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 323(-1) | |
| 349 | 356 | 401[A] | | 403 | |
405 | 410(-1) | 413 | 425 | 449 | | |
503 | 509 | 518 | 518-1 | | ||
523 | 524 | 527 | 564 | 600[A]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 706 | | 708 | 719 | |
724 | | 726 | 730 | 750 | | |
805 | 808 | 814 | 836 | 840 | | |
849(-1) |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1. 개요
대구광역시 수성구 매호동 시지2차 사월보성아파트후문 건너편2. 노선 정보 (개편 전)
| |||||
| |||||
기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사월동(사월보성아파트) |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 조야동(조야초등학교) | ||
종점행 | 첫차 | [평일] 05:38 / [토요일, 공휴일] 5:35 | 기점행 | 첫차 | [평일, 공휴일] 05:30 / [토요일] 05:34 |
막차 | 22:26 | 막차 | 22:20 | ||
평일배차 | 14분(일 83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9분(일 63회) 토요일: 16분(일 72회) | ||
운수사명 | 세진교통 | 인가대수 | 16대[1] | ||
노선 | 사월동[2] - 덕원고등학교 - 대구스타디움 - 삼덕동[2] -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광역시경찰청 - 들안길 - (대구광역시교육청 →/← 수성시장) - 경북대학교병원 - 칠성시장 - 동대구시장 - 대구시산격청사 - 경상여자고등학교 - 조야동 |
중간 출발 정류소 | |
조야동 방면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 범물1동행정복지센터 |
사월보성아파트 방면 | 수성교, 강남약국평일, 성북교 |
===# 노선 정보 (개편 후) #===
| |||||
기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범물1동행정복지센터) |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 조야동(조야초등학교) | ||
종점행 | 첫차 | 05:35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5분(일 76회) | 주말배차 | 공휴일 : 18분(일 65회) | ||
운수사명 | 세진교통 | 인가대수 | 12대 | ||
노선 | 범물1동행정복지센터 - 대구광역시경찰청 - 들안길 - (→ 대구광역시교육청 →/← 수성시장 ←) - 경북대학교병원 - 칠성시장 - 동대구시장 - 대구시청 산격청사 - 경상여자고등학교 - 조야동 |
중간 출발 정류소 | |
조야동행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 |
범물동행 | 성북교 |
3. 역사
- 2001년 대구스타디움 개장과 함께 주변 교통 연계를 위해 종점을 범물1동주민센터에서 대구스타디움, 시지종점을 거쳐 사월보성아파트로 연장되었다. 이 때 564번도 동일하게 연장되었다. 403번과 564번은 사월보성아파트로 증차 없이 연장되면서 배차간격이 늘어나는 바람에 크게 비난을 받았다.[5]
- 2006년 개편 때 동아백화점수성점~범물1단지~황금아파트~황금네거리 노선을 지산동우체국~대구지방경찰청~두산동주민센터~들안길삼거리 구간으로 돌렸다. 또한 북구 구간 역시 경명여고(조야동 방향)/지하철대구역(사월동 방향)~홈플러스대구점~경대교 구간 대신 강남약국~동대구시장 구간으로 변경되어 칠성시장 안쪽으로는 운행하지 않아서 옛 50번의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동인네거리에서 노원네거리까지는 구 2번, 101(111번)과 동일해졌다.
- 2009년 4월에 1대가 감차되어 724번으로 이동했다.
- 2023년 2월 18일부터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2001년 이후 약 24년만에 범물동으로 재단축됨과 동시에 4대 감차되며, 사월동 - 범물동 구간은 수성6번이 운행하게 될 예정이다.
