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13px; color: #d8202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232(-1) | 240 | 300 |
304 | 306 | 309 | 320 | 326 | 349 | |
356 | 401[A] | 402 | 403 | 405 | 410(-1) | |
413 | 425 | 501 | 503 | 504 | 509 | |
518 | 520 | 523 | 527 | 564 | 609 | |
618 | 623 | 649 | 650 | 651 | 653 | |
655 | 665[A] | 706 | 707 | 708 | 719 | |
724 | 725 | 726 | 730 | 802 | 805 | |
814 | 836 | 848 | 894 | 937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1E2D5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경산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colbgcolor=#0075c8><colcolor=#fff> 간선 | ||
지선 | |||
순환 |
| |
경북교통 차량 | 대화교통 차량 |
1. 개요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대구대학교(8)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4동 동대구역(1)을 거쳐 수성구 범물2동 진밭골주차장(4)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이자 경산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8.8km. 전체 정류장 목록, 노선도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대구대정문) | 종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진밭골)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 05:30 / [공휴일] 05:39 |
막차 | [평일, 공휴일] 22:22 / [토요일] 22:21 | 막차 | [평일, 토요일] 22:19 / [공휴일] 22:25 | ||
평일배차 | 9분(일 131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2분(일 99회) 토요일 10분(일 116회) | ||
운수사명 | 경북교통, 대화교통, 신일여객 | 인가대수 | 29대[1] | ||
노선 | 대구대학교 - 대구대삼거리 - 하양초등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 - 숙천초등학교입구 - 안심역 - 반야월시장 - (→ 방촌맨션 →/← 강변동서마을 ←) - 망우당공원 - 동구청 - 동대구역 - 법원 - 황금네거리 - TBC - 대구광역시경찰청 - 동아백화점 수성점 - 범물2동행정복지센터[단독] - 진밭골[단독] |
중간 출발 정류소 | |
범물2동행 | 우방강촌마을, 각산태영데시앙평일, 송정삼거리 |
대구대학교행 | 우방강촌마을, 동구청, 법원, TBC |
중간 종료 정류소 | |
범물2동행 | 범물우방미진하이츠앞 22:19[평일, 토요일]/22:27[공휴일]~24:10[공휴일]/24:15[평일, 토요일][4] |
대구대학교행 | 없음 |
3. 역사
- 1998년 5월 개편 때 33번의 일부 구간을 단축하고,[5] 85번의 수성구 구간[6]을 통합하여 신설한 노선이다. 당시 814번은 현재와 기종점이 동일하고, 망우당공원과 황금네거리 사이 구간이 달랐다.
- 【당시 경유 구간】
- 【망우당공원 ~ 효목네거리 ~ 동구시장입구 ~ 동부정류장 ~ 고속터미널 ~ 동대구역 ~ 파티마병원 ~ 공고네거리 ~ 동신초교 ~ 신천역 ~ 청구네거리 ~ 신천시장 ~ 수성태영데시앙 ~ 수성네거리 ~ 범어역 ~ 수성구청 ~ 만촌역(만촌육교) ~ 우방청솔맨션 ~ 동도중학교, 정화여고입구 ~ 국립대구박물관 ~ 경북고교정문 ~ 캐슬골드파크 ~ 성동초교 ~ 황금네거리】
수성네거리 좌회전 신호 문제 때문에 대구대학교에서 범물두성타운으로 갈 때 수성네거리에서 수성시장으로 내려와 궁전맨션으로 돌아서 범어역으로 갔고, 대구대학교로 갈 때에는 범어역에서 수성네거리로 직진하여 신천시장으로 들어갔다. 따라서 궁전맨션과 황금네거리 사이는 굉장히 굴곡이 심했다. 당시 노선은 현재의 통합 814번과 달리 기종점만 같고, 범어역 갔다가 만촌역 갔다가 경고정문에서 황금네거리로 내려오는, 왔다갔다하는 선형 때문에 엄청나게 돌아서 가는 노선이었다. 1998년 신설 초기에는 814번은 10대가 25분 간격, 814-1번은 11대가 19분 간격으로 운행했다.[7]
- 1998년 6월 814번에서 분리되어 814-1번이 신설되었다. 이 814-1번이 현재 운행 중인 814번이다. 굴곡이 심했던 814번과 달리 동대구로를 통해 직선으로 하양읍~동대구역~범물지구를 연결해 주었기 때문에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1998년 5월 개편 때 신설되었다가 불과 한 달 만에 폐선된 949번[8]을 대체하는 노선이었다. 814-1번은 신설 초기에는 망우당공원, 효동로[9]로 가지 않고 반야월에서 방촌시장, 동촌 구길[10]을 경유하여 아양교역으로 갔다.
