 KFC 앞에서 동서울행, 인천공항행 버스를 탈 수 있었다. 또한 25번 국도가 있고, 대구부산고속도로 수성IC대구스타디움 맞은편인 노변동에 소재하고 있다.

과다한 경산시 방면 시계외노선을 정리하지 못하면서 경산시로 진입하는 길목인 수성구 역시 풍부한 시내버스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가창면이 종점인 경우 역시 마찬가지인데, 이러한 시내버스 노선 역시 수성구를 무조건 통과한다.

도시철도의 경우 대구 2호선대구은행역~사월역에 달하는 10개 역사가 수성구에 있으며[17] 대구 3호선도 수성구에 8개의 역사가 있다. 따라서 달서구와 함께 2개 노선[18]이 있으며, 대부분의 수성구 주요 지역을 전철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이 착공될 예정으로[19], 개통된다면 총 3개의 노선이 통과하게 되지만, 벤처밸리네거리역이 네거리 북쪽에 건설됨에 따라 노선만 늘어난 3개의 노선과 18개 역사를 가지게 된다. 대구 내에서 도시철도 역사가 가장 많이 있는 자치구이다. 또한 3호선을 동구 대구신서혁신도시 혹은 경산시 계양동까지 연장하는 안도 추진 중이고, 최근에는 중동, 상동, 파동 주민들이 주택 재개발로 아파트 단지가 대거 들어서면 교통난이 심해질 듯하다는 명분으로 수성로를 따라 '수성남부선' 신설을 요구하고 있지만 신설될 가능성은 낮다.[20]

공유형 전동 킥보드deer, 플라워로드, 알파카가 직접 서비스 중인데 희한하게 전부 시지지구 쪽에서 경산시와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다. 시지와 경산 간의 도보교통 연계성을 고려한 듯.

대경선(경부선)이 변두리에 지나만 간다. 가천역은 화물 전용이라 의미가 없다. 다만 가천역, 사월역 정차를 시에서 타당성 조사하고 있다.

6.1. 관내 철도역 목록

파일:수성구 CI_White.svg 수성구의 철도역
기차역 고모(폐역) · 가천(화물)
파일:Daegu2.svg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구은행 · 범어 · 수성구청 · 만촌 · 담티 · 연호 · 수성알파시티 · 고산 · 신매 · 사월
파일:Daegu3.svg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시장 · 수성구민운동장 · 어린이세상 · 황금 · 수성못 · 지산 · 범물 · 용지
(고산역, 대구미술관역, 대구스타디움역 등 시지방면 연장 추진)
파일:Daegu4.svg 대구 도시철도 4호선(예정) 수성구민운동장 · 범어

7. 관광

7.1. 관내 시티투어버스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시티투어버스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3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시 전역
대구시티투어버스(1층 · 2층(밀폐형/개방형))
<rowcolor=#fff>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중구 파일:수성구 CI_White.svg 수성구
청라버스 수성투어버스(개방형)
}}}}}}}}} ||

8. 경제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소득 수준이 높은 곳이며 2020년 평균급여에서 전국 11위, 지방에서는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링크 지역 특징 문단에서 전술했듯 대구의 강남이라는 별명답게 1990년대 이후 대구의 대표 부촌으로 자리잡고 있다.[21]

수성구의 경우 3차 산업이 대세다. 대구는 타 대도시들과 달리 제조업 기반이 허약한 반면 자영업의 비율이 매우 높은 곳으로, 이 때문에 부자들이 대를 잇는 경우가 많다.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으며, 4급 이상 고위 지방공무원들도 많이 거주하는 편이다. 외제차를 끌고 다니는 사람 대부분이 고소득 자영업자이거나 전문직 종사자이다.[22] 범어동, 만촌동, 황금동, 수성동 등 수성구 원도심권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전문직 종사자와 4급 이상 고위 지방공무원들, 교수, 금융업계 간부급들이 대부분이다. 주거지와 멀리 떨어지지 않는 범어동, 수성동[23]이나 인근 반월당에 있는 법조타운, 병원, 금융회사,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의 본사나 지사, 방송국들이 즐비해 주거지와 상업지가 가깝다.

