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 323(-1) | |
| 349 | 356 | 401[A] | | 403 | |
405 | 410(-1) | 413 | 425 | 449 | | |
503 | 509 | 518 | 518-1 | | ||
523 | 524 | 527 | 564 | 600[A]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 706 | | 708 | 719 | |
724 | | 726 | 730 | 750 | | |
805 | 808 | 814 | 836 | 840 | | |
849(-1) |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경상버스 차량 | 우창여객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49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대곡공원) | 종점 |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금구리(금구동종점)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 05:33 / [공휴일] 05:30 |
막차 | [평일, 토요일] 22:21 / [공휴일] 22:20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2분 | 주말배차 | 15분 | ||
운수사명 | 경상버스, 우창여객 | 인가대수 | 22대[1][2] | ||
노선 | 대곡공원 - 대곡2지구 - 대곡고교 - 월곡네거리 - 상인역[3] - 서부정류장 - 현충로역 - 반월당역 - 수성구청 - 수성알파시티역 - 사월역 - 영남대 - 금구리[4] |
중간 출발 정류소 | |
금구리 방면 | 반월당역평일, 토요일, 대구고등학교, 서부정류장, 상인동화아이위시아파트 |
대곡지구 방면 | 반월당역, 수성구청, 만촌역평일, 토요일, 대륜중고등학교평일, 토요일, 사월역 |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 대곡공원(6)에서 수성구 범어동 수성구청(4)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금구리(9)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2.9km.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96년 개편 때 신설된 11분 배차간격 좌석버스 301번이었다. 이때는 송현주공아파트(현.상인 화성파크드림)~서부정류장~영대병원~한일극장~대구고속버스터미널~만촌네거리~정평동~영남대학교~금구리 구간을 운행했다.[5]
- 1998년 5월 5일 개편 때 301번은 649번으로 번호를 변경했고 기점을 대곡지구까지 연장해 대곡지구~서부정류장~영대병원역~봉덕시장~중동교~정화여고(현 정화우방팔레스)~두산오거리~대구광역시경찰청~범물네거리~국립대구박물관~만촌네거리~정평동~영남대학교~금구리 구간을 운행했다. 영대병원역에서 범물동까지 구간은 2015년 폐지된 604번과 비슷했다.
- 2006년 10월 통합요금제 실시 때 일반버스로 형간전환했다.
- 2009년 4월 29일 대명교통에서 726번 증차를 위해 1대가 빠졌고 세운버스에서 653번 감차분 1대를 투입했다.
- 2012년 6월 개편 때 대명교통에서 726번 증차를 위해 2대가 빠졌고 세운버스에서 달성1번 감차분 2대를 투입했다.
- 2012년 10월 개편 때 726번 증차를 위해 대명교통 차량 2대를 감차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부터 대명교통과 세운버스가 빠지고 경상버스가 참여한다. 경상버스와 세운버스는 649번과 618번을 맞교환했다.
- 2019년 3월 11일부터 대곡공원에서 출발하여 306번과 동일한 경로로 대곡2지구를 경유하여 도원네거리로 나간다. 306번의 긴 배차간격과 굴곡, 상인역 연계 노선 전무로 인한 대곡2지구 주민들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노선을 변경했다.
- 2021년 4월 부적길 진입로 및 도로 확보 공사로 금구동 회차지가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 이에 인근 용암온천 진입로에서 임시로 회차대기했다.
- 2021년 4월 21일부터 중산삼거리(경산 방면) 정류소에도 정차한다.
- 2022년 3월 31일부터 경상버스 차량 2대가 323번으로 이동했고 우창여객에서 618번 감차분 2대를 투입했다.
- 2022년 10월 26일부터 금구리 방향은 상인역(5번출구) 정류장에도 정차한다. 이로써 상인역 환승이 편리해졌다. 상인네거리에서 우회전하는 649번, 726번만 상인역(5번출구)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대곡공원~서부정류장 구간
대곡지구~서부정류장 구간 수요[7]가 엄청나게 많으며 649번의 주력 수요이다. 649번은 도시철도와 중복되는 노선임에도 2019년 기준 연간 10,000명대의 승차량을 기록하고 있는데, 대곡공원~서부정류장 구간에서 나오는 고수요 덕분이다. 원래 이 구간의 수요가 많았는데, 706번이 상인장미아파트(달비골) 경유로 변경되면서 상인역 환승 수요가 649번으로 대거 넘어왔다. 어느 정도냐면 상인현대맨션건너(대곡공원 방면) 정류소 이용객 수가 월마다 꾸준히 15,000명이 넘는데 대구 관내에서 이만큼의 정류소 이용객 수를 기록하는 경우는 정말 드물다. 대곡지구를 벗어난 후 큰 길을 따라 상인역과 서부정류장을 직선으로 연결하며,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대곡2지구 개발이 진행되면서 대곡2지구 수요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덕분에 대곡지구 안에서 만원이 되어 나갈 때도 있으며 대곡으로 들어오는 차도 승객이 2지구까지 안 빠지는 상황이 일어나기도 한다.