- 2000년 5월에 화랑로, 망우당공원, 효동로를 경유하여 아양교역으로 들어오는 걸로 변경되었다. 노선 변경 전에는 상공회의소부터 대구대까지 818번과 동촌구길 구간을 제외하고는 노선이 똑같았기 때문에 이렇게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무료환승제가 없던 시절에 지산범물지구, 대구MBC 이남의 동대구로 구간에서 방촌역 방향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었음에도 노선을 변경했기 때문에 효동로 대신 방촌시장으로 환원해 달라는 민원이 있었다.
- 2001년부터 대화교통과 공동 배차하면서 814번과 814-1번에 1대씩 증차됐다. 이에 따라 두 노선 모두 배차간격이 약간 단축되어 814번은 18분, 814-1번은 15분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굴곡이 심하고 수요가 적은 신천시장과 수성시장 구간을 운행하던 814번은 승객 수요가 낮았던 데 비해, 동대구로를 직선으로 관통하는 등 굴곡이 적은 814-1번은 늘 가축수송 모드였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으로 기존 814-1번의 노선으로 통합되었다. 동시에 6대(대구 5대 + 대화 1대)가 그대로 증차되어 통합 814번은 배차간격 8분으로 크게 단축되었다. 또한 방촌시장 및 동촌구길에서 망우당공원, 강촌아파트로 돌린 후부터 2006년 2월 개편 전까지 반야월에서 망우당공원으로 갈 때 518번과 함께 반야월삼거리에서 강변동서마을로 곧바로 진입했지만, 개편 후에는 범물방향 한정으로 강변동서마을 구간을 708번과 849번[11]에 넘기고 518번과 함께 용호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방촌맨션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신진자동차와 현대교통이 철수하고 경북교통과 세진교통이 배차하게 되었다.
- 2019년 4월 22일부터는 평일 아침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다람쥐버스 8140번이 신설되어 TBC - 동대구역 구간을 보조하게 되었다.
- 2021년 2월 9일부터 2월 28일까지 코리아와이드 대화 차적 3대 차량의 운행이 중지되어 토요일, 일요일 배차가 늘어났다. 평일은 대구에서 임시로 차량을 3대 증회하여 메꿔 운행했다.
- 2022년 8월 22일부터 경산시 운수업체 종사자 코로나19 확산 및 기사수급 감소로 인해 코리아와이드 대화 인가대수가 3대에서 2대로 감차된다. 이로 인해 배차간격이 8분에서 9분으로 1분 늘어났다.
- 2022년 12월 30일부터 대구대(정문2건너)에도 정차한다.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2023년 9월 2일부터 '대구대 회전교차로 설치 사업'에 따라 대구대종점 정류소가 폐지되고 '대구대정문1'이 기종점이 되었다. 회차지는 원래 사용하던 곳을 계속 사용한다. 학생 안전을 위해 종점 정류소가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대구대정문에 노선별 대기줄이 새로 마련되었다.
- 2023년 9월 18일, 범물우방미진하이츠(범물두성타운)에서 진밭골로 종점이 연장되었다.
- 2023년 10월 중 대화교통 차량 1대가 복귀하여 배차간격이 평일 8분으로 환원되었다.