3.1. 사건사고
- 2015년 4월 26일 오전 8시 18분에 북구 침산3동 무림페이퍼 공장 인근에서 사월동방면으로 가던 한 저상버스가 갑자기 중앙선을 넘어 건너편 인도로 돌진, 가로수와 건물 담벼락을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보행자를 포함하여 6명이 다쳤다. 조사 결과 전날에 기사가 과음한 게 드러났으며, 혈중 알콜농도는 0.048%
4. 특징
- 시지가 종점인 다른 노선들과 달리 사월보성아파트가 종점이다. 이 노선의 단독 구간[6]이며, 사월동 종점은 반시계 방향으로 편도운행한다. 사월동으로 들어올 때는 욱수천로에서 바로 종점으로 오고, 조야동으로 나갈 때는 매호동서아파트, 매호성당을 경유하여 욱수천로로 나간다.
- 시지↔대구 시내 구간을 달구벌대로로 운행하지 않고 유료도로인 범안로를 거쳐 용지역을 경유한다. 신호대기 시간이 많지 않고, 9권역에서 지산범물로 가장 빨리 갈 수 있어 시내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이 몰리는 노선이라 이 구간은 수요가 꽤 많다. 또한 삼덕요금소를 통과하는 단 둘뿐인 노선 중 하나이다.
- 좌회전 신호 문제 때문에 조야동으로 갈 때는 수성시장네거리와 대구광역시교육청을 경유하고, 사월동으로 갈 때는 수성네거리와 수성시장을 경유한다.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대구광역시교육청 쪽 왕복운행이 가능하지만,[7] 노선을 바꿀 생각은 없는 듯. 조야동에서 시내로 갈 때에는 공고네거리 대신 (구)대현육교 옆길(대현로)로 나온다.[8]
- 장기정차지는 조야동이다.
- CNG 충전은 주로 장기정차지와 가까운 상리동에서 많이 하지만, 어떨때는 범물, 동호공영차고지 CNG 충전소에서 하며, 첫 운행 전 동호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한때 조야동(조야로8길)의 길이 좁아 월광수변공원으로 나갈 때에는 조야초등학교(현재 운행경로)를 경유하여 나왔다. 로드뷰에서 ~2011년경 까지 조야로8길 입구에서 옛날에 썼던 일반버스 정류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조야초등학교 근처의 공사로 인해 2015년 9월 18일부터 조야교 - 조야초등학교 - 민원분소/종점 양방향 직통으로 조정됐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 스티커 행선판은 사월보성아파트 ← 칠성시장 → 조야동, 사월보성아파트 - 두산오거리 - 칠성시장 - 조야동 이었다.
- 시지에서 경북대를 다니는 학생의 경우 퇴근시간 하교시 937의 헬게이트를 피할 수 있는 우회노선이기도 하다. 937번 하행선의 경우 퇴근시간에는 코스트코에서부터 입석이 발생하기 때문에 무조건 입석을 해야하는데 403번을 경북대 서문에서 타면 아슬아슬하게 입석을 면하는 경우가 제법 존재한다. 그러나 그만큼 시간이 더 걸린다.[11] 또한 운이 없다면 403번 조차도 입석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매호동의 경북대 통학 셔틀로 활용되며 그 이외 시지지역에서는 대부분 937번을 탄다.