시지는 주로 경산시청도군 등에 직장이 있는 사람들이나 대구에 갓 들어온 사람들이 많다. 수성구에서 신혼부부가 입성하기 좋은 동네라 젊은 연령층들이 많으며, 자연히 인구에 학생 비율이 높고 평균 연령대가 낮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지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세대란이 일어나 오히려 안심이나 경산시를 선택하는 젊은 층들이 많다.

8.1. 금융

수성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대구수성우체국 (15)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3)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중앙회) (7)
시중은행
신한은행 (4) 우리은행 (3)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6)
국민은행 (7) 한국씨티은행 (1)
iM뱅크 (19)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고산농협 (3) 대구축산농협 (5) 경산축산농협 (1) 대구경북능금농협 (1)
동대구농협 (7) 대구경북양돈농협 (1) 한국양계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울릉군수협 (1) 영덕북부수협 (1)
새마을금고
수성중앙새마을금고 (4) 대원새마을금고 (4) 두레새마을금고 (3) 지범새마을금고 (2)
중동새마을금고 (1) 청구로새마을금고 (2) 수성1가새마을금고 (2) 상동새마을금고 (1)
남부새마을금고 (3) 대구개인택시조합새마을금고 (1) 새마을금고(중앙회) (1)
신용협동조합
청운신용협동조합 (11) 대구한의사신용협동조합 (1) 달구벌신용협동조합 (7) 대구수성신용협동조합 (1)
대구영광신용협동조합 (2) 대구건축사신용협동조합 (1) 두산천주교회신용협동조합 (1)
성요셉교육재단신용협동조합 (1) 대구경북치과의사신용협동조합 (1) 신용협동조합(중앙회)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참저축은행 (1) 대백저축은행 (1) 대신저축은행 (1) MS저축은행 (1)
라온저축은행 (1)
중구[27]와 더불어 대구의 양대 금융중심지인 범어네거리가 있다. 지역 대표은행인 iM뱅크 본점, 수협은행 경북지역본부, 중소기업은행 대구경북동부지역본부, 새마을금고중앙회 대구지역본부, 신용협동조합중앙회 대구지역본부가 수성구에 있다. 과거 대동은행도 중동에 본점을 뒀으나 외환위기로 인하여 국민은행에 합병되고 본점 건물도 주상복합으로 재개발되었다.

전북은행 영남오토금융사업부가 수성구에 있다. 자동차 관련 상품을 취급하고 일반 금융은 취급하지 않는다.

여담으로 시지에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의 지점이 각각 하나씩 더 있었으나, 각각 시경계에 있는 이마트 경산점 내 우리은행 경산지점, 경북 경산시 정평동 소재인 IBK기업은행 경산지점에 통합되었다. 따라서 시지지구에서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 관련한 볼일이 있다면 각각 상기 점포를 찾아가면 된다.

9. 생활문화

9.1. 교육

파일:수성구 CI_White.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대구경동초등학교 대구고산초등학교 대구노변초등학교 대구대청초등학교
대구동도초등학교 대구동문초등학교 대구동산초등학교 대구동성초등학교
대구동원초등학교 대구동일초등학교 대구동천초등학교 대구두산초등학교
대구들안길초등학교 대구만촌초등학교 대구매동초등학교 대구매호초등학교
대구범물초등학교 대구범어초등학교 대구범일초등학교 대구복명초등학교
대구사월초등학교 대구삼육초등학교 대구성동초등학교 대구수성초등학교
대구시지초등학교 대구신매초등학교 대구용지초등학교 대구욱수초등학교
대구중앙초등학교 대구지봉초등학교 대구지산초등학교 대구청림초등학교
대구파동초등학교 대구황금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수성구 CI_White.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신중학교 고산중학교 노변중학교 능인중학교
대구동부중학교 대구동중학교 대구중앙중학교 대륜중학교
덕원중학교 덕화중학교 동도중학교 동원중학교
매호중학교 범물중학교 범일중학교 소선여자중학교
수성중학교 시지중학교 신명여자중학교 오성중학교
정화중학교 지산중학교 황금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수성구 CI_White.svg 대구광역시 수성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북고등학교 경신고등학교 능인고등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
대구남산고등학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대구여자고등학교 대구중앙고등학교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 대륜고등학교 덕원고등학교 동문고등학교
수성고등학교 시지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오성고등학교
정화여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대구광역시 교육의 중심지이다.

