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 323(-1) | |
| 349 | 356 | 401[A] | | 403 | |
405 | 410(-1) | 413 | 425 | 449 | | |
503 | 509 | 518 | 518-1 | | ||
523 | 524 | 527 | 564 | 600[A]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 706 | | 708 | 719 | |
724 | | 726 | 730 | 750 | | |
805 | 808 | 814 | 836 | 840 | | |
849(-1) |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대명교통 차량 | 동명교통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26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북구 동호동(종점))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대곡주공8단지)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평일] 22:24 / [토요일] 22:23 / [공휴일] 22:25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9분(일 138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0분(일 114회) 토요일: 9분(일 133회) | ||
운수사명 | 대명교통, 동명교통 | 인가대수 | 28대[1][2] | ||
노선 | 북구 동호동(종점) - 근로복지공단대구병원 - 강북중학교[단독] - 칠곡3차화성타운1,3[단독] - 칠곡운암역 - 대구과학대 - 태전역 - 북부정류장 -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광역시교육연수원 - 대구공업대 - 서부정류장 - 상인네거리[5] - 상인남네거리 - 대동시장 - 도원네거리 - 대곡주공8단지 |
중간 출발 정류소 | |
대곡지구 방면 | 중리시장평일, 토요일, 북부정류장공휴일, 대백인터빌평일, 토요일, 대구병원평일, 공휴일, 대구과학대학교평일, 토요일, 강북소방서 |
동호동 방면 | 북부정류장, 중리롯데캐슬, 서부정류장, 대구교통공사 |
중간 종료 정류소 | |
대곡지구 방면 | 없음 |
동호동 방면 | 칠곡경대병원역건너 22:09[평일, 토요일]/22:15[공휴일]~24:05[6] |
2. 개요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7)에서 서구 상중이동 행정복지센터(2)를 거쳐 달서구 대곡동공영차고지(6)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53km.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98년 5월 5일 개편 때 번호가 726번으로 변경되었다. 서부정류장~시청 구간을 버리고 칠곡IC~서부정류장[10]~송현역~상인네거리~상인남네거리~대동시장~도원네거리~대곡주공6단지~대곡지구[11]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크게 변경되었다.
- 2006년 2월 개편 때 단축된 600번과 함께 좌석버스에서 일반버스로 형간 전환했다. 기점도 칠곡IC에서 칠곡3지구로 변경되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 때 대명교통 차량 1대가 빠지고 동명교통에서 1대를 투입했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기점을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동명교통 저상버스 1대가 칠곡4번으로 이동했다. 대신 대명교통에서 609번 출신 차량 1대를 투입했다.
- 2019년 7월부터 동호동 방면 LED 표기가 동호동 방면에서 북구 동호동 방면으로 변경되었는데, 동구 동호지구와 혼동할 여지가 있어서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동호동에 들어가는 타 노선들도 마찬가지로 변경되었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4년 7월 1일부터 410번, 410-1번, 425번, 706번과 더불어 현금 없는 시내버스 시범 사업을 개시한다.
- 2024년 10월 15일, 드디어 이 노선 외에 일부 노선에 초정밀 위치안내서비스가 시범 개시되었다. 다만, 대구광역시 공식 버스정보시스템에서만 서비스가 제공된다.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대구 버스 전체 수요 1위를 자랑하는 노선으로, 가장 큰 수요는 달서구 도원동/본리동,[15] 서구 상중이동/평리동과 같은 도시철도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도시철도 환승 수요이다.
- 도중에 학교가 많아 통학 수요도 많다.[16] 그 외에도 서부정류장과 북부정류장을 연결하는 몇몇 노선들이 2006년 개편 때 모두 폐지되면서 남은 유일한 노선이라 시외버스 이용 수요도 많다.[17][18] 한술 더 떠 대구시청 이전지로 정해진 두류정수장 후적지 앞에도 정류장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 가장 수요가 많고, 모든 구간에서 꾸준하게 이용하는 가축수송 노선이라 꾸준히 증차되었는데, 2006년과 2009년, 2012년 4번의 개편 및 조정을 거치면서 649번을 비롯한 다른 노선에서 운행하던 대명교통 차량을 모두 726번에 증차하면서 초기 인가대수 19대 / 배차간격 11분에서 현재 인가대수 28대 / 배차간격 9분으로 단축되었다.[19]
- 출퇴근 시간대에는 같은 정류소를 동시에 지나거나 한 두 정류소 간격에도 모두 혼잡한 상태로 다니고, 대명교통에서 투입한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의 차체가 내려앉는 사고가 발생했다. 저상버스를 투입하기 힘들 듯했으나 동명교통에서 2017년 1월 21일부터 저상버스를 운행하며, 대명교통에서는 2019년 6월에 저상버스 신차를 투입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과 2015년 노선 개편에도 전체 노선 수요 1위이며,[20] 더군다나 시내 번화가인 약령시, 2.28중앙기념공원 일대를 전혀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다.[21]
- 인가대수와 운행 환경이 여유있는 편이라, 두 업체 모두 정류장 외 승하차를 엄격히 금지한다.
