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5:41:44

국립대구과학관

파일:정부상징.svg 파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_국문_흰색글자.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립대구과학관
國立大邱科學館 | Daegu National Science Museum
파일:국립대구과학관 CI.svg
<colbgcolor=#8b0> 운영주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류 국립 과학관
관장 이난희
설립일 2013년 12월 14일([age(2013-12-14)]주년)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대로6길 20 (상리)
우편번호 43023
연락처 053-670-6114
파일:국립대구과학관 CI.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olcolor=#fff>
파일:국립대구과학관.png
국립대구과학관 전경
1. 개요2. 시설3. 개관일과 관람요금4. 관장5. 상징
5.1. 심벌마크5.2. 로고5.3. 시그니쳐5.4. 마스코트
6. 논란
6.1. 운영비 부담 비율 관련 기획재정부와 대구광역시청 간 갈등 및 개관 지연6.2. 짜맞추기식 공무원 및 공무원 자녀 특혜성 채용 논란6.3. 영화 촬영 민원 해프닝
7. 위치 및 교통

[clearfix]

1. 개요

과학관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6조의2(국립과학관법인의 설립) ① 국가는 해당 권역의 과학문화 확산 기반을 조성하고, 학교 밖 과학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국립과학관을 설립한다.
1. 국립대구과학관
② 제1항에 따른 국립과학관은 법인(이하 "국립과학관법인"이라 한다)으로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대로6길 20 (상리)에 있는 과학관 겸 이를 운영하는 특수법인(기타공공기관)으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 일부 지역 거주민을 위한 과학관이다. 2008년 6월 12일 인재육성지원센터 건립계획이 수립되었으며 2009년 5월 25일 기공식이 있었다. 개관하기까지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2010년 정부와 운영비 부담 문제로 갈등을 벌이다가 공사가 잠시 중단되었고 2012년에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결국 대구시가 40% 부담하는 것으로 마무리지어 2012년 10월 9일에 준공되었다. 원래 2013년 4월 개관하려고 했으나, 이번에는 직원 채용 비리가 터지면서 개관이 연기됐다. 2013년 11월 1일 임시개관해서 개장했다가 2013년 12월 24일에 정식 개장했다.

현재 많은 리모델링들을 거쳐 내부 구조가 많이 변하였으며, 동시에 많은 체험 기구들이 사라지거나 새로 등장했다. 그 때문에 과거의 추억을 안고 방문한다면 달라진 모습에 괴리감이나 아쉬움을 느낄 수 있다. 원래는 각종 자연현상들의 과학적 원리를 체험기구들을 통해 알아볼 수 있었으나, 현재는 환경 문제와 관련된 체험들만 주구장창 배치되어 있으며 심지어 설명도 잘 되어있지 않아, 그저 아무 의미없이 체험만 해볼 수 있는 기구들도 몇 있다.

2. 시설

상설1관 자연과 발견
상설2관 과학기술과 산업
상설3관 생명의 진화
천체투영관
야외 공연장
어린이과학관
미래형 자동차 전시장
기획전시실
기획연회실
사이언트리홀
4D상영실

3. 개관일과 관람요금

매주 월요일1월 1일은 휴무이며,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운영한다.(입장은 오후 4시 30분까지이다.) 임시개관 때는 입장료가 무료였으나, 정식 개관 후에는 유료로 전환되었다. 상설전시관은 대인(20세 이상)은 3,000원, 소인(7~19세)은 2,000원이며 경로우대자(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은 무료이다. 단, 천체투영관은 대인은 2,000원, 소인, 경로우대자, 장애인, 국가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모두 1,000원이며 4D영상관은 천체투영관과 같다. 참고로 지역주민(달성군 거주자)[1]의 경우 지역거주자 혜택으로 상설전시관은 2,000원, 천체투영관, 4D영상관은 각각 1,000원으로 1,000원씩 할인받을 수 있다.

4. 관장

5. 상징

5.1. 심벌마크

파일:external/www.dnsm.or.kr/img_ci_01.gif
Science의 영문 Spell이 조합된 조형으로 심볼화하여 무한한 사고와 탐구를 바탕으로 하는 과학의 기본속성을 Brain으로 표현하였다. 동시에 경험과 학습을 통해 스스로 알아가는 미로로 표현되어 Hands on 과학관의 특성을 함축적으로 상징화하였다. Science Tree라는 발음상의 연상성이 재미있게 시각화되어 생각이 자라나는 나무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Green컬러는 미래과학이 지향하고 있는 그린사이언스를 표현하여 대구과학관의 차별화된 이미지 표출하고 있다.

