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16:28:37

대구 버스 급행7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d8202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동명교통2661.jpg 파일:신흥1125.jpg
동명교통 차량 신흥버스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7)에서 출발하여 북구 금호지구(2)를 거쳐 달서구 대곡동공영차고지(6)까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7.9km.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_급행7_노선도.jpg
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
(북구 동호동(종점))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대곡동공영차고지(남도버스))
종점
첫차 05:30 기점
첫차 [평일, 토요일] 05:30 / [공휴일] 05:36
막차 [평일] 22:12 / [토요일] 22:11 / [공휴일] 22:04 막차 [평일] 22:40 / [토요일] 22:33 / [공휴일] 22:11
평일배차 16분(일 69회) 주말배차 공휴일: 23분(일 49회)
토요일: 19분(일 59회)
운수사명 동명교통, 우진교통, 신흥버스 인가대수 13대[1][2]
노선 북구 동호동(종점) - (칠곡경대병원후문 →) - 근로복지공단대구병원 - 운암초교 - 한국농어촌공사 - 대구과학대 - 매천역 - 장태실마을 - 사수동 - 서재문화체육센터 - 계명대동문 - 달성습지•대명유수지 - 유천교 - 남도버스(대곡동공영차고지)
중간 출발 정류소
대곡동 방향 대구과학대학교
동호동 방향 계명대학교동문
중간 종료 정류소
대곡동 방향 없음
동호동 방향 칠곡경대병원역건너 22:05[평일]/22:06[토요일]/22:07[공휴일]~23:27[공휴일]/23:47[평일, 토요일][3]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7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6년 2,684명 -
2017년 3,492명 △ 808
2018년 3,673명 △ 181
2019년 4,187명 △ 514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3,237명 ▽ 950
2022년 3,543명 △ 306
2023년 3,115명 ▽ 428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2025년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없음
저상버스 도입 예정 노선(2024년 이후 순차적 대폐차)
[[좌석버스|
좌석형
]] · · · · · ·
[[입석|
입석형
]] · · · · · ·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칠곡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성서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성주 250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월배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고령 606
}}}}}}}}} ||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성서캠퍼스
동문 급행1 급행5 급행7 405
425 503 523 524
527 564 7250
달서1 달서3 달서5 성서1-1
정문 급행1 524 527 564
655 성서2 250
대명캠퍼스
정문 순환2-1 509 650 706
805 836 달서4-1
후문 609 808 남구1-1
대명공연거리 300 306 518 609
651 808 남구1-1 달서4-1
}}}}}}}}} ||


[1] 동명교통 6대 / 우진교통 3대 / 신흥버스 4대[2] 방학, 토요일 11대 / 공휴일 9대 운행[3] 해당 시간대는 북구 동호동 차고지에서 하차 불가능하여 이곳에서 다 내려야한다.[4] 초안에서는 직행2번으로 구상되었다.[5] 신흥버스의 차고지가 대곡/ 대천동이 가까운 갈산동에 있기 때문에 버스 개편 이전에는 성서1번, 성서1-1번을, 이후에는 달서1번을 운행하며 지나다닌다. 마침 급행5번을 운행하는 신흥버스가 참여하게 되었다.[6] 이 중 1대는 기존 좌석예비 1대를 급행7번 정규차량으로 승격하였다.[7] 참고로 과거에 725번이라는 유사한 노선이 존재했다. 학정동 ~ 성서산업단지(신흥버스) 구간을 운행한 노선이며 1998년 개편 때 신설되어 이 구간을 비슷하게 다녔으며 그 당시에는 와룡대교가 건설되기 이전이라 금호지구로 바로 건너가지 못하여 다음과 같이 운행하였다. 학정동 ~ 관음여중 ~ 보건전문대 ~ 태전교 ~ 염색공단 ~ 중리네거리 ~ 대구의료원 ~ (→용산동/←죽전네거리) ~ 성서초교 ~ (→영남우방타운 → 신당행정복지센터(신당우체국) → 계대동문 → 갈산공원 → 대구은행성서지점 →)(이하역순) 구간으로 운행하였다. 그러나 105번, 402번과 524번이 각각 중리동 종점에서 성서지구로 연장되고 수요가 저조해 1달도 되지 못해 폐선되었다.[8] 안전센터앞 정류소는 정차하지 않는다. 얼마 안가 베네딕도회수녀원에서 정차하기 때문이다.[9] 대곡, 월배 지역은 백업 노선인 달서1번이 있기 때문에 칠곡 수요에 비하면 적다.[10] 대천교(대곡방향/하행)/성서4차산단(칠곡, 서재방향/상행) 정류장이다.[11] 중간종료 폐지 이후 평일 22:12/22:40, 주말 22:04/22:11[12] 급행1번의 불로봉무동 구간, 급행2번의 칠곡3지구 구간, 급행8번의 테크노폴리스 구간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긴 하지만 그렇다 해도 1~2정류장은 건너뛰기 마련인데 금호지구는 그런 모습이 보이질 않는다. 이럴 경우 급행이라는 취지가 맞지 않다는 의견도 보인다.[13] 특히 계명대학교칠곡3지구 구간은 도시철도 2-3호선 환승527번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칠곡 주민들의 부정적인 의견이 나오고 있다.[14] 사수동에 고등학교가 없어서 학생들이 칠곡에 있는 학교로 많이 배정을 받는다.[15] 유천교 정류장[16] 한국농어촌공사 정류장[17] 매천역/매천초교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