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 323(-1) | |
| 349 | 356 | 401[A] | | 403 | |
405 | 410(-1) | 413 | 425 | 449 | | |
503 | 509 | 518 | 518-1 | | ||
523 | 524 | 527 | 564 | 600[A]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 706 | | 708 | 719 | |
724 | | 726 | 730 | 750 | | |
805 | 808 | 814 | 836 | 840 | | |
849(-1) |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2)에서 북구 고성동3가 DGB대구은행파크남편(3)을 지나 수성구 황금1동 두리봉터널(4)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51.9km.전체 정류소 목록노선 경로2.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34번 (2025년 2월 24일 폐지)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방천리공영차고지) | 종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황금고가교네거리)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평일, 공휴일] 05:30 / [토요일] 05:35 |
막차 | 22:30 | 막차 | [평일, 토요일] 22:30 / [공휴일] 22:31 | ||
평일배차 | 17분(일 71회) | 주말배차 | 공휴일: 23분(일 51회) 토요일: 18분(일 66회) | ||
운수사명 | 대일버스 | 인가대수 | 14대[1] | ||
노선 | 방천리공영차고지 - 가르뱅이 - 서대구역(남측) - 북부정류장 - (수정맨션[2] →/← 원대역) - 대구iM뱅크파크남편 - (2.28기념중앙공원 →/← CGV대구한일) - 봉산가구골목 - 대백프라자 - 수성시장네거리 - 황금네거리[3] - 국립대구박물관 - 수성대 - 소선여중 - 두리봉터널종점 (← 황금고가교네거리 ) | ||||
볼드체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
중간 출발 정류소 | |
황금동 방향 | 팔달시장역평일, 토요일, 서대구역(남측) |
방천리 방향 | 수성3가롯데캐슬평일, 토요일, 구.남부정류장 |
3. 역사
- 2015년 8월 1일 대구 시내버스 개편 때 폐지된 202(-1)번 구간(가르뱅이~태평네거리)과 427번 구간(북부정류장~두리봉터널)을 통합해 신설된 노선이다. 202(-1)번 일부 구간을 통합하면서 DGB대구은행파크남편 - 서성네거리 직통으로 변경되어 427번이 다녔던 동산네거리-달성공원으로 운행하지 않는다. 427번의 구.대봉도서관 편도 구간(동명방면)도 240번에게 넘기고 양 방향 모두 건들바위역으로 통합했다. 칠곡 구간과 북부정류장환승센터 양방향 경유는 730번이 대체한다.[4]
- 2016년 2월 13일 개편 때 1대가 503번으로 이동했다. 평일 배차간격은 15분에서 16분으로 늘어났다.
- 2019년 4월 20일부터 방천리 방향 출발지를 황금고가교네거리로 연장하였다.[5]
- 2022년 5월부터 평일 배차간격이 무려 17분으로 늘어났다.
-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폐지된다. 504번과 520번이 각각 봉산육거리 - 두리봉터널 구간과 서대구역 - 중앙로 구간을 나누어 대체할 예정이다. 서성네거리 - 봉산육거리 구간은 240번과 309번이, 방천리공영차고지 - 팔달시장역 구간과 국채보상로(서성네거리 - 공평네거리) - 명덕로(대백프라자 - 수성구민운동장역) 연결 기능은 232(-1)번이 대체할 예정이다.[7]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노선 번호가 외우기 쉽고 간결한 특징이 있다. 번호 체계에 따르면 534번이 맞겠지만, 본래 이번에 생긴 서구 권역 기점 노선인 234번, 240번은 회차지만 방천리일 뿐, 가르뱅이를 비롯한 상리동이 사실상 정식 출발 지점이기 때문에 번호가 2로 시작한다. 회차지가 방천리공영차고지인 이유는 서구 부근에 마땅한 회차 시설이 없고[8] 그나마 가까운 곳이 서구 상리동과 달성군 다사읍의 경계 근처에 있는 방천리공영차고지이기 때문이다.
- 삼천리버스와 함께하는 구간이 많다. 방천리공영차고지~원대역(가르뱅이, 수정맨션 구간 제외), 곽병원~삼덕성당, 만촌역~담티역삼거리 구간은 309번과 겹친다. DGB대구은행파크삼거리~태평네거리, 황금역~담티역 구간은 349번과 중복된다. 건들바위역~수성구민운동장역, 만촌역~담티역 구간은 509번과 겹친다. 안 겹치는 구간은 가르뱅이, 고성로, 태평네거리~곽병원, 봉산가구골목~건들바위역, 수성구민운동장~황금역, 담티역~황금고가교네거리 정도다.
