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 323(-1) | |
| 349 | 356 | 401[A] | | 403 | |
405 | 410(-1) | 413 | 425 | 449 | | |
503 | 509 | 518 | 518-1 | | ||
523 | 524 | 527 | 564 | 600[A]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 706 | | 708 | 719 | |
724 | | 726 | 730 | 750 | | |
805 | 808 | 814 | 836 | 840 | | |
849(-1) |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2025년 2월 24일 부터 600번(대곡-유가사) → 665번(대곡↔유가사 왕복통합) |
1. 개요
비슬산 관광수요에 대응하여 달성5번을 보조하기 위해600번의 가지노선으로 토, 일, 공휴일에만 운행된다. (대곡역 방향, 유가사 방향)2.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00번(대곡역-유가사) (2025년 2월 24일 665번(대곡역↔유가사 왕복통합)으로 변경)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유가사)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대곡역) | ||
종점행 | 첫차 | 08:40 | 기점행 | 첫차 | 06:45 |
막차 | 20:00 | 막차 | 21:30 | ||
평일배차 | 미운행 | 주말배차 | 50~160분 일 10회[1] | ||
운수사명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 인가대수 | 2대[2] | ||
노선 | 유가사 - 중뫼마을 - (→ 음리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비슬산휴양림주차장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용금공단 - 유가차천 -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성요셉요양병원 - 달성산단관리공단 - 김흥리(설티고개) - 반송리 - 용연사(U턴) - 반송리 - 기세리(송해공원) - 간경리 - 설화명곡역 - 대곡역 |
중간 출발 정류소 | |
유가사 방향 | 없음 |
대곡역 방향 |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중간 종료 정류소 | |
유가사 방향 |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대곡역 방향 | 없음 |
3. 역사
- 2006년 개편 이전에는 601번이 주말 및 공휴일 한정으로 망우당공원 ~ 유가사, 망우당공원 ~ 비슬산자연휴양림 노선을 하루 12회, 하루 10회 운행했다. 기존 본선 구간에서 비슬산 방향으로 일부 차량이 연장 운행하는 방식이었는데, 상당한 장거리였으며 2006년 개편 이후의 600번도 이 구간을 이어받아서 본선인 칠성고가도로하단~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을 마치고 일부 차량이 유가차천을 경유해 비슬산까지 연장 운행하는 방식으로 운행했다. 그 때는 테크노폴리스가 개발되지 않아서 지금과 같은 넓직한 도로가 없었고 유가차천을 통해서만 유가사로 갈 수 있는 왕복 2차로 포장도로가 있었다. 그러나 너무 장거리이고 항상 수요가 많은 구간이 아니라서, 비슬산 운행 구간만 사실상 독립된 지선으로 분리시켰다.
- 초기에는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유가차천 ~ 유가사 노선이었다. 600번 본선을 타고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까지 오면 600번 유가사 노선으로 무료 환승하는 방식이었는데, 이후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유천교까지 연장하여 대곡역~간경삼거리~기세리~용연사U턴~김흥리(설티고개)~샤니삼거리~성요셉요양병원[3]~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비슬산휴양림~유가사 구간을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하지만 별도의 노선번호 부여는 하지 않고 그냥 '600번'으로 운행하고 있다.
- 루프 구간을 폐지한 달성5번과 달리 진천네거리(P자 루프회차) 구간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2019년 4월 20일 부로 달성5번과 마찬가지로 진천네거리 회차 구간이 폐지되고 대곡역 종착으로 단축됐다. 대곡역까지 다니던 급행4번 및 현재의 달성5번같이 대천동공영차고지 못 가서 있는 유천초교 근처에서 차를 돌릴 것으로 보인다.
