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0:53:59

대구 버스 급행4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8202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4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세한1319.jpg
파일:현대3820.jpg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차량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급행4 노선도.png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유곡리공영차고지)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설화명곡역)
종점
첫차 05:32 기점
첫차 [평일, 토요일] 05:40 / [공휴일] 05:45
막차 [평일, 토요일] 22:20 / [공휴일] 22:10 막차 22:29
평일배차 18분(일 59회) 주말배차 24분(일 44회)
운수사명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인가대수 8대[1][2]
노선 유곡리공영차고지 - 국립대구과학관 - 유가읍사무소 - 포산고교 - 현풍백년도깨비시장 - 성요셉요양병원 - 달성군민운동장 - 북리 - 논공읍사무소 - 옥포초교 - (→ 설화명곡역(8번출구) →/← 명곡리 ←)[3]
중간 출발 정류소
설화명곡역 방향 없음
유곡리 방향 없음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공영차고지(6)에서 달성군 화원읍 설화명곡역(6)까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4.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4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2,010명 -
2015년 2,013명 △ 3
2016년 2,555명 △ 542
2017년 1,577명 ▽ 978
2018년 1,639명 △ 62
2019년 1,555명 ▽ 84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1,096명 ▽ 459
2022년 1,202명 △ 106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2024년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없음
저상버스 도입 예정 노선(2024년 이후 순차적 대폐차)
[[좌석버스|
좌석형
]] · · · · · · · · · ·
[[입석|
입석형
]] · · · · · · · · · ·
출처 펼치기·접기
파일:민원답변000032.png


[1]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2대 / 해피투게더 현대교통 6대[2] 공휴일 6대 운행[3] 설화명곡역에서 운행을 종료하고, 성화로를 통해 비슬로로 나와서 명곡리 정류장에서 운행을 시작한다.[4] 경서중학교가 강림리에서 교항리(옥포지구)로 이전하고, 그 자리에 달성교육지원청과 대구예아람학교가 들어서면서, 2021년 3월부터 정류장 이름이 '달성교육지원청, 대구예아람학교'로 변경되었다.[5] 급행8번과 만나는 정류장이 유가읍사무소뿐이다. 급행8-1번과 만나는 정류장은 유곡리공영차고지, 유곡사거리, 유가읍사무소, 제일풍경채다.[6] 구미시 등 중소도시는 시계를 넘지 않는 좌석버스가 있으나 구청이 설치된 지역, 광역시, 서울에는 없다. 경기도에는 광명 버스 3000, 평택 버스 8000 이렇게 2개만 시경계를 넘지 않는다(나머지 일부 노선은 주말전용 노선). 참고로 시 경계를 넘지 않는 시외버스가 통합 이후 창원시에 존재하였고, 시 경계를 넘지 않는 무궁화호가 광주선에 존재하였다. 여담으로 급행4번의 1/4 거리에 불과한 부산 버스 203의 경우도 금정구(산성마을)와 동래구(온천장역)를 잇는 것이 주 목적이다.[7] 바로 옆이 대천동공영차고지다. 609번836번은 차고지에서 나와서 이 아파트에서 출발하고, 달서1번, 급행6번은 차고지에서 나와 월배기지에서 출발한다. 2016년 3월 25일에 대천동공영차고지 출발전용 정류장 신설로 이제는 옛말.[8] 못해도 30~60분 간격으로 다녔던 것이 현재는 경유하는 모든 노선을 다 끌어모아도 1일 7회 정도만 운행한다.[9] 이는 나중에 구지에 입성한 급행8번도 마찬가지였으나, 2021년부터는 구지면사무소 일대 왕복 2차선 도로들을 쑤시고 다닌다.[10] 현풍에서 대곡~상인역까지의 구간은 시외버스를 타더라도 서부정류장에서 다시 버스나 도시철도를 타고 내려오는 시간까지 감안할 경우 현풍~대구서부는 35분 내외로 갈 수 있기에 급행4번(+도시철도)과의 시간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 그리고 1차산단의 경우 시외버스를 타러 가는 게 오히려 손해다.[11] 그나마 이 인근의 현풍중.고와 포산고를 경유해서 학생들의 등하교 시간에는 사람이 좀 있다. 다만 급행4번은 포산고교에는 정차하나, 현풍중고교(현풍공영버스정류장)는 무정차 통과하기 때문에 달성우체국에서 승하차해야 한다.[12] 당시에는 단색 도색이 제정되기 전이라 2000년도에 만들어진 주황색 도색이었다.[13]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환승제도 특성상 두 번 환승해야 될 경우 마지막으로 탑승하는 버스를 이용할 때 환승할인 혜택을 받지 못 하는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요금 부담도 커진다. 최초 탑승한 교통수단에서 하차한 시간을 기준으로 30분 안에 마지막 버스를 타야하기 때문이다.[14] 예전 600번 혼자 이 지역의 수요를 책임졌을 때에는 해가 떠 있는 시간에는 항상 가축수송 상태로 시내로 나왔지만, 현재는 600번, 655번 모두 NH에는 입석 승객을 보기가 힘들 정도이다.[15] 설화명곡역에서부터 테크노폴리스역까지 경유지가 일치하고 주 수요처인 논공읍달성산단역달성군청역이 들어서기 때문에 수요가 대거 이탈될 가능성이 농후하고, 대구테크노폴리스 내에서 급행8번과 테크노폴리스역을 놔두고 이 버스를 이용할 사람은 사실상 없기 때문에 수요처를 죄다 빼앗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노선을 존치할 이유가 없다.[16] 현재 성요셉요양병원[17] 승차 시, 7번출구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