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15:20:09

캠프 워커

캠프워커에서 넘어옴
파일:주한미군 마크.svg 캠프 워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공항 파일:공항 픽토그램.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중추공항 인천
거점공항 김포(서울) · 제주 · 김해(부산) · 대구 · 청주 · 무안[1]
일반공항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사천 · 군산 · 원주(횡성)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 광명역
사설·기타 비행장 울진 · 정석 · 태안 · 수색 · 잠실 헬리패드
군 전용공항 서울(성남) · 수원 · 오산 · 평택 · 이천 · 계룡 · 충주 · 예천 · 강릉 · 속초 · 전주 · 목포 · 진해 · 캠프 워커 · 현리(인제)
공사 중인 공항 울릉
착공예정 공항 가덕도(부산) · 대구경북 · 흑산 · 제주2 · 새만금(군산) · 백령
추진 중인 공항 경기남부(화성) · 포천 · 서산
폐쇄된 공항 여의도 · 수영 · 알뜨르 · 춘천 · 전주(송천동) · 충주(목행동) · 코엑스(도심공항)
군(軍)공항: ■ 육군, ■ 해군, ■ 공군, ■ 주한미군

[1]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인한 2025년 4월 18일 까지 운항중단.
}}}}}}}}} ||


파일:주한미군 마크.svg 주한미군군사기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용산기지■ROK
USAG YONGSAN
캠프 험프리스■ROK
CAMP HUMPHREYS
오산공군기지■ROK
OSAN AIR BASE
군산공군기지■ROK
KUNSAN AIR BASE
캠프 캐롤
CAMP CARROLL
캠프 워커&헨리
CAMP WALKER
캠프 케이시
CAMP CASEY
캠프 호비
CAMP HOVEY
캠프 무적
CAMP MUJUK
K-16■ROK
K-16 AIR BASE
부산 해군기지■ROK
BUSAN NAVAL BASE
진해 해군기지■ROK
CFA CHINHAE1
대구 공군기지■ROK
DAEGU AIR BASE
수원 공군기지■ROK
SUWON AIR BASE
광주 공군기지■ROK
GWANGJU AIR BASE
청주 공군기지■ROK
CHUNGJU AIR BAS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폐쇄 / 반환된 기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폐쇄된 기지[1]캠프 레드 클라우드 | 캠프 스탠리 | 캠프 그리브스 | 캠프 잭슨 | 캠프 마켓 | 캠프 모스 | 캠프 킴 | 캠프 님블 | 캠프 하텔하우스 | 캠프 에드워드 | 캠프 이글
반환된 기지서빙고 기지 | 캠프 롱 | 캠프 하야리야 | 캠프 페이지 | 캠프 캐슬 | 캠프 라과디아 | 캠프 시어스 | 캠프 카일 | 캠프 폴링 워터 | 캠프 머서 | 캠프 게리오웬 | 캠프 에세이욘 | 캠프 자이언트 | 찰리블럭 | 캠프 키티호크 | 캠프 스텐튼 | 캠프 펠햄 | 캠프 하워즈 | 캠프 카이저 | 캠프 콜번 | 캠프 싯먼 | 캠프 그레이 | 캠프 에임스 | 파평산 관제소 | 캠프 브루클린 힐 | 캠프 이즈벨 | 캠프 살렘 | 수영 비행장 | 캠프 하우스 | 캠프 맥냅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기지 및 벙커, 관제소 등은 군사보안상 제외함.
}}}}}}}}} ||
대한민국 국군과 공동주둔: ■ ROK
1: COMMANDER FLEET ACTIVITIES CHINHAE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olor: #fff; min-width: 50%"
{{{#!folding [ 최초 14개 광장 ]
{{{#!wiki style="margin:-6px -1px 5px"
<rowcolor=#fff>
번호
지명
도로
소재지
1 파일:Daegu1.svg 파일:Daegu2.svg 반월당
2 캠프 워커 - 중앙대로 - 대덕로
3 본리네거리 - 구마로 - 와룡로
4 불로삼거리 -
5
체육관삼거리
- 연암로 - 대구체육관로
6
7 서대구로 - 두류공원로 - 달구벌대로
8
9 달서로 - 침산남로 - 옥산로 - 오봉로 - 팔달로
10
대구역네거리
11
대구역북측교차로
12
와룡로 - 북비산로
13
달서천로
14
- 성서공단로 - 성서로
}}}}}}}}}
[ 그외 광장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08837><rowcolor=#fff>
번호
|| 지명 ||
|| 도로 ||
소재지
||
13
동대구로 - 동부로
17
금호JC -
19
죽전네거리 와룡로 - 달구벌대로
20
파군재IC - 대구외곽선 - 동화천로 - 이시강변로
23
북대구IC -
24
신당네거리
25
성서IC -
26
연호네거리 범안로 - 달구벌대로
27
화원옥포IC -
28
유천네거리 달서대로 - 상화로 - 월배로 - 비슬로
29
달성IC - 중부내륙지선 - 논공중앙로 - 옥포로 - 논공로
30
동대구IC - 중앙선 - 화랑로
31
수성IC - 중앙선 - 월드컵로
32
서변IC - 대구외곽선 - 호국로
33
용계삼거리 동촌로
41
다사IC -
||
<colbgcolor=#003399> 캠프 워커
CAMP WALKER
파일:3568654511_d4eceb8ea2_o.jpg
위치 대구광역시 남구
주둔부대 미국 육군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4지역대
공항 코드
IATA 없음
ICAO RKTG
K-Site K-37
소유 기관
미국 육군
운영 기관
미국 육군

