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9:27:31

칠곡 버스 300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에 대한 내용은 대구 버스 30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db14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칠곡군 CI_White.svg
}}}
{{{#!wiki style="color:#0db14b;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db14b><colcolor=#fff> 칠곡 군내
성주ㆍ문양역 방면
대구 방면
마을버스
지천면 마을버스
기산면 마을버스
문서가 없는 노선은 칠곡군 농어촌버스 참고.
}}}}}}}}} ||
파일:칠곡300.jpg

1. 노선 정보2. 개요3. 특징4. 시간표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칠곡군 CI_White.svg 칠곡군 농어촌버스 3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칠곡 300 노선도.png
기점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북부정류장) 종점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가산2리,한뜸)
종점행 첫차 08:40 기점행 첫차 07:00
막차 19:30 막차 17:40
배차간격 1일 4회
운수사명 경일교통 인가대수 2대[1][2]
노선 북부정류장 -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공단역 - 태전역 - 대구과학대학교 - 대구칠곡초등학교 - 동명교통 - 가산리 - 학명리 - 다부동전적기념관 - 금화리 - 천평리 - 석우리 - 고곡리(군위군) - 매곡리[3] (군위군) - 용수리 - 응추리 - 가산1리(북창) - 가산2리,한뜸

2. 개요

대구 북부정류장을 출발하여 동명교통을 거쳐 경북 칠곡군 가산면 가산2리 한뜸을 잇는 농어촌버스 노선이다. 왕복 운행 거리는 92.7km.

3. 특징

4.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칠곡간 시내·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노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368846> 1권역 101 · 101-1
2권역 250-2
5권역 성서2 7 9 20 27
50 · 50-1 250
7권역 급행3 급행9 급행9-1 급행9-2 급행9-3
527 730 칠곡2 칠곡3 팔공3
38 200 250 250-1 300
군위-용수
龜: 구미시 진입 노선. 軍: 군위군 진입 및 경유 노선. 星: 성주군 진입 노선.
초록색 : 칠곡군 농어촌버스. / 연두색 : 성주군 농어촌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타 지역 간 시내버스 · 파일:칠곡군 CI.svg 칠곡-타 지역 간 시내버스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칠곡
}}}}}}}}} ||




[1] 8일 간격으로 250번에서 운행하는 차량들이 돌아가면서 운행한다. 2대인 이유는 전날 가산리에서 숙박한 차량이 오전 300번 운행을 맡게 되고, 오전에 250번을 하던 차량이 오후 300번 운행을 맡기 때문.[2] 예전에는 성주 출발 노선이 전담해왔으나 성주-서문시장 단축 노선 생긴 이후 오전에 왜관 출발 250번을 운행하던 차량이 모두 오후에 300번을 일부 전담하고 가산리에서 주박[3] 같은 지역인 대구광역시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와 다른 지역이다.[4] 그나마 이 고갯길도 2017년에 포장되고 확장되었다. 2017년까지 금화휴양림부터 가산리까지 비포장이었다.[5] 요금을 아끼려면 '청수송어장낚시터'에서 환승하는 것이 좋다.[6] 단, 군위군으로 가면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이 그대로 타절된다(예를 들어 구미에서 천평 가는 버스를 타 천평에 내려 300번으로 갈아타 군위까지 가는 등.)[7] 대구 버스 급행9, 대구 버스 급행9-1. 다만 이 노선들은 대구북부 ↔ 지보, 대구북부 ↔ 춘산 시외버스와 달리 경북대로가 아닌 팔공산터널로 간다.[8] 단, 300번은 석우리를 거쳐 용수리 쪽으로 바로 가기 때문에 송학리(하판)는 경유하지 않는다. 심곡리 역시 경유하지 않는다. 애초에 심곡리는 구미시 장천면 방면에 있다.[9] 북부정류장에서 조금만 더 가면 대구 시내다.[10] 군위군 소속 고곡, 매곡리 포함[11] 대구행은 대구칠곡초등학교, 가산행은 시경계(동명면 봉암리) 이후부터 시계외요금이 붙는다. 전 구간 이용시 2,400원.[12] 학령인구가 줄어든 것도 있지만, 시간대가 맞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크다. 학생들 입장에서 그나마 이용 가능성이 높은 시간대가 하교시간대에 걸리는 북부정류장 행 17시 40분 버스인데 얻어걸리지 않는 한 이 노선을 이용할 이유는 없다. 설령 걸리더라도 대구 버스에 비해 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대부분은 대구 버스를 탄다.[13] 200번의 경우 소형버스나 중형버스가 운행하므로 다소 혼잡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