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19:46:47

대구근대역사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008837;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대구기상과학관
공립
대구약령시한의약박물관 대구향토역사관 대구방짜유기박물관 대구섬유박물관
대구근대역사관 대구교육박물관 대구미술관 전통산업박물관
대구문학관
사립
송광매기념관 자연염색박물관 박물관 수 대구은행금융박물관
작은중앙가족박물관 권종호미술관 대구간송미술관
대학교
경북대학교박물관 경북대학교자연사박물관 경북대학교미술관 계명대학교행소박물관
계명대학교극재미술관 대구교육대학교교육박물관 대구보건대학인당박물관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1. 징청각
  2. 팔공산마애약사여래좌상
  3. 영영축성비
  4. 대구부수성비
  5. 북지장사삼층석탑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파계사원통전[2]}}}
  1. 봉무정
  2. 성재서당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화사대웅전[3]}}}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화사극락전[4]}}}
  1. 동화사부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파계사목조관음보살좌상[5]}}}
  1. 동화사염불암마애여래좌상및보살좌상
  2. 북지장사석조지장보살좌상
  3. 부인사석등
  4. 부인사서탑
  5. 신무동마애불좌상
  6. 동화사염불암청석탑
  7. 팔공산동봉석조약사여래입상
  8.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
  9. 송정동석불입상
  10. 이공제비및군수이후범선영세불망비
  11. 선교사스윗즈주택
  12. 선교사챔니스주택
1.#26 선교사블레어주택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탁영종택문적}}}
  1. 부인사부도
  2. 성모당
  3. 대구제일교회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월곡우배선임진왜란창의유록및관련문서[6]}}}
  1. 도곡재
  2. 효종어전희우시회인물도
  3. 남지장사 청련암
  4.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달성 하목정[7]}}}
  1. 명심보감판본
  2. 이철견신도비
  3. 망우당선생문집책판(부)창의록책판
  4. 존재선생실기책판
  5. 용연사 극락전
  6. 대견사지 삼층석탑
  7. 샬트르성바오로수녀원성당
  8. 남산초등학교 강당
  9. 계성학교아담스관
  10. 계성학교맥퍼슨관
  11. 계성학교핸더슨관
  12. 구대구상업학교본관
  13. 한국산업은행대구지점
  14. 유가사석조여래좌상

[1] 보물로 승격[2] 보물 제1850호로 승격[3] 보물 제1563호로 승격[4] 보물 제2132호로 승격[5] 보물 제992호로 승격[6] 보물 제1334호로 승격[7] 보물 제2053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95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옻골경주최씨백불암파종가소장전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화사아미타후불탱[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동화사보조국사진영[9]}}}
  1. 대암선생문집책판
  2. 대구읍지
  3. 대구 동화사 제석도
  4. 대구 동화사 천룡도
  5. 대구 동화사 염불암 극락구품도
  6. 대구 동화사 칠성도
  7. 대구 동화사 지장삼존도
  8. 대구 동화사 인악당대사 의첨 진영
  9. 대구 동화사 대웅전 석가영산회상도
  10. 대구 동대사 고려불경 일괄
  11. 금보
  12. 윤희손초상
  13. 태을산분정아국주군분야도
  14. 천태사교의집해
  15. 신간삼략언해
  16. 천자문
  17. 허암유고
  18. 대구 안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19. 대구 은적사 목조석가여래좌상
  20. 대구 파계사 원통전 수미단
  21. 대구 파계사 왕실 원당 관련 고문서 일괄
  22. 대구 금성사 육경합부
1.#76 대구 서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불서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감지금은니문수최상승무생계법(묘덕계첩)[10]}}}
  1. 삼국사기
  2. 북정록
  3. 이수충가 소장 전적
  4. 묘법연화경 권4∼7
  5. 입학도설
  6. 삼경합부
  7. 천사일로일기
  8. 사조선록 상
  9. 소수서원 관련 고문서
  10. 대구 남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
  11. 대구 남지장사 석조석가여래삼존좌상
  12.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
  13.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14. 대구 광덕사 신중도
  15. 지장보살본원경
  16. 대구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
  17. 대구 동화사 내원암 칠성도

[8] 보물 제1610호로 승격[9] 보물 제1639호로 승격[10] 외부지역(서울)으로 반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

파일:2016101004550301387_m.jpg

파일:대구근대역사관 로고.svg
홈페이지
1. 개요2. 상세3. 외부 링크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49호

1. 개요

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 33번지에 위치한 공립박물관으로 대구의 근현대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조성된 공간이다. 대구근대역사관이 위치한 건물은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49호 한국산업은행대구지점으로 지정되어 있다.

2. 상세

대구근대역사관이 위치한 건물은 본래 1932년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으로 건립되었으며, 1954년부터 한국산업은행 대구지점으로 이용되다가 2003년 대구시유형문화재 49호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 대구도시공사가 이 건물을 사들여 대구시에 기증하였다. 이후 대구근대역사관으로 새롭게 단장해 2011년 1월 문을 열었다.

지하 1층, 지상 2층의 건물로, 건물 총면적 1,971㎡, 부지면적 1,650㎡의 규모이다. 1층에는 상설전시실과 2층에는 기획전시실, 체험학습실, 문화강좌실 등을 갖추고 있다. 경상감영공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근대문화골목 2코스 관광지이자 청라버스의 정차지 중 하나이다. 당시 마릴린 먼로대구방문해서 주한미군 상대로 위문공연한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3. 외부 링크

4.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49호

1932년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으로 건립되었으며 1954년부터 한국산업은행 대구지점으로 이용되었다.

2층 철근콘크리트조 건물로 남측 도로인 서문로에 면하여 남향 배치되어 있다. 남측과 서측의 출입구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외관은 크게 상부와 하부의 재질을 다르게 함으로써 구성상의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하부벽은 화강석 다듬돌을 쌓아 구성하였고 상부벽은 흰색 타일 붙임을 하여 구성하였다. 도로에 면하는 남쪽과 서쪽의 창 사이의 벽은 돌출시켜 기둥처럼 만들고 건물 양 모서리와 각 기둥의 주두를 몰딩으로 장식하였다. 기둥 위에는 나뭇잎 모양을 양각한 사각형의 부조 장식판을 붙였다.

전체적으로 단순하게 처리한 정면부의 장식과 수평선을 강조한 지붕 슬라브의 처리 등을 보아 르네상스 양식의 원형이 잘 남아있으며, 내부 칸막이벽 마감재 등이 다소 바뀌긴 했으나 건물 전체의 형태는 당시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다.

대구광역시2008년 대구도시공사로부터 기증 받아 2011년부터 대구근대역사관으로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