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2월 18일 ~ 2006년 9월 24일까지 운행하였던 달성3번에 대한 내용은 대구 버스 달성2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f6af30>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 ||
서구 | |||
남구 | |||
달서 | |||
달성 | 달성3[a] | ||
동구 | |||
북구 | |||
성서 | |||
수성 | |||
칠곡 | |||
팔공 | 팔공2[a] 팔공3[a] | ||
행사 | 비슬1[a]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고봉리(고봉리)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07:11 |
막차 | 20:55 | 막차 | 21:30 | ||
배차간격 | 96분(일 10회) | ||||
운수사명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 인가대수 | 통합 1대[저상버스] | ||
노선 |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스포츠파크 - 현풍읍 행정복지센터 - 달성소방서 - 구지면사무소 - 창2리 - (← 구지면사무소) - 창1리 - (응암1리 → 고봉리 → 응암1리) 이후 역순 | ||||
| |||||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도동서원 방면)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도동서원) | ||
종점행 | 첫차 | 09:39 | 기점행 | 첫차 | 10:30 |
막차 | 14:24 | 막차 | 15:14 | ||
배차간격 | 1일 2회(장날에만 운행) | ||||
운수사명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 인가대수 | 통합 1대[저상버스] | ||
노선 |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스포츠파크 - 현풍읍 행정복지센터 - 달성소방서 - 고봉리 - 응암1리 - 창1리 - 구지면사무소 - 창2리 - 도동서원 |
2. 개요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본선, 도동서원)3. 역사
- 2007년 8월 27일에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2차산단 - 달성1차산단 - 현풍시외버스터미널 구간을 순환 운행했던 달성공단2번으로 신설되었다.[3] 관련 게시물 당시 사명인 현대교통[4]에서 2대로 운행되었으며, 배차간격은 30분이었다. 운행 방식이 특이했다. 첫번째 운행은 달성2차산단으로 갔다가 달성1차산단으로 올라갔다. 두번째 운행은 반대로 달성1차산단으로 갔다가 달성2차산단으로 내려갔다.
- 2012년 2월 18일 개편 때 달성1차산단과 달성2차산단 구간을 폐지하고 현풍터미널과 응암2리를 오고가는 노선으로 조정한 후, 달성3번으로 노선 번호를 바꾸었다. 인가대수 1대를 달성2번에 보냈다.[5][6]
- 2013년 5월 4일 개편으로 현풍터미널에서 현풍중앙로(현풍 구길)로 직진하지 않고 기존에 시내버스가 전혀 다니지 않았던 현풍동로 - 비슬로(달성군민운동장 - 달성문화원 - 현풍석빙고 - 현풍읍사무소) 구간 경유로 조정되었다.
- 2015년 4월 9일에 대리 - SK주유소(창리로) - 구지면사무소 대신 대리 - SK주유소(과학대로) - 구지면사무소 구간 경유로 변경되었다.[7] 현재 과학북로에는 급행4번과 급행8번이 운행 중이다.
- 2017년 3월 31일에 응암2리 종점이 폐지되고 고봉리로 단축됐으며, 구지면사무소에서 창2리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국가산단 개발 때문에 매방마을 종점이 쓸려 나간 듯. 또 폐지된 구.달성4번의 도동서원 구간을 이어받아 현풍5일장이 열리는 날(매달 5, 10, 15, 20, 25일)에만 1일 2회씩 운행하는 지원운행 가지노선이 생긴다. 이 때는 대리를 앞두고 용연저수지를 통해 바로 고봉리로 내려갔다가 구지면사무소로 간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으로 구지면 구간에 노선 경로 조정이 생겼다.
- 2019년 8월 1일부터 현풍교 ~ 상리교 구간 보행환경 개선 사업에 따른 일방통행 시행으로, 달성문화원 →︎ 구지 방향은 현풍천 남쪽의 현풍로를 경유한다. 달성문화원 →︎ 현풍터미널 방면은 여전히 현풍천 북쪽의 비슬로134길을 경유한다. 참조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달성공단2번 때는 많아야 하루에 40명 정도 이용했다. 달성2차산단 구간을 운행하는 거의 유일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간신히 유지하고 있었다.[8]
- 현풍5일장 기간에만 다니는 도동서원 방면 한정으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 가장 서쪽으로 가는 노선이다.[9]
- 쿠팡 첨단물류센터인 대구3/7/8센터를 달성7번과 더불어 제일 가깝게 운행하는 노선이다. 응암1리1 정류장에 하차하면 도보로 10분 거리에 위치해있다.
