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9:32:49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1998년 개편 2006년 개편 2015년 개편 2025년 개편

1. 개요2. 개편 실시 전 정보
2.1. 개편 실시 전 평가
3. 개편 내용
3.1. 요약3.2. 상세
3.2.1. 폐지3.2.2. 신설3.2.3. 기종점 변경3.2.4. 경유지 조정3.2.5. 형간전환3.2.6. 번호변경3.2.7. 배차조정3.2.8. 업체배분
4. 개편 이후 현황
4.1. 긍정적 사례4.2. 부정적 사례4.3. 후속 개편
5. 기타

안내 홈페이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개편일까지
D[dday(2025-02-24)]

1. 개요

2025년 2월 24일에 실시될 예정인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개편이다.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 구미~경산간 대경선 개통, 안심-하양 복선전철 개통, 대구권 광역환승제 시행, 신규 택지지구 개발에 따른 대중교통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약 10년만에 실시하는 대개편이다.[1]

2. 개편 실시 전 정보

2.1. 개편 실시 전 평가

3. 개편 내용

3.1. 요약

개편안 비교
개편 전 개편 안(최종)
노선수 직행 - 2개 +2
급행 11개 12개 +1
순환 4개 4개 -
간선 57개 57개 -
지선 50개 52개 +2
122개 127개 +5
운행대수 직행 - 17대 + 17
급행 151대 137대 -14
순환 54대 54대 -
간선 1,028대 1,015대 -13
지선 333대 343대 +10
1,566대 1,566대 0대

3.2. 상세

노선안내의 지명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의 표를 준용합니다.
굵은 글씨는 시내버스 신규공급 구간입니다.
밑줄 친 글씨는 더 이상 대구시내버스가 경유하지 않는 구간입니다.

3.2.1. 폐지

폐지
번호 유형 대체노선 비고
<colbgcolor=#FFA2A2,#810000> 급행4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급행8, 급행8-1[14], 655[15], 665(구 600)[16]
234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3호선[17], 232(-1)[18], 240[19], 309[20], 349[21], 504[22], 520[23], 남구2[24], 동구1(-1)[25], 수성5[26], 100(경산)[27], 100-1(경산)[28] 가르뱅이(상리동) 구간은 남구2, 232(-1)[구 323(-1)]로 대체
449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2호선[29], 급행10[30], 309[31], 349[32], 509[33], 649[34], 894[35], 수성5[36], 100(경산)[37], 100-1(경산)[38]
518-1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1호선[39], 급행5[40], 708[41], 802, 814[42], 894, 809(경산)[43], 818(경산), 818-1(경산), 55(영천), 555(영천)
750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527[44], 724[45], 726[46], 남구1(-1)[47], 남구2[48], 북구7[49]
849-1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708, 802, 814, 848[50], 55, 555[51] 순환노선에서 일반 간선노선으로의 변경에 따른 통폐합
909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2호선[52], 대경선[53], 급행5[54], 309[55], 518[56], 609[57], 649[58], 724[59], 894[60], 937[61], 동구1(-1)[62], 북구2[63], 100(경산)[64], 399(경산)[65]
달서4(-1)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156, 356[66], 326[67], 달서2[68], 달서6[69] 순환노선에서 두 개의 일반 지선노선(달서2/달서6)으로 분리
동구2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300[70], 503[71], 618[72], 719[73], 805, 836[74], 동구1(-1)[75], 북구3[76], 818[77]
서구1(-1)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급행8[78], 순환3(-1)[79], 232(-1)[80], 306[81], 320[82], 326[83], 남구2[84], 서구2[85], 서대구역-서부정류장 DRT[86] 가르뱅이(상리동) 구간은 남구2, 232(-1)로 대체
칠곡4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칠곡2[87]
칠곡6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725[88]