1. 개요2. 부대 내 편의 시설들3. 기타4. 주변 지역5. 사건사고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에 있는 주한미군 미국 육군의 기지. 육군 기지지만 1,400m의 길이의 활주로관제탑, 격납고 등이 있고, ICAO 공항코드도 부여받았다.

이 정도 활주로 길이라면 경비행기뿐만 아니라 C-130이 충분히 이착륙할 수 있는 수준이다. 1970년대 초반까지는 사용되었으나 그 이후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무슨 이유 때문이었는지는 모르겠으나 현재 대구국제공항 RWY 13(칠곡방향) 착륙의 경우처럼 비행장 동쪽 수성구 황금동의 두리봉과 무학산, 범어공원이 착륙 항로상 비행장애물로 작용했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

당시 비행경로가 어땠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당시 통상적 이착륙 방향이 동(경산방향) → 서(성서방향)였다는 제보가 있는만큼 경산시 서부동 상공에서 파이널턴 후 두리봉과 황금동, 신천을 지나 착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니면 현재 어린이회관이 있는 황금동 상공에서 김해국제공항 18R이나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 등처럼 엄청난 서클링을 했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리고 1950년대만 하더라도 지금보다 부대 규모가 더 컸으며, 현재 남구 대명9동 현충로역 인근의 광덕시장이 있는 자리에도 격납고 및 주기장이 있었고, 이곳에서 현재 부대 후문이 있는 서편 활주로 끝부분까지 이어지는 유도로도 있었다. #[1]

인근에 있는 캠프 헨리와 함께 일제 강점기였던 1921년에 건설된 부대로, 일본군에 의해 비행장[2], 탄약고 등으로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한민국 국군주한미군이 인수했다.

정부 수립 이후에는 대한민국 공군이 사용하였으며, 공군 창설 당시부터 1955년 1월 10일까지는 이 곳에 대한민국 공군본부가 주둔했었고, 부활호의 비행도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미군이 주둔한 것은 1959년부터다. 1960년부터 1986년까지는 중앙항로관제소가 이 곳에 위치했던 적도 있었다.

기지 명칭은 1950년 12월 23일 당시 교통사고로 순직한 미8군 및 국제연합사령부 지상군 사령관이었던 월튼 워커 중장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참고로 주한미군 후방 재배치가 완료된다면 캠프 워커가 소속되어 있는 USAG Daegu(Area IV)[3]경기도 평택시오산 공군기지, 캠프 험프리스와 더불어 주한미군 양대 허브가 될 것이다.

대구 소재 미군부대(캠프 워커·헨리·조지) 면적은 96만㎡(29만평) 정도다.

2. 부대 내 편의 시설들

부대 서편에는 9홀 규모의 에버그린 골프장이 있다. 1960년대 초반에 조성되었으며, 이 곳에 주한미군 뿐만 아니라 대구 지역에서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자주 찾기도 한다. 문제는 골프장이 주택가 바로 옆에 있다보니 날아온 골프공에 담벼락에 주차된 자동차의 유리창이 부서지거나 길가던 사람이 골프공에 맞는 일들도 왕왕 있다.