5.2. 로고

파일:external/www.dnsm.or.kr/img_ci_02.gif

5.3. 시그니쳐

파일:external/www.dnsm.or.kr/img_ci_03.gif

5.4. 마스코트

파일:external/www.dnsm.or.kr/img_ci_04.gif
조이(JOY)&퍼니(FUNNY)

6. 논란

위키백과

6.1. 운영비 부담 비율 관련 기획재정부와 대구광역시청 간 갈등 및 개관 지연

2008년 6월 2일 국립대구과학관 건립을 국가 재정사업으로 추진해 왔으나, 기획재정부가 재정 운영의 어려움을 들어 최근 BTL(임대형 민자투자사업)로 전환을 요구했다. 이에 대구광역시청은 2009년 5월 착공해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한 달전인 2011년 7월에 국립대구과학관을 개관할 계획이었으나, BTL로 재추진할 경우 개관이 2년 가량 지연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현재 운영 중인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서울과학관에 이어 국립과천과학관·국립대구과학관·국립광주과학관·국립부산과학관에 대한 BTL 적용을 잇따라 추진함에 따라 BTL 전환 의지를 쉽게 굽히지 않을 전망이었다. 2012년 9월 9일 국립대구과학관이 완공됐지만 운영비가 없어 개관이 미뤄졌다. 국립대구과학관을 건립한 교육과학기술부와 예산을 지원하는 기획재정부, 대구광역시청 등 세 기관이 운영비 분담비율을 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는 기획재정부와 대구광역시청이 2008년 국립대구과학관 건립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비용 부담 조건을 명확하게 정하지 않은 데서 비롯됐다. 결국 대구시는 40%를 부담하기로 하고 협상을 마무리지었고 개관 준비를 서둘렀다.

6.2. 짜맞추기식 공무원 및 공무원 자녀 특혜성 채용 논란

2013년 6월 7일 국립대구과학관법인설립위원회는 위원장 명의로 국립대구과학관 직원 채용을 공고하였다. 2013년 6월 28일 국립대구과학관 직원 채용 결과가 발표된 이후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이에 따라 대구광역시청은 우선 직무와 관련 있는 신성장정책관 서기관을 직위해제하고 아울러 직원 채용과 관련한 특혜 및 외압 등의 의혹이 있는지 특별 감사해 문제가 있을 시 관련 규정에 따라 엄중 문책했다. 미래창조과학부도 담당국장 등 현장조사팀을 파견해 사실관계 확인에 나섰다.

6.3. 영화 촬영 민원 해프닝

영화 강철비에서 등장하는 개성공단 장면을 이 곳에서 촬영했다. 제작진이 사진 자료를 검토하고 개성공단 행사장과 가장 비슷한 건물이라고 판단해서 이 곳을 촬영 장소로 선택했다고 하는데, 이 때문에 작은 해프닝도 있었다. 촬영을 위해 북한의 인공기와 북한식 선전물들을 과학관 일대에 설치했는데, 이를 두고 지역 주민들과 보수 단체들이 대체 무슨 일이냐며 문의하는 일이 있었다. 그래서 제작진과 달성군청에서 어디까지나 영화 촬영용이라고 해명해야 했다.#

7. 위치 및 교통

참조바람

7.1. 시내버스

1. 1호선 진천역 1번 출구 정류장에서 급행8-1번을 타고 정문에서 내린다. 아니면 급행8번을 타고 세하앞 정류장에 내려서 걸어와도 된다.[2]

2. 대곡역 1번 출구 쪽 버스 정류장에서 655번을 타고 정문에서 내린다. 아니면 600번 유가사행[A], 달성5번을 타고 용금공단 정류장에 내려서 걸어와도 된다.

3. 설화명곡역 7번 출구에서 655번급행4번을 이용할 수 있다. 단, 655번급행8-1번이 정차하는 정문으로 가며, 급행4번은 반대쪽인 후문에 정차한다.

7.2. 시외버스

서부정류장에서 현풍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시외버스를 탄 후,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600번 유가사행[A], 달성5번을 탄다. 600번 유가사행[A], 달성5번을 오래 기다려야 할 경우에는 현풍삼거리 정류장까지 도보 이동 후 655번을 탄다.

7.3. 철도

서대구역에서 급행8번을 타고 세하앞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이동하거나 대구역/동대구역에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을 타고 진천역으로 이동하여 급행8-1번으로 환승한다.[6]

7.4. 택시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앞에 택시가 많다.