- 동명교통과 대명교통 둘 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아크릴 행선판과는 다른 폰트를 사용한다. 대명교통은 자체 폰트를 적용, 동명교통은 준공영제 이전에 사용한 폰트를 적용했다.
- 향후 대구산업선이나 대구 도시철도 5호선 혹은 대구 도시철도 달서선과 같이 대곡동 방면으로 갈 수 있는 도시철도가 추가로 생길 경우, 수요 타격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버스 중 하나이다.
- 2019년 4월부터 대곡 방면 중간출발[22]과 영진교통 출발 순번은 동명교통이, 칠곡 방면 중간출발[23]과 대곡지구 출발 순번은 대명교통이 고정 분담한다. 문제는 칠곡 출발~대곡 종료와 대곡 출발~칠곡 종료 순번이 압도적으로 많다. 동명교통 차량이 대곡에서, 대명교통 차량이 칠곡에서 종료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24]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북구 동호동 착발 간선노선이다.
- 더 킹 : 영원의 군주 3회에 대명교통 소속 차량이 지나가는 버스로 등장한다.
- 306번, 618번과 더불어 대곡지구에 가는 노선들 중 월곡네거리를 거치지 않는 노선이다. 726번은 월곡네거리를 앞두고 상인남네거리에서 대동시장으로 들어갔다가 대곡으로 내려간다.
-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726번인 노선버스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26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8,083명 | - |
2015년 | 18,853명 | △ 770 |
2016년 | 17,573명 | ▽ 1,280 |
2017년 | 17,957명 | △ 384 |
2018년 | 17,932명 | ▽ 25 |
2019년 | 16,833명 | ▽ 1,099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2,435명 | ▽ 4,398 |
2022년 | 12,379명 | ▽ 56 |
2023년 | 13,246명 | △ 867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서부정류장역, 송현역, 월촌역, 상인역[27]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감삼역[28]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칠곡경대병원역, 칠곡운암역, 태전역, 매천시장역[29], 팔달역[30], 공단역, 만평역
6. 둘러보기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칠곡 |
대구 월배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고령 | 606 |
[1] 대명교통, 동명교통 각각 14대씩 인가.[2] 토요일 27대 운행, 공휴일 23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정차 정류소이다.[단독] [5] 정류소 이름은 상인현대맨션건너[6] 해당 시간대는 북구 동호동 차고지에서 하차 불가능하여 이곳에서 다 하차해야 한다.[7] 구 동신여객 차고지[8] 일반버스 33-1번의 좌석형으로 처음에는 33-1번과 노선이 동일했으나, 이후 만평네거리에서 평리네거리 구간이 지금과 같이 서대구로로 변경되었다.[9] 노선이 흡사했던 33-1번 일반버스는 현재의 750번이다.[10] 다만 1998년 개편 당시에는 성당네거리에서 동본리네거리로 좌회전이 불가능해서 대곡지구 방향 한정으로 서부정류장을 경유했고, 칠곡 방향으로 운행시 송현제림타운과 남부교육지원청을 경유해서 동본리네거리로 운행하였다. 서부정류장을 왕복 경유하기 시작한 것은 1998년 9월 20일부터였다. 참고로 당시에는 삼일호텔네거리(현재 삼일병원네거리)에서 남부교육청 방향으로 좌회전이 가능해서 이 노선과 1998년 5월에 한 달 동안 운행하다 폐선된 624번{대곡지구↔서부정류장(← 관문시장)↔죽전네거리↔서대구공단네거리↔서구청↔북부정류장↔노원네거리↔경상여고↔((대원유치원→경대서문→경대북문→경대정문) ←성북교 ← 동대구시장)↔강남약국↔동인네거리↔대봉교↔명덕네거리↔삼각지네거리↔앞산공원↔수성못오거리↔파동}이 여기서 좌회전했다. 