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7:47:35

대구 도시철도 5호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초기 대구 도시철도 계획에서 계획되었던 노선에 대한 내용은 대구 도시철도 5호선(구 계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경전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AGT
철제 차륜
부산김해경전철 인천 2호선 우이신설선
{{{#!wiki style="margin: -16px -11px"
김포 골드라인 동북선 }}}
대구 4호선 대구 5호선
면목선
고무 차륜
부산 4호선 신림선
부산 5호선 광주 2호선
<colbgcolor=#6f606e,#9f909e> 모노레일
대구 3호선
LIM
용인 에버라인
노면전차
(트램)
대전 2호선 위례선 수원 1호선
주안송도선 송도트램 영종트램
부평연안부두선 제물포연안부두선 인천 3호선
오륙도선 C-BAY-Park선 울산 1호선
울산 2호선 울산 3호선 울산 4호선
성남 1호선 성남 2호선
창원 1호선 창원 2호선 창원 3호선
김해 1호선 김해 2호선 김해 3호선
속초 1호선 속초 2호선 속초 3호선
국토교통부의 차종 형식승인을 기준으로 함 (2017년 9월 5일 발표)
경기도 트램추진 발표 참고(2016년 11월 30일 발표)
취소선: 미개통 노선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파일:경상북도 휘장.svg 대구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style="margin:-5px -1px -11px"
건설·시운전 중인 노선 착공 확정 및 설계 중인 노선
4호선 대구산업선
추진 중인 노선
{{{#!wikistyle="margin:-16px -11px;"
5호선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333> 파일:Daegu5.svg대구 도시철도 5호선
大邱 都市鐵道 五號線
Daegu Metro Line 5
}}}
노선 정보
노선 분류 도시철도
차량 분류 경전철(철제차륜형 AGT)
기/종점
역 수
구성 노선 대구 도시철도 5호선
개업일 2033년
소유자 대구광역시
운영자 대구교통공사
사용차량 대구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약 36km
궤간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신호방식
최고속도
표정속도
지상 구간
통행 방향 우측통행
개통 연혁 2033. ??. ??. 전구간

1. 개요2. 차량3. 연혁4. 역 목록5. 역할6. 문제점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구 도시철도의 5번째 노선. 색상은 연두색.

'순환선' 형태의 노선은 1990년대 계획에서는 4호선, 2000년대 구상에서는 5호선, 2010년대 계획에서는 '순환선'으로 불렸다가 2023년에 5호선으로 확정되었다.

2. 차량

3. 연혁

파일:20171018_053013.jpg
파일:external/frdb.dothome.co.kr/3113.jpg
파일:대구광역시 제2차 대중교통기본계획.gif
파일:daegu metro plan.jpg
파일:대구순환선brt.png 파일:대구순환선brt2.png
2013 ~ 2020 계획 2018 ~ 2027 계획

파일:대구도시철도 순환선.png
파일:대구순환선공청회노선도.png

4. 역 목록

원래 3차 순환선을 따라가는 노선으로 계획됐지만 홍준표 시장이 '더 큰 순환선'으로 계획을 바꾸면서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노선 경로와 역 위치, 역명을 알 수 없다.

2023년 3월 대구시 긴급브리핑의 내용에 따르면 노선의 일부는 불가피하게 지하화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까지 나온 정보로는 서대구역, 두류공원, 군부대[6] 후적지, 대구스카이시티, 캠프워커, 대구종합유통단지 등을 통과하는 순환선이라는 정도다. 그리고 신서혁신도시를 통과하는 방안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서대구역 西大邱驛 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대구권 광역철도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파일:대구신공항철도아이콘.svg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서구 대구광역시

5. 역할

서대구역의 접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심에만 환승역이 몰려 있는 대구 도시철도 노선들을 연결하여 도시철도간의 연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구 경계에만 역이 있어서 도시철도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 하는 서구의 대중교통 음영지역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예전 순환선의 안대로 개통할 경우 기존 대구 3차 순환도로를 따라 운행하고 노선 중복도가 높은 순환3(-1)번은 폐선될 가능성이 매우 컸다. 어떻게 변경될진 모르겠으나 지금으로서는 순환3번의 건재는 확실해보인다.

6. 문제점

현재 5호선에게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수요 부족이다. 특히 대구시청 신청사, 침산동, 경북대학교를 모두 1km 남짓한 거리로 비껴가는 것이 뼈아픈 부분. 고가 AGT 경전철을 기준으로 대구시가 추산한 순환선의 B/C(비용편익비)가 1을 못 넘긴다는 점(0.76)만으로도 설정된 순환선의 수요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7][8]#

7.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 계획은 대구권 광역철도로 일정 부분 계승된다.[2] 고령군 다산면이 성주군으로, 평리네거리가 중리네거리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3] 2021년 공청회에서 다시 캠프워커 부지 터널통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4] 여기서 검토된 후보 노선은 하단 문단 참조.[5] 공단역~와룡로 경유-죽전역~상인역[6] 제2작전사령부, 공군방공포병학교,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7] 출처 : 2018년 7월 대구광역시 중장기 도시철도망 공청회에서 공개된 자료. 대구광역시가 자체적으로 산정한 B/C값이 저 지경이면 실제 기획재정부에서 하는 B/C값 산정이나 AHP 평가는 더욱 나쁠 가능성이 크다.[8] 다만 현재와 달리 대구스카이시티서대구역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9] 다만 서대구역 인근 지역을 신규 개통되는 대구산업선이 커버하고, 횡방향 이동 역시 대구권 광역철도 환승역 신설로 커버할 수 있기에 이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것이 과제가 될 것이다.[10] 재미있는 것은 대구광역시의 경우 한때 조선의 모스크바로 불렸던 아이러니한 과거가 있다. 물론 도시 구조 때문에 그리 불렸던 것은 아니고, 당대 대구에 좌익 운동이 활발하였기 때문에 나온 별명으로써 그 맥락이 다르긴 했다. 그 당시 평양은 반대로 조선의 예루살렘으로 기독교 세가 강했으나 남북분단으로 인해 정반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