7.5. 자가용

대구수목원에서 테크노폴리스로를 타고 오면 20분 정도면 올 수 있다. 참고로 국립대구과학관 주차장은 유료 주차장이다.

전기차 충전소는 급행4번이 정차하는 후문과 급행8-1번이 정차하는 정문 양쪽 입구에 있는데, DC콤보 플러그 충전소는 후문 쪽에 더 많다.

7.6. 둘러보기

파일:정부상징.svg 파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_국문_흰색글자.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
파일:국회휘장.svg 국회
국회박물관
파일:국가정보원 로고.svg 국가정보원
안보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
관세청 관세박물관
국세청 국립조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과학관 대전(중앙) · 과천 · 서울(어린이) · 광주 · 대구 · 부산 · 원주(강원)2025년 예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과학관
우정사업본부 / 서울중앙우체국 우표박물관
우정사업본부 / 우정공무원교육원 우정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외교부
외교사료관
파일:정부상징.svg 통일부
국립6.25전쟁납북자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법무부
검찰청 검찰역사관 · 국가형사사법기록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전쟁기념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해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박물관
공군사관학교 공군박물관
육군부사관학교 국립전사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행정안전부
경찰청 경찰박물관
소방청 국립소방박물관2025년 예정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파일:정부상징.svg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호남호국기념관
파일:정부상징.svg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국문학관 ·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국립박물관 서울(중앙) · 춘천 · 청주 · 공주 · 부여 · 전주 · 익산 · 광주 · 나주 · 대구 · 경주 · 진주 · 김해 · 제주 · 충주2026년 예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본관) · 서울 · 덕수궁 · 청주 · 대전2026년 예정
국립민속박물관 서울(본관) · 파주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 · 국립무형유산원 ·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 석조전 대한제국역사관 · 충무공이순신기념관 · 세종대왕역사문화관
국가문화유산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국립해양유산연구소 해양유물전시관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박물관
국민체육진흥공단 국립체육박물관2024년 예정
대한체육회 한국체육박물관
태권도진흥재단 국립태권도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박물관
한국저작권위원회 국립저작권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업박물관
한국마사회 말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산림청 국립산악박물관
산림청 /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국립농업과학원 잠사곤충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보건복지부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여성가족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국립여성사전시관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국립항공박물관 · 국토발전전시관
국토지리정보원 국립지도박물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박물관
한국철도공사 철도박물관
새만금개발청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해양수산부
국립해양박물관 · 국립인천해양박물관2024년 예정 · 국립해양과학관 · 국립해양수산박물관2026년 예정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씨큐리움
한국항로표지기술원 국립등대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환경부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국립밀양기상과학관 · 국립충주기상과학관 · 국립대구기상과학관 · 국립전북기상과학관
파일:한국은행 심볼.svg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파일:국립박물관단지 흰색 심볼.svg 국립박물관단지
국가기록박물관 · 국립어린이박물관 · 국립도시건축박물관 · 국립디지털문화유산센터 · 국립디자인박물관
파일:정부상징.svg 정부대전청사 상설 및 특별전시관
발명인의 전당 · 조달전시관 · 정부조달상품문화전시장 · 통계전시관 · 숲사랑체험관 · 국가기록전시관 · 병무역사기록관 · 관세기록관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008837;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대구기상과학관
공립
대구약령시한의약박물관 대구향토역사관 대구방짜유기박물관 대구섬유박물관
대구근대역사관 대구교육박물관 대구미술관 전통산업박물관
사립
송광매기념관 자연염색박물관 박물관 수 대구은행금융박물관
작은중앙가족박물관 권종호미술관 대구간송미술관
대학교
경북대학교박물관 경북대학교자연사박물관 경북대학교미술관 계명대학교소박물관
계명대학교극재미술관 대구교육대학교교육박물관 대구보건대학인당박물관
}}}}}}}}} ||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달성 12경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2px"
논공읍 달성 100년 타워
구지면 도동서원
가창면 가창댐
화원읍 달성습지 남평문씨 본리세거지 마비정벽화마을 사문진주막촌과 낙조
다사읍 디아크문화관강정고령보
유가읍 비슬산참꽃군락지 국립대구과학관 대견사비슬산암괴류
옥포읍 옥포벚꽃길
}}}}}}}}} ||


[1] 잠깐 동안은 대구광역시 전역이었으나, 달성군으로 한정되었다.[2] 테크노폴리스로를 통해 내려간다.[A] 주말/공휴일 한정.[A] [A] [6] 급행8번을 이용할 경우 세하앞 정류장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