3.2.2. 신설

신설
번호 유형 노선 배차 비고
직행1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
직행
]]
학정청아람 · 칠곡그린빌 · 신기역 · 영남대 7대
(20분)
대구외곽고속 경유
직행2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
직행
]]
대구국가산단 · 달성화성파크드림 · 테크노폴리스 · 2.28공원 · 동대구역 10대
(20분)
앞산터널 경유
신천대로 경유
급행9-2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북구동호동 · 팔거역 · 동명 · 가좌 · 부계 · 의흥 · 삼국유사 1대
(일4회)
급행9-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북구동호동 · 팔거역 · 동명 · 다부 · 장군 · 효령 · 군위군청 · 소보 2대
(120분)
급행10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대천동 · 대곡중학교 · 상인은행아파트 · 가창 · 범물동 · 신매역 · 고산3동 · 반야월 10대
(18분)
앞산터널 경유
320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검단동 · 유통단지 · 노원네거리 · 만평네거리 · 서구시장 · 경덕여고 · 대구의료원 · 죽전역 · 남부초교 · 서부정류장 · KT남대구지사 · 현충삼거리 · 앞산공원 12대
(14분)
326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대곡동 · 유천동 · 상인네거리 · 월촌역 · 송현역 · 서부정류장 · 대구가톨릭대학병원 · 성남초교 · 서도초교 · 원대시장 · 노원네거리 · 유통단지 14대
(15분)
504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방천리 · 계대동문 · 용산동 · 죽전역 · 반월당역 · 건들바위역 · 황금역 · 만촌역 · 두리봉터널 16대
(15분)
520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매곡 · 계명대 · 경원고교 · 서대구역 · 만평역 · 고성A · (곽병원 → 약령시 → 매일신문사) 12대
(15분)
725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북구동호동 · 운암고 · 태전역 · 만평역 · 서대구역 · 방천리 · 성서5차산단 · 대실역 · 매곡 13대
(16분)
남구2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앞산공원 · 대명6동 · (→ 앞산궁도장 →) · 서부정류장 · 금봉네거리 · 남부초교 · 감삼초교 · 감삼네거리 · 서구문화회관 · 서대구역 · 상리동 · 방천리 8대
(15분)
달서2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대곡동 · 유천동 · 조암네거리 · 달서구청 · 대건고교-효성여고 · 장동초교 · 본리초교 · 감삼초교 · 감삼역 · 두류역 · 성남초교 · 계명대 대명캠퍼스 · 대구여상 · 안지랑네거리 · 앞산공원 13대
(15분)
달서6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대곡동 · 진천청구타운 · 월배역 · 상인네거리 · 월촌고가교 · 월촌역 · 송현역 · 송현공원 · 앞산빨래터공원 · 앞산고가로 경유 · 효명초 · (→ 팔레스호텔 → 봉덕2동새마을금고) 6대
(20분)
북구6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검단동 · 코스트코 · 경대북문 · 대현동 · 평화시장 · 동대구역 · 범어네거리 · (범어천로 → 수성4가동 → 수성네거리) 7대
(15분)
북구7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관음동 · 보건대 · 태전육교 · 매천역 · 만평역 · 원대역 · 비산초교 · 서대구역 8대
(14분)
북구8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관음동 · 강북고 · 태전역 · 매천고 · 팔달역 · 금호119안전센터 · (금호분소 → 천년나무8단지 → 사수초) 3대
(26분)
서구2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방천리 · 서대구역 · 서구문화회관 · 서대구공단 · 와룡네거리 · 용산종합큰시장 · 대구전자공고 · 대건고교-효성여고 · 월성2동 · 월성e-편한세상 · 상인네거리 7대
(16분)
수성5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가창초 · 스파밸리 · 파동 · 수성못오거리 · 범물동 · 대구박물관 · 만촌역 · 두리봉터널 10대
(14분)
수성6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반야월역 · 수성구리틀야구장 · 고산3동 · 사월동 · 스타디움 · 범물동 · 대구경찰청 · 수성못 · (→ 들안길 → 중동네거리) 9대
(15분)