- 2024년 6월 12일부터 대구대학교 방면은 신설되는 대구한의대병원 정류소에 정차한다.
-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사복동 대구신서혁신LH천년나무10단지와 숙천초교입구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세진교통 대신 신일여객이 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4. 특징
- 대구차적은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나, 경산차적은 현금 승차를 할 수 있다. 대전 202번이 현금승차를 금지해도 계룡 2002번은 현금승차가 가능한 것과 같으며, 대전 607번이 현금승차를 금지하자 덩달아 현금승차를 금지한 옥천 607번의 사례와는 대조적이다.
- 2022년 5월 기준 726번, 401번에 이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이용률 TOP 3인 3위에 드는 노선이다. 518번 단축 이후부터 TOP 6~10위에 등극했으며, 2022년에 들어서는 순위가 큰 폭으로 올라갔다. 518번의 단축과 518-1번의 부진[12], 급행5번과 818번의 지속된 감차로 인해 수요가 814번으로 많이 넘어온 듯 하다. 2023년 3월에는 401번까지 제치고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이용률 2위를 찍었다. 지금도 이용률 2~3위에 있으며, 방학 기간에는 6~8위에 있다.
- 동대구로를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출퇴근 시간 때 동대구로 구간은 탑승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8140번이 생겼다. 하지만 8140번은 평일 아침 출근 시간에만 운행하므로 퇴근 시간에는 여전히 혼잡하다.
- 급행5번과 더불어 반야월로 수요를 책임지고 있다. 출퇴근 시간에는 화랑로와 반야월로에서 정동고등학교와 동부고등학교를 오가는 통학 수요가 많다.[13] 안심뉴타운이 들어서자 안심뉴타운 신규 수요가 생겼고 점점 늘어나고 있다.
- 범물동이 기종점인 노선들 중 유일하게 진밭골로 간다.[15] 오래 전부터 범물두성아파트 앞 정류장에서 도로 회차를 했으나, 2012~2013년 사이 진밭골으로 올라가는 입구 쪽 작은 공터에 회차지를 새로 만들었다. 이 곳은 원래 회차지에서 약 400m 떨어진 곳으로, 그 동안 아파트에서 민원이 잦았던 까닭이다. LED 행선판도 범물동 대신 진밭골로 변경됐다.
- 영천시 금호읍과 시경계를 두고 있는 경산시 와촌면 용천리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신설되자, 2008년 말에 천연가스버스를 뒤늦게 도입한 대화교통에서는 814번에 BS106 F/L 천연가스버스를 투입했다.[16] 이 노선의 대화교통 소속 차량 3대 모두 저상버스였으며, 그중 1대는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가 달린 NEW BS110 저상버스이고, 나머지 2대는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였으나, 진량2번의 BS110 저상버스가 휴차되자 NEW BS110 저상버스가 진량2번으로 넘어가고 대신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CNG 고상버스 1대가 818번에서 넘어와 현재는 이 노선의 대화교통 소속 차량 3대 중 1대는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고상버스고 나머지 2대는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다.
- 2004년 5월 25일에 일어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대 파업 때 (구)814번과 814-1번(현 통합 814번)에는 대화교통의 차량들이 대거 투입되었다. 818번에서 차출해서 투입했다.
- 4호선(구. 엑스코선)이 개통할 경우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814번의 수요는 주로 동대구역, 범어역과 황금, 지산, 범물을 연결하는 것인데 그 연결 거리가 짧은 편인 데다, 4호선은 RH 배차간격 7분, NH 배차간격은 15분으로 계획되어 있어 배차간격 역시 4호선이 크게 우위를 점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지 아직 확신하기 어렵다. 다만 1호선 하양 구간이 개통되면 타격을 크게 받을 듯 하다.
- 하양 방면 한정으로 망우당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동문고교입구 정류장에 정차한다. 다른 버스들은 아양아트센터를 경유하기 때문이다.
- 세진교통 기사 교대는 동부고등학교에서 실시한다.
