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가 있는 화장 시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광역시 단위 | |||||||||||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
서울추모공원 | 부산영락공원 | 대구명복공원 | 인천가족공원 |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
광주영락공원 | 대전시정수원 | 울산하늘공원 | ||||||||||
경기도 | ||||||||||||
수원시 | 고양시 | 용인시 | 성남시 | |||||||||
수원시연화장 | 서울시립승화원 | 용인평온의숲 | 성남시장례문화사업소 | |||||||||
화성시 | ||||||||||||
화성함백산추모공원 | ||||||||||||
경상북도 김천시 | ||||||||||||
김천시공설화장장 |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 ||||||||||||
군산승화원 | ||||||||||||
卍 전국 사찰 | ||||||||||||
다비장 | ||||||||||||
* 초록색으로 굵은 글씨는 대한민국 역대 전직 대통령의 화장 의식을 거행한 화장시설이다. | }}}}}}}}} |
대구명복공원 | |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41길 47(고모동 산113-3)에 있는 화장장.1966년에 개장했다.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총 11개의 화장로가 가동 중이다.
2. 상세
화장장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명복공원으로 명명하였다. 말 그대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할 때 그 명복 맞다.대전광역시 등지처럼 공동묘지(납골당 포함)와 화장터가 분리된 형태다.[1]
대구광역시의 공동묘지는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낙산리에 있다.
특이점이라면 대구에서 가장 잘 사는 동네라고 평가받는 수성구에 화장터가 있다는 점이다.[2] 다만 대구 한복판이 아닌 산 속 깊이 으슥한 곳에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대구 시민들은 화장터가 어디에 있는지 잘 모르는 상태다. 만촌2동 대일버스 차고지 뒤편에서 접근이 가능한데, 가는 중간에는 대구구치소가 있다. 소재지가 시지권 동네인 고모동이지만, 사실상 고모동과 만촌동의 경계다.
1966년에 개장한 곳인지라 시설이 오래 되었으며, 건물 바깥에도 노후화 관련 사항을 언급하고 있다. 화장로 숫자도 광역시치고 부족해서 불편함을 겪는 시민들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화장터를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대구광역시청에서도 대구명복공원의 현대화 사업을 언급하고 있다.
3. 이곳에서 화장의식을 거행한 주요 인물
- 김태완 - 대구 어린이 황산 테러 사건 피해자[3]
- 개구리 소년 살인 사건 피해자 우철원, 조호연, 김영규, 박찬인, 김종식[4]
- 상인동 가스 폭발사고 사망자 상당수
- 대구 지하철 참사 사망자 상당수[5]
- 대구 변호사 사무실 방화 사건 사망자 6명[6]
- 엄영인 - 배우 유아인 부친[7]
4. 대중교통
4.1. 버스
대륜중고등학교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대구 버스 309
- 대구 버스 349
- 대구 버스 449
- 대구, 경산 버스 509
- 대구 버스 609
- 대구 버스 649
- 대구 버스 724
- 대구, 경산 버스 840
- 대구 버스 849, 849-1
- 대구 버스 909
- 대구 버스 937
- 대구, 경산 버스 939
-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
- 경산 버스 100
- 경산 버스 100-1
- 경산 버스 399
- 경산 버스 990
- 경산 버스 991
아니면 대구 버스 234, 대구 버스 425를 타고 우방금탑아파트/만촌3차화성파크드림 정류장에서 하차해도 된다.
4.2. 도시철도
[1] 보통은 공동묘지와 화장터가 관내에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공동묘지의 부지가 부족해서 다른 장소에 화장터를 새로 만든 듯.[2] 서울로 치자면 서울추모공원을 생각하면 되겠다.[3] 화장한 고인의 유해는 자택에 계속 안치되었다가 공소시효가 종료된 시기에 어느 뒷산에 뿌려졌다.[4] 피해자들의 두개골만은 유족들의 뜻에 따라 경북대학교에 기증 및 보관되어 있다.[5] 사망자 대부분이 대구시민으로 대구시민이 아니거나 일부 사망자는 화장없이 매장되거나 화장로 부족으로 다른 곳에 화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 단, 사망한 범인은 고향인 영덕에서 장례를 치루게 되어 제외한다. 정황상 영덕과 가까운 포항시립화장장에 화장된 것으로 추정된다.[7] 유아인의 마약 상습 투여혐의로 1심 재판 선고를 앞두고 지병으로 별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