위 골프장이 이름을 따온 에버그린 레스토랑이 있다. 평일과 토요일에는 미국식 카페테리아, 일요일에는 뷔페를 제공한다. 서브웨이, 버거킹, 스타벅스, 타코벨 등이 입점해 있으며 심지어 술을 파는 바(bar)도 있다. Area IV 지역을 커버구역으로 하는 AFN Korea의 대구지국도 이 곳에 있다.

단 캠프 헨리와는 달리 국군 PX가 없으며, DFAC도 뷔페식으로 되어 있는 다른 곳과 다르게 투고(To-go) 도시락통에 미리 담겨져 있는걸 주며, 맛이 없다. 거기에 저녁 시간에는 문을 안 연다. 덕분에 카투사 스낵바가 인기가 많다.

3. 기타

4. 주변 지역

캠프 워커가 대구 중심지인 동성로반월당과 매우 가깝다보니 주변 지역에 미군을 상대로 하는 상권은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그렇지만 미군 기지는 대구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는데, 교동시장, 방천시장이 미군 PX에서 팔던 물건을 판매하면서 성장했다. 그리고 프라이드 치킨이 캠프워커를 통해 유입되었고, 이를 응용한 것이 한국식 치킨양념치킨이다. 그리고 남구 봉덕동 주변에 미국 요리, 멕시코 요리 전문점, 재즈 , 햄버거 전문점이 있다.

캠프 워커 인근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현충로역 인근에 원룸들이 많이 지어졌는데 이들은 영외 거주가 가능한 미군 영외자들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부대 인근뿐만 아니라 부대와 비교적 가까운 수성구 두산동의 수성 SK리더스뷰대우 트럼프월드 수성 등도 여기에 해당된다. 다만 저 두 아파트는 대구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비싼 아파트라 미군들도 영관급이나 원사이상의 고위 간부들만 오고 대다수의 미군들은 남구 주변의 싼 빌라나 아파트를 렌트하는 경우가 더많다.

5. 사건사고

2020년 2월 20일, 신천지 대구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 사태로 인해 대구에서 신종코로나(코로나19) 확진자가 집단 발생함에 따라 기지가 잠정 폐쇄되고 필수 임무와 공무 목적이 아닌 방문객의 기지 출입이 금지되었다.#

2021년 반환 예정인 미군기지 12곳 가운데 하나인 대구 캠프워커 부지에서 토양과 지하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환경 평가 보고서를 입수해 봤더니 기준치를 10배 초과한 발암물질은 물론 고엽제 성분인 다이옥신까지 나왔다. 환경부가 반환 부지 180여 개 지점의 시료 990여 개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40여 개 지점에서 1급 발암 물질인 비소가 기준치를 초과했고, 최대 농도가 기준치의 14배가 넘는 곳도 있었다. 이에 대해 주한미군 측은 캠프워커 내 환경 평가에 대한 별도의 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1] 만약 캠프 워커 비행장이 이 당시 규모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면 울산공항, 여수공항, 포항경주공항 등 중소형급 공항과 맞먹는 규모를 자랑했을 것이다.[2] 1936년 동촌비행장이 건설되기 이전에는 대구비행장하면 이 곳을 지칭했다고 한다. 동촌비행장은 현재 대구국제공항.[3] 캠프 워커, 캠프 헨리, 캠프 조지, 캠프 캐롤, 캠프 무적(해병대), 부두 등이 있다. 참고로 미국 공군이 주둔중인 대구국제공항은 Area V에 속한다.[4] UH-60L/M 기본형, UH-60Q MEDEVAC(노랑색 줄에 적십자 마크), EH-60(주한미군에 배치된 적이 있었다.), 공군의 MH-60G(공중급유 프로브 장착), 해군의 SH-60 등. 또한 대한민국 국군의 UH-60들도 이착륙했다. 여담으로 1990년대 중반까지는 UH-60A도 배치되어 있었으며,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는 UH-1H이 배치되어 있었고, 그 이전에는 단발 고정익기인 U-6과 쌍발기인 C-12 그리고 H-23이 배치되어 있었다.[5] 양준혁이 현역시절 지인으로부터 받은 미군부대 출입증을 이용해 부대식당에서 스테이크를 즐겨 먹었다는 일화가 있다.#[6] 한국 시각 기준으로는 4월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