- 서부정류장~만촌네거리 구간
도시철도와 중복되는 구간이지만 구간 수요가 많다. 달서구, 남구 지역에서 반월당역~범어네거리 구간을 오가는 수요가 대부분이다. 특히 명덕역에서 대구은행역이나 범어네거리를 오가는 수요는 평소에도 꽤 나오며, 명덕네거리의 경북여고, 경북예고 통학 수요도 있다. 805번이 성당시장으로 변경되면서 805번 수요가 649번으로 넘어왔다. 도시철도와 수요를 나눠먹고 있지만 어느 정도의 구간 수요가 있다. 아마도 배차간격이 짧고 토요일 감차가 없다는 장점이 있어서 그런 듯 하다.[8] 다만 범어역을 지나면 중복노선들이 많아지면서 649번에 올라타는 승객이 줄어든다. 이는 만촌네거리 이후 중복노선들(경산시 시내버스 포함) 대부분이 공통되는 상황이다.[9]
- 만촌네거리~금구리 구간
중복노선들이 너무 많은 이유로 이 구간의 수요는 적다. 달서구, 남구 주민들도 대구은행역, 범어네거리에서 많이 내리고 2호선과 수많은 시지지구, 경산시 유출입 노선들과 중복되니, 수요가 줄어들 수 밖에 없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사월역까지 다니던 때는 사월역~정평동, 영남대학교 수요가 많았지만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 연장 직후에 거의 도시철도로 넘어가면서 수요가 줄었다. 해당 구간의 중단거리 수요는 449번과 나눠먹고 있지만, 배차간격이 짧은 649번이 좀 더 많다.
- 금구리 종료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금구리에서 장기 정차를 하지 않으며 장기 정차지는 대곡동공영차고지다. 충전도 대곡CNG충전소에서 한다.
- 운행하는 회사 모두 경산시에 차고지를 두고 있기 때문에 공차거리가 상당하다. 개편 전에는 세운버스와 대명교통이 참여하였지만 이들이 철수하게 되면서 개편 전에 없었던 공차거리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특히 649번은 306번과 더불어 기점 출발-기점 종료, 종점 출발-종점 종료 순번이 대부분이라 6권역 업체가 필히 참여해야 한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 앞뒤 스티커 행선판은 대곡지구 ← 반월당 → 금구리,[10] 대곡지구 - 반월당 - 신매네거리 - 금구리였다.
-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649번 버스노선이다.
4.1. 도시철도 중복으로 인한 조정 논의
- 대구버스가 공식적으로 밝힌 도시철도 중복률은 81.38%이다.
- 2009년 1월 개편으로 달구벌대로에서 명덕로(명덕네거리, 대백프라자)로 노선을 변경한 509번 이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 도시철도와 중복되는 구간이 많다는 점이 이 노선의 특징으로 도합 25개 역이랑 만난다.
- 대구광역시 제2차 대중교통 기본계획에 따르면 도시철도 2호선 연장개통 후 449번과 649번 2개 노선을 폐선하려 했다. 정확히는 449번 대일리-만촌네거리 구간, 649번 만촌네거리-대곡지구 구간을 통합하여 대일리-대곡지구 간 노선을 신설할 계획이었지만 무산되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폐지될 예정이었으나[11] 경산버스와 협의가 되지 않았는지 살아남았다. 2015년 개편 때 도시철도 중복이라는 이유로 폐지된 노선은 경산 유출입 노선이 아닌 305번, 402번, 427번,[12] 704번이며 704번은 중복도가 그리 높지 않음에도[13] 날아가 버리고 정작 급행3번이 살아남았다.