- 2022년 8월 13일부터 대곡역방향은 유가사 →︎ 음리 구간이 중뫼마을에서 양리 안쪽으로 들어갔다가 음리로 나오는 것으로 변경됐다. 휴양림을 거쳐 유가사로 가는 반대 방향은 변동이 없다. 다만 유곡1리 중간경유 지선만 차천네거리와 용금공단으로 가는 것으로 바뀐 달성5번과 달리, 600번 유가사 주말휴일노선은 여전히 차천네거리와 용금공단을 거쳐서 간다.
-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본 노선과 마찬가지로 665번으로 번호가 바뀌며, 기존에 대곡->유가사, 유가사->대곡 방향이 BIS에 따로 등록된 것에서 유가사<->대곡 왕복 노선으로 통합 등록되도록 바뀌었다.
4. 특징
- 주말에 휴차하는 600번의 고상차량들 중 2대를 차출해서 운행한다.
- 별도의 노선 번호를 쓰지 않고 '600번'이라는 번호를 쓰기 때문에 600번 본선과 겹치는 대곡역 ~ 간경리 구간과 현풍 구간(유가차천~현풍고속도로밑)에서 600번 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버스를 이용할 때 주의가 요구된다.
- 비슬산 맞춤노선의 경우 앞유리창에 '유가사 →︎ 대곡역행'이라고 적힌 보조 행선판이나 세로로 '대곡역, 용연사, 휴양림, 유가사'라고 적혀 있는 보조 행선판을 붙이고 다닌다. LED에도 '유가사 방면/대곡역 방면'이라고 뜨지만 언제부턴가 본선 600과 구분하기 위해 그냥 LED행선판을 끄고 다니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
- 실제로 600번 본선을 타야 하는 승객이 비슬산 맞춤노선을 잘못 타는 경우도 종종 보이며 때문에 비슬산 맞춤노선을 운행하시는 기사님은 가끔 등산복을 입지 않은 승객들이 탈 때마다 일일이 '비슬산/유가사 갑니다'[4]라고 말씀해 주시기도 한다. 휴일이었던 2016년 10월 30일에는 600번 유가사 지선 운행 차량 2대가 모두 전면 LED행선판을 끄고 다니는 것이 목격되었는데 단순 고장인지, 승객 혼란을 조금이라도 방지하기 위한 건지는 지켜봐야 할 듯. 윗 문단에서도 언급했듯이 승객 혼란 때문인지 LED행선판을 아예 끄고 다니는 경우가 훨씬 많아졌다.[5]
- 600번 비슬산 맞춤노선은 비슬산 참꽃 문화제기간이 아니면 승객이 별로 없으므로, 자신이 버스를 탔는데 승객이 심하게 없다 싶으면 다시 한번 앞유리창에 보조 행선판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자. 다만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달성군민체육관이나 달성소방서 쪽으로 간다면, 오히려 본선보다 빨리 갈 수 있으므로 주말.휴일 한정이지만 타는 것도 나쁘지 않다.
- 운행 형태로 인해, 휴양림에서 이 버스를 탈 경우 엄청난 시간 낭비를 감수해야 하다. 운행 형태는 20분 휴식 후 유가사 출발~유가차천으로 우회한 후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10분 정도 대기~용연사 U턴~대곡역~용연사 U턴~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10분 정도 대기~차천네거리로 우회~용금공단네거리~휴양림~유가사(20분 휴식)이다. 휴양림은 유가사로 갈 때만 편도 운행이기 때문에, 휴양림에서 이 버스를 탈 경우 유가사에 가서 20분 동안 움직이지 않는 버스에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6]. 게다가 2022년 8월 13일부터 본선 한정으로 용금공단 굴곡 구간을 폐지하고 테크노대로로 조정한 달성5번과 달리, 600번 주말.휴일노선은 테크노대로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굴곡이 심하다.