3.2.3. 기종점 변경

기종점변경
번호 유형 변경 전 변경 후 배차 비고
급행2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가창초 · 냉천리 · 수성못오거리 · 반월당 · 무태조야동 · 강북소방서 · 북구동호동 스파밸리 · 전원음식점지구 · 수성못오거리 · 반월당 · 무태조야동 · 도남힐스테이트3차 · 강북소방서 · 북구동호동 22대
(10분)
화성파크뷰 → 파동우체국 정차변경
급행8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달성2차산단 · 테크노폴리스 · 진천역 · 죽전역 · 서대구역 · 위생처리장 달성2차산단 · 테크노폴리스 · 진천역 · 죽전역 · 서대구역 18대
(15분)
240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방천리 · 금호지구 · 서대구역 · 2.28공원 · 수성못오거리 · 냉천리 · 가창초 방천리 · 금호지구 · 서대구역 · 2.28공원 · 수성못오거리 · 전원음식점지구 · 스파밸리 13대
(16분)
3대 감차
304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유통단지 · 경대교 · 반월당 · 중동네거리 · 수성못오거리 · 가창초 · 삼산리 유통단지 · 경대교 · 반월당 · 중동네거리 · 수성못오거리 · 가창초 13대
(14분)
2대 감차
309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방천리 · 서대구역 · 원대오거리 · 2.28공원 · 담티역 · 경산시장 · 영남대동문 서대구역 · 원대오거리 · 2.28공원 · 담티역 · 경산시장 · 영남대 · 신대근린공원 · (→ 부적주공 / ← 마위지근린공원 ← 부적2리건너) 20대
(11분)
2대 감차
삼천리버스 회차
403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사월동 · 대구스타디움 · 범물동 · 수성못 · 들안길 · 경대병원 · 시청산격청사 · 조야동 범물동 · 수성못 · 들안길 · 경대병원 · 시청산격청사 · 조야동 12대
(13분)
4대 감차
509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틀:경산시 시내버스|
]]
방천리 · 죽전역 · 명덕역 · 수성시장역 · 담티역 · 사월역 · 정평역/경산시장 · 소라아파트/영남대동문 방천리 · 죽전역 · 명덕역 · 수성시장역 · 담티역 · 사월역 · 정평역 · 소라아파트 17대[D]
(11분)
분리운행 통합
2대 감차
609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대천동 · 진천역 · 월성동 · 서부정류장 · 반월당역 · 수성알파시티역 · 대구스타디움 · 사월역 · 서부동 · 경산시외버스정류장 · 영남대 · 영남대동문 대천동 · 진천역 · 월성동 · 서부정류장 · 반월당역 · 수성알파시티역 · 대구스타디움 · 사월역 · 중산지구 · 경산시외버스정류장 · 영남대 · 마위지근린공원 · 금구리 21대
(14분)
650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다산 · 화원역 · 상인역 · 서부정류장 · 명덕역 · 반월당 · 칠성시장 · (→ 공고네거리 → 동양맨션 → 동신초) 다산 · 화원역 · 상인역 · 서부정류장 · 명덕역 · 반월당 · 칠성시장 · (→ 공고네거리 → 동양맨션 / ← 동신초 ←)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19대
(12분)
1대 증차
708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틀:경산시 시내버스|
]]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산호아파트 · 면허시험장/칠곡지하도 · 만평역 · 대구역 · 동대구역 · 화랑교 · 반야월시장 · 혁신도시 · 숙천초 · 하양 · 대구대 북구 동호동 · 칠곡경대병원 · 학정역 · 산호아파트 · 면허시험장 · 만평역 · 대구역 · 동대구역 · 화랑교 · 반야월시장 · 혁신도시 · 숙천초 · 안심역 · 동호지구 18대[D]
(15분)
분리노선 통합
대화교통 공동배차 파기
719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관음동 · 구암중 · 매천역 · 원대역 · 시청산격청사 · 경대북문 · 영진전문대 · 대구공항 · 방촌역 · 반야월역 · 임당역 · 영남대 · 영남대동문 관음동 · 구암중 · 매천역 · 원대역 · 시청산격청사 · 경대북문 · 영진전문대 · 대구공항 · 방촌역 · 반야월역 · 임당역 · 영남대 · 신대근린공원 · 마위지근린공원 · 금구리 21대
(13분)
836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반야월역 · 용계역 · 아양교역 · 산격동 · 달성공원 · 남산역 · 서부정류장 · 상인역 · 대천동 동호지구 · 강동중고 · 반야월역 · 용계역 · 아양교역 · 산격동 · 달성공원 · 남산역 · 서부정류장 · 상인역 · 대천동 23대
(12분)
달서5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대곡동 · 대구정부청사 · 상인역 · 달서구청 · 대구공대 · 죽전역 · 계대동문 대곡동 · 대구정부청사 · 상인역 · 달서구청 · 대구공대 · 죽전역 · 계대동문 · 신흥버스 9대
(20분)
1대 증차
달성2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노이리) · 달성군청 · 신당리/본리2리 · (용연사 · 송해공원) · 설화명곡역 · (본리리) · 유천교 · 상인역 · 송현역 · (→ 앞산빨래터공원 → 대덕초) (노이리) · 달성군청 · 신당리/본리2리 · (미진이지비아) · (용연사 · 송해공원) · (신일해피트리) · 설화명곡역 · (본리리) · 유천교 · 대천동 8대
(16분)
화원신일해피트리꿈의숲 경유 미진이지비아방면 지선 신설
동구8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연경동 · 팔공초중 · 봉무공원 · 대구공항 · 아양교역 · 동구청 연경동 · 팔공초중 · 봉무공원 · 대구공항 · 아양교역 · 동구청 · (→ 동대구역지하도 → 파티마삼거리) 10대
(12분)
동대구역 구간 팔공2번 역순 순환
수성3(-1)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안심중 · 신기역 · 율하지구 · 연호역 · 대구미술관 · 범물동 · 황금네거리 · 대구박물관 · 만촌역 · 연호역 · 율하지구 · 신기역 · 반야월역 반야월역 · 신기역 · 율하지구 · 연호역 · 대구미술관 · 범물동 · 황금네거리 · 대구박물관 · 만촌역 · 연호역 · 율하지구 · 신기역 · 반야월역 8대+8대
(15분)
출발시 반야월역 연장
수성4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범물동 · 성동초 · 황금역 · 수성구보건소 · 범어역 · 법원 · 동대구역 범물동 · 성동초 · 황금역 · 수성구보건소 · 범어역 · 법원 · 동대구역 · (→ 해모로웨스트 → 큰고개오거리) 9대
(14분)
1대 증차
칠곡1(-1)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북구 동호동 · 팔거역(팔거천동로) · 강북경찰서 · 50사단후문 · 도남지구 · 북구구민운동장 · 운암초 · 구암초 · 태전중앙시장 · 보건대 · 함지초 · 칠곡초 · 팔거역(동암로) · 북구동호동 관음동 · 칠곡한서타운 · 팔거역(팔거천동로) · 강북경찰서 · 50사단후문 · 도남지구 · 북구구민운동장 · 운암초 · 구암초 · 태전중앙시장 · 보건대 · 함지초 · 칠곡초 · 거동교 · 대중금속공고 · 관음동 7대+7대
(16분)
706 대체