- 814-1번의 코스로 통합하기 전에는 인가대수가 적어서 배차간격이 좋지 않았으나, 노선 통합과 꾸준한 증차로 30대가 다녔던 840번 다음으로 많은 29대로 운행하며 인가대수도 크게 변동하지 않았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840번이 2대 감차되어 한동안 대구 시내버스 노선 중 가장 많은 인가대수를 보유하는 노선이 되었다. 현재는 503번의 연경동 연장으로 증차되어 30대가 됨에 따라 1위자리를 내주었다. 하지만 2025년 2월 24일 개편으로 인해 503번이 4대 감차됨으로써 다시 대구 시내버스 최다 운행 대수 타이틀을 가져가게 되었다.
- 동대구역, 동대구터미널 인근 지역에서부터 하양읍에 위치한 경일대학교, 호산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까지 자사 노선 구간인 818번과 55, 555번은 각각 경산, 영천 시내버스 노선과 같이 간다. 그렇지만 하양읍 대학교가 인근 지역에 있어 대학생 수요도 경쟁한다.
- 장기 정차는 대구대종점에서 실시한다.
- 가스 충전은 하양 용천리CNG충전소 또는 범물CNG충전소에서 실시한다.[17] 다만, 범물동은 단기 회차지라 특별한 상황이 아나면 대부분 용천리CNG충전소에서 충전한다. 하양 용천리CNG충전소에서 충전한 차량들은 범물2동으로 갈때 랜덤으로 기사 재량에 따라 하양대구은행에서부터 재개하는 차량도 있고 아예 경일대에서부터 운행재개 하는 차량도 있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 앞뒤 스티커 행선판은 대구대 ← 동대구역 → 범물동, 대구대 - 망우당공원 - 동대구역 - 범물동 이었다.
4.1. 일평균 승차량
| ||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6,801명 | - |
2015년 | 16,277명 | ▽ 524 |
2016년 | 16,127명 | ▽ 150 |
2017년 | 15,784명 | ▽ 343 |
2018년 | 13,981명 | ▽ 1,803 |
2019년 | 14,282명 | △ 301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9,586명[18] | ▽ 4,696 |
2022년 | 12,600명 | △ 3,014 |
2023년 | 11,784명 | ▽ 816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5. 연계 철도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부호역, 대구한의대병원역, 안심역, 용계역[19], 아양교역, 동구청역, 동대구역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범어역[20]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수성구민운동장역, 어린이세상역, 황금역, 수성못역, 지산역[21], 범물역
대경선 : 동대구역
일반 철도역 : 하양역(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68846> 4권역 (청도군) | 0 | 0-1 | |||
2, 5권역 (칠곡군 서부) | 성서2 | 7 | 250-2 | |||
250 | 27 | 51 · 51-1 | 9 | 20 | ||
5권역 (성주군) | 0 (성주-고령-대구서부 · 성주-용암-문양역) | |||||
6권역 (고령군) | 606 | 650 | 달성1 | |||
6권역 (창녕군) | 달성6 | 달성7 | ||||
1, 7권역 (칠곡군 동부) | 급행3 | 급행9 | 급행9-1 | 급행9-2 | 급행9-3 | |
527 | 730 | 칠곡2 | 팔공3 | 38 | ||
칠곡3 | 200 | 250 | 250-1 | 300 | ||
군위-용수 | 101 | 101-1 | ||||
7권역 (구미시) | 73-3 | 78-3 | ||||
8권역 (경산시 북부) | 급행5 | 802 | 814 | 818 | 55·555 | |
8권역 (영천시) | 군위-신녕 | |||||
9권역 (경산시 남부) | 직행1 | 309 | 509 | 609 | 649 | |
719 | 848 | 894 | 동구10 | |||
100 | 100-1 | 399청 | 803-1 | 949 | ||
