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323(-1) | 349 | 356 | |
401[A] | 403 | 405 | 410(-1) | 413 | 425 | |
449 | 503 | 509 | 518 | 518-1 | 523 | |
524 | 527 | 564 | 600[A] | 609 | 618 | |
623 | 649 | 650 | 651 | 653 | 655 | |
706 | 708 | 719 | 724 | 726 | 730 | |
750 | 805 | 808 | 814 | 836 | 840 | |
849(-1)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05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달서아트센터) |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반야월역)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1분(일 105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5분(일 81회) 토요일: 12분(일 100회) | ||
운수사명 | 경북교통 | 인가대수 | 21대[1] | ||
노선 | 달서아트센터 - (용산역(3번출구) →/← 대구전자공고남편)[A] - 달서시장[A] - 서부정류장역북편[A] - 성당시장 - 대명시장 - 반월당역 - 경북대병원 - 중구청 - 한국건강관리협회(대구지부)[A] - 동대구역 - 동구청 - 입석중교 - 방촌시장 - 용계역 - 반야월시장 - 반야월역 |
중간 출발 정류소 | |
반야월역 방면 | 반월당역, 대명시장평일, 토요일, 두류수영장, 새본리중학교평일,토요일 |
장기지구(달서아트센터) 방면 | 동대구역평일, 토요일, 동구청공휴일, 해안역평일, 토요일, 방촌역공휴일, 용계삼거리평일, 토요일 |
2. 개요
동구 동호공영차고지(8)에서 중구 남산동 반월당역(0)을 거쳐 달서구 장기동 달서아트센터(5)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6] 왕복 운행거리는 50km.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신설되었다. 폐지된 514번, 628번, 636번 구간을 대체한다.[7]
- 2006년 5월 937번 증편을 위해 2대가 감차됐다.
- 2015년 8월 1일 개편 때 기점이 다사읍 매곡리공영차고지에서 장기동 달서아트센터로 단축되었다. 중간 경유지도 202(-1)번을 대체하기 위해 장기동~대명천로~성당로~명덕로~명덕역으로 변경되었다.[8] 왕복 70km에 가까웠던 장거리 운행 여건과 도시철도 중복 문제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계명대역~청구삼거리의 대부분 구간은 518번[9]이, 죽전네거리~안지랑역 구간은 서구1(-1)번이, 본리초교~종각네거리 구간은 306번[10]이, 서부정류장~경대병원역 구간은 649번이 대체한다. 개편 이후에도 경북교통이 단독으로 운행한다. 인가대수는 4대 감차됐다.
- 2016년 2월 13일 개편 때 651번 증차를 위해 1대 감차됐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신설 당시부터 2015년 7월 31일까지는 다사, 성서(계명대학교)에서 와룡시장을 경유하는 564번과 달리 달구벌대로를 경유해 서부정류장 일대까지 비교적 직선으로 연결해 주었던 805번의 수요가 많았다. 대실역 ~ 서부정류장 구간은 앉을 자리가 잘 없었다. 508번과 더불어 경북교통에서 우선적으로 신차를 투입하는 노선이었다. 또한 혼잡 노선이던 425번, 518번, 564번을 보조해 주었다.
- 2015년 8월 1일 노선 개편 이후부터는 폐지된 202(-1)번을 대체하기 위해 문화예술회관 - 대구보건고 - 대명시장 - 계명네거리 구간으로 변경되었는데, 성당로에는 이미 다른 노선 3개(650번, 706번, 836번, 그리고 고령 606번도 고령 방면에 한해 다닌다.)가 다니고 있어서 수요가 급감했다. 게다가 202(-1)번의 용산1동, 상중이동 구간을 대체하지 못하고 장기지구에서 끊겨 이 지역 주민들에게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개편 전에 개편안을 봤던 시민들로부터 수요 감소 이야기가 나왔지만 개편안은 그대로 시행되었다. 결국 수요 감소는 현실화되었고 감차의 칼날을 피하지 못했다.
- 성서, 남구권에서 기존 805번과 중복되던 구간을 운행하는 425번, 503번, 518번, 564번의 가축수송이 더욱 심각해졌다. 4개 노선은 개편 이후 혼잡도 증가로 인해 하차단말기가 추가로 설치되거나 보완 개편 때 증차되었다.
- 남산동, 대신동, 용산1동, 상중이동 주민들은 노선 개편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805번의 진입을 요구했다. 특히 청라언덕역 ~ 반고개역 일대는 305번의 폐지, 600번의 단축으로 시내버스 공백 지역이 되었다. 반월당역에서 직진하여 청라언덕역, 반고개역을 경유하자는 의견이 개편 직후에 많았다. 그러나, 남산동, 대신동 구간은 2016년 2월 13일에 323-1번을 909번과 구간을 맞바꿔 조정하는 선에서 그쳤다.