전국적으로 서울특별시강남구 다음 가는 고교 입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일단 대구·경북에서 강남 8학군 정도의 지위를 가지고 있고 수성구의 교육열과 수준은 전국에서도 상당 수준 유명하기 때문이다. 1980년대 초 경신고등학교, 덕원고등학교에서 전국 최초로 야간자율학습을 시행했다. 그러나 이 지역 고등학교들도 수성구 특유의 사교육 열기로 이미 자율화된 학교들이 많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까지는 야간자율학습을 많이 했다. 교육에 관심이 많은 지역 특성상, 전국적으로 저명한 학원을 여럿 배출한 지역이기도 하다. 이미 전국에 지점을 두고 있는 수학전문 김샘학원이나 인지도 있는 손샘영어가 그 예이다. 그리고 주요 학원 외에도 크고 작은 교습소들도 많다. 그래서 송원학원, 지성학원 등 대구 기반의 재수학원이 강세이고, 최근에야 메가스터디범어동에 진출했다.

물론 모두가 특출나게 잘 하는 것은 아니지만 높은 취급을 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중고등학교가 10개 넘게 분포하는 범어4동만촌3동(이른바 '범4만3')은 학부모의 선호도가 높다. 참고로 시지의 경우는 대구 시내 평균에 비해선 성적이 높은 편이긴 하지만 범4만3에 비하면 낮다. 그래서 시지지구의 학부모, 학생들이 주로 범4만3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시키려 한다.[28] 이 때문에 인근 경산시를 비롯한 경상북도 타 지역에서 수성구로 오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있다. 대구의 유명 사교육 시설의 다수가 수성구에 몰려 있고, 진학 실적 및 수능 성적은 강남 8학군에 비해 어느 정도 밀리긴 하지만 나머지 지역과 비교 시 진학 실적과 수능 성적이 높고, 주요 전문직 진출 비율도 높다.

다만 2017년 2월 영남일보 기사에 의하면 수성구는 2017년도 서울대 합격자 수에서 수도권 외 청주시, 공주시에도 밀리며 12위를 기록, 2007년 4위에서 꾸준히 하락해 오랜 시간 대구의 서울대 합격을 주도한 수성 불패 신화가 깨지고 있다는 말도 나오지만 이 주장에는 오류가 있다.# 우선 이과에서는 SKY보다는 의치한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특히 더 많다. 그리고 수성고, 동문고, 중앙고를 제외한 대부분의 이과 상위권 학생들은 SKY 공대, 자연대, 수학교육과포항공과대학교, 카이스트가 아니면 지역 내 의학 계열을 더 선호한다. 그래서 국내 주요 의과대학 입시설명회도 수성구는 항상 빠지지 않는다. 반면 문과에서는 SKY나 사관학교를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고 건동홍과 비슷한 수준이면 이 정도 성적대의 학생들은 경북대, 부산대, 교대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아서 단순히 인서울 실적 갖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SKY 입학자 수가 낮아졌다고 수성구의 위상이 낮아졌다고 주장하기에는 오류가 많다. 따라서 전국 고등학교 순위를 매긴답시고 서울 10개 주요대학 진학 실적을 기반으로 한 순위를 그대로 믿으면 안 된다.[29]

2022학년도 입시에서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13명의 합격자가 나와서 입시판에서 큰 주목을 끌기도 하였다. 단순 수치로 계산해보면 대부분의 일반고등학교에서 한 명씩 진학했다고 할 수 있다. [30] 서울 10개 주요 대학과 의치한이 아닌 지거국 입시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대구 일반계 고교 출신 경북대 재학생 중 약 39%가 수성구 출신이며, 정시의 경우 약 51.0%가 수성구 출신이다. 이들 중 상당수는 경북대, 부산대, 대구교대 상위 학과에 지원하는 경우가 많고 이들 중 일부는 중경외시 하위권과 겹치고 전체적으로는 건동홍과 같다 보니 지역에서 장학금을 받고 재학하는 사례도 많다. 물론 그만큼 입시 경쟁이 치열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입시에 관심이 많고 민감하기 때문에 강남3구와 비슷하게 문과, 이과를 가리지 않고 n수를 하는 학생들도 많고 경북대, 부산대 등에 재학하는 수성구 출신 학생들도 반수하는 사례도 많다. 이 때문에 통계상 경북대, 부산대가 전국에서 자퇴자 수가 많다.