- 이렇게 해서 유가사를 출발한 버스는 테크노대로를 따라서 가면 현풍으로 바로 들어갈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600번 주말.휴일노선은 휴양림입구네거리에서 용금공단으로 직진해 차천네거리를 경유해서 현풍읍내로 들어간다. 그리고는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로 들어가는데, 달성5번같이 또 여기서 10분 정도 움직이지 않는 버스에서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면 논공중앙로와 김흥리(설티고개) 난코스를 거쳐서 다시 용연사에 들어갔다 나오는 굴곡 구간이 기다리고 있다. 용연사를 빠져나오면 이제는 별다른 굴곡 구간 없이 대곡역까지 간다. 이렇게 되면 휴양림에서 대곡역까지는 1시간 50분 정도 걸린다.[7] 2016년 8월 개편 이후로는 용금공단에서 내려서 급행8번으로 환승하는 승객들도 많은 편이다.
- 사실 이렇게까지 오래 걸리는 구간은 아닌데, 여기저기 굴곡 구간+유가사 종점과 현풍 구 터미널에서 움직이지 않는 버스에서 대기 시간 약 40분 조합 때문이다.
- 거기다가 유가사에서 타는 승객들은 유가사 출발 시간표를 확인한 후 출발 시간에 맞춰서 버스 타러 나오면 되지만, 휴양림에서는 스마트폰으로 버스 위치정보를 확인하거나 유가사 도착 시간 -40분 정도로 잡고 시간을 계산한 뒤에 정류장에 나와서 기다려야 하다. 이러한 운행 방식은 문제가 많다. 용연사 쪽 굴곡은 어쩔 수 없으나, 나머지 사항들은 개선이 필요하다. 이것은 달성5번도 마찬가지다.
- 참고로 이 노선도 '600번'이기 때문에 당연히 600번 본선과 무료환승이 불가능하다.[8] 그래서 비슬2번, 달성8번, 현풍1번과 같은 번호로 독립시키면 600번 본선과 다른 노선이 되기 때문에 환승이 가능해지는데, 이 점 때문에 노선 독립설이 힘을 얻는다. 아니면 팔공2번이나 팔공3번처럼 행선판을 바꿔 달고 달성5번처럼 귀남지, 설티고개를 거쳐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도록 달성5번에 추가로 지원운행하듯이 변경할 수도 있다.[9]
- 그 밖에 비슬산 참꽃문화제나 부처님오신날 기간 한정으로 유가사 노선에 차량이 일부 증편되는 경우가 있다. 기세리(옥연지)에 송해공원이 개장한 후에는 주말.휴일에 송해공원 수요가 조금은 생겼다.
- 달성5번도 휴일에는 일부 시간대에 유가사 방향으로 운행할 때 휴양림을 경유한다. 600번 유가사행은 김흥리(설티고개)와 논공중앙로를 통해 들어가는 건 달성5번과 같지만, 달성5번과 달리 명곡지구 안쪽 및 귀남지 대신 달성2번 용연사행처럼 간경리에서 좌회전하여 기세리(송해공원)를 통해 용연사로 들어가므로, 명곡지구 안쪽 혹은 귀남지 방향으로 갈 승객은 패스해야 한다. 그리고 테크노폴리스 구간에서 달성5번과 달리 유가읍사무소와 채비[10](옛 현대IHL 건너편)를 경유하지 않고 차천네거리에서 휴양림입구네거리까지 테크노순환로를 따라 계속 직진만 한 뒤 비슬산으로 들어간다. 달성5번이 유곡1리 중간경유 지선만 용금공단으로 다니는 것으로 조정됐음에도 불구하고, 600번 유가사 노선은 용금공단 구간을 유지하고 있다.
- 저상버스 시간표가 유가사행에도 뜨는데, 페이크다. 저상버스 시간표가 떠도 노면이 좋지 않은 유가사 근처와 상당한 급경사 구간인 김흥리(설티고개), 논공중앙로를 지나가기 때문에 차량소모가 심해 저상버스 투입을 안하고 있다. 뒤늦게 알아차린 모양인지 최근 들어서는 페이크 시간표가 잘 올라오지 않긴 하나, 그래도 가끔씩 올라온다. 저상 순번에 걸렸다면, 해당 저상을 강제로 휴차시킨 후 예비차 혹은 휴차 차량을 맞바꿔서 운행한다.