990청 | 991 | 999 | 999-1 | |||
권역 외 (의성군) | 군위-상곡 | 군위-백학 | ||||
권역 외 (의령군) | 의령/신반-대구[1] | |||||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직행 | |
급행 | ||
간선 | ||
지선 | ||
경산 | ||
영천 | 55, 555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순환 | ||
간선 | ||
지선 | ||
출근 | 814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효성캠퍼스 | 급행5 | 802 | 814 | 894 |
803 | 809 | 818 | 818-1 | ||
913 | 989(-1) | 진량1 | 진량2 | ||
하양-와촌1 | 하양2 | 와촌2 | |||
55 | 555 | ||||
동대구-포항(국도)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루가캠퍼스 | 순환3-1 | 326 | 501 | 503 | |
609 | 618 | 623 | 650 | ||
706 | 805 | 836 | 남구1-1 | ||
606 | |||||
유스티노캠퍼스 | 순환2-1 | 204 | 300 | 304 | |
306 | 349 | 405 | 410-1 | ||
503 | 509 | 518 | 609 | ||
649 | 650 | 651 | 706 | ||
805 | 836 | 남구1-1 | 동구1-1 | ||
606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 캠퍼스 | 급행5 | 802 | 814 | 894 |
803 | 803-1 | 818 | 818-1 | ||
989-1 | 991 | 진량1 | 399 | ||
울산-대구대 | 영천-구미 | ||||
대명동 캠퍼스 | 326 | 509 | 609 | 618 | |
650 | 706 | 805 | 836 | ||
남구1-1 | 달서2 | 순환2-1 | 606 |
[1] 경북교통 14대 / 신일여객 12대 / 대화교통 3대[단독] 814번 단독구간.[단독] [4] 해당 시간대는 진밭골에서 하차 불가능하여 이곳에서 다 하차해야 한다.[5] 공고네거리 ~ 동산병원[6] 범어네거리 ~ 범물동[7] 1980년대 고정배차 시절 33번 노선은 한일운수에서, 85번 노선은 국일여객, 세한여객에서 운행했다.[8] 욱수동 - 남부정류장 - 범어역 - 어린이회관(현 어린이세상) - 대구광역시경찰청 - 범물두성타운. 949번이 운행했던 구간 중 '범어역 - 범물두성타운' 구간이 814-1번과 동일했으며, 이 노선은 고모역과 가천동을 풀 타임으로 운행했다.[9] 일명 13번 도로라고 불리는 구 13번 버스가 다녔던 길로, 망우당네거리와 아양교역을 연결하는 길이다. 대구일마이스터고교, 효동초교 구간이다.[10] 당시 양 방향으로 동촌 구길을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2006년 개편 전까지 618번은 반야월 방향으로 운행할 때에만 동촌 구길을 편도 경유했기 때문이다.[11] 당시 849번은 순환형 노선이 아니었다.[12] 818번의 휴차로 인해 518-1번도 이용률이 조금 올라갔다.[13] 북구3번은 배차간격이 길고 율하지구로 돌아간다.[14] 대구대학교 쪽으로 가장 먼저 저상버스를 들어온 노선은 840번이며, 경산버스에서 투입했다.[15] 2015년 개편 때 수성4번이 신설되면서 두 개로 늘었으나, 2016년 3월 21일 자로 수성4번이 용지역으로 변경되어 다시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16] 경산시는 천연가스버스가 의무화된 곳이 아니다.[17] 대구대 종착 노선들은 모두 대구대학교 종점에서 장기정차하지만, 급행5번만 유일하게 주로 하양에서 가스를 충전하지 않는다. 이유는 신흥버스 차고지에 충전소가 있기 때문. 다만 급행5번 경북교통, 세진교통 일부 차량들도 용천리CNG충전소에서 가스를 충전하기도 한다. 신흥버스는 출발시간이 조금 지연되더라도 어지간하면 자사차고지라 여기서 충전한다.[18] 경산시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19] 대구대방면은 강변동서마을 정류장[20] 그랜드호텔 정류장[21] 지산청구타운 정류장