그리고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교육에 관심이 많다 보니 입시 관련 이슈가 발생하면 민감하게 반응하며 수성구 전체가 들썩일 정도다. 실제로 2019년 정부의 정시확대 계획 발표로, 서로 피터지게 싸우느라 내신 등급이 잘 안 나오는 대신에 전국적으로 성적이 나오는 모의고사 및 수능 실적이 압도적으로 좋은 수성구 고등학교들의 상황이 유리하게 되자 수성구 내의 주택 수요가 상승하면서 집값이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었다.

이러한 교육열 탓에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인근 타 시구에서 위장 전입 해오는 학생들이 종종 있는데, 실제로 2015년에는 수성구 쪽 중학교고등학교로 가기 위해 몇몇 부모들이 병원 진단서 등으로 '교육환경전환 전학 제도'를 이용해 전학을 시도했다는 게 드러나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 때문에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경찰청 등에서 위장전입을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있다. 또, 학부모의 과도한 교육열 때문에 학생들이 많이 고생한다. 학부모들의 교육열을 반영한 학원들이 학생들이 놀지 못하게 잔인한 분량의 과제를 주거나 시험을 치게 하는 경우도 많고, 통과 못 할 경우 체벌과 불호령으로 꾸중한 뒤 완료할 때까지 남겨놓고 퇴근하기 전까지 재시험으로 학생들을 통제했다. 예를 들자면 초ㆍ중ㆍ고 매주 영어단어 300개 외우기, 매 수업마다 수학문제 30~50문제 풀기, 늦으면 1년에서 빠르면 4년 정도 선행하기 등 어린 학생이 소화하기는 힘든 과정을 제시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보통 범어동, 만촌3동 등지[31]에서 과외를 알아보면 고액을 부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SATAP유학 및 외국 입시 학원도 적게나마 있으며, 대구 내 유일한 IELTS 학원 및 시험장이 범어동에 있다. 그 외에도 수성구 지역 내신은 타 지역보다 더 어렵고 입시학원들도 이런 내신 문제에 포커스를 두고 있다. 달구벌대로를 따라 늘어선 입시학원에는 어마무시한 수업료와 함께 학생에게 무리한 선행과 요구를 하는 경우가 많다. 학원 테스트를 보면 돈을 마구 쏟아붇지 않는 이상 보통 학교 교육을 받아온 아이들은 도저히 풀어낼 수 없는 문제를 내놓고는 학생을 비난하는 학원과 학부모들이 많은 실정. 많은 학생들이 아무 말 없이 그런 걸 받아들이는 것이 신기할 정도. 저녁 7~10시 정도에는 수성구청 옆부터 만촌역 앞까지 픽업하러 나온 차들이 죽 늘어선 것을 볼 수 있다. 근데 정작 살아본 사람들 말에 의하면 다른 곳도 교육열 높긴 마찬가지고 요샌 인터넷 강의도 활발해 결국 학생하기 나름이라 과도한 환상을 갖고 오면 오히려 별 거 없어서 허무하다고 한다.

수성구 내 고등학교에서 내신이 4~5등급인데 모의고사가 1~2등급인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그래서 보통 수성구의 고등학교는 수시 대신 정시를 중심으로 잡는 경우가 많은데, 정시를 마음먹은 학생 중에서는 이조차도 학교 내신이나 비교과 활동을 필요없다고 여기고 자퇴한 후 인근 재수학원이나 서울의 재수학원으로 가는 학생의 비율이 상당하다. 그래서 이들의 자퇴 케이스는 대구 내 타 지역의 자퇴 케이스보다 최근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초구의 케이스와 더 비슷하다. 또한 수성구에서 내신이 안 된다 싶은 학생은 아예 중구, 동구 등 인근 지역에 있는 고등학교로 빠져버려서 상위권을 휩쓰는 경우도 만들어내기도 하고, 반대로 전국에서 내로라할 정도로 교육수준이 좋은 지역이 아닌 타 지역에서 전교 1등을 하던 학생도 수성구로 전학오면 내신이 중간도 안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사립 중ㆍ고등학교, 단성학교가 많고 남녀 공학의 비율이 적은 것도 이 곳의 특징이다. 일단 학부모ㆍ학생들이 학업에 열중할 수 있고 교칙이 엄격한 사립 단성학교를 주로 선호하고, 사립학교 특성상 교사가 같은 재단 내에서만 인사 발령을 하는데다 학교 수준이 비슷하다는 점으로 인해 사립학교를 선호한다. 허나 경북고대구여고도 과거에는 남교사들이 많아서 교칙이 사립처럼 엄했고 두발단속과 체벌도 심했다.