그 당시 665번은 원래 월성지구에서 본리네거리로 좌회전해서 성서로 갔었는데 102번이 506번으로 변경되었고 성서네거리에서 남대구IC~본리네거리가 아닌 성서IC~죽전네거리로 변경되는 바람에 금봉네거리를 경유해야 되는 관계로 인하여 한동안 잠시 대명역으로 우회한적 있다. 이후 2000년대 초 노선버스를 제외한 차량들은 좌회전이 금지되고 노선버스인 726번과 750번은 좌회전이 가능하다.[11] 남도버스 차고지[12] 경신교통 차량은 북구4번으로 바로 이동하지 않고, 서구1번의 저상버스 1대와 맞트레이드했다.[13] 평일 출근 시간대에도 종종 배차되는데, 인가대수가 많아지면서 1대당 혼잡도가 많이 개선된 726번이므로 저상버스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14] 해당 정류장은 상인네거리에서 경북기계공고 방향으로 우회전하는 649, 726번만 정차하며 영남고등학교 방향으로 직진하는 노선들(653번, 706번, 달서1, 3, 4번)은 정차 시킬 경우 교통 체증으로 인한 교차로 통과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무정차 통과한다.[15] 월성동은 306번과 356번이 커버한다.[16] 초등학교를 제외한 중학교로는 대구체육중, 강북중, 동평중, 관천중, 매천중, 팔달중, 서대구중, 중리중, 서남중, 원화중, 경암중, 성당중, 새본리중, 대서중, 영남중, 대곡중이 있으며 고등학교로는 대구체육고, 운암고, 매천고, 구암고, 경덕여고, 대구과학기술고, 원화여고, 경화여고, 제일여상, 경북기계공고, 영남고, 상원고, 대곡고가 있고, 대학교로는 대구보건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경운대학교 대구교육관, 한국폴리텍Ⅵ 대구캠퍼스, 대구공업대학교가 있다. 급행7번이 신설되기 전에는 칠곡지구에서 계명대학교, 계명문화대학에 가기 위해 급행1번, 405번, 425번, 2호선 등으로 환승하기 위해 타는 수요도 있었다.[17] 주로 서부정류장에 도착하는 노선(합천, 고령, 거창 등) 승객이 북부정류장에서 출발하는 노선(안동, 영주, 원주 등)으로 환승하는 경우(또는 그 반대의 경우)가 대다수다.[18] 참고로 대구 택시를 탈때 서대구터미널로 가주세요 하다 서대구고속터미널로 혹여나 잘못 내렸을 경우 서부정류장으로 갈때 유용한 노선이다. 750번도 가기는 하나 북비산네거리, 금봉네거리를 경유하다 보니 굴곡구간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19] 그리고 2015년에 급행8번이 생겼고, 급속도로 증가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726번보다 더 많은 차량(11대)를 빠르게 증차했다.[20] 차량 1대당 혼잡도는 많이 줄어들었다. 차량 28대를 다 합친 승객 수가 많아서 여전히 1위인 것.[21] 527번, 814번, 937번은 도심을 거치지 않지만, 계명대학교,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를 비롯한 번화가와 범물동, 칠곡지구를 비롯한 주거지역을 연계하기 때문에 수요가 많다. 도심을 거치는 노선은 정시성이 우수한 도시철도 수요에 많이 흡수되면서 조금씩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22] 중리시장, 대백인터빌, 대구병원, 대구과학대, 칠곡그린빌2차[23] 북부정류장, 중리롯데캐슬, 서부정류장, 도시철도건설본부[24] 156번도 2023년 하반기부터 726번과 같은 이유로, 출발 지점을 기준으로 고정 순번을 두고 운행한다.[25] 現 한국폴리텍VI대구대학이다.[26] 또는 감삼네거리[27] 대곡방면은 상인현대맨션 정류장[28]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 또는 서대구세무서(칠곡방면) 정류장[29] 농수산물도매시장 정류장[30] 대백인터빌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