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12:51:05

대구 버스 급행2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d8202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영진2363.jpg
파일:성보교통 급행2.jpg
영진교통 차량 성보교통 차량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_급행2_노선도.jpg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가창초교) 종점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동(북구 동호동(종점))
종점
첫차 05:30 기점
첫차 05:30
막차 [평일] 22:30 / [토요일] 22:23 / [공휴일] 22:19 막차 22:30
평일배차 10분(일 119회) 주말배차 공휴일: 12분(일 94회)
토요일: 10분(일 115회)
운수사명 성보교통, 영진교통 인가대수 22대[1][2]
노선 가창초교 - 가창면행정복지센터 - 수성못오거리 - 수성구보건소 - 대구은행역 - 약령시 - 대구시산격청사 - 산격1동 행정복지센터[3] - 무태조야동 행정복지센터 - 북구구민운동장 - 운암초교 - 근로복지공단대구병원 - (← 칠곡경대병원후문 / 50보병사단입구 →) - 북구 동호동(종점)
중간 출발 정류소
대일리 방면 동서변리벤빌
동호동 방면 2호선반월당역

2. 개요

달성군 가창면 대일리(4)에서 북구 산격동 대구시산격청사(3)를 거쳐 북구 동호동 영진교통 차고지(7)까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1.4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2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9,246명 -
2015년 8,595명 ▽ 651
2016년 8,936명 △ 341
2017년 8,440명 ▽ 496
2018년 7,386명 ▽ 1,054
2019년 7,892명 △ 506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6,102명 ▽ 1,790
2022년 6,259명 △ 157
2023년 7,021명 △ 762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2025년 저상버스 예외 승인 노선 없음
저상버스 도입 예정 노선(2024년 이후 순차적 대폐차)
[[좌석버스|
좌석형
]] · · · · · ·
[[입석|
입석형
]] · · · · · ·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칠곡
}}}}}} ||



[1] 성보교통 9대 / 영진교통 13대[2] 토요일 21대 / 공휴일 17대 운행[3] 정류소명은 산격주공아파트[4] 1984년 고정배차 시절 10번 노선은 현대교통, 일신교통, 세운버스(1988년 즈음 10번에서 철수)에서 운행했다. 이 중 일신교통(현 영진교통)은 현재에도 급행2번을 운행 중이다. 당시 종점도 가창교 옆에 있었던 일신교통/현대교통 차고지였다.[5] 정대리에 일부 지원운행. 나중에 구 204번의 봉덕시장 분리구간을 없애고 대백프라자 구간으로 통합하면서 439번에 우록리와 단산리 지원운행도 추가했다.[6] 정대리로 갔을 적에는 헐티재 너머 청도군 각북면까지 편법으로 승객이 요청하면 거기까지 가서 하차해 주고 돌아온 적이 있었다고 한다.[7]937번의 단독 구간이다.[8] 동신초교에서 동대구초교 삼거리 진입 후 사월동방면은 동양맨션 건너편과 평화시장(궁전라벤더) 경유 동대구역행, 파동방면은 동대구역 출발 후 파티마삼거리에서 U턴하여 동대구역지하도(동대구역 수화물취급소, 신암남로)를 거쳐 동대구초교와 동신초교로 다녔다.[9] 현재의 동구1(-1)번이 다니는 구간이다.[10] 일단 사월동 - 파동 구간은 449번이 있다.[11] 이 노선은 가창2번으로 분리되었고, 아침 출발 첫차와 야간 종착 막차만 운행했다. 세왕교통이 우록리로 들어가는 입구에 신축한 삼산리차고지로 405번을 연장한 후 폐선되었다.[12] 현재는 가창 방면 한정으로 정류소 이름은 수성동일하이빌정문으로 변경되었다.[13] 2호선 반월당역 환승 수요도 꽤 많다. 무태나 산격1동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려면 급행2번이 가장 좋은 선택지이기 때문. 다른 노선들은 굴곡도가 매우 높다.[14] 2006년 개편 직후 칠곡, 무태에서 706번에 밀려 수요가 많지 않았던 것과 유사하다. 704번은 칠곡 수요도 많았고 이 때문에 꾸준히 증차되어 배차간격이 짧았고, 저상버스를 투입하지 못했다.[15] 시내~파동/가창 구간을 이용하기 위해 가창2번을 타는 승객은 별로 없다.[16] 시내 중심가 구간이 편도 운행 구간이라 어르신들이 대구역에서 가창 가냐고 기사들에게 물어보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칠성고가도로가 기점이므로 대구역에서 가창 방면으로 가려면 전철이나 101-1번, 401번, 618번, 708번, 808번, 980번을 타고 칠성시장으로 이동한 후 환승해야 한다.[17] 2015년 개편 초기 급행5번518번에 승객이 뒤쳐저 많이 까였던 상황과 비슷하다.[18] 북구1번도 얼핏 보기에는 서구를 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검단동 방향의 공단역 ~ 만평네거리 구간이 서구 비산7동 소재다. 그리고 2015년 개편 이전에 전담한 708번의 경우에는 대구대 방향의 공단역(상신삼거리) ~ 고성아파트서편 구간이 서구 비산동/원대동 소재다.[19] 참고로 성보교통은 물론 영진교통도 과거 차고지가 가창/파동 쪽이라, 과거에는 지금과는 정반대로 칠곡에서 가창까지의 공차회송 거리가 만만치 않았다. 물론 마찬가지로 신천대로가 있어서 빨랐겠지만.[20] 기종점이 반대인 경우도 있었으며 칠곡경대병원 연장 후에는 칠곡3지구에서 학정동으로 바뀌었다.[21] 경상감영공원 정류장 하차 후 환승 혹은 도보로 대구역지하상가를 통해 이동.[22] 경북대학교치과병원/경대사대부설고등학교 정류장[23] 경상감영공원 정류장 하차 후 환승 혹은 도보로 대구역 지하상가를 통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