한편, 이곳에는 높은 교육열 때문인지 청소년 인구가 매우 많다. 이런 교육환경 밀집 현상 때문에 다른 구 주민들은 위화감을 토로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서구 지역과의 차이가 커 문제가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영재학교대구과학고등학교도 수성구에 위치한다. 영재학교답게 거의 전교생을 명문대로 보내지만, 시스템상으로 아예 다른 세계에다 수성구에 살아야만 갈 수 있는 곳은 아니다 보니 수성구의 교육환경에서 거론되는 일은 적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의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문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파일:대구공업대학교 UI.svg 대구공업대학교 ·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수성대학교 UI.svg 수성대학교
파일:영남이공대학교 UI.svg 영남이공대학교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Ⅵ대학(대구, 달성, 영남융합기술)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그러나 이러한 교육열과는 달리 4년제 대학은 없다. 전문대학인 수성대학교가 있다. 고등교육으로는 오히려 북구, 경산시에게 밀리는 어딘가 이상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9.2. 주거환경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는 지산범물지구중산층 ~ 상류층 가구들이 몰려 지내고 있었다. 황금동은 연식이 오래된 5층 황금주공이 캐슬골드파크의 터를 차지하고 있었고, 현재 황금태왕아너스 자리는 덕원중학교덕원고등학교가 있었다. 지산범물지구는 산과 산 사이 골짜기에 계획적으로 개발된 신도시 지역이라 1990년대 당시 동네 안에 백화점[32]영화관[33], 그리고 버스 종점의 혜택을 누릴 수 있어, 생활면에서 선호도가 높았다. 그에 걸맞게 학원들 또한 지산범물에 몰려 학원가를 형성하고 있었기에, 현재의 범어동과 황금동의 입지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지산동에 당시 남녀공학에다 공립인 수성고가 새로 생기면서 단성이면서 역사가 유구한 고등학교나 사립고등학교를 보내기 위해 황금과 범어, 만촌으로 이사가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부의 이동에 따라 상권과 학원가도 범어동으로 옮겨갔다. 게다가 아래 문단과 같이 황금동, 수성동이 2000년대에 급속도로 재개발되어 이사오는 인구를 받아줄 수 있는 여건이 되다 보니, 지산동범물동2010년대 들어서 서민 ~ 중산층의 주거지가 되었다.

수성3가는 2000년대 후반 악성미분양으로 인해 '귀신동네'라고 시사프로그램에도 나오곤 했다. 미분양이 심하다보니 아주 저렴한 가격에 회사분 전세를 많이 내줬는데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수성3가와 범어3동이 그 피해를 가장 많이 본 단지들이다. 수성구에서 비교적 저렴한 집에 살다가 그 집을 팔고 오는 경우도 많았지만, 분양가 4억이 넘는 집을 2억 수준에 전세로 살았으니 수성구에 거주하려던 사람에게는 좋은 기회였으나, 이후 지산범물 집값도 폭등하면서 다시 원점화 되었다. 범어성당 옆의 범어STX칸, 범어 쌍용예가 아파트는 행정상으로는 범어1동이지만 '수성3가'로 묶여서 불리기도 한다. 비슷한 시기(2008년~2009년)에 입주했고 같은 생활권이기 때문이다. 일대가 평평하고 반듯한 입지에 아파트가 오밀조밀 들어있어서 쾌적한 느낌이 든다. 건너편의 범어3동은 지대도 들쭉날쭉이고 길이 많이 휘어있고 그래서 수성3가에 비해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최근에는 사회적으로 많아봐야 4인 가족이고, 핵가족화 되는 경향이 심하다보니 부유층이라고 해도 30평 대를 선호하는 사람이 꽤나 늘어나면서 중소형 평형대 위주라도 부촌으로 통하는 단지가 생겨났다. 재건축을 통해 탄생한 단지는 범어 SK뷰, 범어풀비체가 있다. 둘 다 30평 대 부촌의 선두주자이고, 앞으로는 이런 단지가 많이 생길 것이다. 입주를 앞둔 '더하우스범어'가 그렇고 곧 분양을 하는 힐스테이트 범어가 그렇다. 범어네거리 수성 범어 W 또한 앞으로 대구의 랜드마크가 될 곳인데 35평과 41평으로 구성되어있다고 한다.