4.1. 일평균 승차량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8,499명 | - |
2015년 | 8,272명 | ▽ 227 |
2016년 | 8,180명 | ▽ 92 |
2017년 | 7,720명 | ▽ 460 |
2018년 | 7,845명 | △ 125 |
2019년 | 6,895명 | ▽ 950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5,318명 | ▽ 1,577 |
2022년 | 5,514명 | △ 196 |
2023년 | 5,952명 | △ 438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4.2. 노선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조야동(종점) 20725 | |||||
조야초등학교건너 03946 | ↓ | ↑ | 조야초등학교앞 01649 | |||
노원네거리(대구은행앞) 00270 | 대구지식산업센터앞 22011 | |||||
↓ | ↑ | 노원네거리(대구은행건너) 00268 | ||||
노원네거리2(오봉새마을금고건너) 20764 | 노원네거리1(오봉새마을금고앞) 20766 | |||||
침산남영타운앞 00560 | ↓ | ↑ | 침산남영타운건너 00297 | |||
경상여자고등학교앞 20765 | 경상여자고등학교건너 20763 | |||||
백사벌네거리1 00253 | ↓ | ↑ | 백사벌네거리2 21731 | |||
무림제지앞1 21742 | 북부상수도사업소 00251 | |||||
침산쌍용예가아파트앞 21743 | ↓ | ↑ | 무림제지건너 21730 | |||
침산화성파크드림앞 20734 | 침산화성파크드림건너 21741 | |||||
성북교1 02122 | ↓ | ↑ | 성북교2 02119 | |||
대구시산격청사건너1 02123 | 대구시산격청사앞 05042 | |||||
대구시산격청사건너2 00241 | ↓ | ↑ | 산격청구맨션앞 21708 | |||
북구선거관리위원회앞 21755 | ||||||
경대교2 02754 | ↓ | ↑ | ||||
대일아파트앞 21751 | 대일아파트건너 21754 | |||||
동대구시장앞 03126 | ↓ | ↑ | 동대구시장건너 21753 | |||
강남약국건너 20713 | 강남약국앞1 20474 | |||||
농협중앙회앞 20714 | ↓ | ↑ | 신암2동우체국 02052 | |||
칠성시장앞1 20715 | 칠성시장건너 20712 | |||||
동인찜갈비골목건너 20106 | ↓ | ↑ | 동인찜갈비골목앞 20101 | |||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20107 | ||||||
경북대학교병원건너 20108 | ↓ | ↑ | 경북대학교병원앞 20100 | |||
방천시장(김광석길)앞 02076 | 방천시장(김광석길)건너 02075 | |||||
수성교1 20129 | ↓ | ↑ | 수성교2 20401 | |||
대구은행역(2번출구) 20130 | 대구은행역(1번출구) 20400 | |||||
이하 편도 운행 구간 | ||||||
동일초등학교앞 20145 | ↓ | ↑ | 대구시교육청앞 20154 | |||
수성시장앞 00045 | 수성시장네거리2 20320 | |||||
이상 편도 운행 구간 | ||||||
무궁화어린이공원입구 20146 | ↓ | ↑ | 무궁화어린이공원입구건너 20246 | |||
황금2동치안센터건너 00049 | 황금2동치안센터앞 20125 | |||||
황금초등학교건너 20147 | ↓ | ↑ | 황금초등학교앞 20245 | |||
들안길네거리2 00451 | 들안길네거리1 20126 | |||||
들안길네거리3 00028 | ↓ | ↑ | 들안길네거리4 00029 | |||
두산동행정복지센터건너 20148 | 두산동행정복지센터앞 20244 | |||||
덕화중학교앞 20149 | ↓ | ↑ | 덕화중학교건너 20243 |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앞 20287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건너 20285 | |||||
수성아트피아앞 20306 | ↓ | ↑ | 수성아트피아건너 20390 | |||
교통연수원건너 20307 | 교통연수원 00352 | |||||
대구경찰청건너 20391 | ↓ | ↑ | 대구경찰청 20389 | |||
지산동서맨션건너 20308 | 지산동서맨션앞 20386 | |||||
지산청구타운건너 20290 | ↓ | ↑ | 지산청구타운앞 20385 | |||
지산한라타운앞 20291 | 지산한라타운건너 20128 | |||||
동아백화점수성점건너 20294 | ↓ | ↑ | 동아백화점수성점앞 02248 | |||
범물청구타운건너 20295 | 범물청구타운앞 20377 | |||||
범물1동행정복지센터앞 20374 | ↓ | ↑ | 범물1동행정복지센터건너 20376 | |||
대덕마을앞 20171 | 대덕마을건너 20170 | |||||