- 교통 커뮤니티 동호인들 사이에서도 9권역의 과다한 버스 노선 중복과 맞물려 대곡지구 ~ 상인역 구간을 제외하고는 자주 폐선 대상으로 거론되는 노선 중 하나였다. 만촌네거리 동편 구간의 경우 다른 중복 노선들을 조정하지 않는 이상 정리하자는 주장이 많았다. 만촌네거리 서편 구간의 경우 준수한 수요가 있어서 동호인들 사이에서 의견이 다양했다. 폐선을 하고 대체노선을 마련하든지, 일부 구간을 조정하든지, 해당 구간을 존치하든지 의견이 꽤 다양하게 제기되었다.
- 그러나 2024년 10월 25일 주민설명회용 개편안을 통해 449번, 909번이 폐지되고 840번이 대폭 조정된다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대부분의 교통 커뮤니티 동호인들은 649번을 조정 없이 존치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중복 노선들이 대거 정리되어 개편 후에 649번 수요가 대폭 증가할 상황에서 649번의 조정이나 폐지를 함부로 이야기하면 안 된다는 의견이 많다.[14] 2006년과 2015년 두 차례의 개편으로 1호선 백업 노선 역할로 중요해져 1호선 중복 구간이 조정될 가능성이 사라졌는데, 이번 개편으로 2호선 백업 노선 역할로도 중요해져 2호선 중복 구간이 조정될 가능성도 연호지구 내부 경유 방안을 제외하면 없어졌다. 1, 2호선 문제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상시에 백업 노선을 두어야 하는데, 버스운영과는 여러 개 노선을 구간마다 나누어 둘 바에 아예 649번 하나를 1, 2호선 월배 구간과 시지 구간의 백업으로 두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것이다.[15] 앞 문단의 이야기는 거의 과거형이 되었으며, 649번에 대한 여론은 주민설명회용 개편안이 나오기 전과 180˚ 달라지고 있다.
4.2.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49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2,411명 | - |
2015년 | 11,272명 | ▽ 1,139 |
2016년 | 12,135명 | △ 863 |
2017년 | 11,650명 | ▽ 460 |
2018년 | 11,546명 | ▽ 104 |
2019년 | 10,616명 | ▽ 930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6,585명[16] | ▽ 4,031 |
2022년 | 8,332명 | △ 1,747 |
2023년 | 8,981명 | △ 649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8월 1일 개편 이후 706번의 대곡지구~상인역 수요와 805번의 서부정류장~경대병원역 수요를 흡수하여 일평균 승차량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대곡2지구로 노선을 변경한 이후 대곡2지구~상인역 신규 수요가 점점 증가하여 코로나 여파로 인해 감소한 승차량을 빠른 속도로 회복하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상인역[정류장], 월촌역, 송현역, 서부정류장역, 대명역, 안지랑역, 현충로역, 영대병원역[18], 교대역, 명덕역, 반월당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반월당역, 경대병원역, 대구은행역, 범어역, 수성구청역, 만촌역, 담티역, 연호역, 수성알파시티역, 고산역, 신매역, 사월역,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정류장2]
6. 둘러보기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노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68846> 8권역 (경산) | 급행5 | 518-1 | 708 | 814 | 818 |
818-1 | 808 | 55·555 | ||||
8권역 (영천) | 군위-신녕 | |||||
9권역 | 309 | 449 | 509 | 609 | 649 | |
719 | 840 | 909 | 939 | 980 | ||
849-1 | 100 | 100-1 | 399청 | 803 | ||
990청 | 991 | |||||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남색 : 경산시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 대구-타 지역 간 버스 |
파일:경산시-CI2025.svg 경산-타 지역 간 버스 · 영천-타 지역 간 버스 |
대구 월배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고령 | 606 |
대구 시지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간선 | |
지선 | ||
경산 |
영남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캠퍼스 | ||||
정문 | 309 | 449 | 509[동문] | 609 | |
649 | 719 | 840 | 909 | ||
980 | |||||
100[가지1] | 109 | 399[가지2] | 803 | ||