대구에서 주공아파트가 가장 적은 자치구[34]이기도 하다. 실제로 황금주공 3단지, 달랑 6동이 끝이다. 다만 캐슬골드파크로 재건축 되기 이전에는 황금주공 1~4단지가 대단지로 들어서 있었다.

9.3. 문화시설

공공도서관 도서관명 주소
대구광역시립수성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로 151(만촌1동)
수성구립 고산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650길 6 (신매동)
수성구립 사월역 작은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사월동 406-2 (사월역 지하1층)
수성구립 범어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45 (범어동, 수성구청 건너)
수성구립 용학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범로41길 36 (범물동)
수성구립 물망이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명덕로 443-2 (수성동3가, 수성2,3가 주민센터 4층)
수성구립 책숲길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 213 (중동, 수성구보건소 옆 수옥빌딩 4층)
수성구립 파동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로 3길 62 (파동, 파동문화센터 1층)
수성구립 무학숲도서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수로40길 73-10 (지산동)
문화 시설 시설명 주소
수성아트피아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180 (지산동)
국립대구박물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황금동)
대구어린이세상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176 (황금동)
대구창의융합교육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172 (황금동)
수성구민운동장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50길 121-7 (범어동)[35]
대구스타디움 대구광역시 수성구 유니버시아드로 180 (대흥동)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대구광역시 수성구 야구전설로 1 (연호동)
대구미술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미술관로 40 (삼덕동)
대구간송미술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삼덕동 미술관로 (개장 예정)
수성못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78 (두산동, 수성유원지)
만촌자전거경기장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1 (만촌동)
영남제일관[36]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 (만촌동)
수성패밀리파크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88-46 (고모동)
그 외 기관명 주소
iM뱅크 본점영업부[37][38]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310 (수성동2가)
금융감독원 대구지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424 (범어동, 삼성증권빌딩 7층)
대구광역시 교통연수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무학로 203 (지산동)

남구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수성구, 동구 역시 대구 내에선 군부대가 제법 많이 산재되어 있는 지역이다.

수성구는 스포츠, 순수 예술, 공연, 전통문화 등 문화예술 분야의 시설과 콘텐츠가 골고루 발달한 곳이기도 하다. 위 표에 있는 시립 대구미술관, 수성아트피아, 대구스타디움, 삼성라이온즈 파크, 구립도서관 등 대표적인 문화 시설을 포함하여 정호승 문학관, 들안예술마을, 생각을 담는 길 등 다양한 도시문화예술 시설이 많다. 더 나아가 수성빛예술제 등 여러 문화예술 프로젝트를 진행중이기도 하며, 2024년에는 문화특구 시범사업에 선정될 정도로 구정 차원의 문화예술사업에 관심이 많다. #

9.4. 치안

대구에서 치안이 가장 좋은 지역이다. 행정안전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지역안전도 지수가 높고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받았으며, 범죄 분야에서 가장 안전한 1등급을 4년 내내 받고 있다.#

2021년 실시한 생활안전, 경제활동, 건강보건, 주거환경 4개 환경을 바탕으로 공동조사 후 주민들의 안전체감도를 반영하여 산출하는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58.61점으로 전국 22위이자 대구 내 1위를 차지했다. 여담으로 같은 관내인 서구는 33.37점으로 전국 최하위인 155위이자 대구 관내 최하위를 차지했다.