삼덕동1 20162 | ↓ | ↑ | 삼덕동2 20169 | |||
경기장네거리1 20163 | 경기장네거리2 20168 | |||||
대구스타디움앞 20164 | ↓ | ↑ | 대구스타디움건너 20167 | |||
고산정수사업소건너 01506 | ||||||
대구농업마이스터고후문건너 20165 | ↓ | ↑ | 대구농업마이스터고후문앞 20166 | |||
덕원고등학교앞 20358 | 덕원고등학교건너 20357 | |||||
욱수초등학교앞 20407 | ↓ | ↑ | 욱수초등학교건너 20406 | |||
시지중학교 20359 | 시지천마타운앞 20404 | |||||
신매초등학교앞 20408 | ↓ | ↑ | 신매초등학교건너 01699 | |||
신매시장 20360 | ||||||
고산도서관 20355 | ↓ | ↑ | 시지보성아파트앞 20258 | |||
사월보성2차앞 20257 | ||||||
이하 방향별 편도 운행 | ||||||
사월보성2차건너 01677 | ↓ | ↑ | ||||
매호성당건너 01679 | ||||||
↓ | ↑ | 매호동서아파트앞 02695 | ||||
사월동(종점) 01678 |
5. 연계 철도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칠성시장역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사월역[12], 대구은행역, 경대병원역[13]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용지역, 범물역, 지산역[14], 수성못역[15], 수성시장역[16]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간선 | |
지선 | ||
경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급행3 |
순환 | ||
간선 | ||
지선 | ||
출근 | 814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산격캠퍼스 | ||||
정문 동문 | 410-1 | 503 | 937 | 동구2 | |
북구2 | |||||
북문 제2북문 | 급행6[정차] | 300 | 306 | 410-1 | |
523 | 706 | 719 | |||
서문 | 급행6 | 순환2-1 | 300 | 304 | |
306 | 323-1 | 403 | 410-1 | ||
523 | 623 | 706 | 719 | ||
체육관 | 300 | 306 | 323-1 | 410-1 | |
523 | 706 | 719 | |||
쪽문 | 순환2-1 | 306 | 403 | 503 | |
동구2 | |||||
테크노문 | 순환3-1 | 323-1 | 410-1 | 413 | |
719 | 836 | 937 | 북구1 | ||
북구2 | |||||
상주캠퍼스 | |||||
시내버스 | 500번대 | 610번 | |||
시외버스 | 김천 ↔ 안동 | 대구북부 ↔ 점촌 | 동대구 ↔ 점촌 | 청주 ↔ 안동[미정차] | |
[정차] : 북문만 정차, 제2북문 미정차 [미정차] : 상주종합버스터미널 미정차 |
[1] 토요일 14대 / 공휴일 12대 운행[2] 밑줄 친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2] [4] 중구 구간은 구 2번을, 북구 구간은 구 50번과 101번(반대방향 111번)을 대체한다.[5] 당시 배차간격이 12분에서 16분으로 늘어났으나 나중에 2대를 증차하면서 배차간격이 14분으로 좁혀졌다. 564번은 2006년 개편 때 범물1동주민센터로 단축되었다.[6] 이전에는 604번도 운행했지만 2012년 2월 18일에 율하지구로 노선이 조정되었다.[7] 동구1-1번이 들어오면서 동성초교네거리에서 우방궁전맨션 방향으로 좌회전이 가능해졌다.[8] 306번, 북구2번도 이렇게 운행한다. 북구2번은 경북대정문에서 강남약국으로 나갈 때 직진하여 (구)대현육교 옆길로 나오고, 반대로 들어올 때 공고네거리를 경유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지도 어플, 특히 네이버 지도는 북구2번 외에는 공고네거리를 경유하는 것으로 나온다.[9] 대부분 지도 어플에는 대구미술관에서 U턴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10] 수성교, 칠성교, 성북교[11] 937번과 비교하면 훨씬 더 우회하는 노선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시지 - 경북대 구간의 수요는 937번에 많이 밀린다.[12] 시지보성아파트 또는 사월보성2차 정류장[13] 경북대학교병원 또는 방천시장(김광석길) 정류장[14] 지산청구타운 정류장[15]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 정류장[16] 수성시장네거리(조야동방면), 수성시장(사월동방면)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