- 다만 수요와 중복도 부분에서는 반론이 있다. 2015년 개편 전에도 수요는 황금 노선이라고 하기에는 애매했다. 2015년 개편 이전 수요가 더 많았던 이유는 운행 대수가 많아서였다.[11] 일단 명덕역 이북 구간은 다른 노선들과 완전히 다르다. 그러므로 성당로에서 경대병원과 국채보상로, 동대구역을 오가는 독점 수요가 좀 있다. 남산역~대구중앙중고교 구간에서는 518번의 백업 역할을 한다. 개편 전 구간도 경대병원역~서부정류장까지는 도시철도, 649번과 겹쳤고 다사에서 죽전네거리까지도 2호선, 425번, 성서2번과 겹쳤다. 일부 구간이 다르지만 본리초교~청구삼거리 구간은 106번, 518번과 겹쳤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가운데 배차간격이 짧은 노선에 속하지만 2016년 1대 감차 이후로 추가 감차는 없다. 경북교통에서 증차할 만한 노선이 없다면 모르지만 급행5번이 3번 감차된 와중에도 805번은 한 번도 감차되지 않았다.
- 기사 교대는 경북교통에서 실시한다.
- 장기정차와 가스충전 모두 동호공영차고지에서 한다. 전기충전은 경북교통이나 동호공영차고지에서 한다. 동호공영차고지가 포화 상태라 종종 경북교통 차고지에 와서 전기충전을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805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2,607명 | - |
2015년 | 12,591명 | ▽ 16 |
2016년 | 8,979명 | ▽ 3,612 |
2017년 | 8,604명 | ▽ 375 |
2018년 | 8,363명 | ▽ 241 |
2019년 | 8,439명 | △ 76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6,457명 | ▽ 1,982 |
2022년 | 6,870명 | △ 413 |
2023년 | 7,903명 | △ 1,033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8월 개편으로 기점이 달서아트센터로 단축되고 영대병원역 대신 대명시장으로 변경되면서 수요가 대폭 감소하였다.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서부정류장역, 명덕역, 반월당역, 동대구역, 동구청역, 아양교역, 동촌역, 해안역, 방촌역, 용계역, 반야월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용산역[13], 반월당역, 경대병원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남산역, 명덕역
- 대경선 : 동대구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6. 둘러보기
대구 성서 연계 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성주 | 250 |
대구 안심 연계 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경산 | ||
영천 | 55, 555 |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효성캠퍼스 | 급행5 | 518-1 | 708 | 808 |
814 | 840 | ||||
803 | 809 | 818 | 818-1 | ||
911 | 진량1 | 진량2 | 하양-와촌1 | ||
하양2 | 와촌2 | ||||
55 | 555 | ||||
동대구-포항(국도)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루가캠퍼스 | 급행6 | 순환3-1 | 503 | 609 | |
618 | 623 | 650 | 706 | ||
805 | 836 | 남구1-1 | 서구1-1 | ||
606 | |||||
유스티노캠퍼스 | 순환2-1 | 204 | 300 | 304 | |
306 | 349 | 405 | 410-1 | ||
503 | 509 | 518 | 609 | ||
649 | 650 | 651 | 706 | ||
805 | 808 | 836 | 남구1-1 | ||
동구2 | |||||
606 |
대구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 캠퍼스 | 급행5 | 708 | 808 | 814 |
840 | |||||
818 | 818-1 | 진량1 | 399 |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대명동 캠퍼스 | 509 | 609 | 618 | 650 | |
706 | 805 | 808 | 836 | ||
남구1-1 | 달서4-1 | 서구1-1 | 순환2-1 | ||
606 |
[1] 토요일 20대 / 공휴일 16대 운행[A] 805번 단독구간이다.[A] [A] [A] [6] BIS 상의 기종점은 권역번호와 반대이다.[7] 개편 초안에는 죽전역 대신 장기동을 경유하고, 방촌시장 대신 망우당공원 경유하는 것으로 나왔다.[8] 약간 다른 코스지만, 성당로 ↔ 동대구역 직통 노선이 1998년 5월 31번의 폐지 이후 17년 만에 부활했다. 434(-1)번도 있었지만, 북부정류장, 3공단, 성북교, 경대북문, 복현네거리, 신암보성아파트, KT동대구지사를 경유하여 동대구역으로 내려오는 굴곡 노선이라 직통 노선이 아니었다.[9] 다른 점이 있다면 518번은 동본리네거리, 영남이공대, 2.28기념중앙공원을 경유한다.[10] 다른 점이 있다면 306번은 영남이공대를 경유한다.[11] 수요 데이터는 대당 승객수를 의미하지 않는다. 운행대수가 많은 노선이 승객 수가 많이 나온다.[12] 초창기에는 동호지구 였다.[13] 장기동 방면은 대구전자공고남편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