9.5. 의료기관

종합병원은 시지천주성삼병원(264병상) 하나밖에 없다. 대신 일반 병원급 13개, 의원급 371개로 기초의료 기반은 탄탄한 편이며 종합병원이 3개 있는 경산시와 상급종합병원이 있는 중구, 남구가 붙어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안 된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성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성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자매도시

13. 대중문화 속 수성구

14. 출신 인물

15.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2030년 대구도시기본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tructure.png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8837><colcolor=#fff>
중심지
<colbgcolor=#008837><colcolor=#fff>
1도심
도심
4부도심
5성장유도거점
수성
불로·검단
도시발전축
1주발전축
경부선축(서대구~도심~동대구~안심)
5부발전축
서대구~칠곡, 서대구~성서, 서대구~달서·화원~현풍, 동대구~불로·검단, 동대구~수성
자연보전축
외곽녹지축
팔공산, 병풍산, 주암산, 청룡산, 비슬산, 대니산, 명봉산 등
수변축
낙동강, 금호강, 신천, 동화천, 팔거천
가로녹지축
달구벌대로, 동대구로, 와룡로 }}}}}}}}}



[1] 26법정동, 23행정동.[2]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3] 2024년 11월 기준.[4] 수성구 가선거구 (범어1동, 범어4동, 황금1동, 황금2동): 박영숙, 전영태
수성구 나선거구 (범어2동, 범어3동, 만촌1동): 남정호
수성구 다선거구 (만촌2동, 만촌3동): 김중군, 최진태
수성구 라선거구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황치모
수성구 마선거구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두산동): 김경민, 김소은, 조규화, 홍경임
수성구 바선거구 (파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김재현, 박새롬, 박충배
비례대표: 백지은, 최현숙
[5] 수성구 가선거구 (범어1동, 범어4동, 황금1동, 황금2동): 정대현
수성구 라선거구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전학익, 황혜진
수성구 마선거구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두산동): 차현민
수성구 바선거구 (파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정경은
비례대표: 최명숙
[6] 수성구 나선거구 (범어2동, 범어3동, 만촌1동): 김희섭[7] 수성구 제1선거구 (범어1동, 범어4동, 황금1동, 황금2동): 정일균 (초선)
수성구 제2선거구 (범어2동, 범어3동,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조경구 (초선)
수성구 제3선거구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이성오 (초선)
수성구 제4선거구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두산동): 전경원 (재선)
수성구 제5선거구 (파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김태우 (초선)
[8] 2024년 이후 수성구 연호지구로 이전할 예정.[9] 추후 경산시 중산동 펜타힐즈로의 이전 계획이 마련된 상태.[10] 범어동의 한 아파트는 전용 84제곱미터 2021년 3월 실거래가 17억 -> 2023년 5월 9억 3000만으로 2년 2개월만에 약 45% 하락세를 보였다.[11] 실제로 수성구에서는 '독일 3사' 등의 유명 외제차 메이커는 물론 포르쉐, 벤틀리, 롤스로이스 등의 고급 브랜드 차들도 꽤 돌아다닌다. 하지만 람보르기니, 맥라렌, 애스턴 마틴 등 초고가의 스포츠카들은 거의 없다. 서울을 제외하면 매장과 서비스센터가 없기 때문이다. 수성못에서 보이는 람보르기니도 거의 다 타지 차량이다.