3.2.4. 경유지 조정

경유지조정
번호 유형 변경 전 변경 후 배차 비고
급행8-1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유곡리 · 대구과학관 · 포산고 · 유가읍 · 테크노초 · 진천역 유곡리 · 대구과학관 · 포산고 · 유가읍 · 유가사입구사거리 · 진천역 10대
(14분)
급행9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북구동호동 · 팔거역 · 동명 · 가좌 · 대율 · 창평 · 거매 · 금구 · 군위군청 북구동호동 · 팔거역 · 동명 · 가좌 · 대율 · 창평 · 거매 · 금구 · 군위전통시장 · 군위군청 2대
(120분)
2대 감차
급행9-1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북구동호동 · 팔거역 · 동명 · 가좌 · 부계 · 화본 · 의흥 · 우보 북구동호동 · 팔거역 · 동명 · 가좌 · 부계 · 산성 · 화본 · 미성 · 우보 1대
(일4회)
101(-1)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파계사 · (덕곡) · 이시아폴리스 · (→대구공항청사 →) ·동대구역 · 대구역 · 북구청 · 산격동 · 이시아폴리스 · (덕곡) · 파계사 파계사 · (가좌) · 이시아폴리스 · 동대구역 · 대구역 · 북구청 · 산격동 · 이시아폴리스 · (가좌) · 파계사 10대+10대
(16분)
덕곡행 노선 가좌 연장
공항청사 내부 경유 폐지
405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방천리 · 계대동문 · 죽전역 · 반월당 · 남구청 · 수성못오거리 · 가창초 · 삼산리 방천리 · 죽전역 · 반월당 · 남구청 · 수성못오거리 · 가창초 · 삼산리 21대
(13분)
계대U턴 폐지
413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가창초 · 수성못오거리 · 중동네거리 · 수성구청 · 동대구역 · 복현오거리 · 엑스코 가창초 · 수성못오거리 · 중동네거리 · 수성구청 · 동대구역 · (← 해모로웨스트 ←) 복현오거리 · 엑스코 13대
(15분)
편방향운행
503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연경동 · 무태조야동 · 엑스코 · 영진전문대 · 반월당 · 영대병원 · 죽전역 · 계대동문 · 신흥버스 연경동 · 무태조야동 · 복현오거리 · 반월당 · 영대병원 · 죽전역 · 계대동문 · 신흥버스 26대
(11분)
4대감차
북구2 맞교환
518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신흥버스 · 용산역 · 서부정류장 · 반월당 · 청구고 · 신기역 · 안심역 · (→ 숙천초 →) · 안심역 신흥버스 · 용산역 · 서부정류장 · 반월당 · 청구고 · 신기역 · 안심역 17대
(15분)
숙천초 미경유
523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방천리 · 서구청 · (원대오거리/동산네거리) · 북구청 · 경대북문 · 검단동 방천리 · 서구청 · 원대오거리 · 북구청 · 경대북문 · 검단동 17대
(12분)
분리노선 통합
618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대곡동 · 상인역 · 서부정류장 · 북비산네거리 · 대구역 · 동구청 · 신기역 · (금강동) · 동호지구 대곡동 · 상인역 · 서부정류장 · 북비산네거리 · 대구역 · 동구청 · 신기역 · 동호지구 24대
(12분)
금강동 경유 폐지
623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달성군청 · 대성베르힐1차 · 시립희망원 · 서부정류장 · 서구청 · 대구역 · 복현오거리 · 검단동 달성군청 · 옥포서한이다음 · 시립희망원 · 서부정류장 · 서구청 · 대구역 · 복현오거리 · 검단동 26대
(13분)
706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관음동 · 팔거역 · 강북소방서 · 50사단후문 · 국우동 · (→ 학정청아람2 →) · 무태조야동 · 경대북문 · 반월당 · 서부정류장 · 달서구청 · 상인동 · 대곡동 관음동 · 칠곡경대병원 · 강북경찰서 · 50사단후문 · 도남LH2단지 · 국우동 · 무태조야동 · 경대북문 · 반월당 · 서부정류장 · 달서구청 · 상인동 · 대곡동 25대
(11분)
학정청아람 정류소 폐지
730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동명 · 칠곡경대병원역 · 팔거역 · 매천역 · 북부정류장 · 북구청 · 반월당 · 미8군 · 봉덕시장 · 대덕맨션 동명 · 칠곡경대병원역 · 팔거역 · 매천역 · 북구청 · 반월당 · 미8군 · 봉덕시장 · 대덕맨션 17대
(14분)
북부정류장 미경유
814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틀:경산시 시내버스|
]]
대구대 · 하양 · 반야월 · 동구청 · 동대구역 · 법원 · 황금역 · 진밭골 대구대 · 하양 · 숙천초 · 반야월 · 동구청 · 동대구역 · 법원 · 황금역 · 진밭골 26대[D]
(9분)
달서3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신흥버스 · 계대동문 · 전자공고 · 달서구청 · 상인네거리 · 새각단 · 대구정부청사 · 화원역 · 화원유원지 신흥버스 · 계대동문 · 전자공고 · 달서구청 · 상인네거리 · 갈밭로 · 대구정부청사 · 화원역 · 화원유원지 14대
(18분)
동구1(-1)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조일고 · 방촌역 · K-2 · 효목동 · 수성구청 · 수성시장역 · 정호승문학관 · 신천초 · 동대구복합환승센터 · 효목동 · K-2 · 방촌역 · 조일고 조일고 · 방촌역 · K-2 · 효목동 · 수성구청 · 수성시장역 · 건들바위역 · 남산2동 · 2.28공원 · 신천초 · 동대구복합환승센터 · 효목동 · 방촌역 · 조일고 9대+9대
(16분)
각 1대씩 증차
동구7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동호지구 · 신서그린빌 · 새론중 · 나불지 · 대구일과학고 · (이후역순) 동호지구 · 강동중고 · 신서그린빌 · 새론중 · 나불지 · 대구일과학고 · (이후역순) 2대
(30~35분)
북구2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봉무공원 · 연경지구 · 무태조야동 · 복현오거리 · 경대정문 · 칠성시장 · (→ 반월당역 → 서문시장 → 중구보건소) 봉무공원 · 연경지구 · 무태조야동 · 엑스코 · 영진전문대 · 경대정문 · 칠성시장 · (→ 반월당역 → / ← 중구보건소 ← 서문시장5지구 ← 새길시장) · 청라언덕역1번출구 14대
(14분)
2대 증차
파군재 공차회송, 503번 맞교환, 909 대체
북구3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노곡동 · 팔달시장 · 북부소방서 · 칠성시장 · 동대구역 · 망우당공원 · 율하역 · 율하동 · 동부경찰서 · 동호지구 노곡동 · 팔달시장 · 북부소방서 · 칠성시장 · 동대구역 · 망우당공원 · 율하역 · 율하동 · 동부경찰서 · 강동중고 · 동호지구 13대
(18분)
성서2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대천동 · 달서구청 · 죽전역 · (서문시장) · 이곡역 · 계대정문 · 매곡 · 하산/육신사/기곡/대평 대천동 · 달서구청 · 죽전역 · 이곡역 · 계대정문 · 매곡 · 하산/육신사/기곡/대평 9대
(27분)
서문시장 방면 폐지[92]
수성2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시지 · 고산역 · 가천동 · 고모역 · 팔현마을 · 고모역 · 연호역 · (연호동/이천동) 시지 · 고산역 · 가천동 · 고모역 · 팔현마을 · 인터불고 · 팔현마을 · 고모역 · 연호역 · (연호동/이천동) 1대
(78분)
칠곡2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북구 동호동 · 강북소방서 · 동화골든빌 · 칠곡초 · 칠곡시장 · (연호 → 추동교 →) · 보건대 · 태전육교 · 매천시장 · 만평역 · 북구청역 · 백사벌네거리 · 노곡동 북구 동호동 · 강북소방서 · 영남네오빌 · 칠곡초 · 관음중 · (연호 → 추동교 →) · 보건대 · 매천역 · 매천시장 · 만평역 · 북구청역 · 백사벌네거리 · 노곡동 10대
(20분)
3대 증차
칠곡4 경로 운행, 태전육교 구간은 북구7로 대체