809 | 911 | 918 | 990[가지3] | ||
991 | 경산1-1 | 경산3 | 압량1 | ||
동문 | 309 | 509 | 609 | 719 | |
980 | 991 | ||||
후문 | 509[소라] | 100 | 109 | 990 | |
경산1-1 | 경산2-1 | 남산1 | 남산2[정평역] | ||
용성1[정평역] | |||||
시외버스 | 경산 ↔ 포항 | 경산 ↔ 울산 | |||
대구캠퍼스 | |||||
대구고등학교 | 349 | 405 | 410-1 | 503 | |
649 | |||||
영대병원역 | 564 | 남구1-1 | 순환3-1 | ||
영남이공대학교 | 300 | 306 | 518 | 651 | |
달서4-1 | |||||
[동문]: 영남대 동문 방면 [가지1]: 윤성A-삼주A 가지 노선 한정 [가지2]: 자인~마곡 가지 노선 한정 [가지3]: 가일~서문시장~자인 가지 노선 한정 [소라]: 소라아파트 방면 [정평역]: 정평역 지원 운행 한정 |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효성캠퍼스 | 급행5 | 518-1 | 708 | 808 |
814 | 840 | ||||
803 | 809 | 818 | 818-1 | ||
911 | 진량1 | 진량2 | 하양-와촌1 | ||
하양2 | 와촌2 | ||||
55 | 555 | ||||
동대구-포항(국도)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루가캠퍼스 | 급행6 | 순환3-1 | 503 | 609 | |
618 | 623 | 650 | 706 | ||
805 | 836 | 남구1-1 | 서구1-1 | ||
606 | |||||
유스티노캠퍼스 | 순환2-1 | 204 | 300 | 304 | |
306 | 349 | 405 | 410-1 | ||
503 | 509 | 518 | 609 | ||
649 | 650 | 651 | 706 | ||
805 | 808 | 836 | 남구1-1 | ||
동구2 | |||||
606 |
[1] 경상버스 14대 / 우창여객 8대[2] 공휴일 18대 운행[3] 대곡공원 방면 정류소 이름은 상인현대맨션[4] 차고지가 펀펀비치 부지로 이전하였다.[5] 비슷한 노선은 일반버스 1번이 있었다. 1번은 현재의 909번이다.[6] 대구경찰청 ~ 금구리 구간은 449번과 상당히 유사한데, 당시 649번은 좌석버스였으므로 일반버스인 449번보다 경쟁력이 떨어졌다. 다만 당시 449번은 경산 구간이 영남대행과 경산대(현 대구한의대)행으로 나뉘어 경산 구간에서는 20분에 한 대 다녔다.[7] 상인역 환승 수요, 상인네거리와 서부정류장 상권 수요 등이 있다.[8] 배차간격이 짧아질수록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은 늘어난다. 그러나 버스운영과는 이걸 모르고 지속적으로 노선의 인가대수를 감차하여 버스 이용객 수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감차 문제는 2021년부터 휴업차량 부활을 통해 해결되고 있지만 배차간격 증가 문제는 운행시간표 조정 등으로 인해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9] 반면 939번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939번은 달구벌대로에 진입해도 승객 수가 줄지 않는데, 2.28기념중앙공원뿐만 아니라 달구벌대로에서 옥산, 옥곡, 백천, 사동으로 가는 독점 수요가 꽤 많기 때문이다.[10] 또는 금구동[11] 개편 초안에 대곡지구~봉무동 구간을 운행하는 신설간선8이 계획되었는데 이게 649번 봉무동 변경 노선이라는 이야기가 있다.[12] 다만 칠곡 구간을 제외하고는 234번이 대부분의 구간을 계승했다.[13] 칠곡지구, 명덕역, 대백프라자를 경유하는 등 3호선과 어느 정도 중복 문제가 있어 폐지됐지만, 수성구 구간은 대부분 수성로를 경유해 가창면으로 갔기에 3호선과 큰 차이가 있고, 살아남은 급행3번보다 중복도가 낮았다.[14] 예시로 2015년 개편 당시 버스운영과는 고수요 노선인 305번을 2호선과 겹친다는 이유로 폐지하여 2호선으로 수요를 유도하려고 했지만, 2호선의 수요 증가는 거의 없었다. 결국 305번의 2호선 성서 지역 백업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504번이 신설되면서, 버스운영과는 305번 폐지가 실책이었음을 사실상 인정하였다. 버스운영과도 2015년 개편의 실책을 되풀이 하지 않으면서도 노선 편중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49번과 겹치는 다른 저수요 간선 노선들을 폐지하고 840번을 단축하여 2호선과 649번에 수요를 몰아주는 방식으로 개편을 시도하고 있다.[15] 3호선의 경우 아예 급행3번 하나를 3호선 전 구간의 백업으로 두었다.[16] 경산시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정류장] 상인역 5번출구 또는 상인현대맨션건너 정류장[18] 경산 금구리 방면은 대명5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정류장2] 정차 정류장은 1호선 명덕역 6/7번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