- 운행 경로 중 편도 운행 구간이 있다.[9]
- 기사 교대는 차고지 건너편의 담티역삼거리(금탑아파트)에서 실시한다.
- 저수요 노선이다. 가장 큰 문제는 202(-1)번과 427번 대비 배차간격이 너무 길고 202(-1)번의 3공단 구간을 이어받지 않아 202(-1)번과 427번을 제대로 대체하지 못한 것이다. 버스운영과는 202(-1)번의 주 수요처인 3공단을 234번에 넘겨주지 않고 서구1(-1)번에 넘겼지만, 문제는 202(-1)번의 3공단 수요는 주로 시내를 오가는 수요가 대부분이었다. 결국 수요 패턴을 무시하고 갖다 붙였던 바람에, 234번과 서구1(-1)번 모두 202(-1)번을 온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저수요 노선들로 전락하였다. 202(-1)번과 427번의 옛 구간이었던 고성로 단독 구간은 수요가 너무 적다. 그나마 캐슬골드파크같은 황금동 아파트 단지에서 명덕로 연선이나 시내를 오가는 수요로 버티고 있지만, 427번에 비해 배차간격이 너무 길다. 결국 이러한 문제들로 2025년 개편으로 폐지되어 실패한 노선으로 남게 되었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34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6년 | 5,336명 | - |
2017년 | 5,068명 | ▽ 268 |
2018년 | 4,313명 | ▽ 755 |
2019년 | 4,738명 | △ 425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3,284명 | ▽ 1,454 |
2022년 | 3,224명 | ▽ 60 |
2023년 | 3,479명 | △ 255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4.2. 노선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34번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황금고가교네거리 04135 | |||||
두리봉터널종점건너 00005 | ↓ | ↑ | 두리봉터널종점 00006 | |||
두리봉터널입구건너 20392 | 두리봉터널입구 20205 | |||||
만촌삼정그린코아건너 20393 | ↓ | ↑ | 만촌삼정그린코아앞 20204 | |||
만촌우방1차건너 00788 | 우방아파트삼거리 00789 | |||||
한도아파트앞 20394 | ↓ | ↑ | 만촌우방1차앞 00790 | |||
대청초등학교앞 00792 | 대청초등학교건너 00793 | |||||
소선여중건너 20200 | ↓ | ↑ | 소선여중앞 02955 | |||
우방금탑아파트(서편) 20201 | 만촌3차화성파크드림건너 00794 | |||||
수성대학교건너 20351 | ↓ | ↑ | 수성대학교앞 20199 | |||
구.남부정류장앞2 20395 | 만촌역서한포레스트앞 20197 | |||||
만촌육교1 20322 | ↓ | ↑ | 만촌육교2 00008 | |||
우방청솔맨션건너 20323 | 우방청솔맨션앞 20340 | |||||
동도중학교건너 20324 | ↓ | ↑ | 동도중학교앞 20339 | |||
국립대구박물관앞 20325 | 국립대구박물관건너 20338 | |||||
경북고등학교건너 20326 | ↓ | ↑ | 경북고등학교앞 20337 | |||
캐슬골드파크4단지앞 20327 | 황금힐스테이트 20330 | |||||
성동초등학교앞 09095 | ↓ | ↑ | 성동초등학교건너 20329 | |||
캐슬골드파크(1102동) 02390 | 캐슬골드파크(1504동) 20193 | |||||
헬로TV대구방송앞 20328 | ↓ | ↑ | 헬로TV대구방송건너 00002 | |||
대구과학고등학교앞 20207 | 대구과학고등학교건너 20159 | |||||
어린이세상앞 00015 | ↓ | ↑ | 어린이세상건너1 20158 | |||
대구고용노동청건너 20208 | 대구고용노동청앞 20157 | |||||
↓ | ↑ | 수성구민운동장건너 00151 | ||||
범어쌍용예가앞 09169 | 범어쌍용예가건너(호텔라온제나) 20302 | |||||
수성3가롯데캐슬앞 20319 | ↓ | ↑ | 수성3가롯데캐슬건너 20301 | |||
수성시장네거리2 20320 | 수성시장네거리1 20300 | |||||
수성롯데캐슬더퍼스트앞 20321 | ↓ | ↑ | 한가람타운앞 20299 | |||
대백프라자앞 20097 | 대백프라자건너 02073 | |||||
대봉성당 20095 | ↓ | ↑ | 대봉교회 20890 | |||