3.2.5. 형간전환

형간전환
번호 유형 변경 전 변경 후 배차 비고
급행6 → 501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신흥버스 · 달서구청 · 대구공대 · 서부정류장 · 두류공원 · 반고개 · 2.28공원 · 경대북문 · 이시아폴리스 · 연경동 변동없음
(노선선형 현행유지)
18대
(17분)
2대 증차
정차 정류소 확대
980 → 동구10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영남대동문 · 영남대 · (← 경산시장 ←) · 반야월역 · 반야월시장 · 동구청 · 강남약국 · (2.28공원 → 대구역) 반야월역 · 율하역 · 반야월시장 · 반야월역 · (→ 경산시장 →) · 영남대 · 조영동 8대
(13분)
8대 감차

3.2.6. 번호변경

번호변경
번호 유형 변경 전 변경 후 배차 비고
323(-1) → 232(-1)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유통단지 · 복현오거리 · 동구청 · 수성구청 · 2.28공원 · 서구청 · 북부정류장 · 북구청 · 산격동 · 유통단지 방천리 · 서대구역 · 북부정류장 · 북구청 · 산격동 · 복현오거리 · 동구청 · 수성구청 · 2.28공원 · 서구청 · 서대구역 · 방천리 13대+13대
(14분)
각 1대씩 증차
524 → 402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범물동 · 만촌역 · 동대구역 · 2.28공원 · 서구시장 · 경운초 · 서대구역 · 경원고 · 계대정문 · 매곡 범물동 · 만촌역 · 동대구역 · 2.28공원 · 서구시장 · 중리시장 · 서대구역 15대
(14분)
6대 감차
600 → 665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대천동 · 금포초 · 상리공단 · 북리 · 달성1차산단 · 공단하수처리장 · 현풍 · 유가차천 · 달성2차산단 대천동 · 금포초 · 상리공단 · 북리 · 성요셉요양병원 · 현풍 · 테크노폴리스 · 유가차천 · 달성2차산단 15대
(16분)
급행4번 경로 운행
808 → 802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대구대/금호 · 반야월시장 · 아양아트센터/동촌역 · 동구청 · 대구역 · 대구보건고 대구대 · 반야월시장 · 아양아트센터 · 동구청 · 대구역 · 서구청 · 서대구역 21대
(12분)
1대 감차
분리노선 통합
840 → 894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틀:경산시 시내버스|
]]
경일대 · 대구대 · 영남대 · 경산역 · 사월역 · 만촌역 · 수성구청 · 반월당 · 서문시장 경일대 · 대구대 · 영남대 · 경산역 ·스타디움 · 만촌자이르네 · 범물동 15대[D]
(10분)
3대 감차
스타디움 구간 939 대체
849 → 848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동호지구 · (금강) · 성동 · 노변동 · 만촌역 · 망우당공원 · 반야월시장 · (금강) · 동호지구 동호지구 · (금강) · 성동 · 노변동 · 만촌역 · 망우당공원 · 인터불고호텔 8대
(17분)
3대 증차
순환노선 → 왕복노선
939 → 707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틀:경산시 시내버스|
]]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관음동 · 칠곡네거리 · 무태조야동 · 북구청 · 2.28공원 · 경대병원 · 수성구청 · 스타디움 · 소라아파트 관음동 · 칠곡네거리 · 무태조야동 · 북구청 · 2.28공원 · (사대부고 → 경대병원) 11대[D]
(14분)
5대 감차
경산버스 공동배차 파기
동구9 → 북구5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북구 동호동 · 칠곡경대병원 · 학정역 · 팔거역 · 강북경찰서 · 무태조야동 · 연경1공영주차장 · (→ 연경초 (→ 도덕마을 →) 팔공초중 → 연경분소) 관음동 · 대중금속공고 · 팔거역 · 강북소방서 · 무태조야동 · 연경1공영주차장 · (→ 연경초 (→ 도덕마을 →) 팔공초중 → 연경분소) 7대
(14분)
706 대체