4.1. 비슬산 맞춤노선 운행 시간표
비슬산 맞춤노선 시간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600번 비슬산 맞춤노선 유가사 방면 시간표 펼치기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0" | 대곡역 | 용연사 |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유가사(종점) | ||||||||||
1 | 06:45 | 07:05 | 07:45 | 08:20 | ||||||||||
2 | 07:35 | 07:55 | 08:35 | 09:10 | ||||||||||
3 | 10:15 | 10:40 | 11:15 | 11:50 | ||||||||||
4 | 11:05 | 11:30 | 12:05 | 12:40 | ||||||||||
5 | 13:45 | 14:10 | 14:45 | 15:20 | ||||||||||
6 | 14:35 | 15:00 | 15:35 | 16:10 | ||||||||||
7 | 17:15 | 17:40 | 18:30 | 18:50 | ||||||||||
8 | 18:05 | 18:30 | 19:20 | 19:40 | ||||||||||
9 | 20:45 | 21:05 | 21:35 | 22:05 | ||||||||||
10 | 21:30 | 21:50 | 22:15 | - | ||||||||||
실제 운행시간은 현장 여건 및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600번 비슬산 맞춤노선 대곡역 방면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0" | 유가사(종점) |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용연사 | 대곡역 | ||||||||||
1 | - | 06:45 | 07:05 | 07:25 | ||||||||||
2 | 08:40 | 09:05 | 09:30 | 10:05 | ||||||||||
3 | 09:30 | 09:55 | 10:20 | 10:55 | ||||||||||
4 | 12:10 | 12:35 | 13:00 | 13:35 | ||||||||||
5 | 13:00 | 13:25 | 13:50 | 14:25 | ||||||||||
6 | 15:40 | 16:05 | 16:30 | 17:05 | ||||||||||
7 | 16:30 | 16:55 | 17:20 | 17:55 | ||||||||||
8 | 19:10 | 19:35 | 20:00 | 20:35 | ||||||||||
9 | 20:00 | 20:25 | 20:50 | 21:20 | ||||||||||
실제 운행시간은 현장 여건 및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설화명곡역, 화원역, 대곡역
6. 둘러보기
대구 월배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고령 | 606 |
[1] 첫차와 막차는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중간출발, 중간종료한다.[2] 600번 본선의 주말, 휴일 운휴 차량 중 고상차량만 차출하여 운행한다.[3] 구 논공가톨릭병원. 2013년 8월 12일 병원명을 변경했다.[4] 유가사는 달성2차산단과 영 반대 방향이며, 운행하는 구간도 다르기 때문이다.[5] 야간에는 가시성을 위해 켜고 다니는 경우가 더 많다.[6] 보통 운행 시간표상 도착시간보다 빨리 도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지라 실제 버스에서 대기하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7] 600번 본선의 단축 전 시절 기준으로는, 이월드정문(두류도서관)에서 내리 종점까지 1시간 55분 정도 걸렸다.[8] 2015년 8월에 노선이 개편되면서 시내 쪽에서는 600번 본선에서 이 노선으로 환승할 일은 없지만(다른 노선이나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된다) 구지면에서 비슬산으로 갈 경우 600번 본선에서 이 노선으로 환승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9] 하지만 귀남지 구간은 수요가 사실상 전무하며, 길도 좁고 험해서 그렇게 다니기 쉬운 구간이 아니다. 비 오는 날에 달성5번을 타 보면 알겠지만, 귀남지 주변이 산이라 굉장히 악천후가 된다. 더구나 안개가 끼거나 눈이 오는 날에는 시야확보가 힘들 정도다.[10] 대구를 거점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제조 회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