건들바위건너 20073 | 건들바위앞 20077 | |||||
봉산가구골목(동편) 20074 | ↓ | ↑ | 봉산가구골목(서편) 01036 | |||
봉산육거리 20076 | ||||||
삼덕교회 20075 | ↓ | ↑ | 삼덕성당앞 20102 | |||
CGV대구한일건너 20118 | 2.28기념중앙공원앞 20120 | |||||
만경관앞 02228 | ↓ | ↑ | 만경관건너 02237 | |||
종로초등학교앞 00128 | 북성공구골목 20065 | |||||
대구행복기숙사앞 00129 | ↓ | ↑ | 대구역센트럴자이 20051 | |||
고성지구대2 01626 | ||||||
DGB대구은행파크남편앞 20732 | ↓ | ↑ | DGB대구은행파크남편건너 00135 | |||
KT북대구지사앞 00131 | KT북대구지사건너 00134 | |||||
달성초등학교앞 00132 | ↓ | ↑ | 달성초등학교건너 00133 | |||
비원지구대앞 00283 | 비원지구대건너 00282 | |||||
원대시장앞 00284 | ↓ | ↑ | 원대동행정복지센터건너 21224 | |||
원대역1 20803 | ||||||
팔달시장앞 20804 | ↓ | ↑ | 수정맨션앞 21223 | |||
팔달신시장 00276 | 팔달시장역 02131 | |||||
↓ | ↑ | 만평네거리 02557 | ||||
서대구초등학교입구 01237 | 비산7동우체국앞1 02330 | |||||
북부정류장 01737 | ↓ | ↑ | 북부정류장건너 02328 | |||
평리네거리3 00921 | ||||||
평리6동행정복지센터건너 05118 | ↓ | ↑ | 평리6동행정복지센터앞 05119 | |||
서평초등학교건너 05238 | 서평초등학교 05237 | |||||
↓ | ↑ | 서대구역네거리3 05236 | ||||
서대구역(남측)2 04307 | 서대구역(남측)1 04306 | |||||
서대구역네거리1 00924 | ↓ | ↑ | 상리동입구 03646 | |||
달서교하부 공영주차장 04303 | ||||||
상리동입구1 00925 | ↓ | ↑ | 상리동입구2 21219 | |||
상리동종점 03139 | 상리동종점2 21218 | |||||
상리동종점3 21217 | ↓ | ↑ | 상리동종점3 21217 | |||
상리동종점2 21218 | 상리동종점 03139 | |||||
상리동입구2 21219 | ↓ | ↑ | 상리동입구1 00925 | |||
위생처리장2 03874 | 위생처리장1 09222 | |||||
↓ | ↑ | 금호화물자동차공영차고지 09223 | ||||
방천리공영차고지 20989 |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10]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만촌역[11], 담티역[12]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만평역[13], 팔달시장역, 원대역[14], 건들바위역, 대봉교역, 수성시장역, 수성구민운동장역, 어린이세상역, 황금역[15]
- 대경선: 서대구역
- 일반 철도역 : 서대구역(SRT, KTX)
[1] 토요일 13대 / 공휴일 10대 운행[2] 밑줄 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3] 정류소 이름은 헬로TV대구방송[4] 폐지된 두 노선들의 구간을 이어받았으나 선형 다수가 3호선과 상당히 겹치는 점은 여전하고, 202(-1)번의 구간은 가르뱅이~태평네거리까지라 234번은 사실상 427번과 202(-1)번 기점(상리동 → 방천리) 연장판이다.[5] 회차 대기용이었던 미인가 정류소를 정식으로 인가했다.[6] 상리동입구3 정류장은 모종의 사유로 신설이 취소되었다.[7] 다만, 232(-1)번은 서평초삼거리에서 평리네거리로 직진하지 않고 평리5동행정복지센터와 평리광명네거리를 경유한 후에 평리네거리로 간다.[8] 가르뱅이(상리동 종점)에 234번과 서구1(-1)번이 모두 들어가는 건 도저히 어렵다. 그리고 서구1(-1)번도 2016년 3월 21일부터 방천리로 기종점을 이전했다.[9] 수정맨션 편도 구간은 2006년 개편 전에는 903번이, 2015년 개편 전에는 427번이 운행했다.[10] CGV대구한일/2.28기념중앙공원 정류장[11] 만촌육교 정류장[12] 우방금탑아파트/만촌3차화성파크드림 정류장[13] 만평네거리 또는 서대구초등학교입구/비산7동우체국 정류장[14] 방천리 방면 한정. 황금동 방면은 수정맨션 편도 경유로 원대역을 경유하지 않는다.[15] 헬로TV대구방송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