3.2.7. 배차조정

배차조정
번호 유형 노선 배차 비고
급행5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
변동없음 23대
(12분)
1대 감차
410(-1)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변동없음 11대(12분)
+13대(10분)
각 1대씩 증차
937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변동없음 28대
(9분)
1대 증차
북구4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변동없음 8대
(15분)
1대 감차

3.2.8. 업체배분

공개된 공식 자료에 따라 제한적으로 확인가능한 일부 내용만 기입된 것이므로 주의
: 단독배차노선
§: 경산업체 공배노선
굵은 글씨는 업체별 신규 운행 노선
밑줄 친 글씨는 업체별 철수 노선
업체배분
업체명 변경전 변경후
경북교통 급행5 (11대)
순환3 (8대)
651 (11대)
805 (21대)
814§ (14대)
937 (16대)
수성3 (8대)
직행1
급행5
156
501
650
814§
북구6
수성3
경상버스 323 (12대)
323-1 (12대)
649 (14대)
719 (11대)
840§ (4대)
동구1 (8대)
232
232-1
649
경신교통 240 (5대)
509§ (8대)
523 (11대)
609 (1대)
북구4 (4대)
서구1 (10대)
성서2 (8대)
504
523
725
북구4
서구2
관음교통 306 (19대)
425 (12대)
719 (10대)
동구3 (4대)
326
523
동구3
광남자동차 급행6 (12대)
101 (10대)
101-1 (10대)
401 (16대)
북구2 (12대)
팔공1 (5대)
급행1
101
101-1
401
남도버스 653 (9대)
706 (11대)
달서4 (9대)
달서4-1 (9대)
달서5 (3대)
650
653
706
달서5
달구벌버스 156 (7대)
300 (11대)
518 (7대)
518-1 (5대)
동구4 (3대)
동구7 (2대)
북구3 (13대)
300
518
동구4
대덕교통 650 (8대)
708§ (14대)
836 (14대)
동구1-1 (8대)
836
동구1
동구1-1
대명교통 609 (2대)
650 (10대)
726 (14대)
836 (9대)
달서3 (14대)
156
326
836
달서1
달서3
대일버스 234 (14대)
503 (17대)
524 (13대)
651 (5대)
402
425
504
동명교통 급행3 (8대)
급행7 (6대)
급행9 (4대)
급행9-1 (1대)
724 (14대)
726 (14대)
730 (17대)
북구4 (5대)
칠곡2 (7대)
칠곡3 (4대)
칠곡4 (7대)
칠곡5 (1대)
급행3
급행7
527
707
726
북구4
칠곡3
삼천리버스 309 (22대)
349 (20대)
509§ (11대)
309
349
성보교통 급행2 (9대)
순환2 (12대)
순환2-1 (12대)
356 (14대)
623 (13대)
가창2 (8대)
북구1 (15대)
급행2
순환2
순환2-1
653
가창2
북구1
세왕교통 240 (11대)
304 (15대)
405 (21대)
413 (13대)
449 (4대)
304
수성5
세운버스 급행6 (4대)
급행8 (4대)
급행8-1 (4대)
156 (11대)
618 (11대)
달서5 (5대)
달성1 (1대)
급행8
급행8-1
급행10
726
달서5
세진교통 급행1 ( 대)
급행5 ( 대)
순환3-1 ( 대)
403 ( 대)
564 ( 대)
618 ( 대)
724 ( 대)
814§ ( 대)
939§ ( 대)
8140 ( 대)
수성3-1 ( 대)
직행2
급행5
급행10
564
724
동구4-1
수성3-1
세한여객 급행4 ( 대)
급행8 ( 대)
356 ( 대)
623 ( 대)
655 ( 대)
직행2
급행8-1
650
653
신일여객 808 ( 대)
동구2 ( 대)
동구6 ( 대)
802
814 §
동구10
신진자동차 급행3 ( 대)
순환3 ( 대)
순환3-1 ( 대)
401 ( 대)
410 ( 대)
수성1 ( 대)
수성1-1 ( 대)
급행3
401
수성1
수성1-1
수성4
신흥버스 급행5 ( 대)
급행7 ( 대)
425 ( 대)
503 ( 대)
518 ( 대)
7250 ( 대)
달서1 ( 대)
서구1-1 ( 대)
급행5
급행7
156
425
501
518
달서3
달서5
영진교통 급행2 ( 13대)
523 ( 6대)
609 ( 1대)
653 ( 10대)
동구8 ( 10대)
동구9 ( 7대)
팔공3 (주말/공휴일 2대)
급행2
725
동구8
북구1
우주교통 204 ( 대)
527 ( 대)
609 ( 대)
706 ( 대)
750 ( 대)
937 ( 대)
7250 ( 대)
칠곡1 ( 대)
칠곡1-1 ( 대)
칠곡6 ( 대)
204
520
706
724
937
칠곡1
칠곡1-1
우진교통 급행1 ( 대)
급행7 ( 대)
524 ( 대)
527 ( 대)
564 ( 대)
655 ( 대)
성서1 ( 대)
성서1-1 ( 대)
성서3 ( 대)
직행1
급행1
520
527
564
성서1
성서1-1
우창여객 618 ( 대)
649 ( 대)
651 ( 대)
708§ ( 대)
849 ( 대)
849-1 ( 대)
980 ( 대)
동구5 ( 대)
수성2 ( 대)
649
848
동구10
북구6
한일운수 449 ( 대)
609 ( 대)
840§ ( 대)
909 ( 대)
동구4-1 ( 대)
204
937
달서6
현대교통 급행4 ( 대)
급행8 ( 대)
204 ( 대)
401 ( 대)
410-1 ( 대)
524 ( 대)
600 ( 대)
남구1 ( 대)
남구1-1 ( 대)
달서1 ( 대)
달성2 ( 대)
달성3 ( 대)
달성4 ( 대)
달성5 ( 대)
달성6 ( 대)
달성7 ( 대)
수성4 ( 대)
급행7
급행8
410
410-1
남구1
남구1-1
달서1