[12] 수입차가 점차 많아지던 시기는 2006년도이므로, 부동산으로 성공한 중산층들이 점차 많아졌고, 원래부터 기존 부자들도 보수적인 지역의 특성 상 높으신 분들이 외산차를 선호해야 된다는 이미지 한계상 국산 대형 세단, 국산 준대형 세단들만 선호했었다가 2006년도 이후에는 점차 외산차의 선호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보수적인 이미지가 높은 지역의 특정상 연배가 높은 사람들이나 국산차를 사용하는 고위 공무원들은 기존 현대 다이너스티, 현대 에쿠스에서 제네시스로 국산 대형세단들만 고집하는 사람들이 꽤나 많다. 대부분 2006년도 이후 신흥 중산층들이 기존 국산 준대형 세단에서 수입차로 많이 갈아탔다.[13] 수성구와 인구 수가 비슷하지만, 수성구에 비해서 인프라가 부족하다. 대표적 예시로는 도시철도가 있다.[14] 군부대로 개발의 어려움을 아직까지도 겪는 지역의 바로 남구다.[15] 육군 2군사령부, 육군 5군지사, 공군 공군방공포병학교, 공군 제1여단[16] 2000년대 이전에는 더 많았다. 만촌1동의무사, 국간사, 기무사가 위치하여 대규모의 군부대를 이뤘지만 현재는 모두 이전하고 그 자리에는 메트로팔레스 등 주거단지가 들어서 있다.[17] 수성구 사월동에서 경산시 대동 영남대역까지도 운행 중이다.[18] 서구도 역사 주소만 따지면 2호선과 3호선이 지나가지만 모두 경계부분에 있어서 중심부를 통과하진 않는다. 남구도 3호선 명덕역 ~ 건들바위역 구간이 주소상 남구지만 중구와의 경계에 걸쳐 있고, 북구도 1호선 대구역, 칠성시장역이 있어서 두 개 노선이 지나가지만 대구역은 중구와의 경계 부분에, 칠성시장역은 동구와의 경계 부근에 있다.[19] 2020년 12월 29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국비를 일부 지원받게 됐다.[20]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지역 최대 일간지인 매일신문에서 비판하는 기사도 나왔다.#[21] 1980년대까지는 남구가 대구의 부촌이었다. 다만 90년대 중반까지 봉덕동의 아파트단지는 수성구와 학군을 공유해 나름 부촌으로 군림했다.[22] 前 대구시장인 권영진도 수성구 수성1가동에 관사가 있었다. 또한 과거 범어동, 수성동 등에 있는 궁전맨션, 신세계타운 등이 역대 대구시장 관사로 사용된 적이 있다. 참고로 현재 홍준표 시장의 관사는 남구 봉덕동에 있다.[23] 이는 당초 상업시설이나 오피스 등을 유치하기 위해 지정해 놓은 상업지구에 주상복합아파트가 대거 들어오며 도시 계획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범어롯데캐슬 부지도 원래 롯데백화점 예정지였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7] 이쪽은 시중은행들의 대구지점과 중국은행 대구지점, 보험사, 금융결제원 등이 있다.[28] 이와 관련된 서술은 시지 문서 교육 문단에 설명되어 있다.[29] 경북대, 부산대, 대구교대 상위권 학과일 경우 중경외시 하위권과 같고 전반적으로 건동홍과 입결이 거의 비슷하다보니 인서울 대신 전자에 있는 대학에서 교내장학금을 받는 것을 선호한다.[30] 참고로 이때 수성구에서 중간 정도 가는 고등학교에서 현역 및 N수생, 중복합격을 포함해서 서울대 7명, 연세대, 고려대, KAIST 26명, 의학계열 53명, 서강대 + 성균관대 + 한양대 + 중앙대 + 경희대 + 한국외대 + 서울시립대 70명이 합격했다.[31] 범어네거리 - 대륜고등학교 연선 지역[32] 동아백화점 수성점. 지금이야 동네 아울렛 수준이지만, 당시에는 대구백화점 프라자점과 함께 대구의 양대 고급 백화점이었다.[33] 동아백화점 수성점 개점 당시엔 없었으나, 2004년 리모델링 후 프리머스시네마, 현 CGV 대구수성점이 들어섰다.[34] 서구의 경우 재건축을 거치며 주공아파트가 아예 사라져 예외.[35] 정문기준으로 대구동산초등학교 방면으로 가다보면 산기슭에 수성국민체육센터도 존재한다.[36] 과거 대구읍성 존재 당시 대구읍성 남문을 영남제일관(문)이라고 칭했다. 이후 1906년 경부선 설치를 이유로 대구읍성이 헐리면서 같이 철거되었고 이후 1980년 이 곳에 중건했다. 실제 소재지는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92(이디야커피 대구종로점) 길거리에 동판으로 표시되어 있다.)[37] 이곳에 있는 iM뱅크(舊.대구은행) 본점 덕에 이 앞을 지나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중 하나인 대구은행역의 역명 유래가 되었다. 참고로 전국 최초로 상업 은행명을 역명으로 지정한 역이다.[38] 북구 칠성동에 제2영업본점이 2016년 10월에 개소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