4.1. 시간표
달성3번 시간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margin:-5px -1px 0" | (구)현풍시외버스 터미널 | 달성군보건소 | 구지면 행정복지센터 | 고봉리 | 구지면 행정복지센터 | 달성경찰서 | (구)현풍시외버스 터미널 | ||||||
1 | 06:30 | 06:36 | 06:48 | 07:11 | 07:17 | 07:31 | 07:52 | ||||||
2 | 08:12 | 08:18 | 08:30 | 08:53 | 08:59 | 09:13 | 09:29 | ||||||
3 | 09:49 | 09:55 | 10:07 | 10:23 | 10:31 | 10:45 | 11:01 | ||||||
4 | 11:21 | 11:27 | 11:39 | 11:55 | 12:03 | 12:17 | 12:33 | ||||||
5 | 13:00 | 13:06 | 13:18 | 13:34 | 13:42 | 13:56 | 14:12 | ||||||
6 | 14:32 | 14:38 | 14:50 | 15:06 | 15:14 | 15:28 | 15:44 | ||||||
7 | 16:04 | 16:12 | 16:25 | 16:42 | 16:50 | 17:04 | 17:20 | ||||||
8 | 17:47 | 17:57 | 18:09 | 18:22 | 18:30 | 18:47 | 19:03 | ||||||
9 | 19:23 | 19:29 | 19:41 | 19:58 | 20:05 | 20:19 | 20:35 | ||||||
10 | 20:55 | 21:01 | 21:13 | 21:30 | 21:36 | 21:51 | 22:07 | ||||||
실제 운행시간은 현장 여건 및 도로 교통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
4.1.1. 고봉리 방면(현풍5일장)
순번 | 현풍(출발) | 고봉리 | 현풍(도착) |
1 | 06:30 | 07:11 | 07:52 |
2 | 08:12 | 08:53 | 09:29 |
3 | 11:40 | 12:16 | 12:52 |
4 | 13:02 | 13:38 | 14:14 |
5 | 16:19 | 16:55 | 17:36 |
6 | 18:01 | 18:42 | 19:23 |
7 | 19:38 | 20:14 | 20:50 |
8 | 21:05 | 21:41 | 22:15 |
4.1.2. 도동서원 방면(현풍5일장)
현풍 (출발) | 고봉리 | 도동서원 | 고봉리 | 현풍 (도착) |
09:39 | 09:59 | 10:30 | 10:55 | 11:20 |
14:24 | 14:44 | 15:14 | 15:39 | 16:04 |
4.2.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32명 | - |
2015년 | 35명 | △ 3 |
2016년 | 33명 | ▽ 2 |
2017년 | 39명 | △ 6 |
2018년 | 22명 | ▽ 17 |
2019년 | 38명 | △ 16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5명 | ▽ 23 |
2022년 | 34명 | △ 19 |
2023년 | 37명 | △ 3 |
- 1일 평균 이용객이 50명도 되지 않는다. 구지면 구간에서 단독 구간이 없는 게 원인인 듯. 600번 및 달성7번과 겹친다. 현풍읍 구간에서 단독 구간이 있기는 하지만 배차간격이 처참해서 그냥 걸어다니거나 택시 타는 게 더 나을 정도이니. 과거에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수요 최하위였지만, 2019년 4월 20일에 칠곡5번이 개통되어서 최하위는 벗어났다. 하지만 칠곡5번은 나중에 도남지구 수요가 크게 늘어나 가축수송까지는 아니어도 승객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달성3번은 증가 가능성마저 없다. 구지면 일대가 국가산단 및 달성2차산단 배후지로 개발되기는 했지만, 이쪽 주민들에게 달성3번은 아웃 오브 안중이다. 급행8번을 타고 유가읍사무소 일대의 상업시설들을 이용하거나 대구 시내로 나가지, 달성3번을 시간 맞춰서 타는 승객은 거의 없다. 현풍 읍내로 나갈 사람들은 600번을 탄다.
5. 연계 철도역
없음.[저상버스] 저상버스로만 운행한다.[저상버스] 저상버스로만 운행한다.[3] 달성공단2번의 앞뒤 스티커 행선판은 달성1차공단 ← 현풍 → 달성2차공단, 달성1차공단 - 현풍 - 달성2차공단 이었다.[4] 원래는 창성여객이었으나, 2010년에 창성여객이 현대교통에 합병됐다.[5] 2011년 8월부터 600번이 달성2차산단을 운행하였으므로, 달성공단2번의 수요가 감소하였다. 예전에도 달성3번이 있었다. 이 번호가 결번이었기 때문에, 어지간히 찜찜했던 듯하다.[6]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간선버스의 경우 603번, 613번, 636번이라는 노선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이들은 폐선되어도 다른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노선 번호가 비어도 상관없다. 간선버스의 경우 세자리 모두 일련번호 체계가 아닌 권역번호 체계다. 지선버스는 생활권 문자 뒤에 오는 숫자가 일련번호이기 때문에 중간에 결번이 있으면, 조금 어색하다.[7]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과학북로 및 창리로가 폐쇄되었기 때문이었다.[8] 달성7번은 구지면 내부만 순환하는 오지노선이다.[9] 여담으로 2012년까지는 달성2번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 가지노선이 가장 서쪽으로 가는 노선이었다. 현재는 폐선.[10] 놀랍게도 실제 행선판이었다. 원래 농공단지인데 오타 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