4. 개편 이후 현황

4.1. 긍정적 사례

4.2. 부정적 사례

4.3. 후속 개편

5. 기타


[1] 다만 위의 표를 보면 알겠지만 원래부터 8~9년 주기로 개편해 왔다.[2] 대표적으로 518-1번 버스가 있다. 518-1번은 원래도 수요가 없는데 1호선 연장 이후에는 전 구간 안심-하양 복선전철과 겹치므로 폐선이 제일 유력하다. 이 외의 노선들도 폐선 및 단축이 될 순 있겠지만, 그것보다 현재 708번이 혼자 담당하고 있는 대구신서혁신도시 간선노선을 늘리기 위해 노선을 혁신도시 쪽으로 좀 더 올릴 가능성도 높다.[3] 50% 정도면 과거 2015년 개편과 별반 차이없는 수준이다.[4] 폐지된 이후 대체노선이 무엇인지는 쏙 빼놓고 노선이 무더기로 폐지되고 버스가 대량 감차된다는 내용만 유출했다.[5] 아무리 동구7번이 단거리 지선인 점을 감안해도 동호지구 이동 수요와 강동중고교 통학 수요를 간과하고 708번, 동구4(-1)번, 동구6번 등으로 안일하게 때우려 했던 것이 문제였다.[6] 신설간선3이 305번이 갖고 있었던 2호선의 성서~반월당 구간 백업 기능을 대체하는데, 이번 신설간선3 신설을 통해 버스운영과는 2015년 305번 폐지가 자기들의 실책이었음을 사실상 인정하였다. 버스운영과는 고수요 노선이었던 305번을 2015년 개편 때 2호선과 겹친다는 이유로 폐지하여 2호선으로 수요를 강제로 유도하려고 했지만, 유의미한 2호선 수요 증가는 없었고 욕은 욕대로 많이 먹었다.[7] 여기저기 짬뽕시킨덕에 빙빙 둘러가는건 다반사고 유턴만 하더라도 달서4번은 2번, 달서4-1번은 3번이나 유턴한다.[8] 비록 약간 우회하긴 하나 서대구역-침산동으로 잇는 구간도 신규로 생겼다.[9] 중형버스, 준중형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마찬가지다. 대구시는 그러면서 정작 대구 버스 의료R&D지구 DRT에는 고급좌석버스를 투입하고 있다. 단, 이 차량은 대구 버스 운송조합 회사가 아닌, 관광/전세/시외버스 운행 업체 '오성고속관광'의 차량이다.[10] 자동차전용도로범안로테크노폴리스로에서 대구시가 입석을 허용하는 것도 사실 불법이지만 대구시에서 관리하는 도로이므로 도로관리청이 자체적으로 묵인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고속도로는 대구시 관할이 아니라 한국도로공사 관할이라 묵인이 안 통한다. 신천대로앞산터널은 자체관리지만,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의 경우 문제의 여지가 충분하다.[11] 다만, 안심뉴타운의 경우 반야월로에 위치한 정류장들이 도보 5분 이내 거리에 있어서 안심뉴타운 주민들은 반야월로를 다니는 버스들을 잘 이용하고 있다.[12] 정차 정류소가 5개 내외로 설정된다.[13] 왕복노선 전환에 따른 폐지[14] 급행8, 급행8-1 공통 : 테크노폴리스 - 1호선 연결 기능[15] (포산고사거리 - 현풍고속도로밑) (북리 - 화원고교)[16] 영풍열처리 - 화원고교[17] (만평역 - 원대역) (건들바위역 - 황금역)[18] (방천리공영차고지 - 서평초) (북부정류장 - 팔달시장역) (대백프라자 - 범어쌍용예가)[19] (방천리공영차고지 - 서대구역) (만경관 - 봉산가구골목)[20] (서대구역 - 원대역) (곽병원 - 삼덕성당) (구.남부정류장 - 수성대)[21] 경북고 - 수성대[22] 건들바위 - 두리봉터널종점[23] (서대구역 - 달성초교) (대구역센트럴자이 - 만경관)[24] 방천리공영차고지 - 서대구역[25] (만경관 - 2.28기념중앙공원) (대봉교회 - 범어쌍용예가)[26] 경북고 - 두리봉터널종점[27] 수성대 - 헬로tv대구방송[28] 헬로tv대구방송 - 수성대[29] 만촌역 - 영남대역[30] 가창, 파동 - 시지 연결 기능[31] (구. 남부정류장 - 사월역) (임당역 - 영남대)[32] (경북고교 - 신매광장)[33] (구. 남부정류장 - 영대교)[34] (구. 남부정류장 - 금구리)[35] (우방신천지타운 - 지산타운) (담티고개 - 수성알파시티역) (중방e편한세상 - 금구리)[36] 가창초교 - 수성대학교[37] 사월역 - 경북고교[38] 경북고교 - 사월역[39] 반야월역 - 하양역[40] 안심역 - 하양초교[41] 동호초교 - 사복동입구교차로[42] 802, 814 공통 : 안심역 - 하양초교[43] 894, 809 공통 : 경일대종점 - 하양초교 // 809 : 이후 하양코아루아파트까지[44] 비산지하도 - 대백인터빌[45] (만평역 - 대백인터빌) (두성파크아파트 - 칠곡우방타운)[46] (두류시장네거리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만평역 - 대백인터빌)[47] 남명삼거리 - 한마음주유소[48] 앞산공원 - 서평초삼거리[49] 서평초삼거리 - 칠곡우방타운[50] 동호초교 - 사월역 - 청기와주유소[51] 708, 802, 814, 55, 555 공통 : 망우당공원 - 안심지구대[52] (만촌역 - 사월역) (임당역 - 영남대역)[53] 동대구역 - 경산역[54] 2.28기념중앙공원 - 대구중앙중고등학교[55] 구. 남부정류장 - 영남대[56] 2.28기념중앙공원 - 대구중앙중고등학교[57] (구.남부정류장 - 수성알파시티역) (고산도서관 - 사월역) (옥산네거리 - 영남대)[58] (구. 남부정류장 - 사월역) (중방e편한세상 - 금구리)[59] (2.28기념중앙공원 - 대구중앙중고등학교) (구. 남부정류장 - 신매광장)[60] (담티고개 - 수성알파시티역) (옥산네거리 - 금구리)[61] (구. 남부정류장 - 대구농업마이스터고교) (시지 -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연결 기능)[62] 동구기억쉼터 - 2.28기념중앙공원[63] (약령시 → 청라언덕역) (대신센트럴자이 → 서문시장5지구)[64] 구.남부정류장 - 경산시장[65]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 경산시장[66] 156, 356 공통 : 성당두산위브 - 두류역 // 156 : 이후 현대해상까지[67] (대곡동 - 상인네거리) (성남초교 - 두류보성맨션)[68] 달서4(-1) 남쪽구간 : 대곡동 - 두류역 - 충혼탑[69] 달서4(-1) 남쪽구간 : 상인네거리 - 송현역 - 충혼탑[70] 침산네거리 - 달성공원역[71] (동침산네거리: 대현동 방면/대일아파트건너: 성서 방면) - 경진초교(동부도서관)[72] (해안역 - 용계삼거리) (동호육교 - 신서성당) (영조아파트 - 상록아파트)[73] 영진전문대학교후문 - 용계삼거리[74] 805, 836 공통 : 입석중학교 - 안심지구대 // 836 : 동호육교 - 상록아파트[75] (용계역 - K-2) (대구향교 - 남산2동행정복지센터)[76] 동부고교 - 상록아파트[77] 입석중학교 - 동부경찰서[78] 와룡로(본리초교네거리 - 서대구공단네거리) - 서대구역 연결 기능[79] 한국폴리텍VI대구대학 - 국민은행3공단지점[80] 방천리공영차고지 - 서대구역KTX영무예다음[81] 본리초교 - KT남대구지사[82] 죽전동행정복지센터 - 대명초교[83]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 노원네거리[84] (방천리공영차고지 - 퀸스로드) (서대구역 - 서부정류장 연결 기능)[85] 방천리공영차고지 - 대구의료원라파엘웰빙센터[86] 2025년 3월 개통 예정이며, 서구1의 해당 구간과 똑같이 운행할 예정.[87] (칠곡경대병원역 - 한라하우젠트) (강북소방서 - 메트로시티)[88] 칠곡6번 전 구간[D] 대구차적만[D] 대구차적만[D] 대구차적만[92] 서문시장 지선 해당 구간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대체할 예정이다. 차피 대평, 하산리에서도 이 노선으로 문양역에서 내려 2호선으로 환승해서 서문시장으로 풀타임에 갈수 있으니 크게 타격이 없다.[D] 대구차적만[D] 대구차적만[95] 대구광역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회의록 제2차(부록) "업무보고-교통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